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154B1 -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154B1
KR102291154B1 KR1020140148365A KR20140148365A KR102291154B1 KR 102291154 B1 KR102291154 B1 KR 102291154B1 KR 1020140148365 A KR1020140148365 A KR 1020140148365A KR 20140148365 A KR20140148365 A KR 20140148365A KR 102291154 B1 KR102291154 B1 KR 10229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series
voltage
switch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365A (ko
Inventor
장지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1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커넥터가 전원장치에 연결되어 있어도 인터락 커넥터의 불량으로 인해 전원 커넥터가 전원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오인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락 커넥터에 대한 센싱 민감도를 향상시킨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는 전원장치에 연결된 전원커넥터에 일측이 연결된 인터락 커넥터; 상기 인터락 커넥터의 다른 측에 연결되고, 상기 인터락 커넥터와의 연결 상태에 따른 기설정된 종류별 전압분배에 따라 센싱 전압 값을 기설정된 종류별로 출력하는 센싱부, 그리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기설정된 종류별 센싱 전압 값에 따라 상기 인터락 커넥터와 상기 센싱부 간의 연결 상태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Apparatus Checking Connection of Power 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락 커넥터의 연결 불량으로 전원 커넥터가 전원장치에서 분리된 것으로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용 전원 커넥터의 연결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락 커넥터는 인터락 회로가 내장된 커넥터로서, 하이브리드 또는 순수 전기 차량 등에 장착되어 차량의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전원 커넥터가 전원장치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 확인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10)는 인터락 커넥터(1), 센싱부(2) 및 제어부(3)를 포함한다.
인터락 커넥터(1)는 일 측이 전원 커넥터에 연결되고, 전원 커넥터가 전원장치에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내부 인터락 회로가 폐루프를 생성하거나 개방된다.
또한, 인터락 커넥터(1)는 다른 측에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를 구비한다.
센싱부(2)는 수형 커넥터를 구비하고, 이 수형 커넥터를 이용하여 인터락 커넥터(1)의 암형 커넥터에 연결된다.
센싱부(2)는 인터락 커넥터(1)의 내부 인터락 회로가 폐루프를 형성하거나 개방되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이 모니터링한 결과를 제어부(3)에 전달한다.
제어부(3)는 센싱부(2)로부터 전달된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전원 커넥터가 전원장치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예컨대, 전원 커넥터가 전원장치에 연결된 경우, 센싱부(2)는 인터락 커넥터(1)의 내부에 형성된 폐루프 및 서로 직렬 연결된 Ra, Rb에 의해 전압분배회로를 형성한다. 센싱부(2)는 형성된 전압분배회로에서 Rb에 걸린 제a 센싱 전압 값을 제어부(3)에 전달한다.
제어부(3)는 센싱부(2)로부터 전달된 센싱 전압 값이 제a 센싱 전압 값일 경우, 전원 커넥터가 전원장치에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10)는 센싱부(2)로부터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을 토대로 전원 커넥터가 전원장치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10)는 전원 커넥터가 전원장치에 정상적으로 연결된 경우에도, 인터락 커넥터(1) 자체의 잦은 불량으로 인해 전원 커넥터가 전원장치에 결합하지 않은 것으로 오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인터락 커넥터(1)가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로 센싱부(2)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센싱부(2)는 서로 직렬 연결된 Ra, Rb에 의해 전압분배회로를 형성한다. 센싱부(2)는 형성된 전압분배회로에서 Ra 및 Rb에 걸린 제b 센싱 전압 값을 제어부(3)에 전달한다.
인터락 커넥터(1)가 제1 스위치(S1)로만 센싱부(2)와 연결된 경우, 센싱부(2)는 서로 직렬 연결된 Ra, Rb에 의해 전압분배회로를 형성한다. 센싱부(2)는 형성된 전압분배회로에서 Ra 및 Rb에 걸린 제b 센싱 전압 값을 제어부(3)에 전달한다.
