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445B1 - Low Noise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Low Noise 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445B1
KR102292445B1 KR1020190167518A KR20190167518A KR102292445B1 KR 102292445 B1 KR102292445 B1 KR 102292445B1 KR 1020190167518 A KR1020190167518 A KR 1020190167518A KR 20190167518 A KR20190167518 A KR 20190167518A KR 102292445 B1 KR102292445 B1 KR 102292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noise
tire
holes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6388A (en
Inventor
장재호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7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445B1/en
Publication of KR2021007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3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4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소음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트레이 블록과 상기 다수개의 트레드 블록 사이에 각각 형성된 그루브로 이루어진 패턴을 갖는 타이어에 있어, 상기 트레이 블록의 중심부에 그루브의 기주공명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횡방향 관통 홀이 형성되되, 양측에 위치하는 트레이 블록의 횡방향 관통 홀과 내부에 위치하는 트레이 블록의 횡방향 관통 홀은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저소음 타이어는 물성과 형상에 큰 변형없이 타 성능(주행성능, 제동성능 등)에 대한 영향이 적으므로 타이어 방사소음만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드 블록의 마모시 관통 홀이 노출되어 새로운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제동 및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noise tire, wherein in a tire having a patter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ray blocks and grooves respectively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it is possible to prevent host resonance noise of the groove from being generated in the center of the tray block. Transverse through-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eriphery so that the transverse through-holes of the tray blocks located on both sides and the transverse through-holes of the tray blocks located inside are located on different lines.
Since the low-nois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little effect on other performance (driving performance, braking performance, etc.) without significant deformation in physical properties and shape, not only can the tire radiated noise be reduced, but also through-holes are exposed when the tread block is worn. By forming a new groov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braking and drainage properties.

Description

저소음 타이어{Low Noise Pneumatic Tire}Low Noise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저소음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의 주요 소음원 중 하나인 태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저소음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noise t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noise tire capable of reducing tatton noise, which is one of the main noise sources of the tire.

종래의 타이어의 저소음 패턴을 설계하는데 에는 원주방향으로 나열된 피치들을 불규칙하게 배열하여 소음을 저감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불규칙한 순서대로 배열된 패턴 피치들은 노면에 주기적인 가진(加振;excitation)을 주어 소음 에너지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A method of reducing noise by irregularly arranging pitches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has been used to design a low noise pattern of a conventional tire. The pattern pitches arranged in an irregular order give periodic excitation to the road surface to amplify noise energy.

이러한 주기적인 피치들을 또한 특정 공명 대역에 중첩이 되면 소음을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When these periodic pitches are also superimposed on a specific resonance band, the noise is greatly increased.

특히 패턴의 진행방향의 종그루브(Longitudinal Groove)는 노면 접지 시에 기주 공명음(Resonance in Air Columns)의 특징을 갖게 된다. In particular, the longitudinal gro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ttern proceeds has the characteristic of resonance in air columns when the road surface is grounded.

근래 타이어 광폭화에 따른 종그루브 폭 증가로 기주 공명음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피치들을 불규칙하게 배열하는 방법은 이러한 기주 공명 대역을 회피하지 못하므로 소음이 증폭되게 된다. Recently, there is a tendency for host resonance noise to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in the longitudinal groove width due to the wider tire width. Therefore, the conventional method of arranging pitches irregularly does not avoid such a host resonance band, so noise is amplified.

일반적으로 타이어 몸체 내부에는 공기주머니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타이어의 진동특성 중에 상기 공기 주머니 부에 의해 생기는 소음을 기주 공명음이라고 한다.In general, an air bag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tire body, and noise generated by the air bag portion among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ire is called host resonance soun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14579호 및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67978호에서는 종그루브를 웨이브(Wave)형태로 하거나 서브 레조네이터(Sub Resonator)를 적용하여 기주 공명음을 저감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5-0014579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67978 disclose reducing host resonance noise by using a vertical groove in a wave shape or by applying a sub resonator.

그러나 선행 문헌들은 횡그루브 가진에 의한 소음 영향도는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prior literature does not consider the noise effect due to lateral groove excitation.

