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400B1 -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 Google Patents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400B1
KR102289400B1 KR1020190125554A KR20190125554A KR102289400B1 KR 102289400 B1 KR102289400 B1 KR 102289400B1 KR 1020190125554 A KR1020190125554 A KR 1020190125554A KR 20190125554 A KR20190125554 A KR 20190125554A KR 102289400 B1 KR102289400 B1 KR 102289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elevating member
rod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692A (ko
Inventor
서희훈
Original Assignee
서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희훈 filed Critical 서희훈
Priority to KR102019012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4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이 불필요하며 IOT 융합형으로 형성되는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일면으로 왕복운동하며 압착력을 형성하는 압착판; 상기 하우징 일면과 압착판 사이로 마련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에 고정되며, 주스원료가 담기는 주스채집봉투; 상기 압착부의 하부로 마련되어 압착판의 압착력에 의해 주스채집봉투로부터 낙하하는 주스를 획득하는 주스획득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IOT fusion juicer without cleaning}
본 발명은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OT 융합형으로서 봉투 압착 방식을 이용한 착즙을 수행하여 세척이 불필요한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과일 또는 야채 등을 착즙하여 주스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주서기(착즙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서기(착즙기)에 대한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주서기의 예로써, 한국등록특허 제10-1343601호(착즙 주서기)와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11262호(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서기는 과일이나 야채 등의 주스원료를 그대로 주서기 안에 투입하고 갈아 넣었기 때문에 많은 찌꺼기가 발생하여 고장이 잦았을 뿐만 아니라, 세척을 자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서기는 구조가 복잡하여 세척 시 분리 해야 하는 부품이 많아 세척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었으며, 전용 세척 도구를 이용해야 하고, 초보자는 재조립 과정에 상당한 불편을 겪어야 하며, 더욱이 고장 시에는 전문가에게 의뢰를 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봉투 내로 주스원료를 수용하고 주스원료가 수용된 봉투를 압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착즙함으로써 세척이 불필요하며,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사용 및 유지보수가 쉽고, 더욱이 IOT 융합형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킨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일면으로 왕복운동하며 압착력을 형성하는 압착판; 상기 하우징 일면과 압착판 사이로 마련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에 고정되며, 주스원료가 담기는 주스채집봉투; 상기 압착부의 하부로 마련되어 압착판의 압착력에 의해 주스채집봉투로부터 낙하하는 주스를 획득하는 주스획득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수직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스크류; 상기 회전스크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서로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제1 및 제2 승하강부재; 상기 압착판의 압착방향 타측에서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되, 상측과 하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제1 및 제2 고정축을 포함하는 고정축부; 일단이 제1 승하강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고정축에 연결되어, 제1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제1 승하강부재를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1 로드; 일단이 제2 승하강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고정축에 연결되어, 제2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제2 승하강부재를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2 로드; 일단이 압착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승하강부재에 연결되어, 제1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압착판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3 로드; 일단이 압착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승하강부재에 연결되어, 제2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압착판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4 로드 및 상기 압착판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는, 상기 제1 로드 및 제2 로드의 타단에 각각 기어치가 마련되어 서로 치합되거나, 상기 제3 로드 및 제4 로드의 일단에 각각 기어치가 마련되어 서로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는, 상기 압착부의 상측을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는, 상기 주스채집봉투의 압착 시 주스원료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압착판에 의해 압착되는 하우징의 일면 상부에 형성되는 인입홈 및 상기 압착판의 주스채집봉투 압착 시에 주스채집봉투의 상단과 함께 인입홈으로 인입되도록 압착판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스획득부에 주스원료를 담을 용기가 놓이지 않거나, 상기 압착부에 주스채집봉투가 고정되지 않거나, 상기 덮개가 개방된 상태이거나, 상기 주스원료를 담을 용기가 넘칠 시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는, 상기 주스획득부에 놓이는 주스원료를 담을 용기의 무게나 탁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용기의 무게나 탁도를 전송 받아 섭취량을 포함하는 식습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스채집봉투는, 측부와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접합부를 형성하고, 상부는 개방되는 베이스부; 상기 개방된 베이스부의 상부를 2중으로 밀폐하는 지퍼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마련되는 끼움홀 및 상기 베이스부 하부에 마련되어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는, 봉투 내로 주스원료를 수용하고 주스원료가 수용된 봉투를 압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착즙함으로써 세척이 불필요하며,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사용 및 유지보수가 쉽고, 더욱이 IOT 융합형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우징의 일측면과 후면을 제거하여 바라본 도 