인터락 커넥터(1)가 제2 스위치(S2)로만 센싱부(2)와 연결된 경우, 센싱부(2)는 서로 직렬 연결된 Ra, Rb에 의해 전압분배회로를 형성한다. 센싱부(2)는 형성된 전압분배회로에서 Ra 및 Rb에 걸린 제b 센싱 전압 값을 제어부(3)에 전달한다.
즉, 인터락 커넥터(1)가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 둘 다로 센싱부(2)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인터락 커넥터(1)가 제1 스위치(S1)로만 센싱부(2)와 연결된 경우 및 인터락 커넥터(1)가 제2 스위치(S2)로만 센싱부(2)와 연결된 경우 이렇게 3가지의 경우에 대해 센싱부(2)는 모두 동일한 센싱 전압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10)는 인터락 커넥터의 3가지 연결 불량 상태를 각각 다르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 동일한 상태로 인식한다.
이는 전원 커넥터가 전원장치에 연결되어있는지와 무관하게, 인터락 커넥터(1)의 연결 불량, 즉 인터락 커넥터(1)의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 중 어느 하나라도 인터락 단자에 불량이 있는 경우, 센싱부(2)가 동일한 센싱 전압 값을 출력하므로, 종래의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10)는 이러한 인터락 커넥터(1)와 센싱부(2) 간의 연결 불량을 전원 커넥터와 전원 장치 간의 결합 불량으로 오인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커넥터가 전원장치에 연결되어 있어도 인터락 커넥터와 센싱부 간의 연결불량으로 인해 전원 커넥터가 전원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오인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락 커넥터에 대한 센싱 민감도를 향상시킨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는 전원장치에 연결된 전원커넥터에 일측이 연결된 인터락 커넥터, 상기 인터락 커넥터의 다른 측에 연결되고, 상기 인터락 커넥터와의 연결 상태에 따른 기설정된 종류별 전압분배에 따라 센싱 전압 값을 기설정된 종류별로 출력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기설정된 종류별 센싱 전압 값에 따라 상기 인터락 커넥터와 상기 센싱부 간의 연결 상태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락 커넥터는 제1 전압 분배부, 일측이 상기 센싱부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측이 상기 제1 전압 분배부에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일측이 상기 센싱부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측이 상기 제1 전압 분배부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압 분배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상태에 따라 전압을 분배하고, 상기 제1 전압 분배부는 제1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 스위치의 다른 측과 직렬연결되고, 제1저항의 다른 측이 제2저항에 병렬연결되며 제3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2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2 스위치의 다른 측과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2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1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3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저항 및 제2저항 각각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1저항, 상기 제2저항 및 상기 제3저항을 이용하여 전압을 분배하고, 상기 센싱부는, 제2 전압 분배부, 일측이 상기 인터락 커넥터의 제1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측이 상기 제2 전압 분배부에 연결된 제1 단자 및 일측이 상기 인터락 커넥터의 제2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측이 제2 전압 분배부에 연결된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압 분배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종류별로 전압을 분배하고, 상기 제2 전압 분배부는 제4저항의 일측이 전원전압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의 다른 측이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의 다른 측이 제6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고,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4저항, 상기 제5저항 및 상기 제6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기설정된 종류별로 전압을 분배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 각각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1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2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2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2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3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2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3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의 일측이 전원전압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4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1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2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2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1저항, 상기 제2저항, 상기 제3저항, 상기 제4저항, 상기 제5저항 및 상기 제6저항을 이용하여 제1 전압분배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 