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497B1 -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 - Google Patents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497B1
KR102288497B1 KR1020210028969A KR20210028969A KR102288497B1 KR 102288497 B1 KR102288497 B1 KR 102288497B1 KR 1020210028969 A KR1020210028969 A KR 1020210028969A KR 20210028969 A KR20210028969 A KR 20210028969A KR 102288497 B1 KR102288497 B1 KR 102288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ticular
frame
window
recognizers
image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포테크
Priority to KR102021002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H 빔 지주(H)(H')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제1,2방음판(100)(100')을 삽입 적층함으로써 구현되는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제1방음판(100)은, 사각형태를 가지는 제1프레임(110)과, 제1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1윈도우(120)와, 제1윈도우(120)의 표면에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다수의 제1렌티큘러 인식자(130)를 포함하고; 제2방음판(100')은, 사각형태를 가지는 제2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2윈도우(120')와, 제2윈도우(120')의 표면에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다수의 제2렌티큘러 인식자(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SOUND PROOF WALL HAVING AVOIDE BIRD STRIKE}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행중인 새들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학교등의 공공건물이 근접된 도로에는,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주변 건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방음벽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음벽은, 도로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배치된 다수의 H 빔 지주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방음판을 삽입 적층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때 H 빔 지주는 중앙에 위치된 웹의 양측에 플랜지가 연결되어 구현된다.
한편 최근 방음벽의 디자인적 요소가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H 빔 지주 사이에 끼어지는 방음판은 과거 단순한 패널 형태에서, 최근에는 투명판 둘레를 프레임으로 감싸여져 구현되고 있다.
그런데, 디자인적인 요소를 강조하기 위하여 방음벽 전체의 투명도가 커질수록 비행하는 조류(새)들이 투명판에 충돌하여 폐사하는 사고가 빈번하여 동물보호 차원에서 문제가 발생되었고, 더 나아가 투명판에 충돌한 후 낙하되는 조류가 주행중인 차량에 충돌되었을 때 2차 사고로 연결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방음판에 불투명한 패턴을 인쇄하여 조류 충돌을 방지하고자 하고 있으나, 이 경우 방음판의 투명도가 심하게 저하되어 방음벽의 전체적 디자인적인 요소가 저하된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방음벽의 전체적인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비행중인 조류충돌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은. 도로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H 빔 지주(H)(H')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제1,2방음판(100)(100')을 삽입 적층함으로써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방음판(100)은, 사각형태를 가지는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1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1윈도우(120)와, 상기 제1윈도우(120)의 표면에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다수의 제1렌티큘러 인식자(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방음판(100')은, 사각형태를 가지는 제2프레임(110')과, 상기 제2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2윈도우(120')와, 상기 제2윈도우(120')의 표면에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다수의 제2렌티큘러 인식자(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는, 상기 제1,2윈도우(120)(12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볼록한 반원통 표면을 가지는 바아(131)와, 상기 바아(131)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2 개의 이미지패턴이 n 개로 분할되어 각각 교번으로 배열된 이미지시트(132)와, 상기 이미지시트(132)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미세한 렌티큘렌즈(133a)로 이루어지는 렌즈시트(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10)은, 내측에 상기 제1윈도우(120)의 가장자리가 거치되는 제1테두리거치단(111)과, 상부에 형성되는 제1상부돌부(112)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상부돌부(112)가 치합되는 형태의 제1하부홈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110')은, 내측에 상기 제2윈도우(120')의 가장자리가 거치되는 제2테두리거치단(111')과, 상부에 형성되는 제2상부돌부(112')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상부돌부(112')가 치합되는 형태의 제2하부홈부(1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윈도우(120)(120')은, 마주보는 한쌍의 투명판(121)(122)과, 상기 한쌍의 투명판(121)(122)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123)와, 상기 한쌍의 투명판(121)(122)의 테두리를 감싸는 실링마감단(124)을 포함한다. .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시야각에 따라 2 개의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제1서브인식자(130a)와, 시야각에 따라 다른 2 개의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제2서브인식자(130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방음판(100)은, 상기 제1렌티큘러 인식자(130)의 표면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날개(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방음판(100')은, 상기 제2렌티큘러 인식자(130')의 표면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날개(1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윈도우(120)(120')의 표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를 채용함으로써, 비행하는 조류의 시야각의 변화에 따라 2 개의 이미지패턴을 교번으로 표시하고, 이에 따라 조류가 제1,2방음판(100)(10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는 바아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주행중인 차량 탑승자에게 잘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방음벽 전체의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어 디자인적인 장점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날개(140)(140')를 채용함으로서, 공중에서 도로 주위를 비행하는 조류에게는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와 함께 선명하게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더더욱 확실하게 조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음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2방음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제1,2프레임이 일렬로 정렬되게 적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제1,2윈도우에 제1,2렌티큘러 인식자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제1,2렌티큘러 인식자에 제1,2연장날개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1,2연장날개에 형성된 원색표식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음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2방음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2프레임이 일렬로 정렬되게 적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은, 도로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H 빔 지주(H)(H')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제1,2방음판(100)(100')을 삽입 적층함으로써 구현된다.
