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053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053B1
KR102292053B1 KR1020200058437A KR20200058437A KR102292053B1 KR 102292053 B1 KR102292053 B1 KR 102292053B1 KR 1020200058437 A KR1020200058437 A KR 1020200058437A KR 20200058437 A KR20200058437 A KR 20200058437A KR 102292053 B1 KR102292053 B1 KR 102292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parent substrate
transmitter
display module
transmit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범
김상권
김태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8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053B1/ko
Priority to EP21167819.8A priority patent/EP3910616B1/en
Priority to US17/229,716 priority patent/US1154650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09F9/3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be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4Displays including an emergency or alarm me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021/9513Liquid crys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함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함체에 설치된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의 일단에 배치되고, 빛을 발생하는 트랜스미터, 제1 방향에서 상기 트랜스미터에 대향하게 상기 투명 기판의 타 단에 설치되며,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나온 빛을 수신하는 리시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리시버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투명 기판의 파손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함체의 파손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LCD나 OLED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산업 전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공장소나 상업 공간에서 문자E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광고판으로 이용되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로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 LCD나 LED등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영상장치의 급속한 발전으로 디지털 사이니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만, 장치가 사용되는 곳이 옥외이거나, 실내보다 좋지 않은 환경이다 보니, 가정용과는 다르게 특수한 설계가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옥외 등에 광고용을 설치되는데, 외부 환경에 노출되다 보니 항상 파손의 위험이 있고, 특히 함체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 기판이 파손된 경우에 광고 이미지를 위해 신속한 수리가 요구되나, 옥외에 설치되다 보니 유지 보수에 애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보관하는 함체, 특히 전면의 투명 기판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이를 즉시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체가 파손된 경우에 그 사실을 관리자가 즉시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자가 원격지에서도 함체의 파손 유무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함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함체에 설치된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의 일단에 배치되고, 빛을 발생하는 트랜스미터, 제1 방향에서 상기 트랜스미터에 대향하게 상기 투명 기판의 타 단에 설치되며,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나온 빛을 수신하는 리시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리시버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투명 기판의 파손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빛의 신호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투명 기판을 통과해 상기 리시버에서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를 통과해 상기 리시버에서 수신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투명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제1 반사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 필름은 적어도 상기 빛과 동일한 파장대의 빛을 반사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트랜스미터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의 성분 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 필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는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하고, 상기 복수 개의 리시버는 상기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가 모두 턴-오프 된 후 동시에 턴온되어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기적으로 상기 장치의 외관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기록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해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카메라를 동작 제어해서 현재의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푸쉬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의 통신 단말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타임 랩스로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더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는,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자의 통신 단말에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이미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전면 기판의 파손 유무를 손쉽게 파악할 수가 있고, 원격지에서도 파손 유무를 손쉽게 확인해 파손시 빠른 조치가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외관 모습을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전면 기판과 트랜스미터 그리고 리시버의 배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보여준다.
