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069B1 -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 - Google Patents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069B1
KR102290069B1 KR1020140070079A KR20140070079A KR102290069B1 KR 102290069 B1 KR102290069 B1 KR 102290069B1 KR 1020140070079 A KR1020140070079 A KR 1020140070079A KR 20140070079 A KR20140070079 A KR 20140070079A KR 102290069 B1 KR102290069 B1 KR 102290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rushing
blade
crushed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705A (ko
Inventor
문소정
이조은
송민섭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06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는 얼음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장치본체; 및 장치본체에 구비되어 장치본체에 유입된 얼음을 다양한 형태로 분쇄하는 복수개의 분쇄부재를 포함하는 분쇄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ICE CRUSHING APPARATUS AND ICE CRUS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얼음을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얼음분쇄장치는 얼음분쇄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얼음분쇄장치에는 얼음을 분쇄할 수 있는 분쇄날이 구비된 분쇄부재가 예컨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얼음분쇄장치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서,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은 얼음분쇄장치에 유입되고, 분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분쇄날에 의해서 분쇄된다.
종래, 이러한 얼음분쇄장치는 단일한 형태의 얼음만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었다. 예컨대, 종래 얼음분쇄장치는 조각 얼음 또는 가루 얼음만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었다.
즉, 종래의 얼음분쇄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얼음분쇄장치는 분쇄되지 않은 얼음을 사용자에 공급할 수도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다양한 형태의 얼음을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분쇄되지 않은 얼음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얼음분쇄장치는 얼음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장치본체; 및 장치본체에 구비되어 장치본체에 유입된 얼음을 다양한 형태로 분쇄하는 복수개의 분쇄부재를 포함하는 분쇄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쇄부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외주에 얼음을 분쇄하는 제1분쇄날이 구비된 제1분쇄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쇄부재는 장치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분쇄부재의 외주 하단부에는 얼음이 장치본체에 구비된 얼음배출구로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날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에는 관통부의 상부로 유입된 얼음이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나선형이며 상기 관통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부는 제1분쇄날과 함께 얼음을 분쇄하는 제2분쇄날이 구비된 제2분쇄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분쇄부재는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안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쇄부재 아래에 구비되며 관통부를 이동한 얼음을 분쇄하는 제3분쇄날이 구비된 제3분쇄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분쇄부재는 장치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의 하부는 일부 개방되며, 일부 개방된 관통부의 하부는 제3분쇄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의 분쇄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관통부의 하부 일부는 제3분쇄부재에 의해서 개방되며, 얼음은 관통부로 유입되어 개방된 관통부의 하부 일부를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조각 얼음이 필요한 경우에, 얼음은 제1분쇄부재의 제1분쇄날과 제2분쇄부재의 제2분쇄날 사이에 유입되어 분쇄될 수 있다.
그리고, 가루 얼음이 필요한 경우에, 관통부의 개방된 하부 일부는 제3분쇄부재에 의해서 닫히고, 얼음은 관통부로 유입되어 제3분쇄부재에 의해서 가루 얼음으로 분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는 얼음이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본체는 얼음의 배출을 위한 얼음배출구가 구비되며, 장치본체는 얼음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얼음분쇄방법은 원하는 얼음의 형태가 선택되는 선택단계; 및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얼음의 형태에 따라 전술한 얼음분쇄장치에 얼음이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단계; 얼음분쇄장치에 공급된 얼음이 분쇄되지 않거나 분쇄되도록 하여 배출하는 가공배출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택단계에서 얼음의 분쇄가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되면, 공급단계에서는 얼음이 얼음분쇄장치에 포함되는 제1분쇄부재에 형성된 관통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가공배출단계에서는 제1분쇄부재 아래에 구비되는 제3분쇄부재에 의해서 관통부의 하부 일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얼음이 분쇄되지 않고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단계에서 조각 얼음이 선택되면, 공급단계에서는 얼음이 제1분쇄부재에 구비된 제1분쇄날과 제2분쇄부재에 구비된 제2분쇄날 사이로 공급되도록 하고, 가공배출단계에서는 얼음이 제1분쇄날과 제2분쇄날에 의해서 조각 얼음으로 분쇄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단계에서 가루 얼음이 선택되면, 공급단계에서는 얼음이 관통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가공배출단계에서는 얼음이 제3분쇄부재에 의해서 가루 얼음으로 분쇄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분쇄장치에 존재하는 