제1방음판(100)은, 사각형태를 가지는 제1프레임(110)과, 제1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1윈도우(120)와, 제1윈도우(120)의 표면에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다수의 제1렌티큘러 인식자(130)와, 제1렌티큘러 인식자(130)의 표면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날개(140)를 포함한다.
제2방음판(100')은, 사각형태를 가지는 제2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2윈도우(120')와, 제2윈도우(120')의 표면에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다수의 제2렌티큘러 인식자(130')와, 제2렌티큘러 인식자(130')의 표면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날개(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현되는 방음벽은 크기에 따라 제1,2방음판(100)(100')의 개수가 달라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한 2 개의 방음판에 제1,2 란 지칭문자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방음판(100)과 제2방음판(10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방음벽을 구현이 용이해진다.
제1,2프레임(110)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H 빔 지주(H)(H')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테두리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내측에 상기 제1윈도우(120)의 가장자리가 거치되는 제1테두리거치단(111)과, 상부에 형성되는 제1상부돌부(112)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상부돌부(112)가 치합되는 형태의 제1하부홈부(113)를 포함한다.
제2프레임(110')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H 빔 지주(H)(H')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테두리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내측에 상기 제2윈도우(120')의 가장자리가 거치되는 제2테두리거치단(111')과, 상부에 형성되는 제2상부돌부(112')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상부돌부(112')가 치합되는 형태의 제2하부홈부(113')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2프레임(110)(110')은, H 빔 지주(H)(H') 사이에 제1방음판(100) 및 제2방음판(100')을 순차적으로 끼어넣을 때. 제1프레임(110)의 제1상부돌부(112)는 제2프레임(110')의 제2하부홈부(113')에 치합되게 끼어지면서 일렬로 정렬된다. 이러한 제1,2윈도우(120)(120')의 테두리 부분을 보호하기 때문에 제1,2방음판(100)(100')을 H 빔 지주(H)(H') 사이에 끼어넣을 때 제1,2윈도우(120)(120')이 금속 재질의 H 빔 지주(H)(H')에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2윈도우(120)(120')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한쌍의 투명판(121)(122)과, 상기 한쌍의 투명판(121)(122)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123)와, 상기 한쌍의 투명판(121)(122)의 테두리를 감싸는 실링마감단(124)을 포함한다.
투명판(121)(122)은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서, 유리판,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판등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격부재(123) 및 실링마감단(124)은 제1,2윈도우(120)(120') 내부를 외부 환경과 차단함으로써, 빗물이나 습기가 제1,2윈도우(120)(12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1,2윈도우(120)(120')에 의하여 방음벽 내측을 주행하는 차량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제1,2윈도우에 제1,2렌티큘러 인식자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는, 공중에서 도로 주위를 비행하는 조류가 제1,2윈도우(10)를 불투명하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제1,2윈도우(120)(120') 측으로 비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로를 주행중인 차량 탑승자에게 잘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2윈도우(120)(120')가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보이도록 한다.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기다라 바아 형태가 되어 제1,2윈도우(120)(120')의 일측 표면 또는 양측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게 배치되고, 세로 방향을 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는, 제1,2윈도우(120)(12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볼록한 반원통 표면을 가지는 바아(131)와, 바아(131)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2 개의 이미지패턴이 n 개로 분할되어 각각 교번으로 배열된 이미지시트(132)와, 이미지시트(132)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미세한 렌티큘렌즈(133a)로 이루어지 렌즈시트(133)를 포함한다.
바아(131)는 제1,2윈도우(120)(120')의 표면으로부터 입체적으로 돌출되어, 방음벽을 따라 비스듬하게 비행중인 조류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바아(31)는 단면이 원통형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조류는 비행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두께로 인식된다.
