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871B1 - 피팅용 페럴 조립체 - Google Patents

피팅용 페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871B1
KR102291871B1 KR1020190129878A KR20190129878A KR102291871B1 KR 102291871 B1 KR102291871 B1 KR 102291871B1 KR 1020190129878 A KR1020190129878 A KR 1020190129878A KR 20190129878 A KR20190129878 A KR 20190129878A KR 102291871 B1 KR102291871 B1 KR 10229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pipe
outer periphery
nut
inn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307A (ko
Inventor
유학현
오문영
Original Assignee
유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학현 filed Critical 유학현
Priority to KR1020190129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87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팅용 페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팅용 페럴 조립체는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중공체 형상으로, 내부 공간부에는 파이프의 일단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와 파이프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와 파이프를 체결하는 너트와, 상기 바디의 외주연과 너트의 내주연 사이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와 너트가 서로 나사결합됨에 따라 소정크기로 압착되는 페럴을 포함하되, 상기 페럴은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중공체 형상이며, 상기 페럴의 외주연 및 내주연은, 파이프와 접촉되는 전단보다 바디와 접촉되는 후단측 직경이 더 크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파이프가 안정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파이프의 내부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팅용 페럴 조립체 {FERRULE ASSEMBLY FOR FITTING}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하는 파이프를 피팅하기 위한 피팅용 페럴 조립체인 것으로, 유체의 이송을 위해 파이프를 서로 이어줌으로써 파이프의 내부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피팅용 페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시공 조건 및 현장의 환경에 따라 엘보 등과 같은 간단한 연결 부품이나 피팅(fitting)장치를 이용하여 2개 또는 그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10-1633947호에 의하면, 상기 종래기술은 도관 피팅용 서브조립체에 있어서, 제1 도관 파지 장치 및 제2 도관 파지 장치로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그 후방부에 캠밍면(camming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 및 제2 도관 파지 장치가 풀 업(pull-up) 중에 축방향으로 함께 이동될 때 상기 캠밍면에 접촉하는 절두 원추형 접촉면을 그 전방부에 포함하는 것인 제1 도관 파지 장치 및 제2 도관 파지 장치와,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일부인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일부인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보유구조체로서, 상기 보유 구조체가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 및 제2 도관 파지 장치를 별개의 서브조립체로서 함께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피팅장치는, 너트와 바디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이프가 바디측으로 더 인입되어지므로 상기 파이프가 바디의 정 위치에 체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피팅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끝단부가 확관된 배관을 사용하여야하나, 이러한 확관공정을 거쳐 제조된 배관은 일반적인 배관에 비해 제작비용이 많이들어 제품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33947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페럴의 외주연 및 내주연은, 파이프와 접촉되는 단부보다 바디와 접촉되는 단부측 직경이 더 크게 마련되어, 상기 너트와 바디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파이프가 바디측으로 인입되지 않으므로 상기 파이프가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피팅용 페럴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피팅용 페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팅용 페럴 조립체는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중공체 형상으로, 내부 공간부에는 파이프의 일단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와 파이프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와 파이프를 체결하는 너트와, 상기 바디의 외주연과 너트의 내주연 사이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와 너트가 서로 나사결합됨에 따라 소정크기로 압착되는 페럴을 포함하되, 상기 페럴은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중공체 형상이며, 상기 페럴의 외주연 및 내주연은, 파이프와 접촉되는 전단보다 바디와 접촉되는 후단측 직경이 더 크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럴은, 외주연의 직경이 동일하고, 내주연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제1구간, 상기 제1구간의 전단에 연장 형성되며 외주연 및 내주연이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제2구간, 상기 제2구간의 전단에 연장 형상되며, 외주연의 직경이 동일하고, 내주연에는 페럴홈이 형성되는 제3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럴은 상기 바디의 전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내주연에는 추가로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일부구간이 바디 내부로 인입되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후단에는 연결부재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의 내주연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연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연결부재의 내주연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연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부에 내입된 파이프가 상기 연결부재의 전단에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팅용 