도 7 내지 도 10은 트랜스미터의 배치 및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이웃한 트랜스미터의 배치 간격이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스플레이 장치가 파손된 경우에, 관리자에게 이를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적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맞춰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은 선택에 따라 간략한 도시를 위해, 각 부의 구성이 도면에 따라 조금 다르게 표현될 수도 있으나, 동일한 도면 번호인 경우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모든 장치를 통칭한다. 대표적인 예로, 디지털 TV, 아날로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옥외 형 함체에 설치되는 사이니지와 같은 중형 내지 대형 출력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옥외 광고판 등을 예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본 발명은 특히 디지털 사이니지로 옥외에 설치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외관 모습을 보여주며,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로, 일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제어부(120), 이들을 실장하는 함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구비되고,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후면에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과 후면은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 방향으로 이미지가 표시되는 쪽을 전면, 전면의 다른 면을 후면이라 하였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어떠한 방식의 구조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유기 발광형 다이오드 (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방식 또는 마이크로 엘이디(Micro-LED)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방식을 전제로 설명한다. 다만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방식의 디스플레이에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 패널, 광학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순으로 장치의 두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될 수 있고, 이들은 케이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케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보호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을 확보한다. 또 케이스는 광원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받아 방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전면, 즉 디스플레이 패널은 함체(130)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 기판(131), 일 예로 글래스 기판의 후면과 일정 거리 뛰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글래스 기판(131)과 디스플레이 모듈(131) 사이에 방열을 위한 유로가 형성되어 장치의 전면을 방열할 수가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며, 전기적 신호는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부(120)는 회로 소자들이 회로 기판에 실장된 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구동 보드는 전원 공급을 위한 파워 서플라이 보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화소를 구동하는 디지털 신호를 공급하는 메인 보드나 티콘(T-con) 보드 등을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전면 기판(131)의 파손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해 관리자에게 파손 유무를 알리는 알림을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함체(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제어부(120) 등의 구성을 실장 및 지지할 수 있다. 함체(130)는 백커버(14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제어부(120)를 함체(130) 내부에 실장할 수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공간으로부터 장치 내부에 폐공간 형성을 위해 실링 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함체(130)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함체(130)는 캐비닛으로 기능해 디스플레이 모듈(110)이 함체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물일 수 있다.
전면 기판(131)은 함체(130)에 결합될 때 먼지나 수분이 투입되지 않도록 실링부재(미도시)가 전면 기판(131)과 함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 부재는 고무 재질로 만들어지는 가스켓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으로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후면과 마주하게 제1 방열판(210)이 배치된다. 제1 방열판(210)은 판재로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후면에서 일정 거리 떨어져 둘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채널이 만들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제1 방열판(210)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제1 채널(CH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제1 방열판(210) 사이에 만들어진 채널을 제1 채널이라 한다.
제1 방열판(210)의 일단(211)은 상부 함체(130a)에 체결되고, 타단(211)은 하부 함체(130b)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열판(210)과 함체(130a, 130b) 사이로는 실링부재(미도시)이 배치되어 장치 내부를 실링할 수 있다.
한편, 제1 방열판(210)과 디스플레이 모듈(110) 사이로는 간격을 유지하고 제1 채널(CH1)을 구획하기 위한 실링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310)는 장치의 높이 방향(장치의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z축 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에 모듈(110)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31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후면에서 제1 방열판(210)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고, 제1 채널(CH1)을 구획하는 제1 가스켓(311)과 제1 방열판(2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스켓에 삽입 결합되는 인서트(3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서트(312)는 제1 가스켓(311)에 마련된 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1 방열판(210)의 후면으로는 제1 방열판(210)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제1 방열판(210)의 후면에 고정된 제2 방열판(2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방열판(210)과 제2 방열판(220)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열판(210)과 제2 방열판(220) 사이에 만들어진 채널을 제2 채널(CH2)이라 한다.
제2 방열판(220)의 후면으로는 보드 형태로 구현된 제어부(120)가 배치된다. 제어부(120)는 기능적으로 분리되고 또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1 구동보드(120a)와 제2 구동보드(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구동보드(120a)는 파워 서플라이 보드이고, 제2 구동보드(120b)는 메인보드나 티콘 보드일 수 있다.
백커버(140)는 장치의 후면에서 함체에 결합된다. 백커버(140)와 제1 방열판(210) 사이에는 구동보드(120) 주변으로 밀폐된 설치 영역(MA)을 구획하는 브라켓(51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510)은 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제2 방열판(220)보다 바깥으로 위치한다. 브라켓(510)은 높이 방향으로 구동보드(120)보다 위쪽에 배치된 제1 브라켓(510a)과 구동보드(120)보다 아래에 배치된 제2 브라켓(510b)을 포함한다. 제1 브라켓(510a)과 제2 브라켓(510b)이 이처럼 구동보드(120)를 감싸도록 배치되므로 구동보드(120)는 밀폐된 설치 영역(MA)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보드(120)가 밀폐된 영역에 배치되면, 구동보드가 먼지나 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해 장치가 고장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510)과 백커버(140) 사이에는 제2 가스켓(411)이 더 배치되어 설치 영역(MA)을 밀폐시킨다.