1의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의 (a)는 도 1의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의 일 구성인 주스채집봉투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연결 구성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덮개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의 덮개 개폐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하우징의 일측면과 후면을 제거하여 바라본 도 1의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의 (a)는 도 1의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의 일 구성인 주스채집봉투의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연결 구성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덮개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의 덮개 개폐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10)는, 하우징(100), 구동부(200), 압착판(300), 압착부(350), 주스채집봉투(400), 주스획득부(5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는 주서기(10)의 구성들이 내재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 상면은 전체 또는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하면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하면에 바퀴(미도시)를 마련하여 이동형으로 형성되거나 고무 재질 등의 마찰패드(미도시)를 마련하여 고정을 강화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외측면에 고정구(미도시) 또는 브라켓(미도시)를 마련하여 벽이나 구조물 등에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압착판(300)은 구동부(200)에 의해 하우징(100) 일면으로 왕복운동하며 압착력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일면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前面)일 수 있다.
즉, 구동부(200)는 하우징(100)의 후면측으로 마련이 되고,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구동부(200)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압착판(300)이 하우징(100) 전면을 향하여 전방으로 압착력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판(300)이 하우징(100)의 전면을 향해 압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바탕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술하였듯이 압착판(300)은 하우징(100) 일면으로 왕복운동하여 압착력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써 반드시 전면으로 압착력을 형성하는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압착판(300)을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200)는 실린더나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어박스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회전스크류(210), 제1 승하강부재(220), 제2 승하강부재(230), 고정축부(240), 제1 로드(250), 제2 로드(260), 제3 로드(270), 제4 로드(280) 및 가이드봉(29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스크류(210)는 수직 설치되어 모터(215)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모터(215)는 회전스크류(210)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승하강부재(220)는 회전스크류(21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승하강부재(230)는 회전스크류(2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제1 승하강부재(220)와 제2 승하강부재(230)는 회전스크류(210)의 길이 상/하측에서 대향될 수 있는데, 여기서, 회전스크류(210)의 회전 시에 제1 승하강부재(220)와 제2 승하강부재(230)는 서로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즉, 제1 승하강부재(220)가 상승하면 제2 승하강부재(230)는 하강하고, 제1 승하강부재(220)가 하강하면 제2 승하강부재(230)는 상승하는 구조이다.
한편, 제1 승하강부재(220)와 제2 승하강부재(230)는 회전스크류(21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보조결합구(225)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보조결합구(225)는 제1 승하강부재(220) 및 제2 승하강부재(230)와 회전스크류(210)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체로서, 제1 승하강부재(220)와 제2 승하강부재(230)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회전스크류(210)가 맞물릴 스크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승하강부재(220) 및 제2 승하강부재(230)의 내부에는 스크류의 직경이나 피치 등을 달리하는 보조결합구(225)를 교체 삽입할 수 있어, 모터(215)의 동일한 동력 발생 대비 압착판(300)의 압착력 등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축부(240)는 압착판(300)의 압착방향 타측 즉, 압착판(300)이 하우징(100) 전면을 향해 압착방향을 형성하는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후면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축부(240)는 서로 상측과 하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제1 고정축(242)과 제2 고정축(2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축(242)과 제2 고정축(244)은 동일 형태의 축으로서, 측방으로 길이를 형성하여 양단이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각각에 후술하는 제1 로드(250)와 제2 로드(260)가 연결되어 제1 로드(250) 및 제2 로드(260)의 회전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축부(240)는 제1 고정축(242)과 제2 고정축(244)의 고정을 보조하는 축고정구(2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축고정구(246)는 하우징(100) 양측면에 형성되어 제1 고정축(242)과 제2 고정축(244)의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고정축(242)과 제2 고정축(244)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축고정구(246)는 하우징(100)과 일 몸체로 형성되거나 결합 또는 부착 설치되어 형성되는 것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제1 로드(250)는 일단이 제1 승하강부재(2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고정축(24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로드(250)는 2개가 마련되어 양측으로 배치되어 균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로드(250)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1 승하강부재(220)와 제1 고정축(242)을 회전축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승하강부재(220)에는 양측방으로 돌출되는 제1 축돌기(227)가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1 로드(250)의 일단은 제1 축돌기(227)에 결합되어 제1 승하강부재(220)와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제1 로드(250)는 제1 승하강부재(220)의 승하강에 따라 제1 승하강부재(220)를 밀어내거나 당기도록 동작될 수 있다.
