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159B1 -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159B1
KR102290159B1 KR1020140160347A KR20140160347A KR102290159B1 KR 102290159 B1 KR102290159 B1 KR 102290159B1 KR 1020140160347 A KR1020140160347 A KR 1020140160347A KR 20140160347 A KR20140160347 A KR 20140160347A KR 102290159 B1 KR102290159 B1 KR 10229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erminal
coupled
electronic devic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625A (ko
Inventor
노승윤
최원길
조현우
남지현
장주희
노형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40160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1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6Electric connectors, e.g. conductive elastom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9/00Electric power supply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electronic time-pieces
    • G04G19/10Arrangements for supplying back-up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체 및 본체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손목 착용형 전자 기기의 결합 구조체로서, 본체 일측에 형성되며, 외측면 일측에 제1단자부가 형성된 결합부; 및 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단자와 접촉되는 제2 단자부를 내측면 일측에 구비한 결합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A COMBINED STRUCTURE OF ELECTRONIC APPARATUS FOR WEARING ON THE WRIST}
본 발명은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의 디지털화의 고성능화 등으로 소비자의 요구가 바뀜에 따라 시장 요구도 박형 및 경량화와 고에너지 밀도에 의한 고용량을 지니는 전원공급장치의 개발로 흐름이 바뀌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에너지 밀도 및 대용량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리튬이온 고분자전지, 슈퍼커패시터(전기이중층 커패시터) 및 수도 커패시터 등과 같은 전원공급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 모바일 전자기기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두루마리형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전자종이, 플렉서블 액정표시장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등이 적용된 플렉서블 모바일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모바일 전자기기를 위한 전원공급장치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모바일 전자기기들 중 특히 손목시계의 형태에 휴대폰의 기능을 하나로 결합시킨 와치 폰(watch-phone)이 등장하였고, 와치 폰의 시계줄에 플렉서블 전원공급장치가 결합되었다.
그러나, 시계줄로서 플렉서블 전원공급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플렉서블 전원공급장치의 단자의 유연성 때문에 와치 폰의 본체와 전기적 접촉과 동시에 결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2014-0059737(2014년 05월 16일)
본 발명은 플렉서블 베터리를 손목의 밴드부로 활용하는 동시에 본체와 전기적 결합이 용이한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및 본체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손목 착용형 전자 기기의 결합 구조체로서, 본체 일측에 형성되며, 외측면 일측에 제1단자부가 형성된 결합부; 및 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단자와 접촉되는 제2 단자부를 내측면 일측에 구비한 결합홈;을 포함하는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결합홈은 외측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하며, 결합부는 개구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도록 연장된 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결합부 외주부에, 제1단자를 개폐 가능하도록 본체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보호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재가 슬라이딩되어 매립되도록 본체의 전면측에는 매립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재를 상기 매립홈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본체와 보호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재의 단면은 매립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밴드부의 결합홈 외주부에는 밴드부가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 내부로 이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결합부와 결합홈 사이의 접촉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봉부는 결합홈의 개구 외주부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봉부는 결합홈의 개구 외주부에 결합된 링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링형 부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제1체결 부재가 구비되며, 결합홈의 외측면에는 제1체결 부재에 결합가능한 제1대응 체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타측에는 제 2 체결 부재가 구비되며, 밴드부의 타측에는 제 2 체결 부재에 결합되는 제 2 대응 체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외측면 일측에 제1단자부가 형성된 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본체; 및 플렉서블 배터리부가 내장되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단자와 접촉되는 제2 단자부를 외측면 일측에 구비한 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플렉서블 배터리부는 외장재,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포함하며,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는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구비하고,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의 패턴은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조립체는 양극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을 구비하는 양극; 음극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을 구비하는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며,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은 밴딩시 수출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가지며, 외장재의 패턴과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리막은 부직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 섬유를 함유한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턴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패턴은 프리즘 패턴, 반원 패턴, 물결무늬 패턴, 다각형 패턴, 엠보싱 패턴, 및 이들이 혼합된 패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손목 착용형 전자 기기의 결합 구조체로서, 본체 일측에 형성되며, 외측면 일측에 제1단자부가 형성된 결합부; 및 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단자와 접촉되는 제2 단자부를 내측면 일측에 구비한 결합홈;을 포함하며, 결합홈은 외측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하며, 결합부는 개구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도록 연장된 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는 밴드부 내에 내장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부의 유연한 전극 단자부를 결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배터리부의 전극 단자부를 본체의 전극단자와 전기적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와 밴드부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밴드부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본체에 구비되는 배터리부 이외에 밴드부의 플렉서블 배터리부는 보조배터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부에서 전극조립체와 외장재에 적용되는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패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부가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용 전자기기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용 전자기기의 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부에서 전극조립체와 외장재에 적용되는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전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패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부가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손목용 전자기기에는 본체부(100)와 밴드부(2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밴드부(200) 내에는 플렉서블 배터리부(10)가 내장될 수 있다.
