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188B1 -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188B1
KR102292188B1 KR1020190102850A KR20190102850A KR102292188B1 KR 102292188 B1 KR102292188 B1 KR 102292188B1 KR 1020190102850 A KR1020190102850 A KR 1020190102850A KR 20190102850 A KR20190102850 A KR 20190102850A KR 102292188 B1 KR102292188 B1 KR 102292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information
crown
individual teeth
display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117A (ko
Inventor
김화삼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188B1/ko
Priority to PCT/KR2020/010307 priority patent/WO2021033960A1/ko
Publication of KR2021002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5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은 환자의 치아 데이터에서 식별된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하고,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컨택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환자의 정상적인 치아 외형 상태 또는 주변 치아와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및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Tooth Contact Information}
본 발명은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치아 데이터에서 식별된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하고,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음식물을 소화할 수 있도록 씹을 수 있는 저작 기능 외에 입술, 혀 등 구강 조직과 함께 소리를 낼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개별 치아 형태와 주변 치아와의 관계가 요구된다.
또한, 치아 형태는 기능적은 물론 심미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미 치아 형태학(Dental morphology)에서는 각 치아의 구조, 조직, 종류, 치식(치아번호)을 상세하게 정리하여 다양한 치과 진단 및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환자의 정상적인 치아 외형 상태 또는 주변 치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치아의 컨택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아의 컨택 정보는 각 치아 별로 동일한 인접 컨택 정보와 각 치아 별로 상이한 교합 컨택 정보가 존재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모든 치아에 수작업으로 적용하면 컨택 정보가 치아 개수 만큼 배수로 늘어나므로 환자의 정상적인 치아 외형 상태 또는 주변 치아와의 관계 확인을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특별한 도구 없이 학습된 이론을 바탕으로 컨택 정보를 수동으로 적용하는 경우, 학습 내용에 따른 개인 별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인 별 편차에 따른 위치 오차는 부정확한 진단, 분석 및 치료 계획 등의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 등록특허공보 제10-1218389호(2013.01.03.)
본 발명은 주변 치아와의 관계를 확인할 때 사용되는 치아 외형의 중요 요소인 인접 컨택 정보 및 교합 컨택 정보를 자동으로 검출함으로써 소요되는 시간 및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 데이터에서 식별된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하고, 표시된 외형 박스를 수정함으로써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동시에 업데이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은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치아 데이터에서 분할된 복수의 개별 치아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형 박스는, 상기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컨택 정보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근심면 및 원심면에 대한 인접 컨택 정보와 교합면에 대한 교합 컨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상기 인접 컨택 정보 및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동일한 항목의 인접 컨택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아 번호에 따라 구분된 치아 종류 별로 서로 다른 항목의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형 박스에 대한 수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정 명령에 따라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컨택 정보를 상기 변경된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을 조정하는 수정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수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형 박스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동시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외형 박스를 변경하는 수정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수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형 박스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동시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해 표시된 컨택 정보 중 특정 컨택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치아 데이터에서 분할된 복수의 개별 치아들을 식별하며,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하고, 상기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컨택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외형 박스는, 상기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컨택 정보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근심면 및 원심면에 대한 인접 컨택 정보와 교합면에 대한 교합 컨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상기 인접 컨택 정보 및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동일한 항목의 인접 컨택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아 번호에 따라 구분된 치아 종류 별로 서로 다른 항목의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형 박스에 대한 수정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수정 명령에 따라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업데이트 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컨택 정보를 상기 변경된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을 조정하는 수정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수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형 