KR102292476B1 -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 - Google Patents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476B1
KR102292476B1 KR1020200136537A KR20200136537A KR102292476B1 KR 102292476 B1 KR102292476 B1 KR 102292476B1 KR 1020200136537 A KR1020200136537 A KR 1020200136537A KR 20200136537 A KR20200136537 A KR 20200136537A KR 102292476 B1 KR102292476 B1 KR 102292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oor
variable display
power suppl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환
김찬호
지은선
한예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투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투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투시
Priority to KR1020200136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01Nanoop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에 관한 것으로, 경첩에 의해 본체에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프레임을 구비한 도어로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 측에 마련된 유리 부재, 상기 프레임의 내면 측에 마련된 보호 패널,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보호 패널 사이에 마련되고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PC(polycarbonate)의 열가소성 수지와 나노 사이즈의 염료로 이루어진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보호 패널과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마련된 발광 부재, 상기 발광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부재를 마련하여, 내부의 광원에 의한 광량의 증가에 따라 본체 내의 물품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Light transmitting variable display panel and door having same}
본 발명은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의 광원에 의한 광량의 증가에 따라 본체 내의 물품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광 투과 디스플레이 가변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사 방지 코팅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광학용 기판의 표면 위에 구체적인 광학 특성을 만족시키는 코팅을 실행하여 기판 표면에서 발생하는 빛의 반사를 감소시키는 기술이다. 이는 반사에 의한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안경이나 디스플레이, 카메라와 같은 광학용 렌즈의 표면에 반사방지 코팅을 하여 표면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제품 분야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태양광 패널의 투과율을 향상시켜 태양광 집적량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응용되고 있다. 그 중 다공성 실리카 입자를 이용한 반사방지 코팅은 굴절률을 조절할 수 있는 다공성(Porous)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굴절률 매칭 코팅 막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편, 학교, 연구실, 병원 등에서 햇빛, 실내조명 등의 광에 반응하는 약품, 휘발성 물질, 폭발성 물질, 화학물질 등은 광을 차단하기 위해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도어를 가진다. 이로 인해, 도어를 열어서 내부를 확인하는 방법 외에는 내부 상태를 확인할 방법이 없거나, 특별한 장치를 통하지 않으면 내부 상태를 알 수가 없었다.
특히, 보관함 내부에서 약품의 누출이나 유독가스 형성이나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즉시 알 수가 없어서 위험을 가중시키고, 이런 경우 도어를 열 때, 내부 상태를 확인하지 못한 채 도어를 열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과성 반사시트(1)가 무색 투명의 합성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층(2) 및 이 기재층(2)에 함유되는 입경이 0.05㎛ 이상 1㎛ 이하의 산화티탄 입자(3)를 구비하고, 기재층(2)이 시트 형상으로 표면 전체면에 형성된 미세 요철 형상(4)을 구비하고, 기재층(2)의 두께(평균두께)가 30㎛ 이상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100㎛ 이하로 형성되고, 기재층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가 0.8㎛ 이상 3㎛ 이하이며, 기재층(2) 표면측으로부터 광선을 입사했을 때의 광투과율이 1% 이상 30% 이하, 광반사율이 70% 이상 99% 이하인 반투과성 반사 시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UV 경화성 레진을 포함하여 형성된 기재 및 상기 기재 표면에 일정 비율로 함침되어 단층 배열된 코어-쉘 구조의 직경 200 내지 300nm의 다공성 입자를 포함하는 반사방지 필름으로서, 상기 반사방지 필름은 O2 상압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입자 영역이 아닌 고분자 레진 층만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입자 노출도를 추가적으로 증가시킨 필름인 반사방지 필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물건이 수납되는 보관함 몸체, 보관함 내부의 특정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보관함 몸체에 설치되며, 투과 창을 갖는 도어, 보관함 내부의 특정 상태를 감지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발광량을 증가시켜, 보관함 내부에서 반사되어 투과 창을 향하는 광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발광모듈 그리고 투과 창에 구비되는 광학필름을 포함하여, 보관함 몸체의 내부 특정 상태를 알려주는 상태감지 투시 보관함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9538호(2012.06.19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45981호(2019.05.0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5757호(2019.04.30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램프로부터 나오는 광선을 하나의 도광판으로부터 표면 및 이면측에 분산시켜 출사시킬 수 있는 구조이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입자 영역이 아닌 고분자 레진 층만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입자 노출도를 추가적으로 증가시킨 필름을 마련하지만, 내부의 광원에 의한 광량의 증가에 따라 본체 내의 물품을 외부에서 확인하는 구조에 적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3에서는 센서가 보관함 몸체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물질 감지센서 및 움직임 감지센서 등을 구비하므로, 보관함에 보관된 용기 내부의 변화를 감지할 수 없고, 광학 필름이 외부 투과창의 바깥면에 부착되므로, 사용 과정에서 광학 필름이 손상되는 경우 외부의 광량을 감소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학교, 연구실, 병원, 숙성실 등에서 외부의 광에 의해 반응하는 약품, 휘발성 물질, 폭발성 물질, 화학물질 등 위험물을 보관하는 보관함의 내부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광량을 증가시켜 본체 내의 물품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에서의 움직임(사용자의 터치 또는 두드림 등)을 감지하여 발광 부재가 작동하므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접촉식으로 실행하여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경첩에 의해 본체에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프레임을 구비한 도어로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 측에 마련된 유리 부재, 상기 프레임의 내면 측에 마련된 보호 패널,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보호 패널 사이에 마련된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보호 패널과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마련된 발광 부재, 상기 발광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PC(polycarbonate)의 열가소성 수지와 나노 사이즈의 염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에는 다수의 나노 사이즈의 기공이 마련되고, 상기 나노 사이즈의 기공의 크기는 20~50㎚이고, 상기 패널은 3~5㎜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는 1.2~1.