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630B1 - 우산커버 및 그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커버 및 그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630B1
KR102291630B1 KR1020190157473A KR20190157473A KR102291630B1 KR 102291630 B1 KR102291630 B1 KR 102291630B1 KR 1020190157473 A KR1020190157473 A KR 1020190157473A KR 20190157473 A KR20190157473 A KR 20190157473A KR 102291630 B1 KR102291630 B1 KR 102291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mbrella
outlet
distribution devi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640A (ko
Inventor
최광남
Original Assignee
최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남 filed Critical 최광남
Priority to KR1020190157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6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2Packaging of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커버 분배장치로서, 비를 피하는데 사용하는 우산과 우산을 접어 보관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우산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산이 삽입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입구부의 타측에 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구부를 개폐시키는 캡을 포함하고, 접혀진 우산이 삽입되는 커버 및 내부에 상기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마련된 상기 커버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배기기를 포함하여, PET 재질을 재활용하여 PET 고유의 성질로 인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환경오염을 줄이고, 제조 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하나의 우산에 우산커버를 하나씩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이 향상되며, 우산커버에서 캡을 분리하면, 우산커버 내부에 포집된 물을 우산커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우산커버는 통풍이 가능하여 건조기능이 향상되고, 우산커버의 내부에 발생하는 세균 및 곰팡이들의 번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우산커버 및 그 분배장치{Umbrella Cover and Distribution Apparatus For Umbrella Case}
본 발명은 우산커버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ET를 재성형한 우산커버를 개별 제공할 수 있는 우산커버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가 오는 날 바깥출입을 할 때에는 통상 우산을 사용한다. 우산을 사용한 이후에 건물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지하철과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우산을 접어 휴대하게 된다.
이때, 우산을 접어 보관하는 것이 불편하고, 우산에서 빗물이 흘러내리기 때문에 보관하는 것에 대한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은 실내바닥을 오염시키고, 미끄러져 위험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 내로 진입할 때에 출입구에는 비닐커버 공급기를 마련하여 우산을 접어서 공급기의 삽입구에 꽂아 당기면 젖은 우산이 낱개의 일회용 비닐커버에 수용된 상태로 배출된다.
이러한, 일회용 비닐커버는 많은 양의 비닐 폐기물을 발생시켜 처치가 곤란하고, 환경 오염을 발생시키며, 음용수를 담고 있는 PET병의 경우에도 일회용으로 사용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회용 비닐커버는 비에 젖은 우산을 환기시킬 수가 없는 문제가 있으며, 내부에 물이 고여 있어 우산에 세균 및 곰팡이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PET 병을 재성형한 우산 덮개를 사용자에게 하나씩 제공하고, 우산 커버 내부에 포집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우산 커버 내부를 통풍시켜 건조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산커버 분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커버 분배장치는, 비를 피하는데 사용하는 우산과 우산을 접어 보관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우산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산이 삽입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입구부의 타측에 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구부를 개폐시키는 캡을 포함한다.
접혀진 우산이 삽입되는 커버 및 내부에 상기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마련된 상기 커버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배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배기기는, 상기 커버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분배기기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 연장되어 상기 커버의 이탈을 제지하는 커버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커버의 이탈을 제지하되,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커버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저지부는, 상기 커버저지부의 축을 중심으로 상호 소정 각도로 돌출 형성된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 상기 제1 돌기부가 상기 커버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제2 돌기부가 다른 커버의 이탈을 제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산이 삽입되는 입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에는, 상기 커버가 상기 커버저지부에 걸림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기에 결합되어, 상기 분배기기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복수개로 마련된 바퀴부와, 상기 바퀴부와 수직되게 마련된 원통형상의 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기는, 상기 커버가 상기 배출구에 밀착되도록 수평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복수개가 겹쳐져서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커버저지부에 의해 저지되어 겹쳐진 커버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산커버 분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우산커버 분배장치에 따르면, PET 재질을 재활용하여 PET 고유의 성질로 인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환경오염을 줄이고, 제조 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우산커버 분배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우산에 우산커버를 하나씩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우산커버 분배장치에 따르면, 우산커버에서 캡을 분리하면, 우산커버 내부에 포집된 물을 우산커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로, 본 발명의 우산커버 분배장치에 따르면, 우산커버는 통풍이 가능하여 건조기능이 향상되고, 우산커버의 내부에 발생하는 세균 및 곰팡이들의 번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커버 분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출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커버에 우산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커버 분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출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커버에 우산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바람직한 우산커버 분배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우산커버 분배장치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커버 분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출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커버 분배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비를 피하는데 사용하는 우산(U)을 말아서 보관할 때 사용하는 커버(30)와, 커버(30)를 수용하고, 커버(30)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분배기기(10)를 포함한다.
