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050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050B1
KR102289050B1 KR1020140045307A KR20140045307A KR102289050B1 KR 102289050 B1 KR102289050 B1 KR 102289050B1 KR 1020140045307 A KR1020140045307 A KR 1020140045307A KR 20140045307 A KR20140045307 A KR 20140045307A KR 102289050 B1 KR102289050 B1 KR 102289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disposed
unit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9996A (ko
Inventor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050B1/ko
Priority to US14/473,638 priority patent/US9720637B2/en
Publication of KR2015011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6Use of more than one graphics processor to process data before displaying to one or more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와 서로 중첩되거나 전개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2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을 구비한 슬라이딩부; 상기 제1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장치의 표시부의 확장을 통해 시인성 및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의 발달로 다양한 크기의 표시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주로 시인성을 개선하고 터치 등과 같은 조작의 편의를 위해 대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넓은 화면에서 동영상 내지는 DMB시청 및 전자서적 등에 의한 독서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표시장치가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표시장치의 대형화로 외부에 노출되는 표시부의 면적이 증가되면 표시장치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휴대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영화, 게임, 메신저 등의 다양한 컨텐츠가 활성화됨에 따라 각각의 컨텐츠에 적합한 표시장치의 화면 크기가 요구되어, 하나의 표시장치가 둘 이상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현하는 멀티 윈도우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스마트 폰 등 휴대용 표시장치는 고정된 크기의 화면을 가질 뿐 다양한 크기의 화면을 제공하여 적절한 컨텐츠를 표시하지 못하고 둘 이상의 컨텐츠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는 멀티 윈도우를 구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휴대성을 제고하고 다양한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크기로 화면을 조절하고 멀티 작업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와 서로 중첩되거나 전개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2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을 구비한 슬라이딩부; 상기 제1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는 평판(flat) 표시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는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는 적어도 한 픽셀 폭만큼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표시부 일단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일단에 결합된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표시부 타단 및 상기 제2 표시부 타단에 결합된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는 적어도 일단에 배치된 결합돌기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표시부의 일단에 배치된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홈;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일단에 배치된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제1 결합홈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결합홈은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1 결합홈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2 결합홈의 굴곡 영역에 배치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부는 상기 결합돌기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부는 유기발광소자, 액정표시소자 및 전기영동표시소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표시부는 유기발광소자, 액정표시소자 및 전기영동표시소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가 서로 중첩된 경우,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는 서로 다른 시차를 갖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가 서로 중첩된 경우,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는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는 서로 전개된 경우,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는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는 서로 전개된 경우,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는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부의 화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분할된 화면을 통해 2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3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표시단계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표시단계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멀티 작업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1 표시부, 제2 표시부 및 슬라이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8은 도 5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슬라이딩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제1 표시부의 일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제2 표시부의 일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가 서로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가 서로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가 서로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모드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은 제2 모드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는 멀티 작업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표시부(110), 제2 표시부(120), 제1 구동부(210), 제2 구동부(220), 제1 슬라이딩부(310), 제2 슬라이딩부(320) 및 카메라(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삼차원 영상(3D)를 구현할 수도 있고, 이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가 중첩되어 화면을 표시할 경우를 제1 모드라고 정의한다. 또한, 제1 모드에서, 이차원 영상을 표시할 경우를 기본 모드라고 정의한다. 제1 모드에서, 삼차원 영상을 표시할 경우를 중첩 모드라고 정의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가 일정영역을 제외하고 서로 전개되어 화면을 표시할 경우를 제2 모드라고 정의한다. 또한, 제2 모드에서, 도 5와 같이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경우를 와이드 모드라고 정의한다. 제2 모드에서, 도 6과 같이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가 각각 다른 영상을 표시할 경우를 분할 모드라고 정의한다.
먼저, 제1 모드의 중첩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중첩 모드는 삼차원 영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00)는 좌안 영상을 출력하는 제1 표시부(110) 및 제1 표시부(110)에 밀착되며 좌안 영상과 일정한 양안 시차를 갖는 우안 영상을 출력하는 제2 표시부(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표시부(110)는 평판(flat) 표시 기판을 포함한다. 제1 표시부(11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발광층이 투명하기 때문에 양쪽 전극을 투명 전극으로 사용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제1 표시부(110)는 좌안 영상을 출력한다. 여기서 좌안 영상이란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하는 좌안 영상과 동일하나 사람의 좌안으로만 보게되는 영상은 아니라는 점에서 서로 구분된다.