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서, 상기 전원 공급 부재는 상기 경첩에 결합된 제1 전원 공급 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제2 전원 공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제1 전원 공급 부재와 제2 전원 공급 부재의 전기적 연결이 실행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전원 공급 부재와 제2 전원 공급 부재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서, 상기 제1 전원 공급 부재는 제1 단자에서 돌출한 제1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원 공급 부재는 제2 단자에서 돌출한 제2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돌기부가 상기 제2 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돌기부가 상기 제1 단자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광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서, 상기 발광 부재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마련된 다수의 LED 광원 및 확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LED 광원은 상기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을 향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서, 상기 유리 부재 또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움직임 감지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움직임 감지 부재에서 상기 유리 부재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전원 공급 부재는 상기 발광 부재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에 의하면, 유리 부재와 보호 패널 사이에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련하고, 보호 패널과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발광 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도어의 내부에 마련된 발광 부재에 의한 광량의 증가에 따라 본체 내의 물품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에 의하면, 도어가 폐쇄되면 제1 전원 공급 부재와 제2 전원 공급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어에서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면 발광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에 의하면, 도어가 폐쇄되면 제1 전원 공급 부재와 제2 전원 공급 부재의 전기적 연결이 실행되고, 도어가 개방되면 제1 전원 공급 부재와 제2 전원 공급 부재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는 구조를 마련하여 장비의 손상 방지 및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반투과성 반사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광 부재의 ON/OFF에 따른 광 투과율의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도어의 일부분을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경첩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도어의 일 예의 부분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발광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전원 공급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전원 공급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도어의 다른 예의 부분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예의 발광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본체에 장착된 움직임 감지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프레임"은 도어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대략 사각 형상의 금속재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의 전면"은 도어를 외부로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 등이 마련된 부분이며, "프레임의 내면"은 물품을 보관하는 본체를 향한 부분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PC(polycarbonate)의 열가소성 수지와 나노 사이즈의 염료로 이루어진 패널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능에 대해 도 2 및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광 부재의 ON/OFF에 따른 광 투과율의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다수의 나노 사이즈의 기공이 마련되므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광원의 OFF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두운 상태로 유지되므로, 외부에서 본체 내의 물품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한편, 광원이 ON되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한 광원의 광 조사에 의해서 광의 투과율이 증가하여,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밝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외부에서 본체 내의 물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도어 구조를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도어의 일부분을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경첩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도어의 일 예의 부분 정면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도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110)에 의해 본체에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프레임(120)을 구비한 도어(100)로서, 상기 프레임(120)의 전면 측에 마련된 유리 부재(130), 상기 프레임(120)의 내면 측에 마련된 보호 패널(140), 상기 유리 부재(130)와 상기 보호 패널(140) 사이에 마련되고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PC(polycarbonate)의 열가소성 수지와 나노 사이즈의 염료로 이루어진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 상기 보호 패널(140)과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 사이에 마련된 발광 부재(160), 상기 발광 부재(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부재(1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학교, 연구실, 병원, 숙성실 등에서 외부의 광에 의해 반응하는 약품, 휘발성 물질, 폭발성 물질, 화학물질 등 위험물을 보관하는 보관함으로 기능하며, 도어(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보관함의 개폐를 위해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고, 본체의 전면 방향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개폐 부재이다.
