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836B1 - 5g 통신 시스템의 망 접속 제어 방법 및 망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5g 통신 시스템의 망 접속 제어 방법 및 망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836B1
KR102290836B1 KR1020190049895A KR20190049895A KR102290836B1 KR 102290836 B1 KR102290836 B1 KR 102290836B1 KR 1020190049895 A KR1020190049895 A KR 1020190049895A KR 20190049895 A KR20190049895 A KR 20190049895A KR 102290836 B1 KR102290836 B1 KR 10229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dicated
terminal
session
network sl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203A (ko
Inventor
이현송
김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049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83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04W36/385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of the co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5G 통신 시스템의 망 접속 제어 방법 및 망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코어망의 세션 관리 장치가 단말의 망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이동성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의 세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션 생성 요청으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기초로, 복수의 전용 게이트웨이 중에서 상기 단말과 세션을 연결할 전용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한 전용 게이트웨이로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생성 요청은, 상기 단말이 공용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용망으로 전환 요청 또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의 전환 요청에 따라 발생한다.

Description

5G 통신 시스템의 망 접속 제어 방법 및 망 전환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AND NETWORK SWITCHING OF 5G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망 접속 제어 방법 및 망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5세대(5G) 통신망의 NSA(Non Standalone) 구조에서 접속망을 변경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이동통신 시장이 활성화되고 스마트폰 등의 보급률이 확대됨에 따라, 광대역 이동통신과 스마트폰을 기업 서비스에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였다. 종래의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기업 전용 데이터 서비스에서는 코어망을 기업 사내망 등의 전용망과 인터넷망 등의 공용망으로 분리하고, 단말을 전용망 또는 공용망으로 접속시킨다.
그런데,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목적에 따라 최적화된 네트워크 요소들을 선택해서 사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제공한다. 이는 서비스 목적에 따라 최적의 QoS(Quality of Service)를 적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5G 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업 전용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용망 접속을 위한 망 전환 기술 뿐만 아니라, 선택된 서비스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접속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기술이 필요하다.
한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 단체의 총회에서 5G 구조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을 때, 2020년 이전 빠른 상용화 수요를 가진 국가의 통신 사업자들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요구와 새로운 서비스 창출이 가능한 표준 기술을 연구하고 만드는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었다.
이 두 가지 상반된 요구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구조의 후보안들이 논의되었다. 논의 결과 NSA(Non Standalone) 구조와 SA(Stand Alone) 구조가 도입되었다. NSA 구조는 빠른 상용화를 원하는 사업자를 위하여 새로운 무선 기술을 기존 LTE 시스템과 함께 사용한다. SA 구조는 새로운 무선 기술을 새로운 네트워크 구조와 함께 사용한다.
따라서, 현재 5G 시스템의 구조는 5G 단말 뿐만 아니라 코어망까지 모두 5G 장비인 SA 구조와 5G 단말과 기존 LTE 코어망이 혼재하는 NSA로 구분된다.
SA 구조에서는 5G 표준에 따라 슬라이스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 예를들어, NSSAI(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DNN(Data Network Name) 등이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NSA 구조에서는 LTE 코어망을 사용하므로, 이러한 5G 표준에 정의된 식별자를 사용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종속성을 탈피하여 모든 단말에 즉시 구현이 가능하고, 코어망의 변경 사항을 최소화하여 전용망 서비스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전환할 수 있는 망 접속 제어 방법 및 망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망 접속 제어 방법은 코어망의 세션 관리 장치가 단말의 망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이동성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의 세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션 생성 요청으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기초로, 복수의 전용 게이트웨이 중에서 상기 단말과 세션을 연결할 전용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한 전용 게이트웨이로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생성 요청은, 상기 단말이 공용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용망으로 전환 요청 또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의 전환 요청에 따라 발생한다.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전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 정보 저장 장치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단말의 망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프로파일에 수록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에 정의된 복수의 가입자 파라미터 중에서 사전 정의된 유휴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사용 타입(Usage Type)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과금 특성(Charging Characteristics, CC)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용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가상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세션 생성 요청은, 상기 복수의 가상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가상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단말 간의 세션 연결 요청일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세션 생성 요청으로부터 추출한 APN(Access Point Name)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한 가상 APN에 대응하는 전용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가상 APN은, 상기 전용 게이트웨이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가상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에서 상기 단말과 세션을 연결할 가상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용 게이트웨이로 전송되는 세션 생성 요청은, 상기 가상 APN을 기초로 선택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QoS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로 또는 가입자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코어망은, 5G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기지국과 연결되고, LTE(Long-Term Evolution) 레거시 장비에 5G 코어 기능이 포함된 5G NSA(Non Stand Alone)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망 전환 방법은 코어망의 가입자 정보 저장 장치가 단말이 접속하는 망을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의 전용망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공용 APN(Access Point Name)을 전용 APN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전용 APN에 디폴트로 설정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상기 전용망 전환 이벤트에 포함된 서비스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에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을 이동성 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 APN은,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단말의 전용망 세션을 생성할 세션 관리 장치를 선택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세션 관리 장치가 복수의 전용 게이트웨이 중에서 상기 단말과 세션을 연결할 전용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전용망 전환 이벤트는, 상기 단말 또는 서드파티 서버와 연결된 망 전환 서버로부터 망 전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발생하고, 상기 망 전환 요청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망 전환 서버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서드파티 서버로부터 상기 망 전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가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전용 게이트웨이 중에서 상기 연결할 전용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망 전환 방법은 코어망의 가입자 정보 저장 장치가 단말이 접속하는 망을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로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을 이동성 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 설정된 전용 APN은,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단말의 전용망 세션을 생성할 세션 관리 장치를 선택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세션 관리 장치가 복수의 전용 게이트웨이 중에서 상기 단말과 세션을 연결할 전용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선택된 전용 게이트웨이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가상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에서 상기 단말과 세션을 연결할 가상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에서 APN(Access Point Name)을 변경하지 않고, 네트워크의 동작만으로 단말이 접속할 망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전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의 종속성을 탈피하여 단말 규격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즉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 코어망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을 제공하는 5G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 구조(A)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결 구조(A)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연결 구조(A)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용망에서 전용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b에서 전용망 세션 생성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b에서 전용망 세션 생성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5b에서 전용망 세션 생성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망에서 공용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요청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요청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송 또는 제공"은 직접적인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를 통해 또는 우회 경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전송 또는 제공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도면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PSS(Portable Subscriber Station), AT(Access Terminal),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무선 기기 등의 용어로 불릴 수도 있고, UE, MS, MT, SS, PSS, AT,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무선 기기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은 기지국(base station, BS),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여 원격의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FS_NextGen(Study on Architecture for Next Generation System)과 같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세대(5G) 시스템과 관련된 표준 문서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코어망을 통해 공용망과 전용망을 분리하고 특정 지역 또는 특정 가입자만 전용망에 접속하도록 하는 전용망 서비스 기술을 사용한다.
