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808B1 -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808B1
KR102291808B1 KR1020190169821A KR20190169821A KR102291808B1 KR 102291808 B1 KR102291808 B1 KR 102291808B1 KR 1020190169821 A KR1020190169821 A KR 1020190169821A KR 20190169821 A KR20190169821 A KR 20190169821A KR 102291808 B1 KR102291808 B1 KR 102291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phone
call quality
warning
state
curre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088A (ko
Inventor
박종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69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8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73Predicting channel quality or other radio frequency [R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은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 경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ALL QUALITY OF INTERNET TELEPHONES}
아래 실시예들은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전 및 통화 중에 통화 품질을 미리 정확히 예상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랜의 대중적인 보급으로 인하여 가정 내에 다양한 IP디바이스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 댁 내에서 기존 유선 집전화기도 인터넷 전화기로 대체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 유선 전화의 경우 회선 교환 방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한다. 이는,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회선을 독점 사용하는 방법으로(1대1 통신), 전화를 끊을 때까지는 해당 회선 사용을 보장받으므로 높은 수준의 통화 품질을 보장받는다. 반면, 인터넷 전화는 회선 구축 비용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기존 공중 인터넷 망을 사용하므로 사용자간 회선을 독점 보장해주지 않으므로 트래픽이 많아지면 통화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Wi-Fi 무선랜의 경우는 무선 주파수의 특성상, 주변의 무선 간섭이나 사용자가 많을 경우 통화 품질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다.
기존의 인터넷전화기는 사용자들이 통화 가능 여부 및 품질을 예단할 수 있게끔 하기 위해 전화기 화면에 단순히 Wi-Fi 무선 신호 세기를 안테나 칸수로서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간섭이 심한 환경에서는 기존의 신호 세기에 따른 안테나 칸수 표시는 사용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강전계라 할 수 있는 신호 세기 -50dbm 전후(대개 안테나 5칸 표시)에서도 Wi-Fi 무선 간섭이 심할 경우는 통화 중 음 끊김, 음 늘어짐, 통화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호 세기만으로 양질의 통화 품질을 기대하며 별다른 조처 없이 통화하지만 심각한 품질 저하 현상을 경험하게 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전 및 통화 중에 통화 품질을 미리 정확히 예상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인터넷 전화기가 주변의 주파수 간섭 환경을 파악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인터넷 전화기가 통화 품질을 감시하여, 통화 품질 저하 현상을 사전 감지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인터넷 전화기가 통화 품질 저하 가능성을 감지하여, 사용자 전화기 화면, 즉 “대기 상태 화면” 및 “전화 걸기 다이얼을 누를 시“ 화면일 때 통화 품질 저하 가능성에 대해 사전 경고 화면을 표시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인터넷 전화기가, 사용자가 전화 통화 중일 때 통화 품질 저하 가능성에 대해 사전 경고 알림을 수행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인터넷 전화기가, 사용자에게 예상 통화 품질을 사전에 알려주는 기준으로서 신호 세기가 아닌, 실질적 통화 품질 기반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은 상기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에서 검색되는 AP의 수가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AP의 수가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와 연결된 AP와 중첩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는 대기 상태, 다이얼 화면 상태 및 통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가 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가 상기 무선 간섭 환경에 있음을 알리는 제1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가 다이얼 화면 상태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위치를 조정하라는 제2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품질 향상 방법은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가 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통화 품질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 품질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패킷의 손실률 및 지터 지연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장치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에서 검색되는 AP의 수가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AP의 수가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와 연결된 AP와 중첩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는 대기 상태, 다이얼 화면 상태 및 통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가 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가 상기 무선 간섭 환경에 있음을 알리는 제1 경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가 다이얼 화면 상태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위치를 조정하라는 제2 경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가 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통화 품질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패킷의 손실률 및 지터 지연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전 및 통화 중에 통화 품질을 미리 정확히 예상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인터넷 전화기가 주변의 주파수 간섭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인터넷 전화기가 통화 품질을 감시하여, 통화 품질 저하 현상을 사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인터넷 전화기가 통화 품질 저하 가능성을 감지하여, 사용자 전화기 화면, 즉 “대기 상태 화면” 및 “전화 걸기 다이얼을 누를 시“ 화면일 때 통화 품질 저하 가능성에 대해 사전 경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인터넷 전화기가, 사용자가 전화 통화 중일 때 통화 품질 저하 가능성에 대해 사전 경고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인터넷 전화기가, 사용자에게 예상 통화 품질을 사전에 알려주는 기준으로서 신호 세기가 아닌, 실질적 통화 품질 기반하여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품질 향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환경 감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기술적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간의에"와 "바로~간의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100)는 사용자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101 내지 306) 및 주변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10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은 사용자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101), 사용자 인터넷 전화기(102), 모니터(103), 컴퓨터(104), 텔레비전(105) 및 카메라(1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101 내지 106) 및 주변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107)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101 내지 106) 및 주변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107)은 ISM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통신 프로토콜은 무선 지역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다. 