한편, 백커버(140)는 장치의 후면에 결합될 때, 제2 가스켓(411) 주변을 따라 상기 제2 가스켓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볼트 체결을 위해, 브라켓(510)은 보스(7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볼트 또는 나사(711)가 상기 보스에 볼트 체결됨으로써 설치 영역이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보드(120)가 배치되는 설치 영역(MA)이 보다 기밀하게 실링될 수 있다.
제1 채널 및 제2 채널 각각에서 공기가 유로를 따라 흐를 수 있도록 각 구조물은 팬과 구멍을 포함해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채널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제1 유로라 하고, 제2 채널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제2 유로라 한다.
제1 유로는 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제1 방열판(210)의 선단 또는 후단 중 한 곳에서 제1 채널(CH1)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팬(F1)과, 나머지 한 곳으로 제1 채널(CH1)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구멍(141)을 포함해 형성될 수 있다.
백커버(140)는 제1 팬(F1)이 설치된 부분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제1 채널(CH1)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구멍(143)과, 제1 채널(CH1)에서 나온 열교환된 공기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3 구멍(141)을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구멍(143)은 장치의 높이 방향에서 백커버(140)의 하단에 설치되고, 제3 구멍(141)은 백커버(140)의 상단에 설치되 수 있다. 구멍의 형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단이 장치가 설치된 바닥이라고 하면 차가운 공기가 2 구멍(143)을 통해 유입되고 제1 채널(CH1)에서 열교환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가 제3 구멍(141)을 통해 장치의 위쪽으로 배출된다. 공기는 뜨거워지는 경우에 위쪽으로 움직이므로 이처럼 제1 구멍(143)을 바닥에 배치하면 공기를 순환시키기가 쉬운 장점이 있다.
제1 팬(F1)은 제2 구멍(143)에 마주하는 위치로 제1 방열판(210)에 설치된다. 즉 제1 팬(F1)은 방열판(210)의 하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방열판(210)의 후단으로는 제1 구멍(211)이 설치되는데, 백커버(140)에 마련된 제3 구멍(143)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팬(F1)이 제1 채널CH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동작되는 경우에, 백 커버(140)의 제2 구멍(143)을 통해서 공기가 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제1 채널(CH1)로 공급된다. 이후 제1 채널(CH1)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제1 구멍(211) 및 백커버(140)의 제3 구멍(141)을 통해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가 있다.
제2 유로는 제2 채널(CH2)과 폐쇠된 설치 영역(MA)을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으로, 장치의 높이 방향에서 제2 방열판(220)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된 제2 팬(F2)과, 나머지 한 곳에 형성되고 제2 채널(CH2)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4 구멍(151)을 포함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팬(F2)이 제2 방열판(22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제2 팬(F2)은 강제적으로 제2 채널(CH2)로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고, 제2 채널(CH2)을 따라 흐르던 공기는 제4 구멍(151)을 통해서 설치 영역(MA)으로 순환되어 제2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함체의 구성은 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고, 다양한 구조 및 형태의 함체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기판(131)의 파손을 디텍팅(detecting)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센서는 바람직한 예에서 특정 파장의 빛을 내는 트랜스미터(511)와 트랜스미터(511)에서 나온 빛을 수신하는 리시버(512)를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트랜스미터(511)는 전면 기판(131)의 측면에 배치될 수고 있고, 리시버(512)는 전면 기판(131)을 사이에 두고 상기 트랜스미터(511)에 대향하게 전면 판(131)의 다른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트랜스미터(511) 및 리시버(512)의 배치는 도면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장치의 높이 방향일 수 있으나, y축이 반드시 높이 방향일 필요는 없으나, 전면 기판(131)의 평면을 따르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는 전면 기판(131)과 트랜스미터(131) 그리고 리시버(512)의 배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보여준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일 예에서 전면 기판(131)은 유리 기판으로 z축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131)은 전면(131a)과 후면(131b), 그리고 2개의 측면(131c, 131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향을 말하고, 후면은 전면과 대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측면은 왼쪽의 제1 측면(131c)과 오른쪽의 제2 측면(131d)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131a)과 후면(131b) 사이의 간격은 전면 기판(131)의 두께일 수 있다.