분배기기(10)는 커버(30)를 수용하는 수용부(12)와, 수용부(12)에 연결되어 수용부(12)를 이동시키는 이송부(14)와, 수용부(12)와 이송부(14)를 연결하는 높이조절부(16)을 포함한다.
수용부(12)는 커버(30)가 투입되는 투입부(12a)와 커버(30)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0)를 포함한다. 수용부(12)의 투입부(12a)는 커버(30)가 투입되도록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수용부(12)의 배출구(20)는 투입부(12a)를 통하여 투입된 커버(30)가 중력에 의해 한 곳으로 집중되도록 형성되고, 투입부(12a)보다 낮은 곳에 마련된다.
수용부(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버(30)가 마련되고, 중력에 의하여 배출구(20)를 향하여 커버(30)가 집중된다. 수용부(12)는 커버(30)가 배출구(20)에 밀착, 집중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다. 이러한 수용부(12)는 배출구(20)가 타측보다 더 낮은 위치를 갖도록 지면과 평행한 수평(H)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α)을 갖도록 형성된다. 소정의 경사각은 5˚ ~ 30˚일 수 있고, 30˚를 벗어나게 되면 물의 포집에는 유용하나 경사각이 크게 되어 사용자가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5˚에서 30˚ 사이에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의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된다.
한편, 수용부(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소정의 경사각(α)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서는 수용부(12)가 높이조절부(16)에 설치될 때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12)는 빗물이 수집되는 포집부(13)를 포함한다.
포집부(13)는 우산(U)에서 떨어지는 빗물들을 포집하도록 수용부(12)의 저면에 배치된다. 포집부(13)는 수용부(12)로부터 슬라이딩으로 배출구(20)에 삽입되는 우산(U)과 동일한 방향에서 인출 가능하다.
이송부(14)는 휠 또는 바퀴 등이 복수개로 후술하는 높이조절부(16)의 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이송부(14)는 분배기기(10)의 균형을 지지하며 이동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송부(14)는 이동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바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는 바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부(16)는 분배기기(1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수용부(12)와 이송부(14) 사이에서 연결된다. 높이조절부(16)는 유압식 또는 기계식 실린더 등으로 마련되어 분배기기(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배출구(20)는 커버(30)가 중력에 의해 집중되도록 수용부(12)의 하측에 마련된다. 배출구(20)는 수용부(12)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배출구(20)에는 사용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수용부(12)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저지부(22,24)가 형성된다.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커버에 우산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커버저지부(22,24)는 배출구(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원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커버저지부(22,2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배출구(20)를 정면에서 보면 오프너와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저지부(22,24)는 배출구(20)의 상측에 제1 걸림부(22)와 하측에 제2 걸림부(24)가 마련된다. 제1 걸림부(22)는 완충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커버(30)를 들어올리는 힘에 의해 압착되었다가 사용자에 의한 힘이 없어지면 즉, 커버(30)를 빼내면 다시 원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걸림부(22)는 관통홀의 내주면의 도면상 상측에 마련되고, 제2 걸림부(24)는 원의 중심을 향하여 일부 돌출된다. 제1 걸림부(22)는 커버(30)에 접촉하는 걸림돌기(22a)와 걸림돌기(22a)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2b)를 포함한다. 한편, 수용부(12)에는 수용홈(12b)이 형성되어 걸림돌기(22a)와 탄성부재(22b)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우산(U)을 커버(30)에 삽입한 뒤, 커버(30)를 인출하려 할 때, 커버(30)를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커버에 의해 걸림돌기(22a)가 압착된다. 이후, 커버(30)를 수용부(12)에서 완전히 인출하면 탄성부재(22b)에 의해 걸림돌기(22a)는 원복한다. 원복된 걸림돌기(22a)에 의하여, 수용부(12)에 있는 다른 커버들은 수용부(12)의 경사각(α)에 의해 배출구(20)에 밀착되되, 배출구(20)로부터의 이탈은 제지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복수의 커버가 겹쳐졌을 경우에는 우산이 삽입된 커버의 다음 커버가 같이 배출되는 것을 제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서 도 1 및 도 2를 일부 참조하면, 수용부(12)에 커버(30)를 투입하면, 커버(30)는 중력에 의하여 배출구(20)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집중된다. 이때, 커버(30)는 외주면의 입구부(33)의 돌출부가 제2 걸림부(24)에 의해 이탈이 저지된다. 또한, 커버(30)에 적층된 다른 커버는 제1 걸림부(22)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저지된다.