상기 경첩(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고정 부재(111), 본체 고정 부재(112), 상기 도어 고정 부재(111)와 본체 고정 부재(112)를 연결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링크 부재(113)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 고정 부재(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에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본체 고정 부재(112)는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구와 고정구에 결속된 결속 볼트, 결속 볼트에 결속되는 결합부 및 본체 고정 부재(112)의 돌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도어 조정 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링크 부재(113)는 개폐 스프링을 매개로 하여 도어 고정 부재(111)와 본체 고정 부재(112)를 탄성 결속하여 도어(100)가 개폐되게 한다.
상기 본체 고정 부재(112)의 일 측에는 결합 홈(114)이 마련된다. 즉 결합 홈(1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도어 조정 볼트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대략 사각 형상의 금속재, 고강도 플라스틱 또는 목재로 이루어지고, 이 프레임(120)의 둘레 부분에는 본체를 밀폐하기 위한 실리콘, 고무 등의 패킹 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프레임(120)이 사각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 부재(130)는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보호하기 위해 프레임(120)의 전면 측에 마련된 강화 유리이며, 이 유리 부재(130)에는 움직임 감지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유리 부재(130)의 내측에 움직임 감지 부재가 마련되고, 이 움직인 감지 부재는 사용자가 유리 부재(130)를 터치 또는 두드리는 것에 의해 유리 부재(130)의 움직임으로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광 부재(160)로 전송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 부재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발광 부재(16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움직임 감지 부재가 유리 부재(130)에 마련된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레임(120)의 일측, 도어(100)의 손잡이 부분 또는 본체의 상부 등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 패널(140)은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보호하기 위해 프레임(120)의 내면 측에 마련된 유리 부재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유리 부재(130)와 보호 패널(140)이 강화 유리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빛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부재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리 부재(130)와 보호 패널(1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삽입부가 마련된 프레임(120)에 끼워 맞추어지고 실리콘 수지로 몰딩될 수도 있다.
상기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나노 사이즈의 기공이 마련되고, 발광 부재(160)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과 보호 패널(140) 사이에서 광량이 증가되면, 광 투과율이 증가하여 본체의 물품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PC(polycarbonate)의 열가소성 수지와 나노 사이즈의 염료로 이루어진 패널로서, 상기 패널에는 20~50㎚의 다수의 나노 사이즈의 기공이 형성되며, 이 패널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는 1.2~1.9㎚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패널은 아크릴, PC 등의 재료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추가적으로 나노 크기의 염료를 첨가하여 3~5㎜의 두께로 제작되며, 나노 크기의 염료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나노 사이즈의 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삽입부가 마련된 프레임(120)에 끼워 맞추어지고 실리콘 수지로 몰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발광 부재(160)가 ON되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를 향한 발광 부재의 광 조사에 의해 다수의 나노 사이즈의 기공을 투과하여,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량이 증가한 밝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본체 내의 물품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부재(16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하부에 마련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61), 상기 기판 (161) 상에 마련된 다수의 LED 광원(162), 상기 다수의 LED 광원(162) 상에 마련된 확산판(163)을 포함한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발광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4에서는 프레임(120)의 하부에만 발광 부재(160)가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레임(120)의 상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또 발광 부재(160)는 프레임(120)의 상하부에 한 쌍으로 마련되거나, 사각 형상의 각각의 측면에 2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 부재(160)는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에서의 투과능 또는 도어(10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LED 광원(162)은 발광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향해 발광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기판(161)에는 본체에서 공급되는 상용 전원에 대해 LED 광원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경하는 전압 변경 회로, 상기 움직임 감지 부재에 의한 감지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 부재(170)에서 다수의 LED 광원(162)으로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스위칭 회로를 일정 시간 동안만 동작시키는 타이머가 마련될 수 있다. 또 상기 LED 광원(162)은 상기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마련된 다수의 나노 사이즈의 기공의 크기 및 재질에 따라 광 반사율이 최적인 출력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163)은 다수의 LED 광원(162)에서 발광되는 광이 도 6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외곽을 향하도록 렌즈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부재(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부재(170)에 대해 도 10 및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전원 공급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전원 공급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상기 전원 공급 부재(170)는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첩(110)에 결합된 제1 전원 공급 부재(171) 및 상기 프레임(120)에 결합된 제2 전원 공급 부재(172)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100)가 폐쇄되면 상기 제1 전원 공급 부재(171)와 제2 전원 공급 부재(172)의 전기적 연결이 실행되고, 상기 도어(100)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전원 공급 부재(171)와 제2 전원 공급 부재(172)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다.