공용망은 불특정 다수에게 허용되는 일반망으로서, 공중망(Public Network)또는 인터넷(Internet)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전용망은 특정 가입자에 한해 외부 접근이 허용되는 망으로서, 사설망(Private Network), 사내망, 내부망, 인트라넷(Intranet), 전용(Dedicated) 네트워크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용망과 전용망은 분리된 트래픽 경로를 의미하고,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될 필요는 없다. 예를들어, 공용망과 전용망은 동일한 물리적 경로에 생성된 서로 다른 베어러일 수 있다.
전용망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비스 별로 구분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즉,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서비스 별로 독립된다. 이러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역시 동일한 물리적 경로에 생성된 서로 다른 베어러일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 시스템의 망 접속 제어 방법 및 망 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을 제공하는 5G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결 구조(A)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연결 구조(A)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1의 연결 구조(A)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기지국(200)을 통해 코어 시스템(300)에 접속한다. 기지국(200)은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사용하여 단말(10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고, 단말(100)과 코어 시스템(300)을 연결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200)은 5G RAT을 이용하여 단말(100)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200)은 Wi-Fi와 같은 non-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100)과 통신할 수 있다.
단말(100)은 코어 시스템(300)을 통하여 연결된 공용망(600) 또는 전용망(7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전용망(700)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는 서로 다른 서비스 별로 구분된다. 예를들어,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는 사내망,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IoT(Internet of Things) 등과 같은 서비스 별로 구분된다.
코어 시스템(300)은 단말(100)의 망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100)을 공용망(600)에서 전용망(700) 또는 전용망(700)에서 공용망(600)으로 전환시킬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 간에도 전환시킬 수 있다. 코어 시스템(300)은 단말(100)을 공용망(600)에서 전용망(700)으로 접속시키면서 전용망(700) 내에서도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로 접속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단말(100)을 네트워크 슬라이스 #1(701)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2(703)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처럼, 코어 시스템(300)은 단말(100)이 이용하는 서비스에 따라 단말(100)이 접속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를 전환시킬 수 있다.
단말(100)은 기지국(200)을 통해 망 전환 서버(400)에 접속한다. 망 전환 서버(400)는 서드파티(third party) 서버(500)와 연결된다.
단말(100)은 기 정의된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면, 망 전환 서버(400)로 망 전환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기 정의된 트리거 이벤트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단말(100)에 공용망 세션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망 전환 요청은 공용망 세션과 상이한 독립적인 경로(예컨대, 회선교환 기반의 경로, Wifi망 기반 경로)를 통해서 망 전환 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망 전환 서버(400)는 단말(100)로부터 망 전환 요청을 수신하여 UDM(303)에게 전달하는 중개 장치로 동작한다. 망 전환 서버(400)는 단말(100) 또는 서드파티(3party) 서버(500)로부터 전용망과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의 접속 요청을 받으면 단말(100)에서 요청한 기능에 대해 필요한 인증을 하고, UDM(303)으로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 접속에 필요한 절차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필요한 인증이라 함은 예를들어, 기업 내 출입 인증 등이 될 수 있다.
망 전환 서버(400)는 독립된 물리적인 구성일 수 있다.
망 전환 서버(400)는 서드파티 서버(500)와 하나의 물리적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나, 망 전환 서버(400)는 물리적인 설계에 있어서 한정이 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및 실시예에 따라 서드파티(3party) 서버(500) 또는 UDM(303)과 물리적으로 같이 또는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서드파티 서버(500)는 통신 사업자와 다른 사업자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예를들면, 전용망 서비스 지역에 설치되어, 단말(100)의 전용망 진입 또는 이탈을 인식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또는 출입 관리 서버일 수 있다.
단말(100)이 전송하는 망 전환 요청 또는 서드파티 서버(500)가 전송하는 망 전환 요청은 공용망(600)에서 전용망(700)으로 변경을 요청하는 전용망 전환 요청, 전용망(700) 중에서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로 접속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요청, 전용망(700)에서 공용망(600)으로 변경을 요청하는 공용망 전환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망 전환 요청은 전환 대상인 단말 또는 가입자의 식별 정보와 요청 정보를 포함한다. 전환 대상인 단말 또는 가입자의 식별 정보는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정보는 공용망에서 전용망으로의 전환 요청,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전환 요청, 전용망에서 공용망으로의 전환 요청을 포함한다. 이때, 요청 정보는 전용망(700)을 나타내는 구분자 또는 공용망(600)을 나타내는 구분자,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를 나타내는 구분자를 포함한다. 그러나 여기서 구분자들은 코어 시스템(300)에서 망 전환 절차에서 사용하는 구분자와는 다른 개념이다.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구분자들은 예를들어, 전용망 접속 온(On) 또는 오프(Off), 특정 전용망 서비스의 온(On) 또는 오프(Off)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구분자들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대응하는 특정 전용망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서비스 명칭, 서비스 식별자 등이 될 수도 있다. 또는,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구분자들은 특정 전용망 서비스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구분자들은 전용망 서비스 지역 또는 공용망 서비스 지역을 나타내는 셀 ID 등일 수도 있다.