페럴 조립체는 추가페럴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페럴의 전방에는 추가페럴이 장착되되, 상기 추가페럴은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럴홈 또는 상기 페럴의 전방에는 씰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가페럴의 전방에는 씰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외주연과 너트의 내주연 사이공간 및 상기 파이프의 외주연과 너트의 내주연 사이공간에는 씰링이 장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팅용 페럴 조립체는 후단이 외측방향으로 플레어링(flaring)된 원통형상의 중공체인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단측 외주연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단측에 고정결합되며, 전단에 상기 페럴이 일체로 연장형성된 제1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이프가 안정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파이프의 내부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럴의 외주연 및 내주연은, 파이프와 접촉되는 단부보다 바디와 접촉되는 단부측 직경이 더 크게 마련되므로, 파이프의 끝단부가 확관되어있지 않아도 바디와 안정적으로 체결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상기 너트와 바디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파이프가 바디측으로 인입되지 않기때문에 상기 파이프가 정위치에 고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페럴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추가페럴이 파이프에 장착됨에 따라 파이프는 보다 넓은 면적을 지지받게되어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강한 내구성을 가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씰링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페럴의 내주연에 형성된 페럴홈 또는 페럴의 전단에 씰링이 장착되어, 파이프 내부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피팅용 페럴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A의 확대도(페럴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는 본 발명에 따른 제8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9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피팅용 페럴 조립체(1000)는 유체가 유동하는 파이프(P)에 연결되어, 파이프(P)를 서로 이어줌으로써 파이프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피팅용 페럴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팅용 페럴 조립체(1000)는, 바디(100), 페럴(200), 너트(300)를 포함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도1을 기준으로 상기 피팅용 페럴 조립체의 우측인 너트(300)가 결합된 방향을 전방, 좌측인 바디(100)가 결합된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먼저, 상기 바디(100)는,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중공체 형상으로, 상기 바디에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는 파이프(P)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바디(100)의 외주연 일부구간에는 너트(300)와의 체결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의 외주연 중앙측 일부구간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수직단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바디(100)의 전방측 끝단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제1경사면(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100)는 자립형 구성요소이거나 또는 복수 개의 구성요소들과 조립된 조립체일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바디(100)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마련되어질수 있으며, 상기 바디와 대응되는 너트(300) 또한 상기 바디와 대응되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페럴(200)은, 상기 바디(100)와 후술할 너트(30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와 너트의 결합을 공고히 함으로써 유체의 기밀을 향상시키는 요소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럴(200)은, 바디(100)의 전단과 파이프(P)의 후단 사이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100)와 너트(300)가 각각 바디의 외주연과 너트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면을 따라 서로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바디(100) 제1경사면(120)과 너트(300)의 제2경사면(320)에 유도되어 압착되어진다.
상기 페럴(200)의 외주연 및 내주연은, 파이프와 접촉되는 전단보다, 바디(100)와 접촉되는 후단측 직경이 더 크게 마련된다.(이때, 페럴의 상기 파이프와 접촉되는 전단이란, 너트와 바디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페럴이 압착되는 일단을 일컫는다.)
더욱 상세하게,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럴(200)의 외주연은, 외주연의 직경이 동일한 제1구간(202), 상기 제1구간(202)의 전방에 연장형성되며 외주연이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제2구간(204), 상기 제2구간(204)의 전방에 연장형성되며 외주연의 직경이 동일한 제3구간(206)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구간(202)은 제3구간(206)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페럴(200)의 후방측 내주연에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테이퍼면(220)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테이퍼면(220)은, 상기 바디(100)의 제1경사면(120)과 대응되는 기울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구간(202)의 내주연에 테이퍼면(220)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이는 실시례에 불과하며, 상기 테이퍼면(220)은 상기 제1구간(202) 및 제2구간(204)에 걸친 내주연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구간(204) 및 제3구간(206)의 내주연에는 페럴홈(240)이 형성된다.
상기 페럴홈(240)의 수직단면은 중앙부가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삼각형상인 것으로, 상기 중앙부와 대응되는 제3구간(206)의 일부구간은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게되므로, 상기 바디와 너트가 서로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구간(206)은 압착되어진다.