박스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동시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외형 박스를 변경하는 수정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수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형 박스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동시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해 표시된 컨택 정보 중 특정 컨택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변 치아와의 관계를 확인할 때 사용되는 치아 외형의 중요 요소인 인접 컨택 정보 및 교합 컨택 정보를 자동으로 검출함으로써 소요되는 시간 및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 데이터에서 식별된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하고, 표시된 외형 박스를 수정함으로써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동시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검출된 인접 컨택 정보 및 교합 컨택 정보를 보철, 교정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정확한 치과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치에 대응하는 개별 치아에 외형 박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치의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치의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구치의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구치의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컨택 정보 업데이트 과정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시스템(100)은 제1 측정 장치(110), 제2 측정 장치(120) 및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로 구성될 있다. 제1 측정 장치(110)는 CT 데이터와 같은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제2 측정 장치(120)는 X-ray 데이터와 같은 2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제1 측정 장치(110) 및 제2 측정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제1 측정 장치(110) 및 제2 측정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로딩한 후 로딩된 환자의 치아 데이터에서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을 분할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식별된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의 외형 박스는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즉,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및 해당 개별 치아의 치축을 활용하여 외형 박스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컨택 정보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표시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주변 치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소요 시간 및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프로세서(131), 디스플레이(132) 및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이때, 로딩되는 치아 데이터는 CT, 3D 스캐너, Intra oral 스캐너 등을 통해 수집되는 3D 스캔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1)는 로딩된 치아 데이터에서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을 분할하여 식별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1)는 굴곡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및 잇몸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1)는 특징점을 이용하여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및 잇몸을 반자동으로 검출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입력한 치관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및 잇몸을 수동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된 치관 및 잇몸을 통해 프로세서(131)는 로딩된 치아 데이터에서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을 분할하여 식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개별 치아들에 대한 치관 외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1)는 획득된 치관 외형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31)는 획득된 치관 외형 정보, 즉, 치관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에서 치관 중심 단면의 중점과 치관 최하방 단면의 중점을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프로세서(131)는 치관과 치근으로 형성되는 치아 외형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31)는 치관에 대한 3D 스캔 데이터 및 CT 추출 데이터 또는 치근 템플릿을 이용하여 치관 중심 단면의 중점과 치근 중심 단면의 중점을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된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치아 데이터에서 분할되어 식별된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해 치아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1)는 치아 위치 정보에 따라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치아 번호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부여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일부 개별 치아들에 대한 치아 번호가 입력되면, 치아 번호가 입력된 개별 치아들에 기초하여 나머지 개별 치아들의 치아 번호를 반자동으로 검출하여 부여할 수 있거나 모든 개별 치아들에 대해 치아 번호를 입력 받아 수동으로 검출하여 부여할 수 있다.
개별 치아들 각각은 외형이 다르므로 치아 번호가 구별되면 예상되는 치아 외형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31)는 치아 번호에 따라 예상되는 치아 외형을 통해 해당 개별 치아의 교합면, 근심면, 원심면, 협면 및 설면 등의 치관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1)는 이와 같이 획득된 개별 치아의 치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치관에 대한 축 정보(X, Y, Z 축)를 도출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1)는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외형 정보 및 치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디스플레이(132)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32)에 표시된 외형 박스는 치아 번호에 따른 치관 방향 정보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외형 박스는 교합면, 근심면, 원심면, 협면 및 설면과 관련된 치관 방향 정보가 적용되어 디스플레이(132)에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31)는 도 3과 같이 전치에 대응하는 개별 치아에 외형 박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31)는 해당 개별 치아의 치축을 기준으로 한 치관 외형에 축 정보(X, Y, Z 축)를 적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치관 외형의 원심면에서 근심면 방향이 X 축으로 설정되고, 설면에서 협면 방향이 Y 축으로 설정되며, 교합면에서 치근 방향이 Z 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1)는 치관 외형의 X, Y, Z 축의 최소 점 및 최대 점에 대응하는 면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해당 개별 치아의 외형 박스를 디스플레이(132)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외형 박스에서 교합면은 치관 외형에서 Z 축의 최소 점에 대응하는 면일 수 있다. 