플렉서블 배터리부(1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부(10)는 전극조립체(20) 및 외장재(30)를 포함한다.
전극조립체(20)는 외장재(30)의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봉지되는 것으로, 양극(22)과 음극(24) 사이에 분리막(26)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양극(22)은 양극집전체(22a) 및 양극활물질(22b)을 포함하고, 음극(24)은 음극집전체(24a) 및 음극활물질(24b)을 포함하며, 양극 또는 음극은 분리막(26)으로 봉지되어 분리막(26)과 일체화될 수 있다.
여기서, 음극집전체(24a) 및 양극집전체(22a)는 몸체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음극단자(28a) 및 양극단자(28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리막(26)은 부직포층(26a)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나노섬유웹층(26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나노섬유웹층(26b)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섬유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나노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나노섬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노섬유웹층(26b)의 형성시 방사성 및 균일한 기공형성을 확보하기 위해 폴리아크릴니트릴 나노섬유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노섬유웹층(26b)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는 평균직경 0.1 ~ 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1.0㎛일 수 있다.
이는,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이 0.1㎛미만 이면 분리막이 충분한 내열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를 초과하면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는 우수하나 분리막의 탄성력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polyethylene ox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 methylmethacrylate)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부직포층은 무기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기첨가제는 SiO, SnO, SnO2, PbO2, ZnO, P2O5, CuO, MoO, V2O5, B2O3, Si3N4, CeO2, Mn3O4, Sn2P2O7, Sn2B2O5, Sn2BPO6, TiO2, BaTiO3, Li2O, LiF, LiOH, Li3N, BaO, Na2O, Li2CO3, CaCO3, LiAlO2, SiO2, Al2O3 및 PTF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기첨가제인 무기물 입자는 평균입경이 10 ~ 50 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30 nm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nm일 수 있다.
더불어, 분리막의 평균두께는 10 ~ 1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50㎛일 수 있다.
이는, 분리막의 평균두께가 10㎛ 미만이면 분리막이 너무 얇아서 배터리의 반복적인 구부러짐 및/또는 펴짐에 의한 분리막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을 수 있고, 100㎛를 초과하면 플렉서블 배터리부의 박육화에 불리하므로 범위 내의 평균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부직포층은 평균두께 10 ~ 30㎛으로, 바람직하게는 15~ 30㎛로 형성시키고, 상기 나노섬유웹층은 평균두께 1 ~ 5㎛를 갖는 것이 좋다.
양극 집전체 및/또는 음극 집전체는 박형의 금속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정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티타늄,크롬, 망간, 철, 코발트, 아연, 몰리브덴, 텅스텐, 은, 금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금속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극활물질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양극 활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또는 LiNi1-x-yCoxMyO2(0 ≤ x ≤1, 0 ≤y ≤ 1, 0 ≤ x+y ≤ 1, M은 Al, Sr, Mg, La 등의 금속)와 같은 리튬-전이금속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양극활물질 이외에도 다른 종류의 양극활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리고, 음극활물질은 리튬 이온을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음극활물질로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의 탄소, 탄소 섬유, 또는 탄소 복합체의 탄소계 음극활물질, 주석 산화물, 이들을 리튬화한 것, 리튬, 리튬합금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음극활물질로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양극활물질 및 음극활물질은 양극집전체 또는 음극집전체로부터 박리를 방지하고, 양극 활물질층 및 음극 활물질충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외장재(30)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전극조립체(20) 및 전해액을 수용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전극조립체(2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장재(30)는 한 쌍의 제1외장재(32) 및 제2외장재(34)로 구비되고,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통해 밀봉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 및 전극조립체(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외장재(30)는 제1외장재(32) 및 제2외장재(34)가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후 서로 맞접하는 테두리 측이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고,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접혀진 후 맞접하는 테두리 부분이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외장재(30)는 적어도 일면에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36)이 구비되며, 패턴(36)은 적어도 일부가 외장재(30)의 비틀림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패턴(36)이 포함된다.