이처럼,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구분자들은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하므로, 특정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전환을 요청하는 망 및/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코어 시스템(300)에서 식별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요청 정보는 요청 정보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어, 단말(100)이 CCTV 전용 단말일 경우, 요청 정보는 전용망 전환 요청만 포함되지만, 코어 시스템(300)에서는 단말(100)에 CCTV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1(701)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용망 전환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요청이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CCTV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1(701)으로의 접속 요청이 된다. 또한, 단말(100)이 사내망과 IoT 망에 모두 접속 권한이 있는 단말이라면, 전환 요청 정보는 전용망 전환 요청과 더불어 사내망으로의 전환 요청인지 또는 IoT망으로의 전환 요청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시스템(300)은 단말(100)을 공용망(600) 또는 복수의 전용망(700)으로 접속시키고, 전용망(700) 내에서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로 접속시킨다. 이러한 코어 시스템(300)은 5G 코어 장비들을 포함하는데, 이동성 관리 장치(Access and Mobility Function, 이하, 'AMF'라 통칭함)(301), 가입자 정보 저장 장치(User Data Management, 이하, 'UDM'이라 통칭함)(303), 세션 관리 장치(Session Management Function, 이하, 'SMF'이라 통칭함)(305, 307), 게이트웨이(User Plane Function, 이하, 'UPF'라 통칭함)(309, 311, 313, 315), 네트워크 저장소(Network Repository Function, 이하, 'NRF'라 통칭함)(317)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SMF는 공용 SMF(305)와 전용 SMF(307)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는 공용 UPF(309)와 적어도 하나의 전용 UPF(311, 313, 315)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시스템(300)은 LTE(Long-Term Evolution) 레거시 장비에 5G 코어 장비(301, 303, 305, 307, 309, 311, 313, 315, 317)의 기능이 가상화 기술 등을 이용하여 탑재된 5G NSA(Non Stand Alone)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200)은 5G RAT을 사용한다.
코어 시스템(300)은 제어 평면 기능(Control Plane functions) 및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을 포함한 장치들의 집합이다. 코어 시스템(300)의 제어 평면 기능은 AMF(301), UDM(303), 공용 SMF(305), 전용 SMF(307), NRF(317)를 포함한다. 코어 시스템(300)의 사용자 평면 기능은 공용 UPF(309), 복수의 전용 UPF(311, 313, 315)를 포함한다.
AMF(301)는 이동성 관리 장치로서, 기지국(200)과 연결되어 NAS(Non Access Stratuem)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100)의 접속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AMF(301)는 단말(100)의 이동 상태를 관리하는데, 예를들면, 단말(100)이 현재 어느 무선 접속망에 접속해 있는지, 휴지 상태(Idle state) 인지 등을 관리한다.
AMF(301)는 단말(100)로부터 접속 요청(Attach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다. AMF(301)는 단말(100)로부터 PDU(Protocol Data Unit) 세션 생성 요청(Creat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PDU 세션 요청 메시지는 접속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AMF(301)는 적어도 하나의 SMF(305, 307)에 연결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SMF는 공용 SMF(305) 및 전용 SMF(307)로 구분된다. AMF(301)는 공용 SMF(305) 및 전용 SMF(307)에 연결되어 있다. AMF(301)는 UDM(303)으로부터 제공받은 망 식별자를 이용하여 공용 SMF(305) 또는 전용 SMF(307)를 선택한다. 여기서, 망 식별자는 APN(Access Point Name)으로서, APN은 APN-NI(Network Identifier) 및 APN-OI(Operator Identifier)로 구성된다.
이때, 망 식별자가 공용 APN인지 전용 APN인지는 APN-OI에 의해 결정된다. APN-NI는 네트워크 식별자(ID)로서, 일반적으로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이 기록되며, 변경할 수 없다. 예를 들면, 공용 APN 이든 전용 APN 이든 관계없이 'lte'로 설정될 수 있다. APN-NI는 단말(100)에 저장되거나 또는 단말(100)이 PDU 세션 생성 요청시 사용된다. APN-OI는 네크워크 식별자 뒤에 붙여지는 망 운영을 위한 사업자 ID, 즉, 오퍼레이터 식별자로서, 공용 SMF(305)를 나타내는 도메인 또는 전용 SMF(307)를 나타내는 도메인이 기록된다. 예를들면, 공용 APN-OI는 공용 SMF(305)의 도메인을 나타내는 "internet.kt.co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용 APN-OI는 전용 SMF(307)의 도메인을 나타내는 "enterpriseA.telecom.com"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공용 APN은 "lte.internet.kt.com"이 되고, 전용 APN은 "lte. enterpriseA.telecom.com"이 될 수 있다.
AMF(301)는 NRF(317)로 APN에 대응하는 IP(Internet Protocol) 또는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을 질의하여 SMF(305, 307)의 주소를 획득한다.
AMF(301)는 선택된 SMF(305, 307)에게 단말(100)의 세션 생성 요청을 전달한다. 이때, 세션 생성 요청은 UDM(303)으로부터 제공받은 APN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AMF(301)는 UDM(303)으로부터 단말(100)의 세션 종료 요청을 수신하면, 기존에 형성된 단말(100)의 PDU 세션을 종료한다.
UDM(303)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가입자 프로파일을 단말(100) 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가입자 프로파일에는 단말(100)의 전용망 가입 유무, 단말(100)의 망 식별자인 APN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포함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서로 다른 전용망 서비스를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이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전용망 식별자인 APN에 적어도 하나가 매칭되어 있다.
UDM(303)은 전용망 서비스 가입자인 단말(100)의 식별 정보, 공용 APN, 전용 APN, 그리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매칭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단말 전화번호, IMSI, MSISDN 등이 될 수 있다. 공용 APN은 단말(100)의 식별 정보에 관계없이 모두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전용 APN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단말(100)의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있다.
UDM(303)은 AMF(301)에게 가입자 프로파일내의 APN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전송한다.
이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가입자 프로파일에 정의된 복수의 파라미터 중에서 호 처리 관련 파라미터를 제외한 나머지 유휴 파라미터들, 즉, 호 처리에 관여하지 않는 파라미터들 중에서 사전에 지정된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 있다. 호 처리에 관여하는 파라미터들은 가입자 전화번호, 임시, 기기번호, APN 등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단말(100)의 사용 타입(Usage Type)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 타입(Usage Type) 파라미터는 단말(100)과 연관된다. 즉, 단말(100) 별로 단 하나의 사용 타입(Usage Type) 파라미터가 존재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과금 특성(CC, Charging Characteristics)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 있다. 과금 특성(CC) 파라미터는 가입자가 가입한 요금 관련 정보를 나타낸다.
UDM(303)은 단말(100)로부터 망 전환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100)이 전용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을 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단말(100)의 가입자 프로파일의 APN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변경한다. 이때, APN 변경은 APN-OI의 변경이다.