일 예에서, 트랜스미터(151)는 전면 기판(131)의 제1 측면(131c)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리시버(512)는 제2 측면(131d)에 이웃하게 위치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서, 트랜스미터(151)는 전면기판(131)을 사이에 두고 리시버(513)와 마주하도록 배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미터(151)에서 나온 빛(901)은 전면 기판(131)의 제1 측면(131c)을 통해 전면 기판(131) 안으로 입사되고, 도면의 z축 방향(기판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제1 방향이라 함)을 따라 전면 기판(131)의 내부를 진행하고 제2 측면(131d)에서 빠져 나와 리시버(513)에서 수신될 수가 있다.
이때 빛(901)은 전면 기판(131)에 입사되는 각도를 조절해 줌으로써 전면 기판(131)으로 입사된 빛은 전반사 조건을 만족해 전면(131a)과 후면(131b)에서 각각 내부 쪽으로 전반사되어 전면 기판(131) 안쪽을 진행할 수가 있다.
한편, 일 예에서 트랜스미터(511)와 전면 기판(131)의 제1 측면(131c) 사이에는 편광필터(53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편광 필터(531)는 들어오는 빛에서 어느 한 방향의 편광 성분만 통과시키고 다른 성분은 흡수하거나 반사시켜 버린다.
편광 필터(531)가 트랜스미터(511)와 전면 기판(131)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트랜스미터(511)에서 전면 기판(131)을 향해 입사되는 빛 중에서 위 아래, 즉 전면 기판(131)의 두께 방향(도면의 y축 기준)으로 진동하는 편광 성분인 종파만을 전면 기판(131)으로 입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파가 전면 기판(131) 내부로 입사됨에 따라서 전면 기판(131)의 전면(131a)과 후면(131b)에서 각각 반사가 손쉽게 일어날 수가 있고, 결과적으로 도면의 z축 방향으로 빛의 손실을 줄이면서 진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전면 기판(131)을 진행하는 빛은 종파만 존재하고 횡파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에서 나오는 빛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해 수신율을 놀일 수가 있다.
도 4는 전면 기판(131)의 전면(131a)과 후면(131b) 중 적어도 한 곳에 반사 필름이 더 배치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중 (A)는 전면 기판(131)이 전면(131a)에 부착된 제1 반사 필름(701)을 포함해 구성되는 예를 보여주며, (B)는 후면(131b)에도 부착된 제2 반사 필름(703)을 포함해 구성되는 예를 보여준다.
반사 필름(701, 703)은 투명한 접착제를 통해서 전면 기판(131)에 부착될 수 있고, 라미네이팅 공정 등을 통해서 전면 기판(131)의 전면(131a)에 열 압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 반사 필름(701, 703)은 트랜스미터(511)가 만드는 빛과 동일한 파장 대의 빛 만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트랜스미터(511)가 만드는 빛과 동일한 파장 대의 빛을 포함하는 특정 밴드의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일 예에서, 트랜스미터(501)는 적외선(IR)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반사 팔름(701, 703)은 적외선의 파장대가 780(nm)~1,000(nm)라고 할 때, 동일한 파장대의 빛을 반사시키거나, 또는 780(nm)~1,000(nm)보다 큰 밴드폭을 갖는 빛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A)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에, 외부 빛으로 인해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처럼 일 예의 본 발명은 트랜스미터(511)에서 나온 빛은 투명 기판(131) 내부를 진행해 리시버(513)에 수신되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해서 투명 기판(131)에 파손이 생긴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만약 외부에서 장치 내부로 자연광 또는 조명에서 만들어진 빛이 유입되는 경우에, 그 빛은 전면 기판(131)을 투과하면서 트랜스미터(511)에서 나온 빛과 혼합되면서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다.