즉, 패턴(36)은 밴딩시 외장재(3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패턴(36)은 외장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패턴(36)의 산부 및 골부는 외장재(30)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때, 패턴(36)은 서로 이웃하는 산부와 골부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이웃하는 산부 또는 골부의 간격이 서로 다른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간격이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부(10)는 밴딩시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이 패턴(36)을 통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외장재(30)의 반복적인 밴딩 작업시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외장재(30) 자체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장재(30)의 내부에 배치된 전극조립체(20) 역시 밴딩 작업시 발생되는 하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외장재(30)에 형성되는 패턴은 외장재(30)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극조립체(20)는 플랙서블한 판상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외장재(30)와 마찬가지로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외장재(30)에 형성되는 패턴(36)과 동일한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전극조립체(20)를 구성하는 양극(22), 음극(24) 및 분리막(26)이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외장재(30)에 형성되는 패턴(36)과 동일한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조립체(20)에 형성되는 패턴(2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때, 외장재(30)에 형성되는 패턴(36)과 전극조립체(20)에 형성되는 패턴(28)이 서로 일치하기만 하면 무방함을 밝혀둔다.
더불어, 패턴(36, 28)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부와 골부가 연속적이거나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산부와 골부의 단면 형상이 직선 패턴, 프리즘 패턴, 반원 패턴, 물결무늬 패턴, 다각형 패턴 및 이들이 혼합된 패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플렉서블 배터리부(10)는 본체(도 8의 100) 측으로 전원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주배터리를 보조하는 보조배터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본체(100)의 주배터리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배터리부(10)는 외장재(30)의 표면을 덮는 밴드부(200)을 포함하고, 밴드부(200)의 일측으로는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밴드부(200)는 플렉서블한 연질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부(10)는 팔찌, 발찌와 같은 악세사리, 시계줄 등으로 적용되어 외부기기의 충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패션용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플렉서블 배터리부(10)가 사용되는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구조체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한 전자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용 전자기기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용 전자기기의 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는 본체(100) 및 본체(100)에 결합되는 밴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에 회로기판(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여러 가지 정보가 일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체는 스마트워치일 수 있으며, 소형 DMB, PDP 등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다양한 문자, 숫자 및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모든 전기기기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본체는 휴대용 기기 및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용 기기 및 전자기기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본체(100)의 일측에는 결합부(110)가 구비될 수 있고, 밴드부(200)의 일측에는 결합부(110)와 결합되는 결합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함홈(210)은 외측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2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결합부(110)는 개구(212)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도록 연장된 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부(110)는 제1단자부(1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단자부(120)는 결합부(110)의 외측면에 일측에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세하게는 결합부(110)의 상면, 저면, 및 양측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단자부(120)는 결합부(110)의 외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단자부(120) 중 하나의 제1단자부는 음극 전극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제1단자부는 양극 전극일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0)의 외주부에는 제1단자부(120)를 