본 발명에서의 페럴(200)은 외주연 및 내주연의 직경이 파이프(P)와 접촉되는 전단보다 바디(100)와 접촉되는 후단이 더 크게 마련되므로, 파이프의 끝단부가 확관되어있지 않아도 무방하고, 상기 너트와 바디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파이프가 바디측으로 인입되지 않기때문에 상기 파이프가 정위치에 고정된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상기 너트(300)는, 상기 바디(100)를 파이프(P)에 체결하기 위한 요소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300)는 시중에 널리 유통되고있는 일반적인 너트이며, 상기 너트의 전방측 내주연에는 제2경사면(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경사면(320)은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은 기울기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너트(300)가 바디(100)와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너트의 제2경사면에 상기 페럴이 접촉되어 압착되도록 마련된다.
작업자는 상기 파이프(P)에 너트(300), 페럴(200)을 끼우고, 상기 바디(100)와 너트(300)를 나사체결하여 상기 파이프(P)가 바디(100)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바디(100)의 전단은 상기 파이프의 후단과 접촉된 상태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활용한 다른 실시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례로서, 상기 페럴(200)은 제3구간(206)이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페럴과 파이프(P)가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게되, 상기 페럴이 상기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된다.
그리고 이 때, 상기 너트(300)의 제2경사면(320)은 상기 페럴(200)의 제3구간(206)의 외주연과 대응되도록 비교적 기울기가 완만하고 경사면적이 넓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제1실시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럴(200)의 특정구간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되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너트(300)의 제2경사면(320) 형상도 달리되어질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례로서, 상기 페럴(200)은 바디(100)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는, 상기 바디(100)의 제1경사면(120)과 상기 페럴(200)의 테이퍼면(220)이 일체로 결합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아울러, 이 경우 상기 바디(100)의 내주연에는 추가로 단턱(140)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P)의 후단측 일부구간이 바디(100)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단턱(140)에 접촉된 상태에서 너트(300)가 상기 바디(1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파이프는 더욱 안정적으로 바디에 체결되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례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2실시례에 추가페럴(400)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실시되어질 수도 있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와 페럴(200)이 일체로 마련되되, 상기 페럴(200)의 전단에는 상기 추가페럴(400)이 별도 배치되게 마련되어진다.
상기 추가페럴(400)은 상기 페럴(2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실시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구간의 길이가 가감되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너트(300)의 제2경사면(320)은 상기 추가페럴(400)의 외주연과 대응되어 기울기가 완만하고 경사면적이 넓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추가페럴(400)은 파이프를 지지하고, 상기 파이프와 몸체의 체결을 더욱 공고히 하는 효과를 가지며, 상기 추가페럴(40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바디(100)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바디가 연결부재(102)와 나사결합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 도시된 바디와, 도6에 도시된 바디는 그 형상이 서로 상이하므로,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도6에 도시된 바디를 제1몸체(104)라 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례로서, 제1몸체(104)의 후단에는 연결부재(102)가 나사결합되어있으며, 상기 제1몸체(104)의 전단에는 페럴(200)이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덧붙여, 상기 파이프(P)의 외주연은 상기 제1몸체(104)의 내주연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연결부재(102)의 내주연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바디(100)의 내부 공간부에 내입된 파이프가 상기 연결부재의 전단에 접촉되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300)의 내주연은 상기 제1몸체(104)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320)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덧붙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례로써, 상기 페럴(220)의 페럴홈(240)에는 씰링(500)이 추가로 장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씰링(500)은, 오링과 같은 링형상의 밀폐수단으로, 상기 몸체와 파이프가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이며, 수직단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져도 무방하다.
아울러,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례로써, 상기 씰링(500)은, 상기 페럴의 전단에 배치되어질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너트(300)의 내주연에는 상기 씰링(500)이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씰링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 경우 상기 씰링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9106511110-pat00001
'형상으로, 외주연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씰링이 상기 너트(300)의 내주연에 장착되었을 때, 쉽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7실시례로써, 본 발명은 제5실시례에 추가패널(4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4)의 후단에는 연결부재(102)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전단에는 페럴(200)이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페럴(200)의 전단에는 추가페럴(400)이 배치된다.
상기 추가페럴(400)이 파이프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는 보다 넓은 면적을 지지받게되고, 이에 따라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강한 내구성을 가지는 효과를 가진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가페럴(400)은 링형상이되, 수직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연 중앙부에 수직단면이 삼각형상인 페럴홈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추가페럴(400)과 대응되는 너트(300)의 내주연(제2경사면)에도 상기 추가페럴(40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이 경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 개의 씰링(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제8실시례는, 상기 제7의 실시례에 세 개의 씰링(500)이 더 추가된 경우이다.