각각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1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3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3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4저항의 일측이 전원전압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1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저항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6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1저항, 상기 제3저항, 상기 제4저항, 상기 제5저항 및 상기 제6저항을 이용하여 제2 전압분배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1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1 단자에만 연결된 경우, 상기 제4저항의 일측이 전원전압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6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4저항, 상기 제5저항 및 상기 제6저항을 이용하여 제3 전압분배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2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2 단자에만 연결된 경우, 상기 제2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3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2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3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2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4저항의 일측이 전원전압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2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2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2저항, 상기 제3저항, 상기 제4저항, 상기 제5저항 및 상기 제6저항을 이용하여 제4 전압분배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부는 전압 분재가 제1 전압분배이면, 서로 직렬연결된 상기 제5저항 및 제6저항에 걸린 전압을 제1 센싱 전압 값으로 출력하고, 전압 분배가 제2 전압분배이면, 서로 직렬연결된 상기 제5저항 및 제6저항에 걸린 전압을 제2 센싱 전압 값으로 출력하며, 전압 분배가 제3 전압분배이면, 서로 직렬연결된 상기 제5저항 및 제6저항에 걸린 전압을 제3 센싱 전압 값으로 출력하고, 전압 분배가 제4 전압분배이면, 서로 직렬연결된 상기 제5저항 및 제6저항에 걸린 전압을 제4 센싱 전압 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상기 제1 센싱 전압 값인 경우,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 각각에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상기 제2 센싱 전압 값인 경우,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 각각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상기 제3 센싱 전압 값인 경우,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1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1 단자에만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상기 제4 센싱 전압 값인 경우,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2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2 단자에만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상기 제2 센싱 전압 값, 상기 제3 센싱 전압 값 및 상기 제4 센싱 전압 값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인터락 커넥터와 상기 센싱부의 연결이 불량인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락 커넥터에 대한 센싱 민감도를 개선함으로써, 인터락 커넥터와 센싱부 간의 연결불량을 전원 커넥터와 전원 장치 간의 결합불량으로 오인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인터락 커넥터와 센싱부 간의 연결불량을 별도로 구분할 수 있어서, 차량용 전원 커넥터의 연결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장치(100)는 인터락 커넥터(110), 센싱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인터락 커넥터(110)는 제1 스위치(S1), 제2 스위치(S2) 및 제1 전압 분배부(111)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S1)는 일측이 센싱부(120)의 제1 단자(LOCK OUT)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측이 제1 전압 분배부(111)에 연결된다.
제2 스위치(S2)는 일측이 센싱부(120)의 제2 단자(LOCK IN)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측이 제1 전압 분배부(111)에 연결된다.
제1 전압 분배부(111)는 제1저항(R1), 제2저항(R2) 및 제3저항(R3)을 포함한다.
제1저항(R1)은 일측이 제1 스위치의 다른 측과 직렬연결된다. 제1저항(R1)은 다른 측이 제2저항(R2)에 병렬연결되고, 제3저항(R3)에 직렬연결된다.
제2저항(R2)은 일측이 제2 스위치의 다른 측과 직렬연결된다. 제2저항(R2)은 다른 측이 제1저항(R1)에 병렬연결되고, 제3저항(R3)에 직렬연결된다.
제3저항(R3)은 일측이 제1저항(R1) 및 제2저항(R2) 각각에 직렬연결되고,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된다.
센싱부(120)는 제1 단자(LOCK OUT), 제2 단자(LOCK IN), 일반 모드 필터(Common Mode Filter, F1), 스위치 다이오드(Switching Diode, D1, D2) 및 제2 전압 분배부(121)를 포함한다.
제1 단자(LOCK OUT)는 일측이 제1 스위치(S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자 (LOCK OUT)는 다른 측이 일반 모드 필터(F1))에 연결된다.
제2 단자(LOCK IN)는 일측이 제2 스위치(S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자(LOCK IN)는 다른 측이 일반 모드 필터(F1)에 연결된다.
일반 모드 필터(F1)는 일측이 제1 단자(LOCK OUT) 및 제2 단자(LOCK IN)에 각각 연결된다. 일반 모드 필터(F1)는 다른 측이 스위치 다이오드(D1, D2) 및 제2 전압 분배부(120)에 각각 연결된다.
