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066B1 -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066B1
KR102289066B1 KR1020190132905A KR20190132905A KR102289066B1 KR 102289066 B1 KR102289066 B1 KR 102289066B1 KR 1020190132905 A KR1020190132905 A KR 1020190132905A KR 20190132905 A KR20190132905 A KR 20190132905A KR 102289066 B1 KR102289066 B1 KR 102289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ust collecting
dust
dust collector
cyc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791A (ko
Inventor
육세진
이기혁
노승윤
조민철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2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0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entrifugal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9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reating air sourced from urban areas, e.g. from str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4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of environmental air, e.g. by filters installed on vehicles or on str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차량용 집진 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집진 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집진 바디; 상기 집진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제공되며, 상기 차량의 윈드실드를 따라 상승하는 주행풍을 상기 집진 바디의 유로로 안내하는 가이드 베인; 및 상기 집진 바디 내에 위치하며, 상기 유로를 따라 유입되는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집진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on a roof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집진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 및 도시화로 인하여 대기 오염이 증가되어 실내 및 실외 공기의 심각한 오염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기에는 차량의 분진, 유해가스, 각종 먼지, 꽃가루, 중금속 등이 포함되는데, 만약, 이러한 유해 물질들의 별도의 여과 또는 정화 과정이 없이 인체로 바로 흡입되게 될 경우에는 각종 호흡기 질병은 물론이고 기타 질병들도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특히, 산업의 발달로 인해 차량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도 많은 대기 오염물질이 발생된다. 차량에서는 유해물질이 포함된 배기가스, 각종 분진, 먼지 및 타이어에서 떨어져 나온 타이어가루 등 다양한 물질들이 발생된다.
이를 위해 도로 청소차량이 운행되는데, 도로에 쌓여 있는 먼지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지만 수많은 차량의 주행 시 발생하는 타이어 마모 입자, 브레이크 패드 마모입자 및 엔진 배기 입자 등의 도로 미세먼지는 거의 제거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도로 청소차량은 운행 속도가 10~30 km/h로 매우 느리고, 또한 전국적으로 동시에 운행되는 차량 수가 매우 적어서 도로 미세먼지의 제거가 비효율적이다. 때문에 일반 차량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승용차, 승합차, 버스, 트럭 등의 차량에 장착 가능한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동력으로 차량의 주행 중 미세먼지를 집진할 수 있는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집진 바디; 상기 집진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제공되며, 상기 차량의 윈드실드를 따라 상승하는 주행풍을 상기 집진 바디의 유로로 안내하는 가이드 베인; 및 상기 집진 바디 내에 위치하며, 상기 유로를 따라 유입되는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집진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차량의 루프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차량의 윈드실드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상판의 양 측부에서 아래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차량의 차체 프레임에 놓이는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의 저면은 상기 상판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경사진 곡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유로를 따라 유입되는 주행풍으로부터 싸이클론 방식으로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싸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싸이클론 집진부에서 배출된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유로를 따라 유입된 주행풍이 유입되는 집진 공간들이 형성된 집진체; 상기 집진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주행풍이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일 면이 배치되는 임펙터; 및 상기 집진체에서 배출된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유로에 유입된 주행풍의 흐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주행풍의 흐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그리고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루버들; 상기 루버들 중 가장 낮게 위치하는 루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주행풍을 따라 유입되는 미세 입자를 집진하는 집진통; 및 상기 루버들을 통과한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 부재는, 전기장을 생성하여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 및 상기 전기 집진기를 통과한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집진 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며, 차량의 주행 시 발생되는 주행풍을 유입하여 미세입자를 집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집진 장치는 상대적으로 입자크기가 큰 미세 입자를 1차 집진 후 필터를 통해 비교적 입자크기가 작은 미세 입자를 2차 집진하므로, 미세 입자로 인한 필터의 막힘 현상을 늦출 수 있어 필터를 교체 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집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XY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XY 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집진기의 유입구의 크기에 따른 미세 입자 집진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XY 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XY 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YZ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YZ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 주변의 주행풍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의 집진 효율을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베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차량용 집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집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차량(10)의 루프(11)에 장착된다. 차량(10)은 승용차, 승합차, 버스, 트럭, 지하철, 열차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10)의 폭 방향을 X축 방향이라 하고, 차량(10)의 주행 방향을 Y축 방향이라 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Z축 방향이라 한다.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차량(10)의 주행 시 발생하는 주행풍(W)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집진한다. 주행풍(W)은 차량(10)의 전방에서 직접 유입되거나 차량(10)의 윈드실드(12)를 타고 상승하여 차량용 집진 장치(100) 내로 유입된다.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집진 바디(110), 가이드 베인(120), 빗물 유입 방지부(130), 그리고 집진 부재(140)를 포함한다.