그러나, 투명 기판(131)이 제1 반사 필름(701)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1 반사 필름(701)이 투명 기판(131)의 전면(131)에 부착되므로 외부에서 내부로 입사되는 빛 중 적어도 투명 기판(131)을 진행하는 빛과 동일한 빛은 투명 기판(131) 내부로 입사되지 못하고 전면에서 밖으로 반사될 수가 있다. 따라서, 리시버(513)의 수신율을 높여 전면 기판(131)의 파손 유무를 보다 정확히 알 수가 있다.
도 4의 (B)에 따르면 전만 기판(131)은 전면(131a)에 부착된 제1 반사 필름(701)과 후면(131b)에 부착된 제2 반사 필름(70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추가로 전면 기판(131) 내부를 진행하는 빛은 제1 반사 필름(701)과 제2 반사 필름(703)에 의해 내부에 갖힌 채로 전파될 수가 있다. 즉, 빛은 전면 기판(131)의 전면(131a)과 후면(131b)과 부딪히면서 내부로 반사되면서 리시버(513)으로 진행한다. 이때, 일 부 빛은 경계면(전면 또는 후면)에서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전면 기판(131) 밖으로 소실될 수가 있다.
허나, 도 4의 (B)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경계면에서 빛은 제1 또는 제1 반사 필름(701, 703)에 의해 반사 기판(131)의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내부로 반사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빛의 소실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5는 제2 반사 필름(703)이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전면에 부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전면 기판(131)은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일정 거리 떨어져 공기가 순환하는 채널(ch)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전면 기판(131)과 디스플레이 모듈(110) 사이의 채널로는 찬공기가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방열할 수가 있다.
이 예에서, 트랜스미터(511)와 리시버(513)는 각각 전면 기판(131)의 제1 측면(131c)과 제2 측면(131d)에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ch)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르면, 트랜스미터(511)에서 나온 빛은 전면 기판(131)의 전면에 부착된 제1 반사 필름(701)과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전면에 부착된 제2 반사 필름(703) 사이에 구속된 채 리시버(513)를 향해 진행될 수가 있는데, 빛은 전면 기판(131) 후면(131b) 또는 제1 반사 필름(701)을 경계면으로 후면을 향해 반사될 수 있고, 또한 제2 반사 필름(703)에서 전면을 향해 반사되면서 리시버(513)를 향해 진행될 수가 있다.
다만,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빛은 전면 기판(131) 뿐만 아니라 채널(ch) 역시도 매질로 리시버를 향해 전파된다. 따라서 빛은 성질이 다른 두 종류의 매질을 투과해야 하기 때문에 소실될 우려가 있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전면 기판(131)과 디스플레이 모듈(110)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전면 기판(131)과 바로 밀착될 수도 있다.
이 같은 예가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전면, 즉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기판(131)의 후면(131b)에 접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전면 기판의 접합은 알려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투명한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일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글래스 기판에 접합시킴으로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가 있다.
트랜스미터(511)는 전면 기판(131)의 제1 측면(131c)에 대향하게 위치하고, 리시버(513)는 제2 측면(131d)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르면, 빛은 전면 기판(131)에 구속된 채 진행되므로, 수신율을 높여 전면 기판(131)의 파손 유무를 보다 정확히 알 수가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트랜스미터의 배치 및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트랜스미터(Tx1~Tx6)는 도면의 y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트랜스미터는 특정 파장의 빛을 내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도 8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는 일정 범위의 지향각을 갖도록 빛이 출사된다. 여기서 지향각이라 함은 빛이 출사되는 각도를 말한다.
트랜스미터(Tx1~Tx6)는 지향각을 고려해 복수의 트랜스미터가 출사한 빛이 전면 기판(131)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전면 기판(131)의 표면 90(%) 이상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Tx1~Tx6)는 이웃한 것과 일정한 거리가 떨어지도록 배치되고,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Tx1~Tx6) 각각과 마주하게 복수 개의 리시버(Rx1~Rx6) 또한 반대편에 배치된다.