상기 제8실시례에서의 씰링(500)은 제1씰링(520), 제2씰링(540), 제3씰링(560)을 포함한다.
먼저, 제1씰링(520)은, 제1몸체(104)의 외주연과 너트(300)의 후단측 내주연 사이공간에 개재되며, 제2씰링(540)은, 파이프(P)의 외주연과 제1몸체(104)에 형성된 페럴홈(240)의 사이공간에 개재되고, 제3씰링(560)은, 추가페럴의 전방에 배치되며, 파이프의 외주연과 너트(300)의 내주연 전단측에 형성된 홈 사이공간에 개재되는 요소이다.
즉, 상기 제2씰링(540)은, 상기 연결부재와 파이프를 통해 누수될 수 있는 유체를 1차 수밀하는 요소이고, 상기 제1씰링(520) 및 제3씰링(560)은, 너트의 후단을 통해 누수되거나, 너트의 전단을 통해 누수될 수 있는 유체를 각각 2차 수밀하는 요소이다.
상기 제3씰링(560)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9106511110-pat00002
'형상으로, 외주연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300)의 내주연에 장착되었을 때, 쉽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너트의 내주연 전단측에는 상기 제3씰링(560)의 외주연과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3씰링(560)이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이하에서는 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실시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9실시례에 따른 본 발명은, 제1부재(104a)와 제2부재(104b)를 포함하는 제1몸체(104), 상기 제2부재(104b)의 전단에 나사결합되는 연결부재(102), 상기 제1부재(104a)의 내주연에 용접고정되는 가이드부재(106), 상기 제1부재(104a)의 외주연에 나사결합되는 너트(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재(104a)와 제2부재(104b)는 도6에 도시된 제4실시례에 도시된 제1몸체(104)를 길이방향으로 분할한 것으로, 상기 제1부재(104a)는 제1몸체(104)의 전단측 요소이고, 제2부재(104b)는 제1몸체(104)의 후단측 요소이다.
이 때, 상기 제1부재의 전단에는 페럴(200)이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부재의 후단측 내주연에는 가이드부재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되어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06)는, 후단이 외측방향으로 확관되어 플레어링(flaring)된 원통형상의 중공체이며, 상기 가이드부재(106)의 확관부(107)는 상기 제1부재(104a)의 후측방향으로 돌출되어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06)의 후단측 외주연에는 제2부재(104b)가 결합되되, 상기 제2부재(104b)는 상기 확관부(107)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확관부(107)와 대응되는 상기 제2부재(104b)의 내주연에는 경사면(부호미표시)이 형성되어 상기 제2부재(104b)가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정적으로 밀착 결합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부재(104b)의 내주연에 나사결합되는 연결부재(102)의 전단도 상기 확관부(107)와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관부(107)에 밀착 결합되도록 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가이드부재(106)의 외주연에 장착된 제2부재(104b)에 연결부재(102)를 체결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06)의 외주연에 고정결합된 제1부재(104a)의 내부에 파이프를 일단을 인입한 뒤, 상기 제1부재(104a)에 너트(300)를 체결하여 제1부재에 일체형성된 페럴을 압착시킴으로써 상기 제1몸체(104)와 파이프(P)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추가페럴 및 씰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피팅용 페럴 조립체
100:바디
102:연결부재
104:제1몸체
104a:제1부재
104b:제2부재
106:가이드부재
107:확관부
120:제1경사면
140:단턱
200:페럴
202:제1구간
204:제2구간
206:제3구간
220:테이퍼면
240:페럴홈
300:너트
320:제2경사면
400:추가페럴
500:씰링
520:제1씰링
540:제2씰링
560:제3씰링

Claims (10)

  1.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중공체 형상으로, 내부 공간부에는 파이프의 일단이 수용되는 바디;
    상기 바디와 파이프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와 파이프를 체결하는 너트;
    상기 바디의 외주연과 너트의 내주연 사이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와 너트가 서로 나사결합됨에 따라 소정크기로 압착되는 페럴;을 포함하되,
    상기 페럴은,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중공체 형상이며, 상기 페럴의 외주연 및 내주연은 파이프와 접촉되는 전단보다 바디와 접촉되는 후단측 직경이 더 크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되,
    외주연의 직경이 동일하고, 내주연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제1구간,
    상기 제1구간의 전단에 연장 형성되며 외주연 및 내주연이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제2구간,