외부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부재(130)는 본체(100)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0)에 즉 결합부(110)와 본체(110)의 경계면에는 보호부재(130)가 매립되는 매립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매립홈(114)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40)의 일단은 본체(10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고, 탄성부재(140)의 타단은 보호부재(130)의 일단에 연결되어, 보호부재(13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110)가 결합홈(210)에서 분리될 때, 결합부(110)의 제1단자(120)가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립홈(114)에 매립되어 있던 보호부재(130)는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결합홈(2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212)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110)는 개구(212)를 통하여 결합홈(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0)에 구비되는 제1단자부(120)와 접촉되는 제2단자부(220)가 결합홈(210)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단자부(220)는 제1단자부(120)와 접촉 가능하도록 제1단자부(120)와 대응하는 결합홈(210)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단자부(220)는 결합홈(210)의 내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단자부(220) 중 하나의 제2단자부는 음극 전극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제2단자부는 양극 전극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단자부(120)의 음극 전극은 제2단자부(220)의 양극 전극과 연결되고, 제1단자부(120)의 양극 전극은 제2단자부(220)의 음극 전극과 연결됨으로써 본체(100)와 밴드부(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합홈(210)의 외주부에는 결합부(110)와 결합홈(210) 사이의 접촉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봉부(230)는 결합홈(210)의 외주부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결합홈(210)의 외주부에 결합될 수 있는 탄성 재질의 링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밀봉부(230)는 보호부재(130)를 매립홈(114) 내부로 가압하는 동시에 보호부재(130)가 매립홈(114)에 매립되고 남은 매립홈(114)의 일부 공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결합부(110)와 결합홈(210) 사이의 접촉부는 밀봉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부(230)에 의해 결합부(110)가 결합홈(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홈(210) 내부로 이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본체(100)의 결합부(110)가 밴드부(200)의 결합홈(210)에 결합되는 경우, 밴드부(200)와 본체(100)의 정확한 체결을 위하여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10)의 외측면에는 제1체결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홈(210)의 외측면에는 제1체결부재(150)에 결합가능한 제1대응체결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체결부재(150)와 제1대응체결부재(240)는 결합부(110)와 결합홈(21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체(100)와 밴드부(200)가 서로 대응하는 면에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타측에는 제2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밴드부(200)의 타측에는 제2체결부재(미도시)에 결합되는 제2대응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체결부재와 제2대응체결부재는 본체(100)와 밴드부(200)의 타측 뿐만 아니라, 결합부(110)와 결합홈(210)이 구비되는 본체(100)와 밴드부(200)의 일측에서 제1체결부재(150)와 제1대응체결부재(240) 이외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와 밴드부(200)의 타측에 구비되어 밴드부(200)가 본체(100)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체결부재(150)와 제1대응체결부재(240) 및 제2체결부재(미도시)와 제2대응체결부재(미도시)는 억지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후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자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본체(100)와 밴드부(200)가 견고히 체결될 수 있는 체결방식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타측 및 밴드부(200)의 타측에 제2체결부재(미도시)와 제2대응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되고, 결합부(110) 및 결합홈(210)에 제1체결부재(150) 및 제1체결대응부재(240)가 구비됨으로써, 밴드부(200)가 본체(10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배터리부(10)가 내장되는 밴드부(200)는 본체(100)에 구비되는 배터리부 이외에 보조 배터리로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결합부(110)와 밴드부(200)의 결합홈(210)을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200)의 결합홈(210)은 본체(100)에 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부(110)를 삽입시키며, 이때, 결합홈(210)의 개구(212) 주변에 구비되는 밀봉부(230)는 결합부(110)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보호커버(130)를 본체(100) 방향으로 가압시킨다.
이때, 보호커버(130)는 밀봉부(230)의 가압에 의해 매립홈(114)으로 삽입되어 매립된다.