그리고, 근심면은 치관 외형에서 X 축의 최대 점에 대응하는 면이고, 원심면은 치관 외형에서 X 축의 최소 점에 대응하는 면일 수 있다. 또한, 협면은 치관 외형에서 Y 축의 최대 점에 대응하는 면이고, 설면은 치관 외형에서 Y 축의 최소 점에 대응하는 면일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3차원 축 정보는 시스템에 따라 변경 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32)에 표시된 외형 박스 내에 존재하는 치관에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컨택 정보는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근심면 및 원심면에 대한 인접 컨택 정보와 교합면에 대한 교합 컨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1)는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인접 컨택 정보 및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1)는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동일한 항목의 인접 컨택 정보를 표시하고,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아 번호에 따라 구분된 치아 종류 별로 서로 다른 항목의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환자의 치아는 치아 번호에 따라 전치, 측정치, 견치,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각각의 치아에 대해 근심 접촉 및 원심 접촉과 관련된 인접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132)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인접 컨택 정보는 근심 접촉과 원심 접촉에 대응하는 면, 선, 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프로세서(131)는 치아 번호에 따라 구분된 치아 종류 별로 서로 다른 항목의 교합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132)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31)는 전치에 대해서는 교합 접촉 및 설면 교합 접촉과 관련된 교합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13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1)는 측절치와 견치에 대해서는 교합 접촉과 관련된 교합 컨택 정보만을 디스플레이(132)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제1 소구치와 제2 소구치에 대해서는 협측 교합 접촉, 설측 교합 접촉 및 중심 접촉과 관련된 교합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132)에 표시할 수 있고, 제1 대구치와 제2 대구치에 대해서는 근심 협측 교합 접촉, 근심 설측 교합 접촉, 원심 협측 교합 접촉, 원심 설측 교합 접촉 및 중심 접촉과 관련된 교합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13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아 컨택 정보는 치관과 외형 박스의 면 정보를 이용한 접촉 점 또는 최소, 최대 거리 정보를 가지는 점을 계산함으로써 자동으로 검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치의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전치에 대해 근심 접촉 및 원심 접촉과 관련된 인접 컨택 정보와 교합 접촉 및 설측 교합 접촉과 관련된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근심 접촉은 외형 박스를 구성하는 근심면에 접촉한 치관 외형의 점(410)을 나타내고, 원심 접촉은 원심면에 접촉한 치관 외형의 점(420)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교합 접촉은 교합면에 접촉한 치관 외형의 점(430)을 나타내고, 설측 교합 접촉은 설면에 가장 가까운 치관 외형의 점(440)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일정 범위 내의 인접 컨택 정보 또는 교합 컨택 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접촉 점들이 다수인 경우, 다수의 접촉 점 중 중간에 위치한 점을 해당 전치의 인접 컨택 정보 또는 교합 컨택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치의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견치에 대해 근심 접촉 및 원심 접촉과 관련된 인접 컨택 정보와 교합 접촉과 관련된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근심 접촉은 외형 박스를 구성하는 근심면에 접촉한 치관 외형의 점(510)을 나타내고, 원심 접촉은 원심면에 접촉한 치관 외형의 점(520)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교합 접촉은 교합면에 접촉한 치관 외형의 점(530)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구치의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소구치에 대해 근심 접촉 및 원심 접촉과 관련된 인접 컨택 정보와 협측 교합 접촉, 설측 교합 접촉 및 중심 접촉과 관련된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근심 접촉은 외형 박스를 구성하는 근심면에 접촉한 치관 외형의 점(610)을 나타내고, 원심 접촉은 원심면에 접촉한 치관 외형의 점(620)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협측 교합 접촉은 협면과 교합면에 가장 가까운 치관 외형의 점(630)을 나타내고, 설측 교합 접촉은 설면과 교합면에 가장 가까운 치관 외형의 점(640)을 나타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심 접촉은 교합면과 대면한 치관 외형의 점 중에서, 협측 교합 접촉(630)과 설측 교합 접촉(640)을 연결한 치관 외형 선분으로부터 Z축 거리가 최대인 점 또는 교합면 중심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Z축 거리가 최대인 점이거나, 둘 중 Z축 거리가 큰 값(650)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교합면 중심의 소정 영역은 사용자 또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의 프로세서(131)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구치의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대구치에 대해 근심 접촉 및 원심 접촉과 관련된 인접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근심 협측 교합 접촉, 근심 설측 교합 접촉, 원심 협측 교합 접촉, 원심 설측 교합 접촉 및 중심 접촉과 관련된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근심 접촉은 외형 박스를 구성하는 근심면에 접촉한 치관 외형의 점(710)을 나타내고, 원심 접촉은 원심면에 접촉한 치관 외형의 점(720)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근심 협측 교합 접촉은 근심면, 협면, 교합면에 가장 가까운 치관 외형의 점(730)을 나타내고, 근심 설측 교합 접촉은 근심면, 설면, 교합면에 가장 가까운 치관 외형의 점(740)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원심 