집진 바디(110)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며, 내부에는 개방된 전면 및 후면과 연통하는 유로(111)가 형성된다. 집진 바디(110)의 상부는 차량(10)의 루프(11)로부터 이격하여 소정 높이에 위치하고, 양 측부는 차량(10)의 루프(11) 양 측부에 각각 고정 결합한다.
가이드 베인(120)은 집진 바디(110)의 전방에 위치한다. 가이드 베인(120)은 집진 바디(110)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가이드 베인(120)은 상판(121)과 양 측판(122)을 포함한다. 상판(121)은 집진 바디(110)의 상부로부터 차량(10)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판(121)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차량(10)의 윈드 실드(12)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중첩된다. 측판(122)은 상판(121)의 양 측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윈드 실드(122)의 양측에 제공된 차체 프레임과 결합한다. 상술한 구조의 가이드 베인(120)에 의해, 차량(10)의 윈드실드(12)를 타고 상승하는 주행풍(W)은 가이드 베인(120)의 상판(121)과 충돌 후 집진 바디(110)의 유로(111)로 유입된다.
빗물 유입 방지부(130)는 집진 바디(110)의 입구부에 위치한다. 빗물 유입 방지부(130)는 우천 시 주행풍(W)과 함께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한다. 빗물 유입 방지부(130)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131)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빗물은 블레이드(131)들과 충돌하여 유입이 차단되고, 주행풍(W)은 블레이드(131)들 사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집진 부재(140)는 집진 바디(110) 내에 위치하며, 빗물 유입 방지부(130)를 통과한 주행풍(W)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 집진 부재(140)는 제1집진기(150)와 제2집진기(160)를 포함한다. 제1집진기(150)는 싸이클론 집진기, 루버 집진기, 관성 임팩터 집진기, 전기 집진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집진기(160)는 제1집진기(150)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1집진기(150)에서 배출되는 주행풍(W)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걸러주는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집진 부재(140)는 상대적으로 입자크기가 큰 미세 입자를 제1집진기(150)에서 1차 집진 후 필터(160)를 통해 비교적 입자크기가 작은 미세 입자를 2차 집진하므로, 미세 입자로 인한 필터(160)의 막힘 현상을 늦출 수 있어 필터(160)를 교체 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XY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집진기(150)는 싸이클론 집진기가 사용될 수 있다. 싸이클론 집진기(150)는 싸이클론 방식으로 주행풍(W)로부터 미세입자를 제거한다. 싸이클론 집진기(150)는 복수 개 제공되며, 집진 바디(110) 내에서 X축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된다. 싸이클론 집진기(150) 각각은 주행풍(W)이 유입되는 유입구(211)와 주행풍이 배출되는 배출구(212), 그리고 유입구(211)와 배출구(212)를 연결하며 미세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 공간(213)을 포함한다. 유입구(211)들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집진 공간(213)에는 싸이클론 흐름을 형성하는 싸이클론 형성부(215)가 위치한다. 싸이클론 형성부(215)는 주행풍(W)이 유입되는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한다. 싸이클론 형성부(215)는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유입구(211)로 유입된 주행풍(W)은 싸이클론 형성부(215)에 의해 싸이클론 흐름을 형성하고, 이 과정에서 미세 입자들이 집진 공간(213)에 포집된다. 미세 입자가 제거된 주행풍(W)은 배출구(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XY 평면상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제1집진기의 유입구의 크기에 따른 미세 입자 집진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싸이클론 집진기(210a, 210b)들의 유입구(211a, 211b)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싸이클론 집진기(210a)들 중 일부는 제1직경(d1)의 제1유입구(211a)를 가지고, 나머지(210b)는 제2직경(d2)의 제2유입구(211b)를 가질 수 있다. 제1직경(d1)은 제2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제1유입구(211a)를 갖는 제1싸이클론 집진기(210a)와 제2유입구(211b)를 갖는 제2싸이클론 집진기(210b)는 X축 방향으로 교대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싸이클론 집진기(210a, 210b)들은 유입구(211a, 211b)의 사이즈에 따라 상이한 집진 효율을 나타낸다. 유입구(211a)의 직경이 클수록 비교적 큰 사이즈의 미세 입자 포집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직경이 상이한 유입구(211a, 211b)를 갖는 싸이클론 집진기(210a, 210b)를 함께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미세 입자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XY 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싸이클론 집진기(210a)의 제1유입구(211a)와 제2싸이클론 집진기(210b)의 제2유입구(211b)는 서로 상이한 깊이(S1, S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유입구(211b)는 제1유입구(211a)보다 깊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유입구(211a)와 제2유입구(211b)는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유입구(211a)와 제2유입구(211b)는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주행풍(W)은 제1유입구(211a)에 1차 유입되고, 순차적으로 제2유입구(211b)에 2차 유입될 수 있다. 입자 사이즈가 큰 미세 입자는 주로 제1유입구(211a)를 통해 유입되고, 입자 사이즈가 작은 미세 입자는 주로 제2유입구(211b)롤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XY 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집진기(150)는 집진체(210)와 임펙터(230)를 포함한다.