UDM(303)은 단말(100)이 전용망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단말(100)이 가입한 전용망을 식별하고, 식별한 전용망에 매핑된 APN-OI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100)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록된 공용 APN-OI를 전용 APN-OI로 변경한다. 그리고 망 전환 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가입자 프로파일에 수록한다. UDM(303)은 변경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AMF(301)의 요청에 따라 AMF(301)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100)에서 APN을 변경하지 않아도 단말(100)을 전용망 및 전용망 내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UDM(303)은 가입자 프로파일의 APN-OI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변경한 경우, 단말(100)에 대한 기존 세션의 종료를 AMF(301)로 요청한다.
공용 SMF(305) 및 전용 SMF(307)는 AMF(301)로부터 단말(100)의 PDU 세션 생성 요청을 수신하여 세션을 생성하는 등 세션 관리를 한다.
공용 SMF(305) 및 전용 SMF(307)는 단말(100)이 접속할 망(600, 700)에서 사용할 IP 주소를 할당한다.
공용 SMF(305)는 하나의 공용 UPF(309)에 연결되어 있다. 공용 SMF(305)는 AMF(301)로부터 수신한 세션 생성 요청으로부터 추출한 공용 APN을 이용하여 공용 UPF(301)로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용 SMF(307)는 복수의 전용 UPF(311, 313, 315)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전용 UPF(311, 313, 315)는 서로 다른 전용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용 SMF(307)는 AMF(301)로부터 수신한 세션 생성 요청으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전용 UPF(311, 313, 315)를 선택한다.
이때, 전용 SMF(307)는 망 식별자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기초로, 가상 APN(Virtual Access Point Name, vAPN)을 생성한다. 그리고 복수의 전용 UPF(311, 313, 315) 중에서 가상 APN(vAPN)에 대응하는 전용 UPF(311, 313, 315)를 선택한다.
전용 SMF(307)는 가상 APN(vAPN)에 대응하는 전용 UPF(311, 313, 315)의 IP 주소 또는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을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IP 주소 또는 FQDN를 이용하여 선택된 전용 UPF(311, 313, 315)에게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가상 APN(vAPN)은 다음 표 1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가입자 구분 서비스 Virtual APN/Slice# QoS
QCI/5QI ARP Resource Type
기업A 사내망/S1 Private.기업A.private.lte.com/Slice#1 9 90 Non-GBR
스마트팩토리/S2 Factory.기업A.private.lte.com/Slice#2 3 30 GBR
CCTV/S3 CCTV.기업A.private.lte.com/Slice#3 4 50 GBR
기업B 사내망/S1 Private.기업B.private.lte.com/Slice#1 9 90 Non-GBR
CCTV/S3 CCTV.기업B.private.lte.com/Slice#2 4 50 GBR
IoT/S4 IoT.기업B.private.lte.com/Slice#3 8 80 Non-GBR
표 1을 참고하면, 기업A의 서비스는 사내망/S1, 스마트 팩토리/S2, CCTV/S3를 포함한다. 기업A의 서비스 별 가상 APN(vAPN)은 "Private.기업A.private.lte.com/Slice#1", "Factory.기업A.private.lte.com/Slice#2", "CCTV.기업A.private.lte.com/Slice#3"일 수 있다.
기업B의 서비스는 사내망/S1, CCTV/S3, IoT/S4를 포함한다. 기업B의 서비스 별 가상 APN(vAPN)은 "Private.기업B.private.lte.com/Slice#1", "CCTV.기업B.private.lte.com/Slice#2", "IoT.기업B.private.lte.com/Slice#3"일 수 있다.
가상 APN(vAPN)에서, "Private", "Factory", "CCTV", "IoT"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서비스 명칭, 서비스 종류 등일 수 있다. 가상 APN(vAPN)에서, "기업A.private.lte.com" 또는 "기업B.private.lte.com"은 가입자 별 전용 APN이다. 가상 APN(vAPN)에서, "Slice#1, Slice#2, Slice#3"은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UDM(303)에서 획득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이용된다.
예를들어, 단말(100)이 기업A 가입자이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2로 접속을 요청할 경우, 가상 APN은 "Factory.기업A.private.lte.com/Silce#2"로 생성된다.
이때, 각 서비스 별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가 매칭되어 있다. 따라서, 전용 SMF(307)는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에 매칭되는 QoS 파라미터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QoS 파라미터를 전용 UPF(311, 313, 315)로 전송하는 세션 생성 요청에 포함시킨다.
공용 UPF(309) 및 복수의 전용 UPF(311, 313, 315)는 각각의 망(600, 700)과 연결되어, 단말(100)을 각각의 망(600, 700)으로 연결한다. 공용 UPF(309) 및 복수의 전용 UPF(311, 313, 315)는 IP 라우팅 및 포워딩 기능을 제공하며 패킷 필터링을 제공한다.
공용 UPF(309) 및 복수의 전용 UPF(311, 313, 315)는 각각의 망(600, 700)으로부터 전달되는 다운링크 PDU를 단말(100)로 전송하고,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PDU를 각각의 망(600, 700)으로 전송한다.
공용 UPF(309)는 공용망(600)에 연결되어, 단말(100)을 공용망(600)과 연결시키는 세션을 생성 및 관리한다.
전용망 UPF1(311)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1(701)에 연결되어, 단말(100)을 네트워크 슬라이스 #1(701)와 연결시키는 세션을 생성 및 관리한다.
전용망 UPF 2(313)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2(703)에 연결되어, 단말(100)을 네트워크 슬라이스 #2(703)와 연결시키는 세션을 생성 및 관리한다.
전용망 UPF3(315)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3(705)에 연결되어, 단말(100)을 네트워크 슬라이스 #3(705)와 연결시키는 세션을 생성 및 관리한다.
NRF(317)는 NF(Network Function) 저장소로서, NF 인스턴스(Instance)의 검색 기능(Discovery Request), NF 프로파일 및 사용 가능한 NF 인스턴스의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용 SMF(307)와 전용 UPF(311, 313, 315), 전용 UPF(311, 313, 315)와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의 연결 구조(A)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 구조(A)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전용 SMF(307)에 복수의 전용 UPF(311, 313, 315)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전용 UPF(311, 313, 315)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단위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A)는 AMF(301)에 적어도 두개의 전용 SMF(307-1, 307-3)가 연결된다. 전용 SMF #1(307-1), 전용 SMF #2(307-3) 각각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단위로 독립된 복수의 UPF(311, 313, 315)가 연결되어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용 SMF #1(307-1)은 기업A를 위한 전용 SMF이고, 전용 SMF #2(307-3)은 기업B를 위한 전용 SMF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용 SMF #1(307-1)은 특정 가입자를 위한 전용 SMF이고, 전용 SMF #2(307-3)는 모든 전용망 서비스 가입자를 위한 전용 SMF일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A)는 하나의 전용 UPF(311, 313)에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가 연결되어 있다. 전용 UPF(311, 313)는 VLAN(Virtual Local-Area Network)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를 구분한다. 이 경우, 전용 UPF(311, 313)는 전용 SMF(307)로부터 수신한 가상 APN(vAPN)을 VLAN 식별자로 하여, 접속할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를 구분한다.