제1 표시부(110)의 구조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110)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 축전 소자(80)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21)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를 갖는다. 유기 발광 소자(21)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고, 저전력, 높은 휘도 등의 이유로 플렉시블 표시 장치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제1 표시부(110)은 복수의 화소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하나의 화소에 두 개의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가 배치된 것이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화소는 셋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축전 소자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배선을 더 포함하여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표시부(110)는 제1 기판(112)상에 배치된 게이트 배선(151)과, 게이트 배선(151)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배선(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배선(151), 데이터 배선(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지만, 화소가 전술한 정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는 블랙 매트릭스 또는 화소정의막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제1 기판(112)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112)은 캡톤(kapto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및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12)은 5㎛ 내지 200㎛의 두께를 갖는다. 제1 기판(112)이 5㎛ 미만의 두께를 가지면, 제1 기판(112)이 유기 발광 소자(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렵다. 반면, 제1 기판(112)이 200㎛이상의 두께를 갖는 경우, 제1 기판(112)의 플렉시블한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1 기판(112)상에 버퍼층(122)이 배치된다. 버퍼층(122)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122)은 질화규소(SiNx)막, 산화규소(SiO2)막, 산질화규소(SiOxNy)막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버퍼층(122)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제1 기판(112)의 종류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버퍼층(122)상에 스위칭 반도체층(131) 및 구동 반도체층(132)이 배치된다. 스위칭 반도체층(131) 및 구동 반도체층(132)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 반도체층(131) 및 구동 반도체층(132) 위에 게이트 절연막(140)이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ylOrthoSilicate, TEOS), 질화 규소(SiNx) 및 산화 규소(Si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게이트 절연막(140)은 40nm의 두께를 갖는 질화규소막과 80nm의 두께를 갖는 테트라에톡시실란막이 차례로 적층된 이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 게이트 전극(152, 155)을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이 배치된다. 게이트 배선은 게이트 배선(151), 제 1 축전판(158) 및 그 밖의 배선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152, 155)은 반도체층(131, 132)의 적어도 일부, 특히 채널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152, 155)은 반도체층(131, 132) 형성과정에서 반도체층(131, 132)의 소스 영역(136)과 드레인 영역(137)에 불순물이 도핑될 때 채널 영역에 불순물이 도핑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 전극(152, 155)과 제 1 축전판(158)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게이트 전극(152, 155)과 제 1 축전판(158)은 투명한 성질을 갖는 알루미늄(Al)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 금속, 은(Ag)이나 은 합금 등 은 계열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상에 게이트 전극(152, 155)을 덮는 층간 절연막(160)이 배치된다. 층간 절연막(160)은 게이트 절연막(140)과 마찬가지로,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x) 또는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층간 절연막(160)상에 소스 전극(173, 176) 및 드레인 전극(174, 177)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이 배치된다. 데이터 배선은 데이터 배선(171), 공통 전원 라인(172), 제 2 축전판(178) 및 그 밖에 배선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소스 전극(173, 176) 및 드레인 전극(174, 177)은 게이트 절연막(140) 및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을 통하여 반도체층(131, 132)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각각 연결된다. 데이터 배선도 게이트 배선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성질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는 스위칭 반도체층(131),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 스위칭 소스 전극(173)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을 포함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는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다.
박막트랜지스터(10, 20)는 투명한 성질을 갖도록 제작된다. 박막트랜지스터(10, 20)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축전 소자(80)는 층간 절연막(16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 1 축전판(158)과 제 2 축전판(178)을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은 게이트 배선(151)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스 전극(173)은 데이터 배선(171)에 연결된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은 스위칭 소스 전극(17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제 1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는 선택된 화소 내의 유기 발광 소자(21)의 발광층(212)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제1 전극(211)에 인가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제 1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176) 및 제 2 축전판(178)은 각각 공통 전원 라인(172)과 연결된다. 구동 드레인 전극(177)은 컨택홀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21)의 제1 전극(211)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는 게이트 배선(15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작동하여 데이터 배선(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전원 라인(172)으로부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전압의 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축전 소자(80)에 저장되고, 축전 소자(80)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21)로 흘러 유기 발광 소자(21)가 발광하게 된다.
층간 절연막(160)상에 배치된 데이터 배선(171), 공통 전원 라인(172), 소스 전극(173, 176) 및 드레인 전극(174, 177), 제 2 축전판(178) 등과 같이 동일층으로 패턴된 데이터 배선을 덮는 평탄화막(180)이 배치된다.