제2 로드(260)는 일단이 제2 승하강부재(2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고정축(244)에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제1 로드(250)와는 연결위치만 상이할 뿐 개수와 형태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로드(260)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2 승하강부재(230)와 제2 고정축(244)을 회전축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제2 승하강부재(230)의 승하강에 따라 제2 승하강부재(230)를 밀어내거나 당기도록 동작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2 승하강부재(230)에는 양측방으로 돌출되는 제2 축돌기(237)가 마련되어 제2 로드(26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제3 로드(270)는 일단이 압착판(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승하강부재(2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압착판(300)과 제1 승하강부재(220)를 각각 축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제1 승하강부재(220)의 승하강에 따라 압착판(300)을 밀어내거나 당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착판(300)의 후면으로 보조판(310)이 마련되고, 그 보조판(310)의 측부로 제3 축돌기(327)가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축돌기(327)는 제1 고정축(242)과 동일한 높이상에 형성되어 제3 로드(27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고, 제3 로드(270)의 타단은 제1 승하강부재(220)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제1 축돌기(227)에 결합되어 제1 로드(250)와는 제1 승하강부재(220)에서 동일 축심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승하강부재(22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제1 로드(250)와 제3 로드(270)가 전/후방에서 동시에 대칭 회전하면서, 각각 제1 승하강부재(220)와 압착판(300)을 당기거나 밀어낼 수 있다.
한편, 제3 로드(270)는 제1 로드(250) 또는 제2 로드(260)와 마찬가지로 2개가 마련되어 양측으로 균형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축돌기(327)도 보조판(310) 양측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제4 로드(280)는 일단이 압착판(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승하강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제3 로드(270)와는 연결위치만 상이할 뿐 개수와 형태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제4 로드(280)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압착판(300)과 제2 승하강부재(230)를 회전축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제2 승하강부재(230)의 승하강에 따라 압착판(300)을 밀어내거나 당기도록 동작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압착판(300)의 후면에 마련된 보조판(310)에는 제3 축돌기(327)가 마련된 하측의 대향 위치로 제4 축돌기(337)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4 축돌기(337)는 제2 고정축(244)과 동일한 높이상에 형성되어 제4 로드(28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고, 제4 로드(280)의 타단은 제2 로드(260)와는 제2 승하강부재(230)에서 동일 축심을 갖도록 제2 승하강부재(230)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제2 축돌기(237)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승하강부재(23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제2 로드(260)와 제4 로드(280)가 전/후방에서 동시에 대칭 회전하면서, 각각 제2 승하강부재(230)와 압착판(300)을 당기거나 밀어낼 수 있다.
여기서, 제1 승하강부재(220)와 제2 승하강부재(230)는 회전스크류(210)의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승하강 작동되므로, 제1 로드 내지 제4 로드(250 내지 280)는 모터(215)의 구동에 의해 모두 대칭 작동될 수 있다.
즉, 제1 로드 내지 제4 로드(250 내지 280)는 측방에서 바라보면 마름모꼴 형태를 이루는 구조로써, 마름모꼴의 각 변이 서로 대칭인 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조이다.