이때, 전용 UPF #1(311)와 전용 UPF #2(313)는 하나의 전용 SMF(307)에 연결되고, 하나의 전용 SMF(307)는 AMF(301)에 연결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용 UPF #1(311)은 기업A를 위한 전용 UPF이고, 전용 UPF #2(313)는 기업B를 위한 전용 UPF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용 UPF #1(311)은 특정 가입자를 위한 전용 UPF이고, 전용 UPF #2(313)는 모든 전용망 서비스 가입자를 위한 전용 전용 UPF일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A)는 도 2 및 도 3이 결합된 실시예에 해당된다. 즉, 전용 SMF(307-1, 307-3), 전용 UPF(311, 313)가 전용 그룹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전용 UPF(311, 313)에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전용 UPF(311, 313)는 전용 SMF(307-1, 307-3)로부터 수신한 가상 APN을 VLAN 식별자로 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를 구분한다.
이때,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용 UPF #1(311)와 전용 SMF #1(307-1)은 기업A를 위한 전용 그룹이고, 전용 UPF #2(313)와 전용 SMF #2(307-3)은 기업B를 위한 전용 그룹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용 UPF #1(311)와 전용 SMF #1(307-1)은 특정 가입자를 위한 전용 그룹이고, 전용 UPF #2(313)와 전용 SMF #2(307-3)은 모든 전용망 서비스 가입자를 위한 전용 그룹일 수 있다.
이상의 도 1 ~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는 연결된 UPF(311, 313, 315) 및/또는 SMF(307-1, 307-3)에 따라 동일한 서비스라 하더라도 QoS 파라미터가 다르게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이제, 전술한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망 전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용망에서 전용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단말(101)과 공용 UPF(309) 간에 공용망 세션이 연결되어 있다(S101). UDM(303)은 전용망 전환 이벤트가 발생(S103)하면, 단말(100)이 전용망 접속 권한이 있는 단말인지 판단하는 인증을 한다(S105). 이때, 전용망 전환 이벤트에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의 전환 요청이 포함된 경우, 단말(100)이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접속 권한이 있는지 판단하는 인증을 더 수행할 수 있다(S105).
이때, UDM(303)은 단말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용망 가입자 및/또는 네트워크슬라이스 접속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UDM(303)은 가입자 리스트 및/또는 접속 권한 리스트를 저장하고, 망 전환 대상인 단말(100)의 단말 식별자가 가입자 리스트 및/또는 접속 권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식별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가 사용될 수 있다.
UDM(303)은 인증에 성공하면, 가입자 프로파일의 APN을 전용 APN으로 변경한다(S107).
UDM(303)은 S103 단계의 전용망 전환 이벤트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09).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용 APN에 매핑된 디폴트(default)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가입자 프로파일에 설정한다(S111).
전용망 전환 이벤트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전용 APN에 매핑된 네트워크 식별자들 중에서 전환 요청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를 선택하여 가입자 프로파일에 설정한다(S113).
도 5b를 참조하면, UDM(303)은 단말(100)의 기 접속된 공용망 PDU 세션 해제 요청을 AMF(301)에게 전송한다(S115). AMF(301)는 단말(100)에게 공용망 PDU 세션 해제 요청을 전송한다(S117).
그러면, 단말(100)과 AMF(301), AMF(301)와 공용 SMF(305), 공용 SMF(305)와 공용 UPF(309) 간에 공용망 PDU 세션을 해제하는 절차(S119, S121, S123)가 수행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 절차(S119, S121, S123)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단말(100)은 AMF(301)의 공용망 PDU 세션 해제 요청에 따라 트리거된 공용망 PDU 세션 해제를 요청하는 메시지(예, dateach request)를 AMF(301)로 전송한다. AMF(301)는 공용망 PDU 세션 삭제를 요청하는 메시지(예, session release request)를 공용 SMF(305)로 전송하고, 공용 SMF(305)는 이 메시지를 공용 UPF(309)로 전송한다. 공용 UPF(309)는 단말(100)의 세션을 삭제한 후, 세션 삭제 응답 메시지(예, session release response)를 공용 SMF(305)로 전송하고, 공용 SMF(305)는 이를 AMF(301)로 전송한다. 그러면, AMF(301)는 공용망 PDU 세션 해제 완료 메시지(예, datach complete)를 단말(101)로 전송한다.
한편, 단말(100)은 공용 PDU 세션 종료로 인하여 트리거되는 PDU 세션 생성 요청을 AMF(301)에게 전송한다(S125).
AMF(103)는 UDM(303)에게 가입자 프로파일을 요청하여 수신한다(S127). AMF(103)는 S127 단계에서 수신한 가입자 프로파일로부터 확인한 전용 APN에 대응하는 전용 SMF(307)를 선택한다(S129).
AMF(103)는 선택(S129)한 전용 SMF(307)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131). 이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은 가입자 프로파일로부터 획득한 전용 APN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전용 SMF(307)는 S131 단계에서 수신한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으로부터 추출한 전용 APN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기초로 가상 APN(vAPN)을 생성한다(S133). 그리고 가상 APN(vAPN)을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를 선택한다(S135).
전용 SMF(307)는 선택(S135)한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S137)하고 전용망 세션 수락 응답을 수신한다(S139). 전용망 세션 수락 응답은 전용 SMF(307), AMF(301)를 통해 단말(100)로 전달된다(S141, S143).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말(100)과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 간에 PDU 전용망 세션이 연결된다(S145).
도 6은 도 5b에서 전용망 세션 생성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특히, 도 5b의 S129 ~ S13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대응한다.
도 6을 참조하면, AMF(301)는 AMF(301)에 연결된 복수의 전용 SMF(307-1, 307-3) 중에서 전용 APN에 대응하는 전용 SMF(307-1 또는 307-3)를 선택한다(S201).