평탄화막(180)은 그 위에 형성될 유기 발광 소자(21)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단차를 없애고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평탄화막(180)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평탄화막(180)상에 유기 발광 소자(21)의 제1 전극(211)이 배치된다. 제1 전극(211)은 평탄화막(180)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177)과 연결된다.
평탄화막(180)상에 제1 전극(211)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어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정의막(190)이 배치된다. 제1 전극(211)은 화소정의막(190)의 화소 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화소정의막(190)은 폴리아크릴계(polyacrylates resin) 및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화소 영역 내의 제1 전극(211)상에 발광층(212)이 배치되고, 화소정의막(190) 및 발광층(212) 상에 제2 전극(213)이 배치된다. 발광층(212)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화소전극(211)과 발광층(212) 사이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고, 발광층(212)과 제2 전극(213) 사이에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3)은 투과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과형 전극 형성을 위하여 투명 도전성 산화물(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이 사용될 수 있다.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TCO)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산화 아연) 또는 In2O3(Indium Oxide) 등이 있다.
제 2 전극(213) 상에 박막 봉지층(250)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250)은 하나 이상의 무기막(251, 253, 255) 및 하나 이상의 유기막(252, 254)을 포함한다. 또한, 박막 봉지층(250)은 무기막(251, 253, 255)과 유기막(252, 254)이 교호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무기막(251)이 최하부에 배치된다. 즉, 무기막(251)이 유기 발광 소자(21)와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도 4에서 박막 봉지층(250)은 3개의 무기막(251, 253, 255)과 2개의 유기막(252, 254)을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막(251, 253, 255)은 Al2O3, TiO2, ZrO, SiO2, AlON, AlN, SiON, Si3N4, ZnO, 및 Ta2O5 중 하나 이상의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투명한 성질을 갖는다. 무기막(251, 253, 255)은 화학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법 또는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tion, ALD)법을 통해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기막(251, 253, 255)은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252, 254)은 고분자(polymer) 계열의 소재로 만들어지고, 투명한 성질을 갖는다. 여기서, 고분자 계열의 소재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유기막(252, 254)은 열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그리고, 유기막(252, 254)을 형성하기 위한 열증착 공정은 유기 발광 소자(21)를 손상시키지 않는 온도 범위 내에서 진행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막(252, 254)은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250) 상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5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500)에 의해 터치 입력의 존재 및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500)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스트린 패널(500) 투명한 성질을 갖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는 유기발광소자, 액정표시소자 및 전기영동소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제1 표시부(110)는 제1 슬라이딩부(310)에 결합된다. 제1 표시부(110)는 제1 슬라이딩부(310)에 결합되어 제1 슬라이딩부(3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 2 표시부(120)는 평판(flat) 표시 기판을 포함한다. 제1 표시부(11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제2 표시부(120)는 제1 표시부(110)와 서로 중첩되거나 전개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드일 경우, 제2 표시부(120)는 제1 표시부(110)와 중첩하여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드일 경우, 제2 표시부(120)는 제1 표시부(110)와 일정영역을 제외하고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다.
제2 표시부(120)는 제1 표시부(11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모드에서 제 2 표시부(120)는 제 1 표시부(110)와 한 픽셀 폭만큼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부(120)는 좌안 영상과 일정한 양안 시차를 갖는 우안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우안 영상은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우안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나 우안으로만 볼수 있는 영상이 아니라는 점에서 서로 구분된다.
또한, 좌안 영상은 우안 영상과 서로 다른 시차를 갖고 제 1 표시부(110)와 제 2 표시부(120)에서 각각 출력된다. 더욱 상세세하게, 우안 영상과 좌안 영상의 영상 프레임이 동시에(공간분할방식) 또는 서로 번갈아(시간분할방식) 출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안으로 서로 시차를 갖는 우안 영상과 좌안 영상을 입력받아 하나의 입체영상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중첩 모드 중 공간분할방식으로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제 2 표시부(120)는 제 1 표시부(110)와 한 픽셀 폭만큼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우안 영상과 좌안 영상에 시차를 발생시키는 영상처리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부(120)의 구성요소는 제1 표시부(110)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제2 표시부(120)의 캡핑층과 제1 표시부(110)의 캡핑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합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10)과 제2 표시부(120) 사이에는 버퍼역할을 하고, 각 표시부(110,120)에서 다른 표시부로 발하는 빛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투명한 게터층(160,getter layer)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게터층은 수분과 산소로부터 표시부(100)를 보호하고, 제1 전극의 패턴 등에 의한 빛의 간섭으로 발생하는 무아레(Moire)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표시부(120)의 픽셀들은 제1 표시부(110)의 픽셀들과 두께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게 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제1 표시부(110)의 전방에서 영상을 바라봤을 때, 제1 표시부(100)의 픽셀에 의해 제2 표시부(120)의 픽셀이 가려지지 않고 관찰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입체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중첩 모드와 평면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기본 모드를 제공하고, 중첩모드에서 제1 표시부(110)의 하나의 픽셀과 제2 표시부(120)의 하나의 픽셀이 하나의 단위픽셀을 구성하고, 기본모드에서 각 표시부들(110,120)의 각 픽셀이 단위픽셀을 구성한다.