한편, 제1 로드(250) 및 제2 로드(260)의 고정축부(240)에 결합되는 단부에 각각 기어치(290a, 290b)가 마련되어 서로 치합되거나, 제3 로드(270) 및 제4 로드(280)의 압착판(300)에 결합되는 단부에 각각 기어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서로 치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로드 내지 제4 로드(250 내지 280)의 대칭회전이 정확하고 균일하게 작동될 수가 있다.
가이드봉(295)은 압착판(300)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며, 압착판(300)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봉(295)은 압착판(300)의 후측으로 마련되어 압착판(300)의 운동 방향을 따라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압착판(300)이 가이드봉(295)에 안착되거나, 가이드봉(295)이 압착판(3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부(200)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15)의 구동에 의해 제1 승하강부재(220)와 제2 승하강부재(230)가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승하강하면 압착판(300)이 하우징(100)의 전방을 향해 밀어져 압착력을 형성하게 되고, 반대로 제1 승하강부재(220)와 제2 승하강부재(230)가 서로 넓어지는 방향으로 승하강하면 압착판(300)이 하우징(100)의 후방을 향해 당겨지면서 압착력을 해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압착부(350)는 하우징(100)의 일면과 압착판(300) 사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압착부(350)가 전방으로 압착력을 형성하는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전면(前面)과 압착판(300) 사이로 압착부(350)가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압착부(350)에는 주스채집봉투(40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주스채집봉투(400)는 주스원료가 담기는 봉투로써, 본 발명은 상기 주스원료가 담긴 봉투를 밀봉한 채로 주스채집봉투(400)를 압착부(350)에 고정시킨 후 상술한 압착판(300)을 통하여 주스채집봉투(400)를 압착함으로써, 주스채집봉투(400) 안에서 주스원료의 착즙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주스원료의 찌꺼기나 착즙되는 주스가 외부로 튀지 않아 세척이 불필요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여기서, 주스채집봉투(400)의 고정은 압착부(350)에 거치핀(355)을 마련하여 거치핀(355)에 거치 후, 너트(nut) 등으로 조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형태로써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스채집봉투(400)의 사용 후 교환이 가능한 고정 방식이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주스채집봉투(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410), 지퍼부(420), 끼움홀(430) 및 배출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410)는 측부와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접합부(415)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410)는 2개의 면체가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합부(415)는 착즙된 주스의 배출을 위해 베이스부(410)의 하부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고, 상부는 주스원료의 투입을 위해 마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415)가 형성되지 않는 베이스부(410)의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퍼부(420)는 개방된 베이스부(410)의 상부를 2중으로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퍼부(420)는 상/하측으로 2열 배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지퍼부(420)를 통해 주스원료의 압착 시에 베이스부(410) 상측으로 주스원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끼움홀(430)은 베이스부(4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끼움홀(430)은 지퍼부(420)의 상측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퍼부(420)의 상측에서 양측으로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홀(430)을 통해 주스채집봉투(400)를 상술한 거치핀(355) 등에 거치시킬 수가 있다.
배출부(440)는 베이스부(410) 하부에 마련되어 소정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배출부(440)는 원활한 배출을 위해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주스획득부(500)는 압착부(350)의 하부로 마련되어 압착판(300)의 압착력에 의해 주스채집봉투(400)로부터 낙하하는 주스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스획득부(500)는 주스를 획득하기 위한 용기(미도시)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또는 거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주스획득부(500)는 밀폐 형성되되 일면만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모든 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주스획득부(500)가 일면만 개방되도록 밀폐 형성될 시에는 하우징(100)의 외관은 밀폐되는 구조를 형성하되 일면 하단이 개폐되는 구조이며, 모든 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시에는 하우징(100)의 외관은 일면 하단이 뚫린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으론, 주스획득부(500)는 하나의 용기로서 압착부(350)로 탈부착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주스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구동부(200)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구동부(200)의 on/off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위치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바람직하게는 