상기 제1 전원 공급 부재(171)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에서 돌출한 제1 돌기부(173),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케이블(176), 한 쌍의 결합부(178)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케이블(176)은 연결 잭(179)에 결합된다.
상기 제1 단자와 제1 돌기부(173)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결합부(178)가 본체 고정부(112)에 마련된 결합 홈(114)에 끼워 맞춤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전원 공급 부재(171)가 상기 경첩(110)에 체결된다.
상기 제2 전원 공급 부재(172)는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에서 돌출한 제2 돌기부(174), 프레임(120)에 나사 등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 나사 홀(175), 발광 부재(16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케이블(177)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단자와 제2 돌기부(174)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돌기부(173)가 상기 제2 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돌기부(174)가 상기 제1 단자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광 부재(1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자는 제1 돌기부(173)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2 돌기부(174)와는 전기적으로 도통 되게 마련된다. 또 상기 제2 단자도 제2 돌기부(174)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1 돌기부(173)와는 전기적으로 도통 되게 마련된다. 상술한 제1 돌기부(173) 및 제2 돌기부(174)는 예를 들어, (+) 단자 및 (-) 단자의 기능을 갖도록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단자에 제1 돌기부(173)를 마련하고, 제2 단자에 제2 돌기부(174)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시 감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100)의 반복적인 개폐 동작에서도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본체에서 개방되면, 제1 돌기부(173)와 제2 돌기부(174)가 이격되어 발광 부재(16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도어(100)가 본체에서 폐쇄하면, 제1 돌기부(173)와 제2 돌기부(174)가 각각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접촉하고 스위칭 회로의 작동에 의해 대기 전압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 사용자가 유리 부재(130)를 터치 또는 두드리면, 움직임 감지 부재가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 움직임 감지 정보가 발광 부재(160)으로 전송되어 스위칭 회로가 온 상태로 되며, 이에 따라 다수의 LED 광원(162)이 발광을 하면,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과 보호 패널(140) 사이의 광량의 증가에 따라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마련된 다수의 나노 사이즈의 기공 사이를 통과하여 본체 내의 물품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LED 광원(162)의 발광은 스위칭 회로를 일정 시간 동안만 동작시키는 타이머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움직임 감지 부재 및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다수의 LED 광원(162)이 발광하므로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 12 내지 도 14에 따라 설명한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도어의 다른 예의 부분 정면도 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예의 발광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본체에 장착된 움직임 감지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기판(161)이 평탄한 구조이고, 다수의 LED 광원(162)이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외각을 향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도 12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LED 광원(162)이 본체의 내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61)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하여 다수의 LED 광원(162)이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판(161)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발광 부재(160)의 설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움직임 감지 부재가 프레임(120)의 일측에 마련된 구조로 설명을 하였지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부재(180)가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어 발광 부재(160)를 작동시키는 구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움직임 감지 부재(180)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바닥 등의 지나감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전원 공급 부재(172)는 발광 부재(160)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설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유리 부재(130)와 평행한 상태로 장착되고 발광 부재(160)의 LED가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외곽을 향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발광 부재(160)에 대해 경사지게 장착되어 발광 부재(160)에서 조사된 빛이 다수의 나노 사이즈의 기공 사이를 경유하여 유리 부재(130)로 통과시키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제1 단자에 제1 돌기부(173)가 마련되고, 제2 단자에 제2 돌기부(174)가 마련된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단자 또는 제2 단자의 어느 한쪽에 제1 돌기부(173)와 제2 돌기부(174)가 마련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도어의 내부에 마련된 발광 부재에 의해 광량의 증가에 따라 본체 내의 물품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100 : 도어
110 : 경첩
120 : 프레임
150 :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160 : 발광 부재
170 : 전원 공급 부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경첩에 의해 본체에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프레임을 구비한 도어로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 측에 마련된 유리 부재,
    상기 프레임의 내면 측에 마련된 보호 패널,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보호 패널 사이에 마련된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보호 패널과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마련된 발광 부재,