즉, 기본모드는 중첩모드보다 단위픽셀의 수가 두 배가 되므로 기본모드에서 출력되는 이차원 영상은 중첩모드에서 출력되는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보다 해상도가 두 배가 된다.
다시 말해서, 중첩 모드에서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가 서로 번갈아 '온/오프'되고, 기본 모드에서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가 동시에 '온'된다. 따라서 이차원 영상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보다 해상도가 두 배가 되는 것이다.
또한, 기본모드에서 하나의 이차원 영상이 제1 표시부(110)과 제2 표시부(120)에 분배되어 입력된다. 예를 들면, 이차원 영상 중 절반은 제1 표시부(110)에 입력되고 나머지 절반은 제2 표시부(120)에 입력된다.
따라서, 종래의 편광방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이차원 영상을 출력할 때 두 개의 표시부를 모두 이용하므로 해상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각각 두 장의 투명한 표시부를 사용하여 영상 출력시 해상도를 약 두 배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상정하였지만, 세 장을 합착하여 해상도를 세 배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합착하는 패널의 수만큼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각 표시부(100)들의 픽셀들은 모두 두께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도록 유의하여야한다.
한편, 제2 표시부(120)는 제2 슬라이딩부(320)에 결합된다. 제2 표시부(120)는 제2 슬라이딩부(320)에 결합되어 제2 슬라이딩부(3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2 표시부(210)는 유기발광소자, 액정표시소자 및 전기영동소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4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또는태블릿 PC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제 1 표시부(100) 및 제 2 표시부(300)는 각각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구동부(210)는 제1 표시부(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구동부(220)는 제2 표시부(120)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 구동부(210)는 좌안 영상을 제1 표시부(110)에 전달하며, 예를 들면 구동 I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220)는 우안 영상을 제2 표시부(120)에 전달하며, 예를 들면 구동 I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10) 및 제2 구동부(220)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마주보는 표시부(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10)는 제1 게이트 구동부 및 제1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제2 구동부(220)는 제2 게이트 구동부 및 제2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제1 표시부(110)는 다수의 제1 게이트 배선 및 다수의 제1 데이터 배선이 구비되고, 제2 표시부(120)에는 다수의 제2 게이트 배선 및 다수의 제2 데이터 배선이 구비된다.
또한, 제1 표시부(110)에는 다수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 및 다수의 제1 축전소자가 형성되고, 제2 표시부(210)에는 다수의 제2 박막 트랜지스터 및 다수의 제2 축전소자가 형성된다. 다수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 각각은 해당하는 제1 게이트 배선과 제1 데이터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대응하는 제1 축전소자를 충전시킨다. 또한, 다수의 제2 박막 트랜지스터 각각은 해당하는 제2 게이트 배선과 제2 데이터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대응하는 제2 축전소자를 충전시킨다.
다수의 제1 게이트 배선은 제1 게이트 구동부로부터 제1 게이트 신호를 입력받고, 다수의 제1 데이터 배선은 제1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제1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다수의 제2 게이트 배선은 제2 게이트 구동부로부터 제2 게이트 신호를 입력받고, 다수의 제2 데이터 배선은 제2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제2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따라서, 제1 표시부(110)는 제2 모드에서, 제1 게이트 신호와 제1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의 제1 부분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120)은 제2 게이트 신호와 제2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의 나머지 제2 부분을 표시한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제어신호 및 영상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는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에 제1 및 제2 게이트측 제어신호를 각각 제공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는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에 제1 및 제2 데이터측 제어신호와 제1 및 제2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각각 제공한다. 이때,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에는 한 영상을 표시하는 데이터 분량이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로 나눠져서 들어간다.