스위치 다이오드(D1,D2)는 두 개의 다이오드(D1,D2)가 병렬 연결되어 구성된다. 스위치 다이오드(D1,D2)는 일측이 일반 모드 필터(F1)에 연결되고, 다른 측이 제2 전압 분배부(120)에 연결된다.
제2 전압 분배부(121)는 제4저항(R4),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을 포함한다.
제4저항(R1)은 일측이 전원전압(VN)에 직렬연결되고, 다른 측이 제5저항(R5)에 직렬연결된다.
제5저항(R5)은 일측이 제4저항(R4)에 직렬연결되고, 다른 측이 제6저항(R6)에 직렬연결된다.
제6저항(R6)은 일측이 제5저항(R5)에 직렬연결되고,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된다.
한편, 일반 모드 필터(F1), 스위치 다이오드(D1,D2) 등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센싱부(120)는 제1 단자(LOCK OUT) 및 제2 단자(LOCK IN)가 인터락 커넥터(110)의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와 어떻게 연결되느냐에 따라 전압분배회로를 형성한다.
예컨대, 센싱부(120)는 제1 단자(LOCK OUT) 및 제2 단자(LOCK IN)가 인터락 커넥터(110)의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 각각에 연결된 경우, 인터락 커낵터(110)의 3개의 저항(R1, R2, R3) 및 자신의 3개의 저항(R4, R5, R6)을 이용하여 제1 전압분배회로를 형성한다.
센싱부(120)에 의해 형성된 제1 전압분배회로는 하기와 같다.
예컨대, 제1저항(R1)은 일측이 제4저항(R4)에 직렬연결되고 제5저항(R5)에 병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제2저항(R2)에 병렬연결되고 제3저항(R3)에 직렬연결된다.
제2저항(R2)은 일측이 제1저항(R1)에 병렬연결되고 제3저항(R3)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제5저항(R5)에 직렬연결되고 제6저항(R6)에 병렬연결된다.
제3저항(R3)은 일측이 제1저항(R1)에 직렬연결되고 제2저항(R2)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된다.
제4저항(R4)은 일측이 전원전압(VN)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제1저항(R1)에 직렬연결되고 제5저항(R5)에 직렬연결된다.
제5저항(R5)은 일측이 제1저항(R1)에 병렬연결되고 제4저항(R4)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제2저항(R2)에 직렬연결되고 제6저항(R6)에 직렬연결된다.
제6저항(R6)은 일측이 제2저항(R2)에 병렬연결되고 제5저항(R5)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된다.
여기서 전원전압(VN)을 5V라 하고, 제1저항(R1) 값은 2R이며, 제2저항(R2), 제3저항(R3), 제4저항(R4),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은 1R이라고 하면, 서로 직렬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은 2.87R이다.
따라서, 센싱부(120)는 형성된 제1 전압분배회로에 따라 서로 직렬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에 걸린 전압을 제1 센싱 전압 값(3.71V)으로서 출력한다.
센싱부(120)는 제1 단자(LOCK OUT) 및 제2 단자(LOCK IN)가 인터락 커넥터(110)의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 각각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인터락 커넥터(110)의 2개의 저항(R1, R3) 및 자신의 3개의 저항(R4, R5, R6)을 이용하여 제2 전압분배회로를 형성한다.
센싱부(120)에 의해 형성된 제2 전압분배회로는 하기와 같다.
예컨대, 제1저항(R1)은 일측이 제4저항(R4)에 직렬연결되고 제5저항(R5)에 병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제3저항(R3)에 직렬연결된다.
제3저항(R3)은 일측이 제1저항(R2)에 직렬연결되고,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된다.
제4저항(R4)은 일측이 전원전압(VN)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제1저항(R1)에 직렬연결되고 제5저항(R5)에 직렬연결된다.
제5저항(R5)은 일측이 제1저항(R1)에 병렬연결되고 제4저항(R4)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제6저항(R6)에 직렬연결된다.