얼음이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물배출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분쇄부재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되지 않은 얼음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도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를 나타내는 도3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7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7과 도8은 얼음의 분쇄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3과 도5와 같은 단면도이고, 도9와 도10은 조각 얼음이 필요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4와 도5와 같은 단면도이며, 도11과 도12는 가루 얼음이 필요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3과 도5와 같은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얼음분쇄장치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7 내지 도12도 참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또한,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4는 도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5는 도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1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와 분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200)는 얼음(I)이 유입되고 배출될 수 있다. 얼음(I)의 유입을 위해서 장치본체(200)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도시되지 않음)의 얼음토출부(IE)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장치본체(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토출부(IE)에는 얼음(I)이 토출되는 2개의 토출유로, 즉 제1토출유로(P1)와 제2토출유로(P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얼음토출부(IE)에는 2개의 토출유로(P1,P2) 중 하나의 토출유로(P1,P2)를 막는 차단판(L)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토출부(IE)에는 차단판(L)을 이동시키는 구동모터(MD)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의 분쇄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나,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루 얼음(I)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토출유로(P2)를 막도록 구동모터(MD)에 의해서 차단판(L)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I)은 도7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출유로(P1)를 통해 분쇄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제1분쇄부재(310)에 형성된 관통부(311)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 얼음(I)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토출유로(P1)를 막도록 구동모터(MD)에 의해서 차단판(L)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I)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토출유로(P2)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유입안내부(22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얼음토출부(IE)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치본체(200)로 얼음(I)이 유입되도록 얼음(I)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라인을 포함하는 등 제빙기로부터 장치본체(200)로 얼음(I)이 이동하여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장치본체(200)에는 또한 얼음(I)의 배출을 위해서 얼음배출구(2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배출구(210)는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얼음배출구(210)를 통해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토출부(IE)에서 토출된 얼음(I)이 분쇄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9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토출부(IE)에서 토출된 얼음(I)이 분쇄부(300)에 포함된 후술할 제1분쇄부재(310)와 제2분쇄부재(320)에 의해서 조각 얼음(I)으로 분쇄된 후 얼음배출구(2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부재(310)에 형성된 후술할 관통부(311)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314)와 제3분쇄부재(330)에 의해서 가루 얼음(I)으로 분쇄된 후 얼음배출구(2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얼음배출구(210)에 인접한 장치본체(200)에는 얼음(I)이 얼음배출구(210) 주변으로 모이도록 하는 배출가이드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배출가이드부재(230)가 얼음배출구(210)의 양측에 각각 인접한 장치본체(200)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장치본체(200)에 구비되는 배출가이드부재(23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또한, 2개의 배출가이드부재(230) 사이의 장치본체(200)에는 도2와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배출구(210)측으로 경사진 이동가이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출가이드부재(230)에 의해서 얼음배출구(210) 주변으로 모인 얼음(I)이 용이하게 얼음배출구(210)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장치본체(200)에는 유입안내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안내부(2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한 내측면을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안내부(220)에는 분쇄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제2분쇄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다.
얼음(I)은 전술하고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 얼음(I)이 필요할 때에는 유입안내부(22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이 제1분쇄부재(310)와 제2분쇄부재(320)에 의해서 분쇄되어 조각 얼음(I)이 될 수 있다.