이와 별도로 종래에는 타이어를 구성하는 재료의 물성 및 패턴의 형상을 변경하여 패턴 노이즈를 저감하고 있으나 타이어를 구성하는 재질의 구조나 물성을 바꿀 경우에는 타이어의 주행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소음 저감만을 위한 재료 선택시 핸들링, 제동 등의 성능의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Separately, conventionally, pattern noise has been reduced by chang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tire and the shape of the patter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performance such as handling and braking was deteriorated when selecting a material for this purpos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457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1457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79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4679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트레이 블록의 중심부에 관통 홀을 형성하여 그루브가 기주공명관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소음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noise tire capable of preventing the groove from becoming a host resonance tube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of the tray bloc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소음 타이어는 다수개의 트레이 블록과 상기 다수개의 트레드 블록 사이에 각각 형성된 그루브로 이루어진 패턴을 갖는 타이어에 있어, 상기 트레이 블록의 중심부에 그루브의 기주공명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횡방향 관통 홀이 형성되되, 양측에 위치하는 트레이 블록의 횡방향 관통 홀과 내부에 위치하는 트레이 블록의 횡방향 관통 홀은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In the low-noise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ire having a patter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ray blocks and grooves respectively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the host resonance sound of the groove is generated in the center of the tray block Transverse through-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to prevent do.

그리고 상기 트레이 블록의 중심부에 횡방향 관통 홀을 대신하여 원주 둘레를 따라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종방향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longitudinal through-holes may be formed at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in place of the transverse through-holes in the center of the tray block.

여기서, 상기 횡방향 관통 홀과 종방향 관통 홀은 단면 형상이 원형, 사각형, 다각형, 곡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transverse through-hole and the longitudinal through-hole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a circular shape, a rectangular shape, a polygonal shape, and a curved shape.

또한, 상기 횡방향 관통 홀의 끝단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nd of the transverse through-hole may be inclined.

그리고 상기 횡방향 관통 홀의 내부에는 십자 형상 또는 격자 형상의 격벽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ross-shaped or lattice-shaped barrier rib may be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transverse through-hole.

본 발명에 의한 저소음 타이어는 물성과 형상에 큰 변형없이 타 성능(주행성능, 제동성능 등)에 대한 영향이 적으므로 타이어 방사소음만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드 블록의 마모시 관통 홀이 노출되어 새로운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제동 및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low-nois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little effect on other performance (driving performance, braking performance, etc.) without significant deformation in physical properties and shape, not only can the tire radiated noise be reduced, but also through-holes are exposed when the tread block is worn. By forming a new groov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braking and drainage properti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타이어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타이어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타이어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타이어의 시간 경과에 따른 트레드 블록을 나타낸 평면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타이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1 is a side view showing a low nois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low nois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low-nois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tread block over time of a low-nois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w-nois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타이어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타이어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타이어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low nois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low nois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It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low-nois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원발명인 저소음 타이어(100)는 다수개의 트레이 블록(200)과 상기 다수개의 트레드 블록(200) 사이에 각각 형성된 그루브(300)로 이루어진 패턴을 갖는다. First, the low noise ti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tter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ray blocks 200 and grooves 300 respectively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200 .

그리고 본원발명인 저소음 타이어(100)는 상기 트레이 블록(200)의 중심부(210)에 관통 홀을 형성하여 그루브(300)가 기주공명관이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주공명 소음을 저감시키는데 특징이 있다.And the low noise ti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duces host resonance noise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210 of the tray block 200 to prevent the groove 300 from becoming a host resonance tube.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 블록(200)의 중심부(210)에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횡방향 관통 홀(220)이 형성된다. Specifically, transverse through-holes 22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er 210 of the tray block 200 .

즉, 상기 트레일 블록(200)의 중심부(210)에 그루브(300)와 연통되는 횡방향 관통 홀(220)을 형성하여, 상기 그루브(300)에 유입된 공기 또는 배출되는 공기가 횡방향 관통 홀(220)을 통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기주공명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by forming a transverse through-hole 220 communicating with the groove 300 in the central portion 210 of the trail block 200 , the air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groove 300 is passed through the transverse through-hole. By making it move through 220, it is possible to reduce host resonance noise.