AMF(301)는 선택(S201)한 전용 SMF(307-1 또는 307-3)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203).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은 전용 APN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전용 SMF(307-1 또는 307-3)는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에 포함된 전용 APN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기초로 가상 APN(vAPN)을 생성한다(S205). 그리고 가상 APN(vAPN)에 대응하는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를 선택한다(S207).
전용 SMF(307-1 또는 307-3)는 선택(S207)한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209). 이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은 가상 APN(vAPN)을 포함한다.
도 7은 도 5b에서 전용망 세션 생성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특히, 도 5b의 S129 ~ S13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3의 실시예에 대응한다.
도 7을 참조하면, AMF(301)는 가입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전용 APN을 기초로 전용 SMF(307)를 선택한다(S301).
AMF(301)는 선택(S301)한 전용 SMF(307)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303).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은 전용 APN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전용 SMF(307)는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에 포함된 전용 APN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기초로 가상 APN(vAPN)을 생성한다(S305). 그리고 가상 APN(vAPN)에 대응하는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를 선택한다(S307).
전용 SMF(307)는 선택(S307)한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309). 이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은 가상 APN(vAPN)을 포함한다.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는 연결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 중에서 가상 APN(vAPN)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 중 하나)를 선택한다(S311). 이때,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독립된 VLAN으로서, 가상 APN(vAPN)이 VLAN 식별자로 사용된다.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는 선택(S311)한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 중 하나)와 단말(100) 간의 전용망 세션을 생성한다(S313).
도 8은 도 5b에서 전용망 세션 생성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특히, 도 5b의 S129 ~ S13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4의 실시예에 대응한다.
도 8을 참조하면, AMF(301)는 AMF(301)에 연결된 복수의 전용 SMF(307-1, 307-3) 중에서 전용 APN에 대응하는 전용 SMF(307-1 또는 307-3)를 선택한다(S401).
AMF(301)는 선택(S401)한 전용 SMF(307-1 또는 307-3)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403).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은 전용 APN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전용 SMF(307-1 또는 307-3)는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에 포함된 전용 APN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기초로 가상 APN(vAPN)을 생성한다(S405). 그리고 가상 APN(vAPN)에 대응하는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를 선택한다(S407).
전용 SMF(307-1 또는 307-3)는 선택(S407)한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409). 이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은 가상 APN(vAPN)을 포함한다.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는 연결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 중에서 가상 APN(vAPN)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 중 하나)를 선택한다(S411). 그리고 선택(S411)한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 중 하나)와 단말(100) 간의 전용망 세션을 생성한다(S413).
또한, 단말(100)은 전용망(7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간 전환을 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1(701)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2(703)로 전환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특히, 하나의 전용 UPF에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연결된 실시예(도 1, 도 2)에 해당된다. 이때, 전용 SMF가 여러개 일 수도 있으나, 도 9의 흐름도에는 하나만 기재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101)과 전용 UPF #1(311) 간에 전용망(네트워크 슬라이스 #1) 세션이 연결되어 있다(S501).
UDM(303)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이벤트가 발생(S503)하면, 가입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1)를 전환 요청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2)로 변경한다(S505).
UDM(303)은 AMF(301)에게 기존 세션 해제를 요청한다(S507). 그러면, AMF(301)는 단말(100)에게 기존 세션 해제를 요청한다(S509).
그러면, 단말(100)과 AMF(301), AMF(301)와 전용 SMF(307), 전용 SMF(307)와 전용 UPF #1(311) 간에 전용망 PDU 세션(네트워크 슬라이스 #1)을 해제하는 절차(S511, S513, S515)가 수행된다. 이때, S511, S513, S515는 도 4에서 설명한 절차(S119, S121, S123)와 유사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전용망 PDU 세션(네트워크 슬라이스 #1)의 해제가 완료되면, 이로 인해 트리거되는 망 접속 요청을 AMF(301)에게 전송한다(S517).
AMF(103)는 UDM(303)에게 가입자 프로파일을 요청하여 수신한다(S519). AMF(103)는 S519 단계에서 수신한 가입자 프로파일로부터 APN을 확인하고, 확인한 APN, 즉, 전용 APN에 대응하는 전용 SMF(307)를 선택한다(S521). S505 단계에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만 변경되었으므로, APN은 전용 APN으로 이전 세션과 동일하다.
AMF(103)는 선택(S521)한 전용 SMF(307)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523). 이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은 가입자 프로파일로부터 획득한 전용 APN 및 변경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2)를 포함한다.
전용 SMF(307)는 S523 단계에서 수신한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으로부터 추출한 전용 APN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2)를 기초로 가상 APN(vAPN)을 생성한다(S525). 그리고 가상 APN(vAPN)을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를 선택한다(S527).
전용 SMF(307)는 선택(S527)한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S529)하고 전용망 세션 수락 응답을 수신한다(S531). 전용망 세션 수락 응답은 전용 SMF(307), AMF(301)를 통해 단말(100)로 전달된다(S533, S535).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말(100)과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 간에 PDU 전용망 세션(네트워크 슬라이스 #2)이 연결된다(S537).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특히, 하나의 전용 UPF에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연결된 실시예(도 3, 도 4)에 해당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101)과 전용 UPF #1(311) 간에 전용망(네트워크 슬라이스 #1) 세션이 연결되어 있다(S601).
UDM(303)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이벤트가 발생(S603)하면, 가입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1)를 전환 요청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2)로 변경한다(S605).
UDM(303)은 AMF(301)에게 기존 세션 해제를 요청한다(S607). 그러면, AMF(301)는 단말(100)에게 기존 세션 해제를 요청한다(S609).
그러면, 단말(100)과 AMF(301), AMF(301)와 전용 SMF(307), 전용 SMF(307)와 전용 UPF #1(311) 간에 전용망 PDU 세션(네트워크 슬라이스 #1)을 해제하는 절차(S611, S613, S615)가 수행된다. 이때, S611, S613, S615는 도 4에서 설명한 절차(S119, S121, S123)와 유사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전용망 PDU 세션(네트워크 슬라이스 #1)의 해제가 완료되면, 이로 인해 트리거되는 망 접속 요청을 AMF(301)에게 전송한다(S617).