표시장치가 제2 모드로 구동될 경우,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는 제1 및 제2 게이트측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동시에 턴-온 되고, 제1 및 제2 게이트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또한, 제2 모드로 구동될 경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는 제1 및 제2 데이터측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데이터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데이터 신호는 한 영상의 제1 부분에 해당하는 신호이고, 제2 데이터 신호는 영상의 나머지 제2 부분에 해당하는 신호이다.
또한,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는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에 각각 내장되고,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칩은 각각 제1 구동부(210) 및 제2 구동부(22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도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칩에 각각 내장되고,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칩은 각각 제1 구동부(210) 및 제2 구동부(220)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모드일 경우, 제1 구동부(210)는 좌안 영상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를 제2 모드와 동일하게 전달하여 제1 표시부(110)를 구동시킬 수 있고, 제2 구동부(220)는 우안 영상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를 제2 모드와 동일하게 전달하여 제2 표시부(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40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표시부(100)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400)는 제1 구동부(210) 또는 제2 구동부(22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40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1 구동부(210) 또는 제2 구동부(22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400)는 표시장치의 구성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가 제1 모드에서 이차원 영상 또는 삼차원 영상을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가 서로 동일하게 겹쳐진 경우, 이차원 영상 또는 삼차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제2 모드 중 와이드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즉,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가 슬라이딩부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표시장치는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가 합쳐진 약 두 배의 화면 크기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와이드 모드에서 대화면을 구성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가 제1 구동부(210) 및 제2 구동부(220)에 제1 및 제2 데이터 제어신호와 제1 및 제2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각각 제공한다. 이때 제1 구동부(210) 및 제2 구동부(220)는 한 영상을 표시하는 데이터 분량이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로 나누어져 들어간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제1 구동부(210) 또는 제2 구동부(2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제2 모드 중 분할모드에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멀티 윈도우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가 서로 펼쳐진 상태에서 각각 다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10)는 카메라(400)를 통해 사진 촬영을 할 수 있고, 제2 표시부(120)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방과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는 서로 연동되므로 제1 표시부(110)에서 촬영한 사진을 제2 표시부(120)에서 실행되는 메신저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하기에서 도 7 내지 도 12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부와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7는 도 1의 제1 표시부, 제2 표시부 및 슬라이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8은 도 7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1의 슬라이딩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제1 표시부의 일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1의 제2 표시부의 일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의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가 서로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는 슬라이딩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딩부와 결합된다.
슬라이딩부는 제1 슬라이딩부(310) 및 제2 슬라이딩부(32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는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을 구비한다.
제1 슬라이딩부(310)는 제1 표시부(110) 일단 및 제2 표시부(120)의 일단에 결합된다. 제2 슬라이딩부(320)는 제1 표시부(110) 타단 및 제2 표시부(120) 타단에 결합된다.
제1 슬라이딩부(310) 및 제2 슬라이딩부(320)는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310)와 제2 슬라이딩부(320)는 배치 위치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하기에서 제1 슬라이딩부(3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을 참조하면, 제1 슬라이딩부(310)는 제1 결합홈(311) 및 제2 결합홈(312)을 구비하고, 제1 스토퍼(313) 및 제2 스토퍼(314)를 포함한다. 제1 결합홈(311) 및 제2 결합홈(312)은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며, 각각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제1 스토퍼(313)는 제1 결합홈(311)의 양단에 배치되며,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구동할 경우, 제1 표시부(110)를 고정시킨다. 제2 스토퍼(314)는 제2 결합홈(312)의 양단에 배치되며,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구동할 경우, 제2 표시부(120)를 고정시킨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표시부(110)는 적어도 일단에 배치된 제1 결합돌기(111)를 포함한다. 제1 결합돌기(111)는 제1 표시부(110) 일단의 일정 영역에만 형성된다. 제1 결합돌기(111)가 형성되는 길이는 제1 표시부(110)의 이동과 관련된다. 상세하게는, 제1 표시부(110)는 제1 모드에서 제1 슬라이딩부(310)에 일치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표시부(110)는 제2 모드에서 제1 슬라이딩부(310)의 절반 정도로 일치되도록 결합된다. 즉, 제1 표시부(110)가 제1 슬라이딩부(3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와 방향을 고려하여 제1 결합돌기(1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1 표시부(110)는 좌측으로 절반 정도 움직이는 것을 일 예로 가정하였으므로 제1 결합돌기(110)가 제1 표시부(110) 일단의 좌측 절반에 배치된다. 물론 상기와 달리 제1 표시부(110)의 이동하는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제1 결합 돌기(111)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제2 표시부(120)는 적어도 일단에 배치된 제2 결합돌기(121)를 포함한다. 제2 결합돌기(121)는 제 2 표시부(120) 일단의 일정 영역에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2 표시부(120) 일단의 우측 절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21)는, 앞서 설명한 제1 결합 돌기(111)와 같이, 제2 표시부(120)의 이동하는 거리 및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결합돌기(111) 및 제2 결합돌기(121)는 각각 제1 결합홈(311) 및 제2 결합홈(312)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1 모드에서, 제1 표시부(110)의 제1 결합돌기(111)는 제1 결합홈(311)의 우측 절반에 배치되고, 제2 표시부(120)의 제2 결합돌기(121)는 제2 결합홈(312)의 좌측 절반에 배치된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2 모드에서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가 제1 슬라이딩부(310)에 서로 전개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2 모드에서, 제1 표시부(110)의 제1 결합돌기(111)는 제1 결합홈(311)의 좌측 절반에 배치되고, 제2 표시부(120)의 제2 결합돌기(121)는 제2 결합홈(312)의 우측 절반에 배치된다.