    상기 발광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PC(polycarbonate)의 열가소성 수지와 나노 사이즈의 염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에는 다수의 나노 사이즈의 기공이 마련되고, 상기 나노 사이즈의 기공의 크기는 20~50㎚이고, 상기 패널은 3~5㎜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는 1.2~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4. 제3항에서,
    상기 전원 공급 부재는 상기 경첩에 결합된 제1 전원 공급 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제2 전원 공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제1 전원 공급 부재와 제2 전원 공급 부재의 전기적 연결이 실행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전원 공급 부재와 제2 전원 공급 부재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 제4항에서,
    상기 제1 전원 공급 부재는 제1 단자에서 돌출한 제1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원 공급 부재는 제2 단자에서 돌출한 제2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돌기부가 상기 제2 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돌기부가 상기 제1 단자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광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 제4항에서,
    상기 발광 부재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마련된 다수의 LED 광원 및 확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LED 광원은 상기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을 향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7. 제4항에서,
    상기 유리 부재 또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움직임 감지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움직임 감지 부재에서 상기 유리 부재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전원 공급 부재는 상기 발광 부재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KR1020200136537A 2020-10-21 2020-10-21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 KR102292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537A KR102292476B1 (ko) 2020-10-21 2020-10-21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537A KR102292476B1 (ko) 2020-10-21 2020-10-21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476B1 true KR102292476B1 (ko) 2021-08-24

Family

ID=7750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537A KR102292476B1 (ko) 2020-10-21 2020-10-21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4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142B1 (ko) * 2001-01-15 2009-06-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시 파장 영역에서의 높고 평활한 투과율을 가진 다층적외선 반사 필름 및 그로부터 제조된 라미네이트 제품
KR101159538B1 (ko) 2009-06-17 2012-06-25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반투과성 반사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170082093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라이팅 유닛
KR20190045981A (ko)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에이엔케이 단층코팅된 다공성 입자의 플라즈마 식각을 통한 나노구조 제어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무반사, 자가세정 필름
KR101975757B1 (ko) 2018-09-28 2019-05-08 오재환 상태감지 투시 보관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142B1 (ko) * 2001-01-15 2009-06-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시 파장 영역에서의 높고 평활한 투과율을 가진 다층적외선 반사 필름 및 그로부터 제조된 라미네이트 제품
KR101159538B1 (ko) 2009-06-17 2012-06-25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반투과성 반사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170082093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라이팅 유닛
KR20190045981A (ko)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에이엔케이 단층코팅된 다공성 입자의 플라즈마 식각을 통한 나노구조 제어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무반사, 자가세정 필름
KR101975757B1 (ko) 2018-09-28 2019-05-08 오재환 상태감지 투시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922B1 (ko) 광 투과 가변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
CN110737042B (zh) 显示装置及导光板
CN112689601B (zh) 状态检测透视保管箱
US20120314449A1 (en) Lighting assembly
US20140022813A1 (en) Transparent Emissive Window Element
US20140016191A1 (en) Window shutter apparatus and architectural optical assemblies thereof
CN116679845A (zh) 触摸感测装置
CN110770802A (zh) 传感器组件和包括这种传感器组件的设备.
EP4242804A1 (en) Self-sterilizing display device
KR20210097983A (ko) 광변색 스마트 윈도우와 이를 구비하는 차량 및 건축 구조물
US11131880B2 (en) Lighting device and light housing
KR102292476B1 (ko) 광 투과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도어
US9016897B1 (en) Inductive light source module
KR20210092651A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JP2000039522A (ja) 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前面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9261639B1 (en) Collimating light guide texture
CN112204448B (zh) 基于全内反射的图像显示器中的凸形突起
KR102522197B1 (ko) 면 조명 장치
JP2014049261A (ja) 照明装置
TW201324568A (zh) 發光鍵盤及其光源模組
KR20220108497A (ko) 광 투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도어
JP6887127B2 (ja) 入力装置
EP4172534A1 (en) Systems with window illuminators
KR10234129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US20220003039A1 (en) Storage box having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