협측 교합 접촉은 원심면, 협면, 교합면에 가장 가까운 치관 외형의 점(750)을 나타내고, 원심 설측 교합 접촉은 원심면, 설면, 교합면에 가장 가까운 치관 외형의 점(760)을 나타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심 접촉은, 교합면과 대면한 치관 외형의 점 중에서, 원심 협측 교합 접촉(750)과 근심 설측 교합 접촉(740)을 연결한 치관 외형 선분으로부터 Z축 거리가 최대인 점, 근심 협측 교합 접촉(730)과 원심 설측 교합 접촉(760)을 연결한 치관 외형 선분으로부터 Z축 거리가 최대인 점 또는 교합면 중심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Z축 거리가 최대인 점이거나, 셋 중 Z축 거리가 큰 값(770)을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때 교합면 중심의 소정 영역은 사용자 또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의 프로세서(131)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컨택 정보 업데이트 과정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810)에서,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환자의 치관 외형 및 마모 상태에 이상인 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디스플레이(132)에 표시된 외형 박스에 대한 수정 명령을 수신하고, 단계(820)에서, 수신된 수정 명령에 따라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례로,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을 조정하는 수정 명령을 수신한 경우, 수신된 수정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을 조정함으로써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형 박스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동시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외형 박스를 변경하는 수정 명령을 수신한 경우, 수신된 수정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형 박스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동시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해 표시된 컨택 정보 중 특정 컨택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가이드 영역을 통해 특정 컨택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명령을 수신한 경우, 수신된 수정 명령에 기초하여 해당 특정 컨택 정보만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단계(830)에서,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업데이트된 컨택 정보를 변경된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사용자가 환자의 정상적인 치아 외형 상태 또는 주변 치아와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치관 외형 이상 및 마모 상태 이상이 발생하여 조정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수정 명령을 수신하여 외형 박스를 변경함으로써 모든 인접 컨택 정보 및 교합 컨택 정보를 일괄 수정 또는 부분 수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130)는 컨택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단축하고, 보다 정확하고 일정한 규칙의 치아 컨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가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하고,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시스템
110 : 제1 측정 장치
120 : 제2 측정 장치
130 :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Claims (15)

  1.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치아 데이터에서 분할된 복수의 개별 치아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형 박스에 대한 수정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수정 명령에 따라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컨택 정보를 상기 변경된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외형 박스는, 상기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 박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치관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상기 치관의 3차원 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 박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치관의 외형에 접촉되는 3차원 축의 최소 점 및 최대 점에 대응하는 면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개별 치아들 각각의 외형 박스를 표시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정보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근심면 및 원심면에 대한 인접 컨택 정보와 교합면에 대한 교합 컨택 정보
    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상기 인접 컨택 정보 및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외형 박스를 구성하는 근심면 또는 원심면에 접촉한 치관 외형의 점을 인접 컨택 정보로 표시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외형 박스를 구성하는 교합면에 접촉한 치관 외형의 점 또는 상기 교합면과 상기 외형 박스를 구성하는 근심면, 원심면, 협면 및 설면 중 적어도 일부에 가장 가까운 점을 교합 컨택 정보로 표시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7.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치아 데이터에서 분할된 복수의 개별 치아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외형 박스는, 상기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상기 컨택 정보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근심면 및 원심면에 대한 인접 컨택 정보와 교합면에 대한 교합 컨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상기 인접 컨택 정보 및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하되, 일정 범위 내에 상기 인접 컨택 정보 또는 교합 컨택 정보에 대응하는 점이 다수인 경우, 상기 일정 범위 내의 다수 점 중 중간점을 인접 컨택 정보 또는 교합 컨택 정보로 결정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을 조정하는 수정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수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형 박스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동시에 업데이트 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외형 박스를 변경하는 수정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수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형 박스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동시에 업데이트 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해 표시된 컨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택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12.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3.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치아 데이터에서 분할된 복수의 개별 치아들을 식별하며,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하고, 상기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컨택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형 박스에 대한 수정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수정 명령에 따라 변경된 외형 박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에 대한 컨택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컨택 정보를 상기 변경된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표시하며,