다음, 우산(U)을 커버(30)에 삽입시키고, 우산(U)을 소정높이로 들어올려 잡아당기면, 우산(U)이 안착한 커버(30)는 제1 걸림돌기(22a)를 밀어올리게 되면서 배출된다. 그리고, 커버(30)가 빠져나가면 제1 걸림돌기(22a)는 탄성부재(22b)에 의해 원복하게 되고, 제1 걸림돌기(22a)에 다른 커버가 저지되어 배출구(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빠져나간 커버(30)의 자리에는 상측에 적층되어 있던 다른 커버가 위치하고, 다른 커버는 다음 우산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걸림부(24)에 다시 밀착 배치된다.
도 5는 도 1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커버 분배장치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커버(30)는 내부가 관통된 케이스(32)와, 케이스(32)를 개폐시키는 캡(37)을 포함한다.
케이스(32)는 길이방향으로 직각되는 수직단면이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케이스(32)는 폐 PET병을 재성형하여 마련되어, 환경오염을 줄이고, 제조 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케이스(32)는 우산(U)이 삽입되는 입구부(33)와, 입구부(33)와 연통되어 입구부(33)의 타측에 출구부(35)가 형성되고, 출구부(34)를 개폐시키는 캡(37)을 포함한다. 케이스(32)는 입구부(33)에서 출구부(34)를 향하여 지름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입구부(33)는 우산(U)이 삽입되도록 구형상으로 형성된다. 입구부(33)는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을 갖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입구부(33)에는 케이스(32)가 커버저지부(22,24)에 걸림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캡체결부(34)는 입구부(33)로부터 연통되고, 출구부(35)에서 케이스(32) 방향으로 연장되되, 출구부(35)의 내지름보다 작게 단차진다. 캡체결부(34)는 캡(37)이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캡(37)은 일측이 개구(37a)되어 캡체결부(34)에 결합된다. 캡(37)은 캡체결부(34)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32)로부터 캡(37)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케이스(32)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어 통풍이 가능하여 우산을 건조시키는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커버(30)에 대하여 다른 실시예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커버저지부(122)는 커버(130)의 이탈을 제지하되, 커버(13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축(122a)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한다. 커버저지부(122)는 커버저지부(122)의 회전축(122a)을 중심으로 상호 소정 각도로 돌출된 제1 돌기부(122b)와 제2 돌기부(122c)가 형성된다. 제2 돌기부(122c)에는 탄성부재(123)가 설치된다. 탄성부재(123)는 탄성체를 갖는 성질로서, 고무, 스프링 등으로 마련되어, 제1 돌기부(122b)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된 제2 돌기부(122c)를 당겨 회전축(122a)을 중심으로 커버저지부(122)가 원복할 수 있게 한다. 제1 돌기부(122b)와 제2 돌기부(122c) 사이의 각은 60 ~ 90˚ 사이의 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우산(U)을 커버(130)에 삽입한 후 커버(130)를 인출하면, 제1 돌기부(122b)에 커버(130)로 인해 힘이 전달되어 회전축(122a)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때, 제2 돌기부(122c)의 위치는 다른 커버(140)를 제지하는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돌기부(122b)와 제2 돌기부(122c) 사이의 각은 9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 배출구(20)에는, 제1 돌기부(122b)의 과회전을 방지하도록 단턱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부는 제1 돌기부(122b)와 면접하는 부분에 챔버(12c)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돌기부(122b)의 과회전을 방지한다.
예컨대, 커버(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커버(130)에 다른 커버(140)가 삽입되어 겹쳐져 하나의 커버 패키지가 마련된다. 커버 패키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40)만으로 설명하나 복수의 커버가 다수 겹쳐져 수개일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패키지는 일 실시예와 같이 투입구를 통하여 삽입된다.