분쇄부(300)는 장치본체(200), 즉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분쇄부재(310,320,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얼음(I)을 다양한 형태로 분쇄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하고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얼음(I)을 조각 얼음(I)으로 분쇄하거나,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루 얼음(I)을 분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분쇄부(3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쇄부재(310)에는 관통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분쇄부재(310)의 관통부(311)에 도7과 도8 및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분쇄되지 않고 그대로 얼음배출구(210)로 배출되거나,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가이드부재(314)와 제3분쇄부재(330)에 의해서 가루 얼음(I)으로 분쇄된 후 얼음배출구(210)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분쇄부재(310)의 관통부(311)에는 가이드부재(3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314)에 의해서 도7과 도8 및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311)의 상부에 유입된 얼음(I)이 관통부(311)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이드부재(314)는 나선형일 수 있다. 그리고, 관통부(31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314)는 제2모터(M2)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모터(M2)의 구동에 의해서 가이드부재(314)가 회전하면, 도7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311)의 상부에 유입된 얼음(I)은 나선형의 가이드부재(314)를 따라 관통부(311)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1분쇄부재(310)의 외주에는 얼음(I)을 분쇄하는 제1분쇄날(3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분쇄부재(310)의 제1분쇄날(312)은 후술할 제2분쇄부재(320)에 구비된 제2분쇄날(321)과 함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을 조각 얼음(I)으로 분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분쇄부재(310)는 장치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분쇄부재(310)는 제1모터(M1)에 기어(G) 등에 의해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1분쇄날(312)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일렬로 제1분쇄부재(31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분쇄날(312)의 세로열이 제1분쇄부재(31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분쇄날(312)이 제1분쇄부재(310)에 구비되는 배치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제2분쇄부재(320)의 제2분쇄날(321)와 함께 얼음(I)을 조각 얼음(I)으로 분쇄할 수 있는 배치형상이라면 지그재그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1분쇄부재(310)의 외주 하단부에는 가이드날(313)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날(313)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부재(310)의 외주 하단부에 복수개가 방사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날(313)에 의해서 얼음(I)이 얼음배출구(210)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9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부재(310)가 회전하면, 유입안내부(220)의 상부에 유입된 얼음(I)이 제1분쇄부재(310)의 제1분쇄날(312)과 제2분쇄부재(320)의 제2분쇄날(321)에 의해서 조각 얼음(I)으로 분쇄되면서 유입안내부(220)의 하부에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날(313)이 유입안내부(220)의 하부로 이동한 조각 얼음(I)을 얼음배출구(2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얼음배출구(210) 측으로 이동한 얼음(I)은 전술한 장치본체(200)의 이동가이드부(240)를 통해 얼음배출구(210)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날(313)의 이동을 위해서, 전술한 배출가이드부재(230)와 후술할 제2분쇄부재(32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날 이동홈(231,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분쇄부재(3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1분쇄부재(3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관통부(311)가 형성되며 외부에 제1분쇄날(312)이 구비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분쇄부(3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쇄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쇄부재(320)는 제2분쇄날(32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분쇄부재(310)의 제1분쇄날(312)과 함께 얼음(I)을 조각 얼음(I)으로 분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분쇄부재(320)는 전술한 장치본체(200)의 유입안내부(220)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분쇄날(321)은 제1분쇄부재(310)의 제1분쇄날(312)과 엇갈리도록 제2분쇄부재(320)에 세로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분쇄부재(310)가 회전하면, 제1분쇄부재(310)의 제1분쇄날(312)이 제2분쇄부재(320)의 제2분쇄날(321)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안내부(220)의 상부에 유입된 얼음(I)은 제1분쇄부재(310)의 제1분쇄날(312)과 제2분쇄부재(320)의 제2분쇄날(321)에 의해서 조각 얼음(I)으로 분쇄되면서 유입안내부(22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분쇄부재(3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2분쇄부재(3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분쇄부재(310)의 제1분쇄날(312)과 함께 얼음(I)을 분쇄하는 제2분쇄날(321)이 구비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부(300)는 제3분쇄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분쇄부재(330)는 제1분쇄부재(310) 아래에 구비되며 제3분쇄날(331)이 구비될 수 있다. 제3분쇄날(33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이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14)에 의해서 관통부(311)를 이동한 얼음(I)이 가이드부재(314)와 제3분쇄날(331)에 의해서 가루 얼음(I)으로 분쇄될 수 있다.
제3분쇄부재(330)는 장치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3분쇄부재(330)는 기어(G) 등에 의해서 제3모터(M3)에 연결되어 제3모터(M3)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관통부(311)의 하부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만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311)의 하부의 반은 반원 형상의 하부덮개(311a)에 의해서 닫히고 나머지 반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개방된 관통부(311)의 하부는 도8과 도10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분쇄부재(33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부재(310)의 관통부(311)에 얼음(I)이 유입되며 제3분쇄부재(330)에 의해서 관통부(311)의 개방된 하부 일부가 닫히지 않고 개방된 때에는, 가이드부재(314)에 의해서 관통부(311)의 하부로 이동된 얼음(I)은 분쇄되지 않고 장치본체(200)의 얼음배출구(21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부재(310)의 관통부(311)에 얼음(I)이 유입되고 제3분쇄부재(330)에 의해서 관통부(311)의 개방된 하부 일부가 닫힌 때에는, 가이드부재(314)에 의해서 관통부(311)의 하부로 이동된 얼음(I)은 가이드부재(314)와 제3분쇄부재(330)에 의해서 가루 얼음(I)으로 분쇄될 수 있다.