여기서, 상기 횡방향 관통 홀(220)을 트레이 블록(200)의 중심부에 형성한 것은 그루브(300)가 기주공명관이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트레이 블록(200)의 마모시 횡방향 관통 홀(220)이 노출되어 새로운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제동 및 배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Here, the formation of the transverse through-hole 220 in the center of the tray block 200 prevents the groove 300 from becoming a host resonance tube, and the transverse through-hole 220 when the tray block 200 is worn. This is to secure braking and drainage performance by forming a new groove by exposing it.

그리고 상기 횡방향 관통 홀(220)은 양측에 위치하는 트레이 블록(200)의 횡방향 관통 홀(220)과 내부에 위치하는 트레이 블록(200)의 횡방향 관통 홀(220)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And the transverse through-hole 220 is the transverse through-hole 220 of the tray block 200 located on both sides and the transverse through-hole 220 of the tray block 200 located therein on different lines. formed to be located.

즉, 상기 트레이 블록(200)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내부 트레이 블록(200)의 횡방향 관통 홀(220)을 통해 공기를 양측으로 용이하게 분산 이동시키고, 다른 선상에 위치하는 외부 트레이 블록(200)의 횡방향 관통 홀(220)을 통해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가 충돌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또 다른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tray block 200 easily disperses and moves air to both sides through the transverse through-holes 220 of the inner tray block 200 located on the same line, and the outer tray block 200 located on the other line. ) through the transverse through-hole 220 to minimize the collision of external air and internal air to prevent another noise from being generated.

여기서, 상기 횡방향 관통 홀(220)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공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단면 형상이 원형, 사각형, 다각형, 곡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ransverse through-hole 220 is formed in any one of a circle, a rectangle, a polygon, and a curved surface for smooth movement of air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purpose.

다음으로, 상기 저소음 타이어(100)는 도시된 도 5 내지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low noise tire 10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S. 5 to 7 .

먼저, 도시된 도 5의 저소음 타이어(100)는 상기 트레이 블록(200)의 중심부(210)에 횡방향 관통 홀(220)을 대신하여 원주 둘레를 따라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종방향 관통 홀(230)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rst, the illustrated low-noise tire 100 of FIG. 5 replaces the transverse through-holes 220 in the central portion 210 of the tray block 200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longitudinal through-holes ( 230) shows an example in which it is formed.

즉, 상기 저소음 타이어(100)는 트레이 블록(200)의 중심부(210)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종방향 관통 홀(230)을 형성하여 상기 그루브(300)에 유입된 공기 또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한 기주공명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low-noise tire 100 forms longitudinal through-holes 230 at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center 210 of the tray block 200 to preven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groove 300 or the air discharged. This was done to reduce the host resonance noise caused by

이때, 상기 종방향 관통 홀(230)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공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단면 형상이 원형, 사각형, 다각형, 곡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longitudinal through-hole 23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a circle, a square, a polygon, and a curved surface for smooth movement of air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purpose.

그리고 도시된 도 6의 저소음 타이어(100)는 상기 횡방향 관통 홀(220)의 끝단(222)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Also, in the illustrated low noise tire 100 of FIG. 6 , the end 222 of the transverse through-hole 2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즉, 상기 저소음 타이어(100)는 그루브(300)를 통해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가 경사진 끝단(222)을 통해 상기 횡방향 관통 홀(220)에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주공명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in the low-noise tire 100 , the host resonance noise is reduced by allowing the air introduced or discharged through the groove 300 to be quickly introduced into the transverse through-hole 220 through the inclined end 222 . it was made to be

다음으로, 도시된 도 7의 저소음 타이어(100)는 상기 횡방향 관통 홀(200)의 내부에는 십자 형상 또는 격자 형상의 격벽(40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Next, the illustrated low-noise tire 100 of 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ross-shaped or grid-shaped bulkheads 400 are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transverse through-holes 200 .