하기에서 도 13 내지 도 16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부와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슬라이딩부(320)는 제1 슬라이딩부(31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제1 슬라이딩부(3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가 서로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슬라이딩바(310)는 제1 결합홈(311) 및 제2 결합홈(312)을 포함한다.
제1 결합홈(311)은 제1 슬라이딩바(310) 일면의 상단에 구비된다. 제1 결합홈(311)은 제1 슬라이딩바(310) 길이방향으로 좌측의 절반 정도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결합홈(311)은 제1 표시부(110)의 절반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제1 스토퍼(313)는 제1 결합홈(311) 양단에 배치된다. 제1 스토퍼(313)는 제1 결합돌기(111)를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제1 스토퍼(313)와 제1 결합돌기(111)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는 적어도 일단에 제1 결합돌기(111)를 포함한다. 제1 결합돌기(111)는 제1 표시부(110) 일면의 중앙에 요철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11)는 제1 결합홈(311)에 삽입된다. 제1 결합돌기(111)는 제1 결합홈(311)의 좌우측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시부(110)는 제1 결합돌기(111)의 이동에 의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변경이 가능하다.
제2 결합홈(312)은 제1 슬라이딩바(310) 일면의 하단에 구비된다. 제2 결합홈(312)은 제1 슬라이딩바(310) 길이방향으로 우측의 절반 정도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2 결합홈(312)은 제2 표시부(120)의 절반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제2 결합홈(312)은 일단에 제2 스토퍼(314)가 배치되고, 타단에 걸림돌기(312a)가 구비된다. 제2 스토퍼(314)는 제2 결합돌기(121)를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제2 스토퍼(314)와 제2 결합돌기(121)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 결합홈(312)은 일정 길이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끝 단부는 소정 부분 굴곡지게 형성한다. 걸림돌기(312a)는 제2 결합홈(312)의 굴곡 영역에 배치된다. 즉, 제2 결합돌기(312a)는 제1 슬라이딩부(310) 상단쪽으로 슬라이딩하여 걸림돌기(312a)에 삽입 및 고정된다.
제2 표시부(120)는 적어도 일단에 제2 결합돌기(121)를 포함한다. 제2 결합돌기(121)는 제2 표시부(120) 일면의 중앙에 요철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21)는 제2 결합홈(312)에 삽입된다. 제2 결합돌기(121)는 제2 결합홈(312)의 좌우측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표시부(120)는 제2 결합돌기(121)의 이동에 의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5 및 도 16를 참조하면,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는 각각 좌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모드에서, 제1 표시부(110)는 제1 슬라이딩바(310)와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제1 결합돌기(111)는 제1 결합홈(311)에 삽입된 채, 제1 슬라이딩바(310)의 중앙에 배치된 제1 스토퍼(313)에 고정된다. 제1 모드에서 제2 표시부(120)는 제1 슬라이딩바(310)와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제2 결합돌기(121)는 제2 결합홈(312)에 삽입된 채, 제2 스토퍼(314)에 고정된다.