이하,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100)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얼음분쇄장치(100)와는 얼음(I)이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100)의 장치본체(200)는 얼음(I)이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부재(25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 아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부재(2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드레인부재(25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I)이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부재(250)에는 드레인관(251)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부재(250)로 유입된 얼음(I)이 녹은 물은 이러한 드레인관(251)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드레인부재(250)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52)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52)은 드레인관(251) 측이 낮도록 드레인부재(25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레인부재(250)에 유입된 얼음(I)이 녹은 물이 용이하게 드레인관(251) 측으로 유동된 후 드레인관(2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부재(250)로 얼음(I)이 녹은 물이 유입되도록 장치본체(200)의 이동가이드부(240)에는 드레인구멍(2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가이드부(240)로 이동된 얼음(I)이 녹은 물은 이동가이드부(240)의 드레인구멍(241)을 통해 드레인부재(250)로 유입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는 얼음배출구(210)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 개폐부(260)는 얼음배출구(210)를 개폐하도록 이동하는 차단부재(2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 개폐부(260)는 차단부재(26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예컨대 차단부재(261)에 형성된 랙기어(도시되지 않음)와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도시되지 않음) 및 피니온 기어에 연결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차단부재(261)를 이동시키는 것이라면 벨트나 체인 등을 사용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얼음(I)이 얼음배출구(210)로 배출되는 경우에 차단부재(261)는 얼음배출구(210)가 개방되도록 차단부재(261)를 이동시킨다. 예컨대, 차단부재(261)를 상승시켜서 얼음배출구(2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얼음(I)이 얼음배출구(210)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 차단부재(261)는 얼음배출구(210)가 닫히도록 차단부재(261)를 이동시킨다. 예컨대, 차단부재(261)를 하강시켜서 얼음배출구(210)를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차단부재(261)에 의해서 얼음배출구(210)가 닫힌 경우에는 얼음(I)이 녹은 물은 차단부재(261)에 의해서 얼음배출구(210)로 배출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구멍(241)을 통해 드레인부재(250)로 유입된다.
얼음분쇄방법
이하, 도7 내지 도1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7과 도8은 얼음의 분쇄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3과 도5와 같은 단면도이고, 도9와 도10은 조각 얼음이 필요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4와 도5와 같은 단면도이며, 도11과 도12는 가루 얼음이 필요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3과 도5와 같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방법은 선택단계(S100), 공급단계(S200) 및, 가공배출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단계(S100)에서는 원하는 얼음(I)의 형태가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얼음분쇄장치(100) 또는 얼음분쇄장치(100)가 연결되는 제빙기 등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얼음(I)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예컨대 복수개의 버튼이나 레버 등이 포함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이 포함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얼음(I)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단계(S200)에서는 선택단계(S100)에서 선택된 얼음(I)의 형태에 따라 전술한 얼음분쇄장치(100)에 얼음(I)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얼음(I)의 분쇄가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되면, 전술하고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MD)에 의해서 차단판(L)을 이동시켜서 차단판(L)이 얼음토출부(IE)의 제2토출유로(P2)를 막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은 제1토출유로(P1)를 통해 제1분쇄부재(310)의 관통부(311)로 공급된다.
또한, 조각 얼음(I)이 필요한 것으로 선택되면, 전술하고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L)이 제1토출유로(P1)를 막도록 한다.
따라서,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은 제2토출유로(P2)를 통해 제1분쇄부재(310)의 제1분쇄날(312)과 제2분쇄부재(320)의 제2분쇄날(321) 사이, 즉 유입안내부(220)로 공급된다.
그리고, 가루 얼음(I)이 필요한 것으로 선택되면, 전술하고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L)이 제2토출유로(P2)를 막도록 한다.
그러므로,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은 제1토출유로(P1)를 통해 제1분쇄부재(310)의 관통부(311)로 공급된다.