주변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107)은 사용자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101 내지 106)과 별개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로, 사용자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101 내지 106)은 주변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107)에 의해 주파수 간섭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액세스 포인트(301)는 실시예에서 무선랜 접속 장치로 지칭될 수 있고, 와이파이 공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액세스 포인트(301)는 사용자 장비(302), 모니터(303), 컴퓨터(304), 텔레비전(305), 카메라(306)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액세스 포인트(301)는 사용자에게 인터넷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원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지역 영역 네트워크는 Wi-Fi (Wireless Fidelity) 무선랜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Wi-Fi 무선랜은 액세스 포인트(301)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 (LAN)일 수 있다. 최근 Wi-Fi 의 대중적인 보급으로 인하여 가정 댁내에서 다양한 무선 IP 단말들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주변에서 검색되는 무선랜 접속 장치는 20~30개 이상 되기도 하는 등 Wi-Fi 무선 간섭 현상은 나날이 심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Wi-Fi 인터넷 전화기의 음성 통화 품질은 계속 저하되고 있다.
일례로, 가정 댁내 커버리지(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가 왜곡 없이 도달할 수 있는 거리)는 벽면, 가구 등의 장애물 영향으로 수 m 정도 밖에 안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채널 주변에 인접 채널에서 트래픽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는 무선 주파수 간섭으로 인해 신호 출렁임(예를 들어, data rate 순간 변화)이 심하고 전송 처리량(Throughput)은 50Mbps에서 1Mbps 로 격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의 통신 프로토콜 장비들(107)의 간섭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액세스 포인트(101)와 사용자 인터넷 전화기(102) 사이의 연결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에서 주로 사용하는 단순 데이터 검색의 경우는 큰 문제가 안될 수 있지만 Wi-Fi 인터넷 전화기처럼 음성 통화의 경우는 연속적인 자연스러운 통화 음성음이 송수신되지 않고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간섭이 심한 환경에서는 기존의 신호 세기에 따른 안테나 칸수 표시는 사용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강전계라 할 수 있는 신호 세기 -50dbm 전후에서도 Wi-Fi 무선 간섭이 심할 경우는 통화 중 음 끊김, 음 늘어짐, 통화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호 세기만으로 양질의 통화 품질을 기대하며 별다른 조처 없이 통화하지만 심각한 품질 저하 현상을 경험하게 될 수 있다. 하지만 그 원인을 알지 못하여 계속 품질에 문제 있는 Wi-Fi 인터넷 전화기를 사용할 수 밖에 없을 수 있다.
Wi-Fi 무선 기술은 간섭 환경에 취약하며, 이러한 환경에서 통신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Wi-Fi 통신 단말이 접속한 무선랜 접속 장치에 근접해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수 밖에 없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전 및 통화 중에 통화 품질을 미리 정확히 예상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품질 향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품질 향상 장치(200)는 주변 Wi-Fi 환경 감시부(210), 통화 품질 감시부(220), 경고 제어부(230) 및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주변 Wi-Fi 환경 감시부(210), 통화 품질 감시부(220), 경고 제어부(230) 및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들 모두를 프로세서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을 프로세서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환경 감시부(210)는 사용자의 인터넷 전화기 주변의 Wi-Fi 주파수의 간섭 환경을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주변의 Wi-Fi 무선랜 접속 장치의 개수가 임계치 이상이고, 자신이 사용하는 Wi-Fi 무선랜 접속 장치의 Wi-Fi 채널과 중첩되는 인접 채널 및 동일 채널이 있으면 Wi-Fi 간섭 현상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Wi-Fi 간섭 현상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를 경고 제어부(230)에게 통보할 수 있다. Wi-Fi 환경 감시부(210)의 상세한 동작은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품질 감시부(220)는 Wi-Fi 인터넷 전화기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전화 통화에 대해 지속적 그리고 실시간으로 음성 품질을 감시할 수 있다. 일례로, 통화 품질 감시부(220)는 음성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인 송수신 되는 음성 패킷의 손실율과 지터 지연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통화 품질 감시부(220)는 측정 결과를 경고 제어부(230)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제어부(230)는 Wi-Fi 환경 감시부(210) 및 통화 품질 감시부(2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 결정할 수 있다. 경고 제어부(230)의 상세한 동작은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환경 감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들(310 내지 36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Wi-Fi 환경 감시부(2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Wi-Fi 환경 감시부(2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환경 감시부(210)는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Wi-Fi 환경 감시부(210)는 인터넷 전화기 주변의 무선랜 접속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Wi-Fi 환경 감시부(210)는 인터넷 전화기에서 검색되는 AP의 수가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치는 10개일 수 있고, Wi-Fi 환경 감시부(210)는 인터넷 전화기에서 검색되는 AP의 수가 10개 이상인 경우 단계(330)로 넘어갈 수 있다.