IOT(Internet of Things)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10)는 서버(600)를 통해 사용자 단말(650) 등과 연결될 수 있고, 자가 진단이나 식습관 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의 IOT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350)의 상측을 개폐하는 덮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700)는 압착판(300)의 주스채집봉투(400) 압착 시에 압착부(350)의 상측을 폐쇄하여 손 등의 신체의 일부가 압착부(35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700)는 레일(미도시)과 롤러(미도시) 등을 마련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힌지 결합이나 축 결합되어 회전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스채집봉투(400)의 압착 시 주스원료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2중 밀봉 지퍼부(420)에 역류방지부(750)가 더하여 역류를 확실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류방지부(750)는 인입홈(752) 및 돌출바(75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입홈(752)은 압착판(300)에 의해 압착되는 하우징(100)의 일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압착판(300)이 전면(前面)을 향해 압착 시에 하우징(10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인입홈(752)의 길이는 주스채집봉투(400)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바(754)는 압착판(300)의 인입홈(752)의 높이와 동일한 위치에서 압착부(350)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입홈(752)과 동일한 길이를 형성하거나 인입홈(752)보다 작은 길이를 형성하여 압착판(300)의 압착 시 인입홈(752)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바(754)는 압착부(350)에 주스채집봉투(400)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주스채집봉투(400)의 상단과 함께 인입홈(752)에 인입되므로, 역류를 수월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인입홈(752)과 돌출바(754)의 형성 위치는 주스채집봉투(400)의 2열의 지퍼부(420) 사이를 인입홈(752)으로 인입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바(754)가 2열의 지퍼부(420) 사이를 밀고 들어가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돌출바(754)는 주스채집봉투(400)와 접촉되는 면이 뾰족한 단부를 마련하도록 삼각형태로 형성되어 인입홈(752)으로의 인입이 수월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다리꼴 형태일 수도 있고 원형의 형태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IOT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주스획득부(500)에 주스원료를 담을 용기가 놓이지 않거나, 압착부(350)에 주스채집봉투(400)가 고정되지 않을 시에 구동부(200)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덮개(700)가 개방된 상태이거나, 주스원료를 담을 용기가 넘칠 시에도 구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작동에 있어서 문제가 될 부분들은 자가 진단 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 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와 같은 문제 부분들이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횟수가 반복되면 자동으로 초기화하거나, 외부 등으로 알림을 수행하거나, 사용자 단말(65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어부는 용기의 무게나 탁도 등을 이용하여 섭취량을 포함하는 식습관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10)는, 주스획득부(500)에 놓이는 주스원료를 담을 용기의 무게나 탁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식습관 정보는 제어부와 연동되는 서버(600)를 통하여 일별, 주별 또는 월별로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650) 등으로 전송될 수 있어, 사용자의 식습관 관리를 도울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100 : 하우징
200 : 구동부
210 : 회전스크류
215 : 모터
220 : 제1 승하강부재
225 : 보조결합구
227 : 제1 축돌기
230 : 제2 승하강부재
237 : 제2 축돌기
240 : 고정축부
242 : 제1 고정축
244 : 제2 고정축
246 : 축고정구
250 : 제1 로드
260 : 제2 로드
270 : 제3 로드
280 : 제4 로드
290a, 290b : 기어치
295 : 가이드봉
300 : 압착판
310 : 보조판
327 : 제3 축돌기
337 : 제4 축돌기
350 : 압착부
355 : 거치핀
400 : 주스채집봉투
410 : 베이스부
415 : 접합부
420 : 지퍼부
430 : 끼움홀
440 : 배출부
500 : 주스획득부
600 : 서버
650 : 사용자 단말
700 : 덮개
750 : 역류방지부
752 : 인입홈
754 : 돌출바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일면으로 왕복운동하며 압착력을 형성하는 압착판;
    상기 하우징 일면과 압착판 사이로 마련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에 고정되며, 주스원료가 담기는 주스채집봉투;
    상기 압착부의 하부로 마련되어 압착판의 압착력에 의해 주스채집봉투로부터 낙하하는 주스를 획득하는 주스획득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스채집봉투의 압착 시 주스원료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압착판에 의해 압착되는 하우징의 일면 상부에 형성되는 인입홈 및
    상기 압착판의 주스채집봉투 압착 시에 주스채집봉투의 상단과 함께 인입홈으로 인입되도록 압착판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바를 포함하는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수직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스크류;
    상기 회전스크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서로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제1 및 제2 승하강부재;