도 9에서 예시하는 바처럼,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Tx1~Tx6)는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9는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Tx1~Tx6)를 순차적으로 점멸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 타이밍도에 따르면, 제1 시간(t1)부터 제6 시간(t6)동안 제1 내지 제6 트랜스미터((Tx1~Tx6)가 순차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제1 신호(S1)는 제1 시간(t1)동안 제1 트랜스미터(Tx1)를 점멸시키고, 제2 신호(S2)는 제2 시간(t2)동안 제2 트랜스미터(Tx2)를 점멸시키고, 제3 신호(S3)는 제3 시간(t3)동안 제3 트랜스미터(Tx3)를 점멸시키고, 제4 신호(S4)는 제4 시간(t4)동안 제4 트랜스미터(Tx4)를, 제5 신호(S5)는 제5 시간(t5)동안 제5 트랜스미터(Tx5)를, 제6 신호(S6)는 제6 시간(t6)동안 제6 트랜스미터(Tx6)를 점멸시칸다.
이에 반해서 복수 개의 리시버(Rx1~Rx6) 모두는 제7 신호(S7)에 따라 제7 시간(t7)동안 켜져 빛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7 시간은 제1 내지 제6 시간을 합한 시간이므로, 결과적으로 복수 개의 리시버(Rx1~Rx6)가 순차적으로 턴온/오프되는 동안 턴온 상태를 유지해 누적된 신호(빛)를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한편, 도 10은 복수 개의 리시버(Rx1~Rx6)가 제 7시간동안 턴온 상태를 유지해 수신한 빛의 누적된 세기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도 10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일 예에서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Tx1~Tx6) 각각에 마주하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리시버((Rx1~Rx6)는 빛을 수신해 데이터로 기록한다. 만약, 전면 기판(131)의 특정 위치에 파손된 부분(도 8의 CK)이 존재한다면, 특정 트랜스미터의 신호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게 될 것이다. 일 예로, 도면에서는 도면의 z축 방향으로 제3 리시버(Rx3)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손 부위(CK), 일 예로 크랙이 발생한 것을 예시한다.
제3 리시버(Rx3)는 전면 기판(131)이 파손되기 전까지는 오차 범위 내에서 정상적인 신호를 수신하나, 파손이 발생된 후에는 이상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이상 신호라 함은 파손되기 전의 참조 신호와 비교해서 임계값(threshold value) 이상으로 급격하게 변동된 신호를 말한다.
참조신호는 또한 일정 시간 동안의 누적된 신호를 교정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일정 시간동안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각 리시버의 디폴트(default) 값은 오차 범위 내에서 수정되고, 수정된 디폴트 값이 참조 신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 중 이웃하고 있는 제1 및 제2 트랜스미터가 제1 간격으로 배치된 제1 그룹과 상기 제1 간격과 다른 제2 간격으로 배치된 제2 그룹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예를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트랜스미터(Tx1)와 제2 트랜스미터(Tx2), 그리고 제5 트랜스미터(Tx5) 및 제6 트랜스미터(Tx6)는 이웃한 것과 제2 거리(d2)만큼 떨어져 배치되고, 제2 및 제3 트랜스미터(Tx2, Tx3), 제3 및 제4 트랜스미터(Tx3, Tx4), 제4 및 제5 트랜스미터(Tx4, Tx5)는 각각 이웃한 것과 제1 거리(d1) 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같은 배치에 따르면, 전면 기판(131)의 가운데 부분이 바깥 부분보다 트랜스미터가 더 조밀하게 배치되어 가운데 부분의 파손 유무를 바깥 부분보다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도 12는 다스플레이 장치가 파손된 경우에, 관리자에게 이를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리자의 통신 단말(1000)은 네트워크(20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1000)은 관리자가 사용하는 휴대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 일 예로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 탑 PC,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단말(1000)은 관리용 앱(app)(1001)을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관리용 앱(1001)은 관리자의 통신 단말(1000)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일 예로, 관리용 앱(app)(10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저장 공간에 접근해 기록된 이미지를 관리자가 보거나,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관리용 앱(10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파손된 경우, 푸쉬 메시지(push Message)를 표시해 관리자에게 파손된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기/비주기적으로 장치의 전면 이미지를 저장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관리자에게 그 사실을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3에서 예시하는 기능적 블록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술한 제어부(120) 외에 알림 제공부(121)와 센서부(123) 그리고, 카메라(30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림 제공부(121)는 센서부(123)의 동작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그 사실을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이 알림은 푸쉬 메시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부(123)는 충격 센서, 근접 센서, 동작 센서와 같이 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3000)는 장치의 외부에 설치되어 장치의 전면 모습을 촬영한다. 촬영된 이미지는 저장부(125)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각 부를 제어해서 장치의 외관을 촬영하고, 저장부에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이벤트에 따라 알림을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도 14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옥외 등에 설치되고, 카메라(3000)는 적어도 장치의 전면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장치(100)와 떨어져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3000)는 제어부(120)의 동작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모습을 촬영한다.