가공배출단계(S300)에서는 공급단계(S200)에서 얼음분쇄장치(100)에 공급된 얼음(I)이 분쇄되지 않거나 분쇄되도록 하여 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얼음(I)의 분쇄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술하고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분쇄부재(330)에 의해서 제1분쇄부재(310)의 하부 일부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부재(310)의 관통부(311)에 공급된 얼음(I)은 관통부(311)의 개방된 하부 일부를 통과하여 장치본체(200)의 얼음배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조각 얼음(I)이 필요한 경우에, 전술하고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안내부(220)에 공급된 얼음(I)은 제1분쇄부재(310)의 제1분쇄날(312)과 제2분쇄부재(320)의 제2분쇄날(321)에 의해서 조각 얼음(I)으로 분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각 얼음(I)으로 분쇄된 얼음(I)은 얼음배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가루 얼음(I)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술하고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분쇄부재(330)에 의해서 제1분쇄부재(310)의 하부 일부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부재(310)의 관통부(311)에 공급된 얼음(I)은 제3분쇄부재(330)에 의해서 가루 얼음(I)으로 분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루 얼음(I)으로 분쇄된 얼음(I)은 얼음배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방법은 얼음배출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얼음배출단계(S400)에서는 얼음분쇄장치(100)에 존재하는 얼음(I)이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가공배출단계(S300)에서 소정의 원하는 양의 얼음(I)의 배출이 완료되면, 장치본체(200)에 포함되는 전술한 배출구 개폐부(260)의 개폐부재(261)를 이동시켜서 얼음배출구(210)를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분쇄장치(100)에 존재하는 얼음(I)은 얼음배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
또한, 얼음(I)이 녹는다고 하더라도 얼음배출구(210)로 배출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부(240)에 형성된 드레인구멍(241)을 통해 드레인부재(250)에 유입된다. 그리고, 드레인부재(250)에 유입된 얼음(I)이 녹은 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부재(250)의 경사면(252)을 따라 드레인관(251)으로 유동하고 드레인관(2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분쇄장치 및 얼음분쇄방법을 사용하면, 다양한 형태의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으며, 분쇄되지 않은 얼음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얼음분쇄장치 및 얼음분쇄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얼음분쇄장치 200 : 장치본체
210 : 얼음배출구 220 : 유입안내부
230 : 배출가이드부재 231,322 : 가이드날 이동홈
240 : 이동가이드부 241 : 드레인구멍
250 : 드레인부재 251 : 드레인관
252 : 경사면 260 : 배출구 개폐부
261 : 개폐부재 300 : 분쇄부
310 : 제1분쇄부재 311 : 관통부
311a : 하부덮개 312 : 제1분쇄날
313 : 가이드날 314 : 가이드부재
320 : 제2분쇄부재 321 : 제2분쇄날
330 : 제3분쇄부재 331 : 제3분쇄날
M1 : 제1모터 M2 : 제2모터
M3 : 제3모터 G : 기어
IE : 얼음토출부 P1 : 제1토출유로
P2 : 제2토출유로 L : 차단판
MD : 구동모터

Claims (21)

  1. 얼음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장치본체에 유입된 얼음을 다양한 형태로 분쇄하는 복수개의 분쇄부재를 포함하는 분쇄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외주에 얼음을 분쇄하는 제1분쇄날이 구비된 제1분쇄부재, 상기 제1분쇄날과 함께 얼음을 분쇄하는 제2분쇄날이 구비된 제2분쇄부재 및, 상기 제1분쇄부재 아래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를 이동한 얼음을 분쇄하는 제3분쇄날이 구비된 제3분쇄부재를 포함하는 얼음분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부재는 상기 장치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얼음분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부재의 외주 하단부에는 얼음이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된 얼음배출구로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날이 구비되는 얼음분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관통부의 상부로 유입된 얼음이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얼음분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나선형이며 상기 관통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얼음분쇄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쇄부재는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안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얼음분쇄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분쇄부재는 상기 장치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얼음분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하부는 일부 개방되며,
    상기 일부 개방된 관통부의 하부는 상기 제3분쇄부재에 의해서 개폐되는 얼음분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얼음의 분쇄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관통부의 하부 일부는 상기 제3분쇄부재에 의해서 개방되며, 얼음은 상기 관통부로 유입되어 개방된 상기 관통부의 하부 일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얼음분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조각 얼음이 필요한 경우에, 얼음은 상기 제1분쇄부재의 제1분쇄날과 상기 제2분쇄부재의 제2분쇄날 사이에 유입되어 분쇄되는 얼음분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가루 얼음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관통부의 개방된 하부 일부는 상기 제3분쇄부재에 의해서 닫히고, 얼음은 상기 관통부로 유입되어 상기 제3분쇄부재에 의해서 가루 얼음으로 분쇄되는 얼음분쇄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얼음이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부재를 포함하는 얼음분쇄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얼음의 배출을 위한 얼음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얼음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부를 포함하는 얼음분쇄장치.