    상기 압착판의 압착방향 타측에서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되, 상측과 하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제1 및 제2 고정축을 포함하는 고정축부;
    일단이 제1 승하강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고정축에 연결되어, 제1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제1 승하강부재를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1 로드;
    일단이 제2 승하강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고정축에 연결되어, 제2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제2 승하강부재를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2 로드;
    일단이 압착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승하강부재에 연결되어, 제1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압착판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3 로드;
    일단이 압착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승하강부재에 연결되어, 제2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압착판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4 로드 및
    상기 압착판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 및 제2 로드의 타단에 각각 기어치가 마련되어 서로 치합되거나,
    상기 제3 로드 및 제4 로드의 일단에 각각 기어치가 마련되어 서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의 상측을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스획득부에 주스원료를 담을 용기가 놓이지 않거나, 상기 압착부에 주스채집봉투가 고정되지 않거나, 상기 덮개가 개방된 상태이거나, 상기 주스원료를 담을 용기가 넘칠 시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는,
    상기 주스획득부에 놓이는 주스원료를 담을 용기의 무게나 탁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용기의 무게나 탁도를 전송 받아 섭취량을 포함하는 식습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스채집봉투는,
    측부와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접합부를 형성하고, 상부는 개방되는 베이스부;
    상기 개방된 베이스부의 상부를 2중으로 밀폐하는 지퍼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마련되는 끼움홀 및
    상기 베이스부 하부에 마련되어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KR1020190125554A 2019-10-10 2019-10-10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KR102289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554A KR102289400B1 (ko) 2019-10-10 2019-10-10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554A KR102289400B1 (ko) 2019-10-10 2019-10-10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692A KR20210042692A (ko) 2021-04-20
KR102289400B1 true KR102289400B1 (ko) 2021-08-11

Family

ID=7574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554A KR102289400B1 (ko) 2019-10-10 2019-10-10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4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782Y1 (ko) * 2004-05-03 2004-07-30 김종국 승강형 약액추출장치를 일체화한 약탕기
CN106388545A (zh) * 2016-09-14 2017-02-15 上海爱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榨汁滤袋
US20180297309A1 (en) * 2017-04-13 2018-10-18 Juicero, Inc. Pr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782Y1 (ko) * 2004-05-03 2004-07-30 김종국 승강형 약액추출장치를 일체화한 약탕기
CN106388545A (zh) * 2016-09-14 2017-02-15 上海爱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榨汁滤袋
US20180297309A1 (en) * 2017-04-13 2018-10-18 Juicero, Inc. P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692A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62749B (zh) 电驱动封闭式真空压榨机
EP2944236A1 (en)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KR102289400B1 (ko) Iot 융합형 무세척 주서기
US9750278B2 (en)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CN112617574A (zh) 一种家用小型榨汁设备
CN108159510B (zh) 一种儿科医生用儿科负压洗胃装置
CN206371859U (zh) 锅盖组件和具有其的烹饪器具
CN110672396B (zh) 一种农药残留检测预处理装置
US9814257B2 (en) Frame for main body of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and frame assembly using the same
CN210643639U (zh) 一种手动省力式榨汁机
CN105105613B (zh) 一种电动榨汁机
US3807297A (en) Automatic citrus fruit squeezing device
CN210783971U (zh) 一种饮料萃取单元及饮料制备机器
CN110192801A (zh) 一种按钮式马桶提盖器
CN112109983A (zh) 一种食品加工用封口设备
CN215738567U (zh) 一种家用挤压式核桃开壳器
CN219048041U (zh) 一种榨汁机
CN111112986B (zh) 一种用于医疗注射针管的加工装置
CN210538526U (zh) 一种电动便携式挤面机
CN209883782U (zh) 一种原汁机分离器及原汁机
EP2944235A1 (en)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CN218791739U (zh) 一种榨汁机
CN214433603U (zh) 一种家居厨房调理用榨压汁机
CN212762983U (zh) 一种包装蛋糕盒的加工固定装置
CN219750633U (zh) 一种下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