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753B1 -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753B1
KR102287753B1 KR1020190052013A KR20190052013A KR102287753B1 KR 102287753 B1 KR102287753 B1 KR 102287753B1 KR 1020190052013 A KR1020190052013 A KR 1020190052013A KR 20190052013 A KR20190052013 A KR 20190052013A KR 102287753 B1 KR102287753 B1 KR 102287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contract
labor contract
electronic labor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591A (ko
Inventor
박필조
류지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Priority to KR1020190052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75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업주와 근로자 간의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을 수행하기 위한 근로자의 신분 인증 수단으로서, 근로자 신분증이 스캔되도록 하여 근로자의 제1 신분 데이터를 추출하는 신분증 스캐너; 및 제1 신분 데이터 대응되는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 제공하고, 근로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명령을 기록하여 보안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업주 및 근로자 간의 전자 근로 계약이 체결되도록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KIOSK FOR ELECTRONIC LABOR CONTRACT}
본 발명은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사업주와 근로자 간의 전자 근로 계약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사업장에 설치되는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 대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종래의 근로 계약을 포함한 각종 계약서들은 계약 당사자들이 오프라인상에서 직접 계약 문서를 작성하고, 그 계약 시간 및 장소를 통보한 후, 서면 계약서 상에 각종 인지를 부착하고, 서명(날인)하는 행위를 통하여 계약서 작성을 완료해왔으며, 이렇게 완료된 계약서는 계약 당사자들이 각각 나누어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서면을 통한 계약서 작성은 계약 당사자 쌍방 모두 계약 장소로 이동하는 시간이 소모되고, 이동에 따른 비용과, 각종 인지 및 증지를 위한 비용이 부가된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더불어 계약 당사자들의 수가 많을 경우, 각 당사자들에 대한 신원 확인이 절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계가 존재하여 계약 당사자 일방이 계약 사기 등의 피해를 입을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는 전자 계약 시스템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며, 일 예로써,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4-0051914호(전자계약 서비스 방법)에서는 여러 종류의 계약서를 표시 및 선택하고, 해당 계약서를 수정, 조회할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전자 계약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자신에 맞는 계약서 양식을 생성, 수정, 관리하는 추상적인 방법만을 제공할 뿐이며, 전자 계약 체결을 위해서 계약 당사자가 서식 프로그램 또는 서명 처리 프로그램 등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반드시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선행 기술에서는 전자 계약을 보증하는 공인 인증 기관의 부재로, 전자 계약의 보안 및 신뢰성이 높지 않았으며, 특히 전자 계약의 체결 여부 및 계약 당사자의 서명 여부가 서버에 데이터 형태로만 존재하여 전자 계약에 대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계약 여부 및 계약 당사자간 서명에 대한 사실 확인이 쉽지 않아 전자 계약으로 인한 사기 피해 발생의 우려가 높았다.
이에 본 발명은 사업주와 근로자 간의 계약 체결의 간소화와 더불어, 대량의 전자 근로 계약 체결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는, 사업주와 근로자 간의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을 수행하기 위한 근로자의 신분 인증 수단으로서, 근로자 신분증이 스캔되도록 하여 근로자의 제1 신분 데이터를 추출하는 신분증 스캐너; 및 제1 신분 데이터 대응되는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 제공하고, 근로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명령을 기록하여 보안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업주 및 근로자 간의 전자 근로 계약이 체결되도록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는, 전자 근로 계약서의 작성을 진행하는 근로자의 화상 데이터 확보를 위한 카메라; 및 근로자의 지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지문 스캐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되도록 하여, 카메라 및 지문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근로자의 제2 신분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1 신분 데이터와 대조하여 근로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는, 제1 신분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근로자의 개인 정보 및 근로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계약 조건에 대한 입력 명령을 블록 데이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 데이터를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말에 분산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근로자가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근로 계약을 재수행 할 시, 신분증 스캐너, 카메라 및 지문 스캐너 중 어느 하나에 수신되는 실물 신분 인증 수단에 매칭되는 개인 정보 및 계약 조건을 다운로드하여, 전자 근로 계약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 상에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어 수단은, 전자 근로 계약의 체결이 완료될 시, 디스플레이 패널에 근로자에게 체결 완료된 전자 근로 계약서의 원본 제공을 위한 연락처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여, 입력된 연락처 정보로 전자 근로 계약서 원본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서버 접속 URL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의 일 영역에는, 동적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가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동적 객체로서 근로자가 접근한 것으로 감지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자 근로 계약서의 작성을 위한 초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배포되는 전자 근로 계약서에는, 전자 근로 계약서의 계약 완료 시점을 인증하기 위하여, 공인 기관의 TSA(Time Stamping Authority) 서버에서 발급된 타임 스탬프 토큰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의 일 영역에는, 체결 완료된 전자 근로 계약서의 원본을 근로자에게 서면으로 출력 제공하기 위한 프린터;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근로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입력 명령이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자 문서의 법적 효력 및 개인 정보 보안 문제를 해소하고, 별도의 복잡한 과정 없이 모바일의 전자 서명만으로도 사업주 및 근로자 간의 근로 계약 체결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이용하여 허가된 사용자 이외의 접근을 금지하도록 하고, 공인 전자 서명, 수기 전자 서명, 타임스탬프 등의 인증을 통해 보안과 개인 정보 유출에 관련된 법적 규제를 충족하는 무인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된 전자 근로 계약서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서의 보관의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계약 체결 완료 시점 확인 서비스로서 전자 근로 계약서 상에 타임 스탬프가 발급되도록 하여, 전자 근로 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근로자의 개인 정보를 근로자의 전자 근로 계약 체결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블록 데이터로서 분산 저장함으로써, 근로자가 전자 근로 계약을 재수행 하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 