제6저항(R6)은 일측이 제5저항(R5)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된다.
여기서 전원전압(VN)을 5V라 하고, 제1저항(R1) 값은 2R이며, 제3저항(R3), 제4저항(R4),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은 1R이라고 하면, 서로 직렬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은 1.2R이다.
따라서, 센싱부(120)는 형성된 제2 전압분배회로에 따라 서로 직렬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에 걸린 전압을 제2 센싱 전압 값(2.73V)으로서 출력한다.
센싱부(120)는 제1 단자(LOCK OUT)로만 인터락 커넥터(110)의 제1 스위치(S1)와 연결된 경우, 자신만의 3개의 저항(R4, R5, R6)을 이용하여 제3 전압분배회로를 형성한다.
센싱부(120)에 의해 형성된 제3 전압분배회로는 하기와 같다.
제4저항(R4)은 일측이 전원전압(VN)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제5저항(R5)에 직렬연결된다.
제5저항(R5)은 일측이 제4저항(R4)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제6저항(R6)에 직렬연결된다.
제6저항(R6)은 일측이 제5저항(R5)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된다.
여기서 전원전압(VN)을 5V라 하고, 제4저항(R4),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은 1R이라고 하면, 서로 직렬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은 2R이다.
따라서, 센싱부(120)는 형성된 제3 전압분배회로에 따라 서로 직렬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에 걸린 전압을 제3 센싱 전압 값(3.33V)으로서 출력한다.
센싱부(120)는 제2 단자(LOCK IN)로만 인터락 커넥터(110)의 제2 스위치(S2)와 연결된 경우, 인터락 커넥터(110)의 2개의 저항(R2, R3) 및 자신의 3개의 저항(R4, R5, R6)을 이용하여 제4 전압분배회로를 형성한다.
센싱부(120)에 의해 형성된 제4 전압분배회로는 하기와 같다.
예컨대, 제2저항(R2)은 일측이 제3저항(R3)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제5저항(R5)에 직렬연결되고 제6저항(R6)에 병렬연결된다.
제3저항(R3)은 일측이 제2저항(R2)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된다.
제4저항(R4)은 일측이 전원전압(VN)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제5저항(R5)에 직렬연결된다.
제5저항(R5)은 일측이 제4저항(R4)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제2저항(R2)에 직렬연결되고 제6저항(R6)에 직렬연결된다.
제6저항(R6)은 일측이 제2저항(R2)에 병렬연결되고 제5저항(R5)에 직렬연결되며,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된다.
여기서 전원전압(VN)을 5V라 하고, 제2저항(R2), 제3저항(R3), 제4저항(R4),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은 1R이라고 하면, 서로 직렬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은 1.67R이다.
따라서, 센싱부(120)는 형성된 제4 전압분배회로에 따라 서로 직렬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6저항(R6)에 걸린 전압을 제4 센싱 전압 값(3.13V)으로서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센싱부(120)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들을 토대로 인터락 커넥터(110)와 센싱부(120) 간의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센싱부(120)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제1 센싱 전압 값일 경우, 인터락 커넥터(110)가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로 센싱부(120)의 제1 단자(LOCK OUT) 및 제2 단자(LOCK IN) 각각에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제어부(130)는 센싱부(120)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제2 센싱 전압 값일 경우, 인터락 커넥터(110)가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로 센싱부(120)의 제1 단자(LOCK OUT) 및 제2 단자(LOCK IN) 각각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제어부(130)는 센싱부(120)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제3 센싱 전압 값일 경우, 인터락 커넥터(110)가 제1 스위치(S1)로만 센싱부(120)의 제1 단자(LOCK OUT)에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제어부(130)는 센싱부(120)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제4 센싱 전압 값일 경우, 인터락 커넥터(110)가 제2 스위치(S1)로만 센싱부(120)의 제2 단자(LOCK OUT)에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센싱부(120)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제2 센싱 전압 값, 제3 센싱 전압 값 및 제4 센싱 전압 값 중 하나일 경우, 단순 인터락 커넥터(110)의 불량인 것으로 인식하고, 전원 커넥터가 전원 장치에서 분리된 것으로 오인식하지 않아 오인식에 따른 불필요한 경보 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장치 110 : 인터락 커넥터
120 : 센싱부 130 : 제어부

Claims (12)

  1. 전원장치에 연결된 전원커넥터에 일측이 연결된 인터락 커넥터;
    상기 인터락 커넥터의 다른 측에 연결되고, 상기 인터락 커넥터와의 연결 상태에 따른 기설정된 종류별 전압분배에 따라 센싱 전압 값을 기설정된 종류별로 출력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기설정된 종류별 센싱 전압 값에 따라 상기 인터락 커넥터와 상기 센싱부 간의 연결 상태를 인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락 커넥터는,
    제1 전압 분배부;
    일측이 상기 센싱부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측이 상기 제1 전압 분배부에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일측이 상기 센싱부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측이 상기 제1 전압 분배부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압 분배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상태에 따라 전압을 분배하고,
    상기 제1 전압 분배부는