  17. 원하는 얼음의 형태가 선택되는 선택단계; 및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얼음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얼음분쇄장치에 얼음이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단계;
    상기 얼음분쇄장치에 공급된 얼음이 분쇄되지 않거나 분쇄되도록 하여 배출하는 가공배출단계;
    를 포함하는 얼음분쇄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에서 얼음의 분쇄가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되면,
    상기 공급단계에서는 얼음이 상기 얼음분쇄장치에 포함되는 제1분쇄부재에 형성된 관통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가공배출단계에서는 상기 제1분쇄부재 아래에 구비되는 제3분쇄부재에 의해서 상기 관통부의 하부 일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얼음이 분쇄되지 않고 배출되도록 하는 얼음분쇄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에서 조각 얼음이 선택되면,
    상기 공급단계에서는 얼음이 상기 제1분쇄부재에 구비된 제1분쇄날과 제2분쇄부재에 구비된 제2분쇄날 사이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가공배출단계에서는 얼음이 상기 제1분쇄날과 상기 제2분쇄날에 의해서 조각 얼음으로 분쇄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얼음분쇄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에서 가루 얼음이 선택되면,
    상기 공급단계에서는 얼음이 상기 관통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가공배출단계에서는 얼음이 상기 제3분쇄부재에 의해서 가루 얼음으로 분쇄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얼음분쇄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분쇄장치에 존재하는 얼음이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물배출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얼음분쇄방법.

KR1020140070079A 2014-06-10 2014-06-10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 KR102290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79A KR102290069B1 (ko) 2014-06-10 2014-06-10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79A KR102290069B1 (ko) 2014-06-10 2014-06-10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05A KR20150142705A (ko) 2015-12-23
KR102290069B1 true KR102290069B1 (ko) 2021-08-19

Family

ID=5508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79A KR102290069B1 (ko) 2014-06-10 2014-06-10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9217B (zh) * 2018-05-21 2021-04-2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碎冰装置及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70B1 (ko) * 2011-11-22 2013-11-13 정휘동 얼음 이송 및 분쇄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548A (ko) * 2004-07-09 2006-01-12 주식회사 대창 얼음 가공 장치
KR101322317B1 (ko) * 2007-05-30 2013-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 취출 장치
KR101339448B1 (ko) * 2011-08-18 201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정수기의 제어방법 및 정수기의 얼음 취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70B1 (ko) * 2011-11-22 2013-11-13 정휘동 얼음 이송 및 분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05A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671B1 (ko) 냉장고의 아이스빈
KR20160097530A (ko) 필터 청소 장치
DE10140012B4 (de) Türkühlvorrichtung für einen Kühlschrank mit doppeltwirkender Tür
CN107185812A (zh) 一种种子筛选设备
KR102290069B1 (ko) 얼음분쇄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얼음분쇄방법
JP4907229B2 (ja) ライナ、横置筒型ミル、および、破砕物の排出方法
US9272380B2 (en) Chip conveyer for machine tool
KR20090117248A (ko) 고추씨 분리장치가 있는 고추씨 분쇄장치
CA2833700C (en) Discharge grate assembly
KR20080029201A (ko)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31563B1 (ko) 얼음 적층방지 분쇄부를 구비한 아이스빈
CN110280354A (zh) 一种食品生产用粉碎装置
CN102783525A (zh) 封闭式茶叶自动辉锅提香系统及其加工方法
JP4507605B2 (ja) 用水路の除塵装置
JP2016001018A (ja) ストレーナ付バルブ
KR101111905B1 (ko) 냉장고
JP6159882B2 (ja) パルプ量調節可能なジューサー
KR20110079968A (ko)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TWM603793U (zh) 稻穀脫殼選別機
JP2008229243A (ja) 遊技球排出構造および遊技機
CA2935241C (en) Pulp lifter assembly with internal wall
KR20140113084A (ko) 정수기
US242035A (en) Ore-washer
JP2014117644A (ja) ストレーナ
KR102272594B1 (ko) 제빙기 및 이를 사용하는 제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