집진체(210)는 집진 바디(110) 내에 위치한다. 집진체(210)에는 주행풍(W)이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X축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각각의 유로는 유입구(211), 집진 공간(213), 그리고 배출구(212)를 갖는다. 유입구(211)는 주행풍(W)이 유입되는 유로로, 제1영역(211a)과 제2영역(211b)을 포함한다. 제1영역(211a)은 Y축 방향으로 제2영역(211b)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진다. 제2영역(211b)은 제1영역(211a)의 후단에서 제1영역(211a)과 연결되며,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입구(211)는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깔때기 형상의 유입구(211)는 주행풍(W)의 유입을 원활하게 한다.
집진 공간(213)은 제2영역(211b)보다 큰 내경을 갖는 공간으로, 미세 입자를 포집한다. 집진 공간(213)은 유입구(211)에 인접한 영역이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고, 배출구(212)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한다.
임펙터(230)는 집진 공간(213) 내에 배치된다. 임펙터(23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으로, 일 면이 유입구(211)를 향해 배치된다. 임펙터(230)의 일 면은 유입구(211)의 제2영역(211b)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주행풍(W)은 임펙터(230)와 충돌한 후, 임펙터(230)를 돌아 배출구(212)로 유입된다. 주행풍(W)이 임펙터(230)와 충돌하는 과정에서 주행풍(W)에 포함된 미세 입자는 임펙터(230)와 관성 충돌 후 집진 공간(213)의 바닥에 포집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YZ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집진기(150)는 루버(212)와 집진통(215)을 포함한다. 루버(212)는 복수 개 제공되며, Y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루버(212)는 Y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위치가 점차 낮아진다.
집진통(215)은 Y축 방향으로 최후단 루버(212)의 후방에 위치하며, 미세 입자를 포집한다. 주행풍(W)에 포함된 미세 입자들은 루버(212)들과 충돌하면서 Z축 방향으로 이동한 후 집진통(215)에 포집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YZ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집진기(150)는 전기 집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전기 집진기는 복수의 전도성 판(212)이 서로 마주 배치되며, 전기의 인가로 전도성 판(212) 주변에 전기장이 생성된다. 전기장은 주행풍(W)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포집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 주변의 주행풍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주행풍은 차량의 윈드 실드를 따라 상승 기류를 형성하고, 가이드 베인에 의해 높은 밀도로 집진 바디 내에 유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 유량의 주행풍 유입은 차량용 집진 장치의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의 집진 효율을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의 주행 속도를 40km/h(A), 70km/h(B), 그리고 100km/h(C)로 달리하여 집진 효율을 측정하였다. 차량용 집진 장치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집진 효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차량의 주행 속도가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미세 입자의 집진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베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가이드 베인(120)의 상판(121)은 저면(121a)이 경사진 곡면으로 제공된다. 곡면(121a)은 상판(121)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제공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진다. 곡면(121a)은 오목한 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많은 유량의 주행풍(W)이 윈드 실드(12)를 따라 상승하여 집진 바디(110) 내에 유입된다. 상기 곡면(121a)은 윈드 실드(12)를 따라 상승하는 주행풍(W)과 가이드 베인(120)의 충돌을 최소화하고, 집진 바디(110) 내로 주행풍(W)의 원활한 흐름을 형성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차량용 집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버스(10)의 루프(11)에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20)은 소정 길이로 버스(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20)은 상판(121)의 저면이 도 12에서 설명한 경사진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버스(10)의 주행 시, 주행풍(W)은 윈드 실드(12)와 충돌한 후 상승 기류는 가이드 베인(120)에 의해 집진 바디(1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대중 교통 수단에 장착가능하며, 공기 정화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집진 장치