    제1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 스위치의 다른 측과 직렬연결되고, 제1저항의 다른 측이 제2저항에 병렬연결되며 제3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2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2 스위치의 다른 측과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2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1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3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저항 및 제2저항 각각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1저항, 상기 제2저항 및 상기 제3저항을 이용하여 전압을 분배하고,
    상기 센싱부는,
    제2 전압 분배부;
    일측이 상기 인터락 커넥터의 제1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측이 상기 제2 전압 분배부에 연결된 제1 단자; 및
    일측이 상기 인터락 커넥터의 제2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측이 제2 전압 분배부에 연결된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압 분배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종류별로 전압을 분배하고,
    상기 제2 전압 분배부는
    제4저항의 일측이 전원전압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의 다른 측이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의 다른 측이 제6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고,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4저항, 상기 제5저항 및 상기 제6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기설정된 종류별로 전압을 분배하는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 각각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1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2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2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2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3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2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3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의 일측이 전원전압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4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1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2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2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1저항, 상기 제2저항, 상기 제3저항, 상기 제4저항, 상기 제5저항 및 상기 제6저항을 이용하여 제1 전압분배를 하는 것
    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 각각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1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3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3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4저항의 일측이 전원전압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1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1저항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6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1저항, 상기 제3저항, 상기 제4저항, 상기 제5저항 및 상기 제6저항을 이용하여 제2 전압분배를 하는 것
    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1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1 단자에만 연결된 경우,
    상기 제4저항의 일측이 전원전압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6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4저항, 상기 제5저항 및 상기 제6저항을 이용하여 제3 전압분배를 하는 것
    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2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2 단자에만 연결된 경우,
    상기 제2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3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2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3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2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4저항의 일측이 전원전압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4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5저항의 다른 측이 상기 제2저항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일측이 상기 제2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에 직렬연결되며, 상기 제6저항의 다른 측이 그라운드에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2저항, 상기 제3저항, 상기 제4저항, 상기 제5저항 및 상기 제6저항을 이용하여 제4 전압분배를 하는 것
    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전압 분재가 제1 전압분배이면, 서로 직렬연결된 상기 제5저항 및 제6저항에 걸린 전압을 제1 센싱 전압 값으로 출력하고,
    전압 분배가 제2 전압분배이면, 서로 직렬연결된 상기 제5저항 및 제6저항에 걸린 전압을 제2 센싱 전압 값으로 출력하며,
    전압 분배가 제3 전압분배이면, 서로 직렬연결된 상기 제5저항 및 제6저항에 걸린 전압을 제3 센싱 전압 값으로 출력하고,
    전압 분배가 제4 전압분배이면, 서로 직렬연결된 상기 제5저항 및 제6저항에 걸린 전압을 제4 센싱 전압 값으로 출력하는 것