단계(330)에서, Wi-Fi 환경 감시부(210)는 인터넷 전화기와 연결된 AP와 중첩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Wi-Fi 환경 감시부(210)는 주변의 Wi-Fi 무선랜 접속 장치의 개수가 임계치 이상이고, 자신이 사용하는 Wi-Fi 무선랜 접속 장치의 Wi-Fi 채널과 중첩되는 인접 채널 및 동일 채널이 있으면 Wi-Fi 간섭 현상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Wi-Fi 환경 감시부(210)는 주변의 Wi-Fi 무선랜 접속 장치의 개수가 임계치 이상이고, 자신이 사용하는 Wi-Fi 무선랜 접속 장치의 Wi-Fi 채널과 중첩되는 인접 채널 및 동일 채널이 존재하는 케이스에 대하여 플래그(Flag)를 제1 논리값(예를 들어, 1)으로 설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flag =1). 이는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350) 에서, Wi-Fi 환경 감시부(210)는 주변의 Wi-Fi 무선랜 접속 장치의 개수가 임계치 미만이거나, 자신이 사용하는 Wi-Fi 무선랜 접속 장치의 Wi-Fi 채널과 중첩되는 인접 채널 및 동일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케이스에 대하여 플래그(Flag)를 제2 논리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flag =0). 이는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360)에서, Wi-Fi 환경 감시부(210)는 단계(340 및 350)에서 결정한 플래그 값을 경고 제어부(230)로 통보할 수 있다.
Wi-Fi 환경 감시부(210)는 주파수의 간섭 환경을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환경 감시부(210)는 단계(310 내지 360)을 미리 정해진 주기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들(410 내지 45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경고 제어부(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단계들(460 내지 48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경고 제어부(230) 및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410)에서, 경고 제어부(230)는 Wi-Fi 환경 감시부(210)로부터 수신한 플래그 값이 제1 논리값(예를 들어, 1)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고 제어부(230)는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Wi-Fi 환경 감시부(210)로부터 수신한 플래그 값이 제1 논리값인 경우, 단계(420)에서, 경고 제어부(230)는 인터넷 전화기 현재 상태 및 화면의 전환을 감시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는 대기 상태, 다이얼 화면 상태 및 통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 상태는 사용자가 어떠한 조작도 않고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 화면 상태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한 선택에 반응하여 다이얼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상태는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경고 제어부(230)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고, 단계(440)에서, 경고 제어부(230)는 다이얼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450)에서, 경고 제어부(230)는 통화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경고 제어부(230)는 통화 품질 감시부(220)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경고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경고 제어부(230)는 통화 품질 감시부(220)로부터 수신한 통화 품질(예를 들어, 송수신 되는 음성 패킷의 손실율과 지터 지연율)이 임계치 이하로 떨어 질 경우, 통화 중 음성 품질 저하 현상이 곧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치는 Loss률 10%, Jitter률 50ms 정도가 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음성 끊김, 음 빠짐, 음 깨짐, 음 늘어짐 등의 음성 품질 문제 현상이 발생하기 전 사전 경고 목적이므로 임계치는 조정 가능하다.