이후,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10)으로 결합부(110)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이때 결합부(110)의 제1단자부(120)는 결합홈(210)의 제2단자부(220)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밴드부(200)를 결합홈(210)를 통해 본체(100)와 결합하게 되면 서로 대응되는 제1단자(120) 및 제2단자(220)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본체(100)는 밴드부(200)에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부(도 1의 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시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거나 플렉서블 배터리부(도 1의 10)로부터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밀봉부(230)는 보호커버(130)를 매립홈(114)에 매립시키고 남은 매립홈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밴드부(200)가 결합홈(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홈(210)내부로 이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0)의 제1체결부재(150)는 결합홈(210)의 제1대응체결부재(240)에 결합되고, 본체(100)의 타측 및 밴드부(200)의 타측에 제2체결부재(160)와 제2대응체결부재(250)가 결합됨으로써, 밴드부(200)가 본체(10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는 밴드부 내에 내장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부의 유연한 전극 단자부를 결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배터리부의 전극 단자부를 본체의 전극단자와 전기적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와 밴드부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밴드부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본체에 구비되는 배터리부 이외에 밴드부의 플렉서블 배터리부는 보조배터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플랙서블 배터리부 20 : 전극조립체
22 : 양극 24 : 음극
26 : 분리막 30 : 외장재
32 : 제1외장재 34 : 제2외장재
36 : 패턴 100 : 본체부
110 : 결합부 114 : 매립홈
120 : 제1단자부 130 : 보호부재
140 : 탄성부재 200 : 밴드부
210 : 결합홈 212 : 개구
220 : 제2단자부 230 : 밀봉부

Claims (17)

  1.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손목 착용형 전자 기기의 결합 구조체로서,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되며, 외측면 일측에 제1단자부가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자부와 접촉되는 제2단자부를 내측면 일측에 구비한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외주부에, 상기 제1단자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보호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홈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단자부를 감싸며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홈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 측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결합홈 내에서 상기 제1단자부가 노출되도록 해주는,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외측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도록 연장된 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가 슬라이딩되어 매립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측에는 매립홈이 형성되는,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를 상기 매립홈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보호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의 결합홈 외주부에는 상기 밴드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 내부로 이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홈 사이의 접촉부를 밀봉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홈의 개구 외주부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밀봉부가 형성되는,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구비되는 제1체결부재;
    상기 결합홈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에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대응체결 부재;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재;
    상기 밴드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제2대응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8. 외측면 일측에 제1단자부가 형성된 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본체; 및
    플렉서블 배터리부가 내장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자와 접촉되는 제2 단자부를 내측면 일측에 구비한 결합홈이 일측에 형성되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외주부에, 상기 제1단자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보호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홈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단자부를 감싸며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홈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 측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결합홈 내에서 상기 제1단자부가 노출되도록 해주는,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부는 외장재,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포함하며,
    상기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는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구비하고,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의 패턴은 일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40160347A 2014-11-17 2014-11-17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KR10229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47A KR102290159B1 (ko) 2014-11-17 2014-11-17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47A KR102290159B1 (ko) 2014-11-17 2014-11-17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25A KR20160058625A (ko) 2016-05-25
KR102290159B1 true KR102290159B1 (ko) 2021-08-17

Family

ID=5611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347A KR102290159B1 (ko) 2014-11-17 2014-11-17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1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032A (ja) * 2000-11-10 2002-05-24 Sony Corp バンド型電池及びバンド型電池を用いる携帯電子機器
WO2012140709A1 (ja) * 2011-04-11 2012-10-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91973A1 (fr) * 2003-06-25 2004-12-29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Bracelet à fermoir ayant des moyens de connexion électrique
KR101650383B1 (ko) * 2010-04-09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101439834B1 (ko) 2012-11-08 2014-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서블 젤리롤 타입 2차 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032A (ja) * 2000-11-10 2002-05-24 Sony Corp バンド型電池及びバンド型電池を用いる携帯電子機器
WO2012140709A1 (ja) * 2011-04-11 2012-10-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25A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6046B2 (en) Flexible battery
JP2022109303A (ja) 表示装置
TWI705595B (zh) 二次電池以及電子裝置
KR102350516B1 (ko) 팔찌형 보조배터리
KR102290162B1 (ko)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KR102323144B1 (ko) 손목착용형 전자기기용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355617B1 (ko)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
KR102475376B1 (ko) 보조배터리
KR102238115B1 (ko)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KR102290159B1 (ko)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KR102290160B1 (ko)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
KR102348406B1 (ko) 전자기기
KR102359777B1 (ko) 팔찌형 시계줄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착용형 전자기기
KR102290163B1 (ko) 플렉서블 배터리
KR102290161B1 (ko)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KR102312799B1 (ko) 전자기기
KR102387156B1 (ko)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팔찌형 보조배터리
KR20160058624A (ko)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KR102323143B1 (ko) 팔찌형 보조배터리
KR102348405B1 (ko) 보조배터리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기기
KR102239312B1 (ko)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
KR102310768B1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KR102348408B1 (ko)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목걸이형 수납케이스
KR10235359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60058622A (ko)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