일 예에서, 제어부(120)는 이벤트와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모습을 촬영하도록 카메라(30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장치의 동작과 상관없이 주기적으로, 일 예로 매 10분다마 카메라(3000)를 동작 제어해 10분 단위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저장부(125)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저장부(125)의 저장 공간을 고려해 사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부(125)의 저장 공간을 고려해 사진이나, 동영상일 수 있다.
저장부(125)는 저장된 이미지를 할당된 영역에 보관하며, 저장 공간을 고려해 저장 공간이 모자라는 경우에 오래된 이미지부터 삭제하고, 새롭게 획득한 이미지를 저장공간에 기록할 수 있다.
도 15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맞춰 이미지를 획득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제1 단계(S11)에서 카메라(3000)의 동작을 제어해 주기적으로 장치의 외관, 특히 전면 기판(131)이 보이도록 영상을 촬영하고 획득한 이미지를 저장부(125)에 저장한다.
제2 단계(S12)에서, 제어부(120)는 센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이벤트는 오브젝트의 접근, 충격 감지, 장치의 동작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근접 센서는 사람, 물건, 자동차 등의 오브젝트가 장치를 향해 접근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20)에 입력한다. 충격 센서는 장치에 임계값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그 사실을 제어부(120)에 입력한다. 동작 센서는 장치가 턴온되고 턴오프될 때 마다 신호를 발생해 제어부(120)에 입력한다.
제어부(120)는 제2 단계(S12)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1 단계(S11)로 복귀해서 주기적으로 영상을 저장부(125)에 저장하고, 만약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제3 단계(S13)를 진행한다.
제3 단계(S13)에서 제어부(120)는 카메라(3000)를 동작 제어해서 제1 단계에서 획득한 이미지와 무관하게 현재의 이미지를 획득해 저장부(125)에 저장하는 한편 이벤트 전후로 타임 랩스(time lapse)로 기록된 동영상 또한 저장부9125)에 기록한다. 여기서 타임 랩스로 기록된 동영상이라 함은 시간의 순서에 따라 동영상을 기록하고 먼저 기록된 동영상 중 이벤트가 없는 부분은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삭제하는 녹화 방식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을 말한다.
제3 단계(S13)에서 동영상을 저장부에 기록한 다음, 제어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관리자의 통신 단말에 푸쉬 메시지를 전송해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이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을 수신한 관리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에 접근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요청에 따라서 관리자의 통신 단말에 저장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관리자는 실 시간으로 장치가 파손되었는지를 영상을 통해서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원격지에서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고, 그에 따라 후속 조치를 취할 수가 있다.