단계(460)에서,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로 제1 경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단계(470)에서,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는 다이얼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로 제2 경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단계(480)에서,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는 통화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로 경고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경고 이벤트에 관한 구체적은 예시는 아래에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로,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음을 알리는 제1 경고 화면을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는 인터넷 전화기가 현재 대기 상태인 경우, "주변에 무선 간섭이 있어 Wi-Fi 신호가 좋지 않습니다."라는 문구를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는 다이얼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로, 인터넷 전화기의 위치를 조정하라는 제2 경고 화면을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는 인터넷 전화기가 현재 다이얼 화면 상태인 경우, "주변에 무선 간섭이 있습니다. 접속된 무선 접속 장치 근처(2m 이내 권고)에서 통화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문구를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는 통화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로, 경고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및 경고음 처리부(240)는 인터넷 전화기가 현재 통화 상태이고, 통화 품질(예를 들어, 송수신 되는 음성 패킷의 손실율과 지터 지연율)이 임계치 이하로 떨어 질 경우 “삐 삐” 소리로서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품질 향상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통화 품질 향상 장치는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센서(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센서(들)는 통신 버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지 판단하고,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 경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를 알린다.
메모리(530)는 상술한 프로세서(510)에서의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530)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통화 품질 향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통화 품질 향상 장치는 입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AP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전화기가 상기 인터넷 전화기에서 검색되는 상기 복수의 AP들로 인한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에서 검색되는 상기 복수의 AP들의 수가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AP들의 수가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와 연결된 AP와 중첩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는
    대기 상태, 다이얼 화면 상태 및 통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가 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가 상기 무선 간섭 환경에 있음을 알리는 제1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가 다이얼 화면 상태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위치를 조정하라는 제2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가 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통화 품질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품질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패킷의 손실률 및 지터 지연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AP들을 검색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기가 상기 인터넷 전화기에서 검색되는 상기 복수의 AP들로 인한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기가 무선 간섭 환경에 있는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경고 이벤트를 알리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에서 검색되는 상기 복수의 AP들의 수가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AP들의 수가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와 연결된 AP와 중첩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는
    대기 상태, 다이얼 화면 상태 및 통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가 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가 상기 무선 간섭 환경에 있음을 알리는 제1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가 다이얼 화면 상태인 경우,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위치를 조정하라는 제2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인터넷 전화기의 현재 상태가 통화 상태인 경우, 상기 통화 품질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수행하는,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넷 전화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패킷의 손실률 및 지터 지연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장치.
KR1020190169821A 2019-12-18 2019-12-18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 KR102291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21A KR102291808B1 (ko) 2019-12-18 2019-12-18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21A KR102291808B1 (ko) 2019-12-18 2019-12-18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088A KR20210078088A (ko) 2021-06-28
KR102291808B1 true KR102291808B1 (ko) 2021-08-19

Family

ID=7660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821A KR102291808B1 (ko) 2019-12-18 2019-12-18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8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4620A1 (en) * 2011-08-17 2013-02-21 Borasys,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multimedia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786B1 (ko) * 2008-03-31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
KR101530375B1 (ko) * 2013-09-27 2015-06-22 (주)주니코리아 간섭완화시스템 및 간섭완화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4620A1 (en) * 2011-08-17 2013-02-21 Borasys,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multimedia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088A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4158B2 (en) Determining network congestion based on target user throughput
EP3557908A1 (en) Cell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US968616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status of wireless network
US20200145890A1 (en)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220066200A (ko) 무선 네트워크용 공동 빔 보고
US10764349B2 (en) Self-organizing network communication
JP6961708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及び装置
US20170374690A1 (en) Indication of Attributes of Backhaul Connections of Access Points
JP5904020B2 (ja) ネットワーク分析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293100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CN103413091B (zh) 恶意行为的监控方法及装置
CN105704106A (zh) 一种可视化ivr实现方法及移动终端
KR102291808B1 (ko)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
KR102167057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선택 메커니즘 및 동작의 방법
CN108848536B (zh) 频宽控制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04239790A (zh) 病毒处理方法及装置
EP2343923A1 (en)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for inter-RAT handover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CN112399515B (zh) 通信处理方法及装置
CN111148135B (zh) 语音呼叫业务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0138950B (zh) 移动终端的wifi异常检测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移动终端
JP4888312B2 (ja) 無線lan端末および無線制御方法
US10587299B1 (en) Controlling transmissions mode based on tracked cumulative emissions and proximity
TWI752151B (zh) 基於信號強度及網路擁塞狀況之無線接取點選擇技術
US20150350995A1 (en) Network pre-selection for mobile telephony device
KR102415602B1 (ko) 서비스 불가 알림을 위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및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