바아(131)에는 접착층(131a)이 형성되어 제1,2윈도우(120)(120')에 접착 고정되며, 이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작된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미지시트(132)에 렌즈시트(133)가 포개어짐에 따라, 시야각에 따라 2 가지의 이미지패턴을 교번으로 보이게 하는 렌티큘러 시트가 완성된다. 이때 렌즈시트(133a)가 미세할수록 좁은 시야각에서도 이미지패턴이 교번으로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원통형 바아(131)에 상기 이미지시트(132) 및 렌즈시트(133)가 부착됨으로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탤르 가지는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가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는, 시야각에 따라 다른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다수의 렌티쿨러표시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2 개를 지정한 후 상부 및 하부 지칭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시야각에 따라 2 개의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제1서브인식자(130a)와, 시야각에 따라 다른 2 개의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제2서브인식자(130b)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는 시야각에 따라 4 개의 이미지패턴을 표시한다. 즉,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를 구성하는 서브인식자의 개수에 대하여 2 배의 이미지패턴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제1,2렌티큘러 인식자에 제1,2연장날개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1,2연장날개에 형성된 원색표식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의 표면 중앙에는 수직 방향으로, 즉 제1,2윈도우(120)(120')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 제1,2연장날개(140)(140')가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바아(131)는 그를 관통하는 끼움공(134a) 및 바아(131)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끼움공(134a)과 연통되는 끼움슬릿(134b)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2연장날개(140)(140')는, 상기 끼움공(134a)에 끼어지는 끼움돌기(144a)를 가지며, 끼움돌기(144a)를 끼움공(134a)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끼움슬릿(134b)에 끼움으로써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에 조립된다.
제1,2연장날개(140)(140')는, 제1반경(D1)을 가지는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로부터 제2직경(D2) 만큼 연장된 형태이고,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와 함께 인식된다. 이러한 제1,2연장날개(140)(140')는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의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므로, 주행중이 차량 탑승자에게는 잘 보이지 않고, 공중에서 도로 주위를 비행하는 조류에게는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와 함께 선명하게 인식된다. 즉, 제1,2연장날개(140)(140')는 제1,2윈도우(120)(120')의 투명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비행하는 조류에게 명확히 인식되는 것이다.
한편, 제1,2연장날개(140)(14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조류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원색표식자(145)가 형성된다. 원색표식자(145)는 발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패턴으로 구성되는 원색패턴부(146) 및 원색패턴부(146)를 둘러싸는 테두리패턴(147)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조류가 원색표식자(145)를 인식하도록 함으로서 더더욱 확실하게 제1,2윈도우(120)(120') 측으로 조류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원색패턴부(146)는, 기다란 바아 형태의 빨강패턴(146a), 주황패턴(146b), 노랑패턴(146c), 초록패턴(146d). 파랑패턴(146e), 남색패턴(146f), 보라패턴(146g)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색패턴부(146)는 모든 원색을 포함함으로써 특정 조류가 인식하지 못하는 가능성을 배제한다.
테두리패턴(147)은 원색패턴부(146)의 주위를 감싸게 형성된다. 테두리패턴(147)은 원색패턴부(146)와 대비되기 때문에, 조류가 원색표식자(145)를 더더욱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적으로, 조류의 종류에 따라 특정 조류는 인식하지 못하는 색깔이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조류는 빨강 및 주황색을 인식하지 못하고, 또 다른 조류는 파랑 및 보랑 색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모든 조류가 원색표식자(145)를 인식할 수 있도록, 원색패턴부(146)는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란, 남색 및 보라 색깔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윈도우(120)(120')의 표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를 채용함으로써, 비행하는 조류의 시야각의 변화에 따라 2 개의 이미지패턴을 교번으로 표시하고, 이에 따라 조류가 제1,2방음판(100)(10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는 바아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주행중인 차량 탑승자에게 잘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방음벽 전체의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어 디자인적인 장점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날개(140)(140')를 채용함으로서, 공중에서 도로 주위를 비행하는 조류에게는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와 함께 선명하게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더더욱 확실하게 조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H, H' ... H 빔 지주 100, 100' ... 제1,2방음판
110, 110' ... 제1,2프레임 111, 111' ... 제1,2테두리거치단
112, 112' ... 제1,2상부돌부 113,113' ... 제1,2하부홈부
120,120' ... 제1,2윈도우 121, 122 ... 투명판
123 ... 이격부재 124 ... 실링마감단
130, 130' ... 제1,2렌티큘러 인식자 130a ... 제1서브인식자
130b ... 제2서브인식자 131 ... 바아
134a ... 끼움공 132 ... 이미지시트
133 ... 렌즈시트 133a ... 렌티큘렌즈
134a ... 끼움공 134b ... 끼움슬릿
140, 140' ... 제1,2연장날개 144a ... 끼움돌기
145 ... 원색표식자 146 ... 원색패턴부
147 ... 테두리패턴

Claims (6)