즉, 상기 저소음 타이어(100)는 횡방향 관통 홀(200)에 개별적으로 십자 형상 또는 격자 형상의 격벽(400)을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트레이 블록(20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면서도 기주공명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low-noise tire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ross-shaped or grid-shaped partition walls 400 are individually detachably formed in the transverse through-holes 200 to cushion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tray block 200 while buffering the impact. This was done to reduce resonance noise.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다수개의 트레이 블록(200)과 상기 다수개의 트레드 블록(200) 사이에 각각 형성된 그루브(300)로 이루어진 패턴을 가지는 저소음 타이어(100)에 횡방향 관통 홀(220) 또는 종방향 관통 홀(230)을 형성하여 그루브(300)가 기주공명관이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주공명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noise tire 100 having a patter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ray blocks 200 and grooves 300 respectively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200 in the transverse through-hole 220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forming the through hole 230 to prevent the groove 300 from becoming a host resonance tub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ost resonance noise can be reduc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ex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equivalent to or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저소음 타이어 200 : 트레이 블록
210 : 중심부 220 : 횡방향 관통 홀
222 : 끝단 230 : 종방향 관통 홀
300 : 그루브 400 : 격벽
100: low noise tire 200: tray block
210: central 220: transverse through hole
222: end 230: longitudinal through hole
300: groove 400: bulkhead

Claims (5)

다수개의 트레이 블록과 상기 다수개의 트레드 블록 사이에 각각 형성된 그루브로 이루어진 패턴을 갖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블록의 중심부에 그루브의 기주공명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횡방향 관통 홀이 형성되되,
양측에 위치하는 트레이 블록의 횡방향 관통 홀과 내부에 위치하는 트레이 블록의 횡방향 관통 홀은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 관통 홀의 내부에는 십자 형상 또는 격자 형상의 격벽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타이어.
A tire having a patter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ray blocks and grooves respectively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the tire comprising:
In the center of the tray block, transverse through-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to prevent the host resonance sound of the groove from being generated,
The transverse through-holes of the tray block located on both sides and the transverse through-holes of the tray block located inside are formed to be located on different lines,
A low-noise tire, characterized in that a cross-shaped or grid-shaped bulkhead is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transverse through-hol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관통 홀은 단면 형상이 원형, 사각형, 다각형, 곡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 noise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ateral through-hole is formed in any one of a circular shape, a square shape, a polygonal shape, and a curved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관통 홀의 끝단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noise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transverse through-hole is formed to be inclined.
삭제delete
KR1020190167518A 2019-12-16 2019-12-16 Low Noise Pneumatic Tire KR1022924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18A KR102292445B1 (en) 2019-12-16 2019-12-16 Low Noise Pneumatic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18A KR102292445B1 (en) 2019-12-16 2019-12-16 Low Noise Pneumatic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388A KR20210076388A (en) 2021-06-24
KR102292445B1 true KR102292445B1 (en) 2021-08-23

Family

ID=7660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518A KR102292445B1 (en) 2019-12-16 2019-12-16 Low Noise 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445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9913A (en) * 1991-12-19 1993-07-09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KR100467970B1 (en) 2002-03-18 2005-01-24 창원특수강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resisting alloy bar by warm surface working
KR20050014579A (en) 2003-07-31 2005-02-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for reduced noise
KR20110070116A (en) * 2009-12-18 2011-06-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improved lateral gro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388A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4824B2 (en) Pneumatic tire
JP5615680B2 (en) tire
CN103118881B (en) Use airtyred tyre surface winter
JP4873514B2 (en) Pneumatic tire
WO2015136590A1 (en) Pneumatic tire
EA017520B1 (en) Device for tread
WO2011016100A1 (en) Tire
US10632793B2 (en) Tire
KR102292445B1 (en) Low Noise Pneumatic Tire
JP5545742B2 (en) tire
KR102088907B1 (en) Heavy duty pneumatic tire
JP2008207610A (en) Pneumatic tire
KR20070055651A (en) Pneumatic tire having improved noise
JP2011148423A (en) Pneumatic tire
JP5346689B2 (en) tire
US20210178827A1 (en) Non-pneumatic tire
KR102218152B1 (en) Noise reduced pneumatic tire
JP2009029259A (en) Pneumatic tire
JP2019073062A (en) Pneumatic tire
WO2010134144A1 (en) Tire
KR20120021311A (en) Tire
KR102326889B1 (en) Pneumatic vehicle tire
JP4114670B2 (en) Vehicle wheel structure
JP4114671B2 (en) Vehicle wheel structure
KR102126001B1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