    상기 외형 박스는, 상기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축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관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상기 치관의 3차원 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치관을 둘러싸는 외형 박스를 표시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정보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근심면 및 원심면에 대한 인접 컨택 정보와 교합면에 대한 교합 컨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개별 치아들 각각의 치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형 박스가 표시된 치관에 상기 인접 컨택 정보 및 교합 컨택 정보를 표시하는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KR1020190102850A 2019-08-22 2019-08-22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292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850A KR102292188B1 (ko) 2019-08-22 2019-08-22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및 기록매체
PCT/KR2020/010307 WO2021033960A1 (ko) 2019-08-22 2020-08-05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850A KR102292188B1 (ko) 2019-08-22 2019-08-22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117A KR20210023117A (ko) 2021-03-04
KR102292188B1 true KR102292188B1 (ko) 2021-08-24

Family

ID=7465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850A KR102292188B1 (ko) 2019-08-22 2019-08-22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2188B1 (ko)
WO (1) WO202103396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89B1 (ko) * 2012-01-31 2013-01-03 김태원 치아 교정용 치아 스트리핑 제어 장치
KR101860878B1 (ko) * 2017-07-12 2018-05-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크라운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974636B1 (ko) 2018-04-18 2019-05-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8715B2 (en) * 2015-06-24 2018-10-16 Dental Imaging Technologies Corporation Generating a design for a dental restorative product from dental images
KR101960476B1 (ko) * 2017-04-28 2019-03-20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89B1 (ko) * 2012-01-31 2013-01-03 김태원 치아 교정용 치아 스트리핑 제어 장치
KR101860878B1 (ko) * 2017-07-12 2018-05-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크라운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974636B1 (ko) 2018-04-18 2019-05-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33960A1 (ko) 2021-02-25
KR20210023117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6258B (zh) 具有用于未长出或者长出中的牙齿的腔体的牙科矫正器
CN105596094B (zh) 正畸间接粘接转移托盘三维数字化模型的生成方法及装置
JP7186710B2 (ja) 修復物の構築方法
US9283061B2 (en) Method and analysis system for the geometrical analysis of scan data from oral structures
US67332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prescription for an orthodontic brace
US6632089B2 (en)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with user-specified simulation of tooth movement
KR102301769B1 (ko) 교정적 치아배열 형상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14561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20200170755A1 (en) Method of assisting orthodontics and orthodontics assisting system
KR102292188B1 (ko)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및 기록매체
KR20220109065A (ko) 크라운 자동 결정 방법 및 장치
US20230390027A1 (en) Auto-smile design setup systems
KR102039040B1 (ko) 치아 교합 단면영상 생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9601B1 (ko)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보철물 디자인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63640A (ko) 교정 치료를 위한 이상적인 악궁 라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363338B1 (ko) 치아 계측 정보 표시 방법, 치아 계측 정보 표시 장치 및 기록매체
KR20200083823A (ko) 교정 치아 형상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350098B1 (ko) 악궁라인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410408B1 (ko) 최적화된 어버트먼트를 제안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213097B1 (ko) 서지컬 가이드 결정 방법, 서지컬 가이드 결정 장치 및 기록매체
Park et al. Consideration of root position in virtual tooth setup for extraction treatment: A comparative study of simulated and actual treatment results
KR102506836B1 (ko) 치아 배열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602121B1 (ko)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KR20200005847A (ko) 치아 셋업 과정의 공간 확보 술식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EP4238531A1 (en) Method for optimizing archline and apparatus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