    상기 제2구간의 전단에 연장 형상되며, 외주연의 직경이 동일하고, 내주연에는 페럴홈이 형성되는 제3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용 페럴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럴은 상기 바디의 전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용 페럴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주연에는 추가로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일부구간이 바디 내부로 인입되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용 페럴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후단에는 연결부재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의 내주연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연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연결부재의 내주연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연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부에 내입된 파이프가 상기 연결부재의 전단에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용 페럴 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용 페럴 조립체는 추가페럴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페럴의 전방에는 추가페럴이 장착되되, 상기 추가페럴은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용 페럴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럴홈 또는 상기 페럴의 전방에는 씰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용 페럴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페럴의 전방에는 씰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용 페럴 조립체.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주연과 너트의 내주연 사이공간 및 상기 파이프의 외주연과 너트의 내주연 사이공간에는 씰링이 장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용 페럴 조립체.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용 페럴 조립체는 후단이 외측방향으로 플레어링(flaring)된 원통형상의 중공체인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단측 외주연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단측에 고정결합되며, 전단에 상기 페럴이 일체로 연장형성된 제1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용 페럴 조립체.
KR1020190129878A 2019-10-18 2019-10-18 피팅용 페럴 조립체 KR10229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878A KR102291871B1 (ko) 2019-10-18 2019-10-18 피팅용 페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878A KR102291871B1 (ko) 2019-10-18 2019-10-18 피팅용 페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307A KR20210046307A (ko) 2021-04-28
KR102291871B1 true KR102291871B1 (ko) 2021-08-19

Family

ID=7572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878A KR102291871B1 (ko) 2019-10-18 2019-10-18 피팅용 페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549B1 (ko) * 2022-01-25 2023-07-27 최락권 배관 연결용 락킹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3417A (ja) * 2007-11-30 2009-06-18 Watari System Mechanic:Kk 管継手
KR101879248B1 (ko) * 2018-04-23 2018-07-17 오형동 냉매 관의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217A (ko) * 1997-12-06 1999-07-05 박실조 파이프연결구 및 관연결용 파이프
CN105333246B (zh) 2008-12-10 2018-04-17 斯瓦戈洛克公司 具有轴向负荷的卡套夹头
KR20140044347A (ko) * 2014-02-26 2014-04-14 정연우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KR101756526B1 (ko) * 2014-11-13 2017-07-11 임채갑 파이프 연결장치
KR102110740B1 (ko) * 2018-04-06 2020-05-14 김병국 배관 피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3417A (ja) * 2007-11-30 2009-06-18 Watari System Mechanic:Kk 管継手
KR101879248B1 (ko) * 2018-04-23 2018-07-17 오형동 냉매 관의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307A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6510A (en) Adjustable tubular wall structure for connectors and the like
US4712812A (en) Universal fittings
CN101561067B (zh) 软管连接方法和连接装置
KR101409306B1 (ko) 2개의 경질 물체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US20060225281A1 (en) Process for forming a connector for tube and pipe fittings
EP3771855B1 (en)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JP2015524041A (ja) 管用のクランプ接続部
US20090105692A1 (en) Male luer lock connector
US20080048440A1 (en) Direct port connection for tubes
KR102291871B1 (ko) 피팅용 페럴 조립체
EP1800047B1 (en) Pipe coupling
KR101568793B1 (ko) 배관의 연결구조
WO2001031243A3 (en) Pipe fitting element, particularly for plastic pipes
US20170153212A1 (en) Compression fitting with coupled ferrule
CN210135337U (zh) 一种管道密封连接装置
KR20130092207A (ko) 농업용 관체 연결구
KR101889960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WO2019204951A1 (zh) 一种管件连接结构
US20200096138A1 (en) Converter bulkhead fitting
CN210770909U (zh) 三通快插连接接头
CN219159768U (zh) 一种双密封凹槽式管件
CN212158725U (zh) 一种水表接管
JP7275543B2 (ja) ホース継手金具
CN210510594U (zh) 一种双卡套式管接头
KR101396894B1 (ko) 배관 연결장치 및 이의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