AMF(103)는 UDM(303)에게 가입자 프로파일을 요청하여 수신한다(S619). AMF(103)는 S619 단계에서 수신한 가입자 프로파일로부터 APN을 확인하고, 확인한 APN, 즉, 전용 APN에 대응하는 전용 SMF(307)를 선택한다(S621). S505 단계에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만 변경되었으므로, APN은 전용 APN으로 이전 세션과 동일하다.
AMF(103)는 선택(S621)한 전용 SMF(307)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623). 이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은 가입자 프로파일로부터 획득한 전용 APN 및 변경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2)를 포함한다.
전용 SMF(307)는 S623 단계에서 수신한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으로부터 추출한 전용 APN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2)를 기초로 가상 APN(vAPN)을 생성한다(S625). 그리고 가상 APN(vAPN)을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를 선택한다(S627).
전용 SMF(307)는 선택(S627)한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629).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는 S629 단계에서 수신한 가상 APN(vAPN)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2를 선택(S631)하고, 선택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2(703)와 단말(100) 간의 전용망 세션 수락 응답을 전송한다(S633). 이 전용망 세션 수락 응답은 전용 SMF(307), AMF(301)를 통해 단말(100)로 전달된다(S635, S637).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말(100)과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 간에 PDU 전용망 세션(네트워크 슬라이스 #2)이 연결된다(S639).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망에서 공용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4 ~ 도 10의 과정 이후, 공용망으로 복귀하는 과정을 나타낸다.도 11을 참조하면, 단말(100)과 전용 UPF1(311) 간에 전용망 세션이 연결되어 있다(S701).
UDM(303)은 전용망에서 공용망으로 망 변경을 요청하는 공용망 전환 이벤트가 발생(S703)하면, 가입자 프로파일의 전용 APN을 공용 APN으로 변경한다(S705). 이때, 전용 APN에 매핑되어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가입자 프로파일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S705).
UDM(303)은 단말(100)의 기 접속된 PDU 세션인 전용망 세션 해제 요청을 AMF(301)에게 전송한다(S707). AMF(301)는 단말(100)에게 전용망 세션 해제 요청을 전송한다(S709).
그러면, 단말(100)과 AMF(301), AMF(301)와 전용 SMF(307), 전용 SMF(307)와 전용 UPF(311, 313, 315 중 하나) 간에 전용망 세션을 해제하는 절차(S711, S713, S715)가 수행된다. 이때, S711, S713, S715는 도 4에서 설명한 절차(S119, S121, S123)와 유사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단말(100)은 전용 PDU 세션 해제로 인하여 트리거되는 망 접속 요청을 AMF(301)에게 전송한다(S717).
AMF(103)는 UDM(303)에게 가입자 프로파일을 요청하여 수신한다(S719). AMF(103)는 S719 단계에서 수신한 가입자 프로파일로부터 확인한 공용 APN에 대응하는 공용 SMF(305)를 선택한다(S721).
AMF(103)는 선택(S721)한 공용 SMF(305)에게 공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723). 이때, 공용망 세션 생성 요청은 가입자 프로파일로부터 획득한 공용 APN을 포함한다.
공용 SMF(305)는 공용 UPF(309)에게 공용망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725). 이때, 공용 SMF(305)는 공용 APN을 기초로 공용 UPF(309)를 선택한다.
공용 UPF(309)는 단말(100)과 공용망(600) 간에 공용망 세션을 생성하고, 공용망 세션 수락 응답을 공용 SMF(305)에게 전송한다(S727). 공용망 세션 수락 응답은 공용 SMF(305), AMF(301)를 통해 단말(100)로 전달된다(S729, S731).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말(100)과 공용 UPF(309) 간에 PDU 공용망 세션이 연결된다(S733).
전술한 전용망 전환 이벤트,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이벤트, 공용망 전환 이벤트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 발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요청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S801)하면, 망 전환 서버(400)로 망 전환 요청을 전송한다(S803). 망 전환 서버(400)는 망 전환 요청을 UDM(303)으로 전송한다(S805).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이 단말(100)에 탑재된 전용망 서비스 관련 앱(App)을 실행하거나 또는 앱 메뉴에서 전용망 접속 또는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할 때, 기 정의된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망 서비스 관련 앱은 스마트폰 앱일 수 있다. 이러한 전용 앱은 사용자가 선택하여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단말 제조사에 의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이 전용망 서비스 식별코드(예컨대, *770001)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경우,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단말(100)은 전용망 서비스 식별코드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망 전환 서버(400)로 전용망(700)과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전용망 서비스 식별코드는 전용망 구분자이면서 동시에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이 피쳐코드(feature code)를 포함하는 문자(SMS)를 발신하는 경우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단말(100)은 특정 피쳐코드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망 전환 서버(400)로 전용망(700)과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701, 703, 705)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피쳐코드는 숫자 또는 문자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피쳐코드는 전용망 구분자이면서 동시에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 정의된 트리거 이벤트는 전용망 모드를 사용자가 온 또는 오프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디바이스 메뉴에서 접속망으로 전용망을 선택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전용망 전환만 요청하는 경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정보는 단말(100)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입력되어 있는 디폴트(default)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망 전환 요청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서드파티 서버(500)는 단말(100)이 전용망 지역(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역)에 진입하는지 또는 단말(100)이 전용망 지역(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역)으로부터 이탈하는지,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1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2로 이동하는 경우, 트리거 이벤트를 생성한다(S901).
서드파티 서버(500)는 트리거 이벤트에 따른 망 전환 요청을 망 전환 서버(400)로 전송한다(S903). 그러면, 망 전환 서버(400)는 UDM(303)에게 망 전환 요청을 전송한다(S905).
이때, 트리거 이벤트는 단말(100)이 전용망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또는 전용망 서비스 지역에서 이탈하는 경우 또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 서드파티 서버(500)가 망 전환 서버(400)로 망 전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용망 서비스 지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단위로 독립된 복수개의 서비스 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서드파티 서버(500)는 단말(100)이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 혹은 단순히 전용망 전환을 요청하고, 디폴트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전환될 수도 있다.
따라서, S903, S905는 전용망(700) 또는 공용망(600)으로의 전환 요청 및/또는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의 전환 요청을 포함한다.