110: 집진 바디
120: 가이드 베인
130: 빗물 유입 방지부
140: 집진 부재

Claims (8)

  1.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집진 바디;
    상기 집진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제공되며, 상기 차량의 윈드실드를 따라 상승하는 주행풍을 상기 집진 바디의 유로로 안내하는 가이드 베인; 및
    상기 집진 바디 내에 위치하며, 상기 유로를 따라 유입되는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집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 부재는,
    주행풍이 유입되는 제1유입구를 갖는 복수 개의 제1싸이클론 집진기;
    상기 집진 바디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싸이클론 집진기들과 교대로 반복하여 제공되며, 주행풍이 유입되는 제2유입구를 갖는 복수 개의 제2싸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제1싸이클론 집진기의 내부와 상기 제2싸이클론 집진기의 내부에 각각 위치하며, 주행풍의 싸이클론 흐름을 형성하는 싸이클론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는 상기 집진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서로 상이한 깊이에 위치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차량의 루프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차량의 윈드실드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상판의 양 측부에서 아래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차량의 차체 프레임에 놓이는 측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면은 상기 상판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경사진 곡면으로 제공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제1싸이클론 집진기와 상기 제2싸이클론 집진기에서 배출된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32905A 2019-10-24 2019-10-24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KR102289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905A KR102289066B1 (ko) 2019-10-24 2019-10-24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905A KR102289066B1 (ko) 2019-10-24 2019-10-24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791A KR20210048791A (ko) 2021-05-04
KR102289066B1 true KR102289066B1 (ko) 2021-08-12

Family

ID=7591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905A KR102289066B1 (ko) 2019-10-24 2019-10-24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0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70B1 (ko) * 2006-11-14 2007-09-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355B1 (ko) * 2009-10-08 2012-03-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진 장치
KR101801748B1 (ko) * 2016-03-31 2017-11-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복합식 집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70B1 (ko) * 2006-11-14 2007-09-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791A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4391B (zh) 具有集尘器的机动车辆
US11065942B2 (en) Environmental air cleaning device, road vehicle having environmental air cleaning device, and filter element
KR101801748B1 (ko) 복합식 집진 장치
KR101517906B1 (ko)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CN101028788A (zh) 车辆用集尘装置
KR20190020362A (ko) 오염농도를 조절하여 집진하는 터널출구 설치형 터널 집진 장치
US7070637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fluid
KR20190045437A (ko) 차량 바퀴에 설치되는 집진 장치
CN105013255B (zh) 一种车载道路浓雾及雾霾清理设备
WO2006092702A2 (en) Cleaner for air polluted by fine dusts and relative purifying process
CN202191819U (zh) 基于除尘和常温吸附为一体的隧道废气净化装置
KR102289066B1 (ko)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KR102012919B1 (ko) 마찰전기를 이용한 비배기 미세먼지 집진장치
JPH0754080B2 (ja) 道路用トンネルの集じん設備
KR20090094512A (ko) 지하철도 터널분진 포집용 무동력 원심집진장치
JP3958622B2 (ja) 浮遊粒子状物質捕集方法及び装置
EP3552686B1 (en) Air cleaner for vehicle
JP4036639B2 (ja) 浮遊粒子状物質捕集装置
KR20160006478A (ko) 필터부가 구비되는 차량 외부먼지 집진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280310B1 (ko) 차량용 집진 장치
KR102279161B1 (ko)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KR102000020B1 (ko) 비산먼지 집진장치
KR101117355B1 (ko) 집진 장치
KR20240062514A (ko) 차량용 집진 장치
RU2299818C1 (ru) Инерционный филь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