    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상기 제1 센싱 전압 값인 경우,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 각각에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상기 제2 센싱 전압 값인 경우,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 각각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상기 제3 센싱 전압 값인 경우,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1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1 단자에만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상기 제4 센싱 전압 값인 경우, 상기 인터락 커넥터가 상기 제2 스위치로 상기 센싱부의 제2 단자에만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
    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출력된 센싱 전압 값이 상기 제2 센싱 전압 값, 상기 제3 센싱 전압 값 및 상기 제4 센싱 전압 값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인터락 커넥터와 상기 센싱부의 연결이 불량인 것으로 인식하는 것
    인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KR1020140148365A 2014-10-29 2014-10-29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KR102291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365A KR102291154B1 (ko) 2014-10-29 2014-10-29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365A KR102291154B1 (ko) 2014-10-29 2014-10-29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365A KR20160050365A (ko) 2016-05-11
KR102291154B1 true KR102291154B1 (ko) 2021-08-19

Family

ID=5602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365A KR102291154B1 (ko) 2014-10-29 2014-10-29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056A (ko) * 2018-02-08 2018-03-15 주식회사 경신 퓨즈 스위치의 작동상태 식별 장치
KR20180028055A (ko) * 2018-02-08 2018-03-15 주식회사 경신 퓨즈 스위치의 작동상태 식별 장치
KR20180028054A (ko) * 2018-02-08 2018-03-15 주식회사 경신 퓨즈 스위치의 작동상태 식별 장치
KR102449128B1 (ko) 2018-05-25 2022-09-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기적 연결성 검증 장치
CN109100597A (zh) * 2018-10-18 2018-12-28 奇瑞新能源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高压环路互锁故障定位电路及定位方法
KR102385906B1 (ko) * 2020-10-13 2022-04-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체결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CN112977068A (zh) * 2021-03-18 2021-06-18 奇瑞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的高压保护方法、装置及电动汽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1634A1 (en) * 2006-09-07 2008-03-13 Ricoh Company, Limited Power-supply control device, interlock device, and electr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310B1 (ko) * 2012-11-12 2019-07-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자동차의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1634A1 (en) * 2006-09-07 2008-03-13 Ricoh Company, Limited Power-supply control device, interlock device, and electr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365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154B1 (ko) 차량용 전원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US9851387B2 (en) HVIL signal generator and detector with loop diagnostics
CN110034593B (zh) 充电管理装置
US9281684B2 (en) Interconnect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a vehicle on-board diagnostics (OBD) data port includes circuitry which prevents back feeding of power through the OBD data port
CN103176070B (zh) 故障采集电路及具有其的故障诊断电路
TWI509938B (zh) 信號產生電路
WO2019054128A1 (ja) 高電圧機器用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11381122B2 (en) Method for detecting a plug-in operation
EP3056866B1 (en) Diagnostic reporting for sensor integrated circuits
CN207232324U (zh) 一种低边驱动的故障诊断电路
KR102004310B1 (ko)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자동차의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CN106154145A (zh) 一种应用于高压电池接触器的故障检测设备和故障检测方法
CN106885967A (zh) 一种高压互锁检测装置及方法
US95881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high-voltage arrangement
CN105449469A (zh) 电连接器和车辆
JP6160504B2 (ja) 受電装置
CN105848393A (zh) 故障检测设备及方法
JP2015156743A (ja) 受電装置
CN104580629B (zh) 一种基于信号改进的手机模块天线开路检测装置和方法
US9176172B2 (en) Power level identification circuit, power level flag circuit and power level supply system
CN105429196B (zh) 在充电过程中保护导体的监视
EP3581948B1 (en) Apparatus for verifying electrical connectivity
CN207215978U (zh) 数字开关检测电路
CN105701049A (zh) 写入充电标志位的系统、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9387778A (zh) 数字开关检测电路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