제2 모드에서, 제1 표시부(110)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1 결합돌기(111)는 제1 슬라이딩바(310)의 좌측 일단에 배치된 제1 스토퍼(313)에 고정된다. 제2 모드에서, 제2 표시부(120)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 결합돌기(121)는 걸림돌기(312a)에 맞물려 고정된다. 제2 표시부(120)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돌기(312a)에 삽입되어 제1 표시부(110)가 배치된 높이로 상승한다. 제2 표시부(120)는 제1 표시부(110)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제1 표시부(110)와 일면을 접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가 밀착되어 제2 모드를 실시한다.
하기에서 도 17 내지 도 4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부와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슬라이딩부(320)는 제1 슬라이딩부(31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제1 슬라이딩부(3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가 서로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슬라이딩바(310)는 제1 결합홈(311) 및 제2 결합홈(312)을 포함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결합홈(311)은 제1 슬라이딩바(310) 일면의 상단에 구비된다. 제1 결합홈(311)은 제1 슬라이딩바(310)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제1 결합홈(311)은 제1 슬라이딩부(31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부(310)보다 조금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표시부(110)는 적어도 일단에 제1 결합돌기(111)를 포함한다. 제1 결합돌기(111)는 제1 표시부(110) 일면에 돌기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11)는 제1 결합홈(311)에 결합된다. 제1 표시부(110)는 제1 결합돌기(111)가 제 1 결합홈(311)에 맞물림으로써 고정된다. 즉, 제1 표시부(11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제2 결합홈(312)은 제1 슬라이딩바(310) 일면의 하단에 구비된다. 제2 결합홈(312)은 제1 슬라이딩바(310)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2 결합홈(312)은 제1 슬라이딩부(31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부(310)보다 조금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결합홈(312)은 일단에 제2 스토퍼(314)가 배치되고, 타단에 걸림돌기(312a)가 구비된다. 제2 스토퍼(314)는 제2 결합돌기(121)를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제2 스토퍼(314)와 제2 결합돌기(121)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 결합홈(312)은 일정 길이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끝 단부는 소정 부분 굴곡지게 형성한다. 즉, 제2 결합돌기(312a)는 제1 슬라이딩부(310) 상단쪽으로 슬라이딩하여 걸림돌기(312a)에 삽입 및 고정된다.
제2 표시부(120)는 적어도 일단에 제2 결합돌기(121)를 포함한다. 제2 결합돌기(121)는 제2 표시부(120) 일면의 일단에 요철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21)는 제2 결합홈(312)에 결합된다. 제2 결합돌기(121)는 제2 결합홈(312)의 좌우측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표시부(120)는 제2 결합돌기(121)의 이동에 의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9 및 도 40을 참조하면, 제2 표시부(120)는 좌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모드에서, 제1 표시부(110)는, 제1 결합돌기(111)가 제1 결합홈(311)에 삽입된 채, 제1 슬라이딩부(310)와 일치되도록 고정된다. 제1 모드에서 제2 표시부(120)는 제1 슬라이딩바(310)와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제2 결합돌기(121)는 제2 결합홈(312)에 삽입된 채, 제2 스토퍼(314)에 고정된다.
제2 모드에서, 제1 표시부(110)은 제1 모드와 동일하게 고정된다. 제2 모드에서, 제2 표시부(120)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 결합돌기(121)는 걸림돌기(312a)에 맞물려 고정된다. 제2 표시부(120)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돌기(312a)에 삽입되어 제1 표시부(110)가 배치된 높이로 상승한다. 제2 표시부(120)는 제1 표시부(110)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제1 표시부(110)와 일면을 접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가 밀착되어 제2 모드를 실시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표시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예를 포함할 수 있다.
100:표시부 110:제1 표시부
111:제1 결합돌기 120:제2 표시부
121:제2 결합돌기 210:제1 구동부
220:제2 구동부 310:제1 슬라이딩부
311:제1 결합홈 312:제2 결합홈
312a:걸림돌기
313:제1 스토퍼 314:제2 스토퍼
320:제2 슬라이딩부 400:카메라

Claims (19)

  1.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와 서로 중첩되거나 전개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2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가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을 구비한 슬라이딩부;
    상기 제1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제1 결합홈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홈의 굴곡 영역에 걸림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 결합홈의 하면과 같거나 그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표시부는 적어도 일단에 배치된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부의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배치되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인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는 평판(flat) 표시 기판인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는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는 적어도 한 픽셀 폭만큼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표시부 일단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일단에 결합된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표시부 타단 및 상기 제2 표시부 타단에 결합된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서로 대향 배치된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적어도 일단에 배치된 제1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표시부의 제1 결합돌기가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되는 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의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기 걸림돌기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는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인, 표시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제1 결합홈과 평행하게 구비된 표시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홈은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1 결합홈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표시장치.