우산(U)은 배출구를 통해 일부 노출된 커버 패키지에 우산(U)을 삽입하여 안착시킨다. 그리고, 우산(U)을 살짝 들면 커버 패키지도 같이 살짝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우산(U)을 잡아 당기면, 제1 커버(130)가 제1 돌기부(122b)에 접촉하게 되고, 제1 돌기부(122b)에 힘이 전달되어 커버저지부(122)는 회전축(122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2 돌기부(122c)는 다른 커버(140)를 제지하게 되고, 제지된 제2 커버(140)는 배출구(20)를 향하여 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하나의 우산커버를 제공할 수 있고, 빠져나간 커버의 자리에는 제2 걸림부(122c)에 걸림되었던 제2 커버(140) 또는 커버패키지가 위치하여 다른 우산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우산커버 분배장치에 따르면, PET 재질을 재활용하여 PET 고유의 성질로 인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환경오염을 줄이고, 제조 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하나의 우산에 우산커버를 하나씩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이 향상되며, 우산커버에서 캡을 분리하면, 우산커버 내부에 포집된 물을 우산커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우산커버는 통풍이 가능하여 건조기능이 향상되고, 우산커버의 내부에 발생하는 세균 및 곰팡이들의 번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분배기기
20: 배출구
30: 커버

Claims (8)

  1. 접혀진 우산이 삽입되는 커버 및
    내부에 상기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마련된 상기 커버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배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기는, 상기 커버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커버의 이탈을 제지하되,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커버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저지부는, 상기 커버저지부의 축을 중심으로 상호 소정 각도로 돌출 형성된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부가 상기 커버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제2 돌기부가 다른 커버의 이탈을 제지하고,
    상기 커버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산이 삽입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입구부의 타측에 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구부를 개폐시키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에는, 상기 커버가 상기 커버저지부에 걸림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우산커버의 분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기에 결합되어, 상기 분배기기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우산커버의 분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복수개로 마련된 바퀴부와,
    상기 바퀴부와 수직되게 마련된 원통형상의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우산커버의 분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복수개가 겹쳐져서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커버저지부에 의해 저지되어 겹쳐진 커버가 분리되는 우산커버의 분배장치.
KR1020190157473A 2019-11-29 2019-11-29 우산커버 및 그 분배장치 KR102291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473A KR102291630B1 (ko) 2019-11-29 2019-11-29 우산커버 및 그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473A KR102291630B1 (ko) 2019-11-29 2019-11-29 우산커버 및 그 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640A KR20210067640A (ko) 2021-06-08
KR102291630B1 true KR102291630B1 (ko) 2021-08-19

Family

ID=7639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473A KR102291630B1 (ko) 2019-11-29 2019-11-29 우산커버 및 그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6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793Y1 (ko) * 2005-07-04 2005-09-13 김종보 우산자동포장기 및 우산자동포장기용 비닐포장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6418B2 (ja) * 1989-10-21 1997-11-17 泰治 藤山 雨傘用カバー
JPH0872835A (ja) * 1994-06-29 1996-03-19 Kyoritsu Seiki Kk 雨天時の傘用ビニール袋の挿入装置
KR0123087Y1 (ko) * 1995-01-09 1998-08-17 여진숙 우산 자동 비닐 포장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793Y1 (ko) * 2005-07-04 2005-09-13 김종보 우산자동포장기 및 우산자동포장기용 비닐포장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640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5799A (en) Dispensing gate for knock down bulk box
US6019542A (en) Drop-over base for traffic delineation device
US4558799A (en) Container with hinged lid
US5360132A (en) Collecting container for waste
EP0495947A1 (de) Identifikationseinheit für müllbehälter.
AU2003270944B2 (en) Plastic drum
KR102291630B1 (ko) 우산커버 및 그 분배장치
CA2546029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transferring of grain from a grain bin
US20110073599A1 (en) Dust control cover for a refuse bin
US20140332546A1 (en) Concrete washout container with leakproof sealing lid
WO2018009952A1 (de) Abfuellvorrichtung
CN206939540U (zh) 一种集装箱
US6439991B1 (en) One piece louver vent
US6981817B2 (en) Base unit for road delineating devices
KR101239114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US20090152273A1 (en) Laterally expandable receptacle
DE60028133T2 (de) Behälterverschluss mit Luftventil
US20100294758A1 (en) Container for paint
US20040265098A1 (en) Bulk material loading device
CN210102378U (zh) 一种可内置保洁袋的可循环使用的物流装置
EP1465823B1 (en) A flow divider for controlling discharge in a vacuum refuse collection system
KR970001569Y1 (ko) 안전시설물
CN209553640U (zh) 多功能粮食存放装置
ES2928978T3 (es) Un receptáculo para basura reciclable
WO2017142490A2 (en) Cement silo for holding cement powder and other powdered materials using compression to transport large amounts with land and marine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