서드파티 서버(500)는 전용망(700)과 별개의 무선망을 통해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단말(100)의 진입 여부 또는 이탈 여부 또는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드파티 서버(500)는 전용망 지역에 설치된 와이파이(WiFi) AP를 통해 단말(100)의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서드파티 서버(500)는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단말(100)의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의 서비스 지역 진입 여부는 셀 ID(CELL ID), 지피에스(GPS), 글로나스(GLONASS), 지오펜스(GEOFFENCE) 등 모든 위치 확인을 가능케 하는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1 ~ 도 13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장치, 즉, AMF(301), UDM(303), 공용 SMF(305), 전용 SMF(307, 307-1, 307-3), 공용 UPF(309), 전용 UPF(311, 313, 315), NRF(317), 망 전환 서버(400), 서드파티 서버(500) 각각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장치(800)는 메모리 장치(801), 저장 장치(803), 통신 장치(805) 및 프로세서(807)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지정된 장소에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과 성능을 가진다. 프로그램은 도 1 부터 도 13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구현한 명령어(instructions)들을 포함하고, 메모리 장치(801) 및 프로세서(807)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코어망의 세션 관리 장치가 단말의 망 전환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이동성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의 세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션 생성 요청으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기초로, 복수의 전용 게이트웨이 중에서 상기 단말과 세션을 연결할 전용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한 전용 게이트웨이로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용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세션 생성 요청은,
    상기 단말이 공용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용망으로 전환 요청 또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에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의 전환 요청에 따라 발생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전환 요청에 따라 가입자 정보 저장 장치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단말의 망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프로파일에 수록되며,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세션 생성 요청에 포함시키는, 망 전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에 정의된 복수의 가입자 파라미터 중에서 사전 정의된 유휴 파라미터가 사용되는, 망 전환 제어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사용 타입(Usage Type)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망 전환 제어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과금 특성(Charging Characteristics, C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망 전환 제어 방법.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세션 생성 요청으로부터 추출한 APN(Access Point Name)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한 가상 APN에 대응하는 전용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망 전환 제어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가상 APN은,
    상기 단말과 세션을 연결할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망 전환 제어 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전용 게이트웨이로 전송되는 세션 생성 요청은,
    상기 가상 APN을 기초로 선택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QoS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로, 또는 가입자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망 전환 제어 방법.
  10. 제1항에서,
    상기 코어망은,
    5G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기지국과 연결되고, LTE(Long-Term Evolution) 레거시 장비에 5G 코어 기능이 포함된 5G NSA(Non Stand Alone) 구조인, 망 전환 제어 방법.
  11. 코어망의 가입자 정보 저장 장치가 단말이 접속하는 망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의 전용망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공용 APN(Access Point Name)을 전용 APN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전용 APN에 디폴트로 설정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상기 전용망 전환 이벤트에 포함된 서비스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에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을 이동성 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 APN은,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단말의 전용망 세션을 생성할 세션 관리 장치를 선택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세션 관리 장치가 복수의 전용 게이트웨이 중에서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세션을 연결할 전용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복수의 전용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과 각각 연결되는, 망 전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전용망 전환 이벤트는,
    상기 단말 또는 서드파티 서버와 연결된 망 전환 서버로부터 망 전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발생하고,
    상기 망 전환 요청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망 전환 서버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서드파티 서버로부터 상기 망 전환 서버로 전송되는, 망 전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전용 게이트웨이는,
    전용 게이트웨이 별로 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전용 게이트웨이 별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각각 연결되는, 망 전환 제어 방법.
  14. 코어망의 가입자 정보 저장 장치가 단말이 접속하는 망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로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을 이동성 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 설정된 전용 APN은,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단말의 전용망 세션을 생성할 세션 관리 장치를 선택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변경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세션 관리 장치가 복수의 전용 게이트웨이 중에서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세션을 연결할 전용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복수의 전용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과 연결되는, 망 전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선택된 전용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로 구분되는 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연결되는, 망 전환 제어 방법.
KR1020190049895A 2019-04-29 2019-04-29 5g 통신 시스템의 망 접속 제어 방법 및 망 전환 방법 KR10229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895A KR102290836B1 (ko) 2019-04-29 2019-04-29 5g 통신 시스템의 망 접속 제어 방법 및 망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895A KR102290836B1 (ko) 2019-04-29 2019-04-29 5g 통신 시스템의 망 접속 제어 방법 및 망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203A KR20200126203A (ko) 2020-11-06
KR102290836B1 true KR102290836B1 (ko) 2021-08-17

Family

ID=7357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895A KR102290836B1 (ko) 2019-04-29 2019-04-29 5g 통신 시스템의 망 접속 제어 방법 및 망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7079B (zh) * 2022-05-23 2024-04-1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30A1 (ko) * 2016-12-15 2018-06-2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80295509A1 (en) * 2015-04-30 2018-10-11 Kt Corporation Private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6347B (zh) * 2016-02-16 2023-08-01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网络切片操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95509A1 (en) * 2015-04-30 2018-10-11 Kt Corporation Private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WO2018111030A1 (ko) * 2016-12-15 2018-06-2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203A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400B1 (ko) non-3gpp를 통해 5G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registration 관리 방안
EP3241383B1 (en) Cellular handover
KR20210142725A (ko) 코어 페이징 처리
EP2651153B1 (en) Location management method for group-bas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devices and device therefor
CN108781361B (zh) 用于处理数据包的方法及设备
EP3695648A1 (en) Methods for establishing connection for packet data transfer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17657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w latency services via an evolved packet core network
US20220046392A1 (en) Short message service interworking
EP4187856A1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11375408B2 (en) Local breakout architecture
JPWO2018003302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227550B1 (ko) 5g 기반의 망 전환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용망 서비스 시스템
CN104427568B (zh) 一种实现3gpp网络流量卸载的方法、装置
KR102290836B1 (ko) 5g 통신 시스템의 망 접속 제어 방법 및 망 전환 방법
US10863555B2 (en) Access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ystem
KR20200020544A (ko) 5g 통신망에서 전용망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EP2359610B1 (en) Providing access to a gprs network
CN108347722B (zh) 各分布式epc核心网用户漫游控制方法及epc核心网
US10015729B2 (en) Providing access to a GPRS network
CN107615238B (zh) 接入本地网络的方法和相关设备
CN115529294A (zh) 业务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422919B2 (ja) ローミング制御装置、通信中継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2069805B1 (ko) 세션 관리 방법 및 세션 관리 장치
KR20190016356A (ko) 사설망 서비스와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98598B1 (ko)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기지국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