  11. 삭제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돌기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유기발광소자, 액정표시소자 및 전기영동표시소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유기발광소자, 액정표시소자 및 전기영동표시소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가 서로 중첩된 경우,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는 서로 다른 시차를 갖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표시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가 서로 중첩된 경우,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는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는 서로 전개된 경우,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는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는 서로 전개된 경우,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는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표시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굴곡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홈인 표시장치.
KR1020140045307A 2014-04-16 2014-04-16 표시장치 KR102289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307A KR102289050B1 (ko) 2014-04-16 2014-04-16 표시장치
US14/473,638 US9720637B2 (en) 2014-04-16 2014-08-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307A KR102289050B1 (ko) 2014-04-16 2014-04-16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996A KR20150119996A (ko) 2015-10-27
KR102289050B1 true KR102289050B1 (ko) 2021-08-12

Family

ID=5432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307A KR102289050B1 (ko) 2014-04-16 2014-04-16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20637B2 (ko)
KR (1) KR102289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363A (ko) * 2014-09-12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201621558A (zh) * 2014-12-05 2016-06-16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輸入裝置
WO2016116833A1 (ja) 2015-01-22 2016-07-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7164680A1 (ko) 2016-03-24 201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장치
KR20170113066A (ko) 2016-03-24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장치 및 그의 이미지 표시 방법
ES1187311Y (es) * 2017-03-31 2017-10-02 Almeida Tanausu Herrera Estructura deslizante para smartphone
US11037489B1 (en) * 2017-05-22 2021-06-15 Jerry Dewanye Alexander High strength transparent articles with digital display arrays and capabilities
US10203929B2 (en) * 2017-06-13 2019-0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dable display strips
KR102373995B1 (ko) * 2017-10-30 2022-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CN110034165A (zh) * 2019-03-26 2019-07-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I801040B (zh) * 2021-12-17 2023-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多螢幕顯示裝置及其操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6582A1 (en) * 2001-11-09 2005-09-22 Bell Gareth P Depth fused display
US20120212397A1 (en) * 2011-02-23 2012-08-23 William Edward Lock Multi-screen electronic device
US20120274570A1 (en) * 2009-10-08 2012-11-01 Si Hwan Kim Portabl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3775A1 (en) * 2004-05-12 2005-11-17 Stewart Gordon A Multi-screen laptop system
JP2006010811A (ja) * 2004-06-23 2006-01-12 Sony Corp 表示装置
JP4692986B2 (ja) * 2004-12-17 2011-06-0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KR20100027502A (ko) 2008-09-02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719929B2 (ja) * 2009-03-31 2011-07-0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95675B1 (ko) 2011-06-29 2013-08-14 주식회사 삼보 플라스틱 바스켓을 구비한 쇼핑카트의 커버 판 체결장치
KR20130024362A (ko) *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틸트 보정방법
CN104024922A (zh) 2011-10-27 2014-09-03 娜我比可隆股份有限公司 透明立体图像显示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6582A1 (en) * 2001-11-09 2005-09-22 Bell Gareth P Depth fused display
US20120274570A1 (en) * 2009-10-08 2012-11-01 Si Hwan Kim Portable display apparatus
US20120212397A1 (en) * 2011-02-23 2012-08-23 William Edward Lock Multi-scree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20637B2 (en) 2017-08-01
US20150301782A1 (en) 2015-10-22
KR20150119996A (ko) 201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050B1 (ko) 표시장치
KR102283584B1 (ko) 표시장치
KR10263125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KR102423476B1 (ko) 표시 장치
KR10254740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72724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55724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992167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JP6425114B2 (ja) 折り畳み式表示装置及び電気機器
US8796921B2 (en) Flexible display panel
KR10210836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TWI614888B (zh) 有機發光顯示器
KR102411497B1 (ko) 다중 영상 표시 장치
US10879338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trench portion
KR20190030792A (ko) 표시 장치
US2018002607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07299B2 (en) Display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JP7399081B2 (ja) 表示装置、表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102454195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50116940A (ko) 표시 장치
JP2023078145A (ja) 表示装置
JP2020012971A (ja) 表示装置
KR102350295B1 (ko) 표시 장치
US20240196649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20220165824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