Claims (13)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함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함체에 설치된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제1 반사필름;
    상기 투명 기판의 일단에 배치되고, 빛을 발생하는 트랜스미터;
    제1 방향에서 상기 트랜스미터에 대향하게 상기 투명 기판의 타 단에 설치되며,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나온 빛을 수신하는 리시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리시버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투명 기판의 파손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빛의 신호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투명 기판을 통과해 상기 리시버에서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를 통과해 상기 리시버에서 수신되고,
    상기 제1 반사 필름은 적어도 상기 빛과 동일한 파장대의 빛을 반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의 후면에 부착된 제2 반사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 필름은 적어도 상기 빛과 동일한 파장대의 빛을 반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부착된 제2 반사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 필름은 적어도 상기 빛과 동일한 파장대의 빛을 반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터는 소정의 지향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이고, 상기 투명 기판 표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리시버는 상기 전면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 각각에 대향하도록 상기 트랜스미터와 동일한 복수 개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는 이웃한 제1 및 제2 트랜스미터가 제1 간격으로 배치된 제1 그룹과 상기 제1 간격과 다른 제2 간격으로 배치된 제2 그룹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터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의 성분 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 필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는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하고, 상기 복수 개의 리시버는 상기 복수 개의 트랜스미터가 모두 턴-오프 된 후 동시에 턴온되어 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상기 장치의 외관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기록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해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카메라를 동작 제어해서 현재의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푸쉬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의 통신 단말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타임 랩스로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더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자의 통신 단말에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58437A 2020-05-15 2020-05-15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2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437A KR102292053B1 (ko) 2020-05-15 2020-05-15 디스플레이 장치
EP21167819.8A EP3910616B1 (en) 2020-05-15 2021-04-12 Display apparatus
US17/229,716 US11546500B2 (en) 2020-05-15 2021-04-13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damage to a housing accommodating a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437A KR102292053B1 (ko) 2020-05-15 2020-05-15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053B1 true KR102292053B1 (ko) 2021-08-23

Family

ID=7547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437A KR102292053B1 (ko) 2020-05-15 2020-05-1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46500B2 (ko)
EP (1) EP3910616B1 (ko)
KR (1) KR1022920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2070A (ja) * 1998-06-11 1999-12-24 Masami Nishiko 表面検査方式
KR20080057270A (ko) * 2005-10-14 2008-06-24 캠브리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JP4243500B2 (ja) * 2003-03-12 2009-03-25 日本Cmo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欠陥検査システム
KR20160032004A (ko) * 2013-04-23 2016-03-23 카나리 컨넥트 인코퍼레이티드 보안 및/또는 감시 장치 및 시스템
KR101748029B1 (ko) * 2015-07-20 2017-06-16 주식회사 야스 유리기판 파손 검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733B2 (ja) * 1995-03-24 2000-04-2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体の欠陥検出装置
TW472276B (en) * 2000-12-19 2002-01-11 Acer Display Tech Inc Plasma display
KR20080019395A (ko) * 2006-08-28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디스플레이용 이물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2070A (ja) * 1998-06-11 1999-12-24 Masami Nishiko 表面検査方式
JP4243500B2 (ja) * 2003-03-12 2009-03-25 日本Cmo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欠陥検査システム
KR20080057270A (ko) * 2005-10-14 2008-06-24 캠브리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32004A (ko) * 2013-04-23 2016-03-23 카나리 컨넥트 인코퍼레이티드 보안 및/또는 감시 장치 및 시스템
KR101748029B1 (ko) * 2015-07-20 2017-06-16 주식회사 야스 유리기판 파손 검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0616A1 (en) 2021-11-17
US11546500B2 (en) 2023-01-03
EP3910616B1 (en) 2023-08-30
US20210360143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81151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30278868A1 (en) Optically Isolated Cavity For Light Sensor Feedback in LCD
US10375840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JP2000089364A (ja) 光変調装置およびこの光変調装置を利用した投写型表示装置
US20120268656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2012185242A (ja) 液晶表示装置
US20120293715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070300091A1 (en) Computer system and optical pointing device having security function, and security method thereof
JP4033210B2 (ja) 光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US20120293728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20287352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CN111026600B (zh) 显示设备
US20120281148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22920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730408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21023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858009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CN209356835U (zh) 电子设备
CN100460997C (zh) 投影机
US10911741B2 (en) Device for communication, method of operating such device
CN210924625U (zh) 一种基于彩色图像的跨网络物理隔离数据传输装置
US9784906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201601293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654636B2 (ja) 電子機器搭載用プロジェクタ装置
JP2020074283A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