  1. 도로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배치된 다수의 H 빔 지주(H)(H')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제1,2방음판(100)(100')을 삽입 적층함으로써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방음판(100)은, 사각형태를 가지는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1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1윈도우(120)와, 상기 제1윈도우(120)의 표면에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다수의 제1렌티큘러 인식자(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방음판(100')은, 사각형태를 가지는 제2프레임(110')과, 상기 제2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2윈도우(120')와, 상기 제2윈도우(120')의 표면에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다수의 제2렌티큘러 인식자(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는, 상기 제1,2윈도우(120)(12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볼록한 반원통 표면을 가지는 바아(131)와, 상기 바아(131)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2 개의 이미지패턴이 n 개로 분할되어 각각 교번으로 배열된 이미지시트(132)와, 상기 이미지시트(132)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미세한 렌티큘렌즈(133a)로 이루어지는 렌즈시트(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10)은, 내측에 상기 제1윈도우(120)의 가장자리가 거치되는 제1테두리거치단(111)과, 상부에 형성되는 제1상부돌부(112)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상부돌부(112)가 치합되는 형태의 제1하부홈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110')은, 내측에 상기 제2윈도우(120')의 가장자리가 거치되는 제2테두리거치단(111')과, 상부에 형성되는 제2상부돌부(112')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상부돌부(112')가 치합되는 형태의 제2하부홈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윈도우(120)(120')은,
    마주보는 한쌍의 투명판(121)(122)과,
    상기 한쌍의 투명판(121)(122)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123)와,
    상기 한쌍의 투명판(121)(122)의 테두리를 감싸는 실링마감단(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렌티큘러 인식자(130)(130')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시야각에 따라 2 개의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제1서브인식자(130a)와,
    시야각에 따라 다른 2 개의 이미지패턴을 표시하는 제2서브인식자(1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음판(100)은, 상기 제1렌티큘러 인식자(130)의 표면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날개(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방음판(100')은, 상기 제2렌티큘러 인식자(130')의 표면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날개(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
KR1020210028969A 2021-03-04 2021-03-04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 KR102288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969A KR102288497B1 (ko) 2021-03-04 2021-03-04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969A KR102288497B1 (ko) 2021-03-04 2021-03-04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497B1 true KR102288497B1 (ko) 2021-08-10

Family

ID=7731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969A KR102288497B1 (ko) 2021-03-04 2021-03-04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593B1 (ko) 2022-11-09 2023-10-25 정인규 인공지능형 조류 감지 기능을 활용한 풍력 발전기 충돌 방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645A (ja) * 2007-10-06 2009-04-30 Wing Yamaguchi:Kk 鳥忌避部材
KR200447585Y1 (ko) * 2009-08-25 2010-02-10 이봉환 방음벽용 조립식 패널 구조
JP2011155856A (ja) * 2010-01-29 2011-08-18 Satoshi Yasuda 鳥獣忌避装置
KR20140000284U (ko) * 2013-07-22 2014-01-14 주식회사 세원에스피앤씨 조류 충돌 방지기능을 갖는 투명 방음벽용 방음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645A (ja) * 2007-10-06 2009-04-30 Wing Yamaguchi:Kk 鳥忌避部材
KR200447585Y1 (ko) * 2009-08-25 2010-02-10 이봉환 방음벽용 조립식 패널 구조
JP2011155856A (ja) * 2010-01-29 2011-08-18 Satoshi Yasuda 鳥獣忌避装置
KR20140000284U (ko) * 2013-07-22 2014-01-14 주식회사 세원에스피앤씨 조류 충돌 방지기능을 갖는 투명 방음벽용 방음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593B1 (ko) 2022-11-09 2023-10-25 정인규 인공지능형 조류 감지 기능을 활용한 풍력 발전기 충돌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497B1 (ko)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렌티큘러 방식 방음벽
CN111830707B (zh) 用于车辆的显示总成
US4726134A (en) Roadway sign
GB2165292A (en) Panel
JP6797299B2 (ja) 3d立体効果標識、その製造方法、滑り止め包装組立体、及びステッカー
CA1106815A (en) Luminous device and town furnishing provided with this device
EP3636992A1 (de) Kraftfahrzeuglichtmodul
KR20140000284U (ko) 조류 충돌 방지기능을 갖는 투명 방음벽용 방음판
EP3847499B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lickfeld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GB2371627A (en) Display apparatus with set of image carriers
KR102314625B1 (ko)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투명 led 방음벽
US3796484A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selective image presentations
KR102294408B1 (ko)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투명방음벽
KR102125681B1 (ko) 조류충돌방지기능을 갖는 유지,보수형 투명방음패널
CN103105698A (zh) 光源装置、显示单元和电子设备
KR20010041727A (ko) 광각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시스템
US3950098A (en) Safe distance visual warning device
KR101399469B1 (ko) 가변정보표지
EP1282745B1 (en) Marking assembly for the marking of particular traffic situations and objects
KR102484131B1 (ko) 조류충돌 방지기능을 가지는 라인조명 투명방음벽
KR20210052893A (ko) 야간 교통정보 표시 시스템
KR101753122B1 (ko) 가변정보표지
JP3738863B2 (ja) 情報表示方法
CN109837843A (zh) 一种光栅标志牌及其制造方法
JP3228620U (ja) ドーム型建築物組立用部品セット、ドーム型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