복잡한 신분 확인 및 인증 절차가 간소화하여 전자 근로 계약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서 센서가 동적 객체인 근로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서 근로 계약서 체결이 진행되는 과정 중 일 실시 예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서 체결된 전자 근로 계약서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사업장에 설치되어 사업주와 근로자 간의 계약 체결의 간소화와 더불어, 대량의 전자 근로 계약 체결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며,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정보 단말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무인 정보 단말은, 사업주의 사업장에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을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그래픽, 통신 카드 등 첨단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하여 음성 서비스, 동영상 구현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키오스크(KIOSK)단말이 이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상술한 키오스크 단말을 대체하여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폰(Smart phone)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1000)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에 디스플레이 패널(10), 신분증 스캐너(20),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하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사업주와 근로 자간의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바람직하게는, 근로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입력 명령이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근로자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통해, 근로 계약서 작성을 위해 필요한 전자 서명, 및 전자 근로 계약서의 수정이 필요할 경우, 편집 요청 사항 등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 예와 달리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0) 전체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 영역만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되거나, 별도의 입력 수단(키패드) 등으로 변경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전자 근로 계약 체결과 관련한 각종 정보들을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무인 정보 단말 장치(1000)를 이용하는 근로자에게 제공하고, 근로자의 입력 명령들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신분증 스캐너(20)는,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을 수행하기 위한 근로자의 신분 인증 수단으로서 근로자 신분증이 스캔되도록 하여 근로자의 제1 신분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및 외국인 등록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때, 상술한 제1 신분 데이터로서 추출되는 데이터는 근로자 신분증 상에 존재하는 이름, 생년월일, 주민등록주민등록번호(외국인등록번호), 얼굴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가 추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어 수단은, 상술한 신분증 스캐너(20)에 의하여 획득한 근로자의 상술한 제1 신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통해 출력 제공하고, 제공된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에 대하여 근로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명령을 기록하여 보안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업주 및 근로자 간의 전자 근로 계약이 체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술한 제어 수단은 근로자의 신분증에서 추출된 제1 신분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업주의 공인 전자 서명이 입력된 전자 근로 계약서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드하여 전자 근로 계약서의 계약 사항을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통해 출력 제공하여, 근로자가의 수기 전자 서명과 관련된 입력 명령을 수신하여 전자 근로 계약이 체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근로자는 전자 서명의 입력을 수행하기 전, 계약서 검토 중 수정 빛 변경이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계약 정정 요청 접수에 대한 입력 명령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대면 전자 근로 계약 당사자들간의 합리적인 전자 근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합리성이 확립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상술한 데이터베이스는, 보안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전자 근로 계약서 체결 대상이 되는 한 명 이상의 근로자에 대한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은 사업주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근로 계약서 양식에 근로자 개인 정보, 근로 계약 기간, 근무 장소, 업무 내용, 급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근로 계약 조건을 맵핑하여 생성된 복수의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명 이상의 복수의 근로자와 계약을 수행하는 사업주 및 인사 담당자 측면에서 근로 계약서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상술한 데이터베이스는 보안 클라우드 적용으로 웹 방화벽, 암호화의 기본 적용과 전송 구간 암호화, 전송 파일 암호화 적용 등에 의하여 허가된 사용자(즉, 사업주 및 근로자) 이외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근로 계약서의 보안과 개인 정보 유출에 관련된 법적 규제를 충족하는 무인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1000)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술한 제어 수단은, 상기 사업주 및 근로자의 전자 근로 계약의 체결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시,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근로자에게 체결 완료된 전자 근로 계약서의 원본 제공을 위한 연락처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고, 입력된 연락처 정보로 전자 근로 계약서의 원본 다운로드가 가능한 서버 접속 URL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한 예로써, 상술한 연락처 정보는 예를 들어 근로자의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 메신저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입력 인터페이스에 근로자가 연락처 정보를 입력한 것으로 판단될 시, 완성된 최종 전자 근로 계약서의 원본을 상술한 연락처 정보로 최종 전자 근로 계약서의 원본의 열람 및 다운로드가 가능한 URL 주소 정보를 송신되도록 하여 근로자가 별도의 모바일 앱 설치나 수기 입력에 따른 페이지 접속 없이도 한번의 입력 명령에 의해 본인의 전자 근로 계약서를 용이하게 열람 및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와는 별개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1000)에는, 체결 완료된 전자 근로 계약서의 원본을 근로자에게 서면으로 출력 제공하기 위한 프린터(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무인 정보 단말 장치(1000)에서 근로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근로자 단말 혹은 서면으로 체결 완료된 최종 전자 근로 계약서의 원본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1000)의 일 영역에는, 동적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센서(40)는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1000)가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예를 들어 2m) 내에 동적 객체로서 근로자가 접근한 것으로 감지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전자 근로 계약서의 작성을 위한 초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정보 단말 장치(1000)에서 센서(40)가 동적 객체인 근로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며,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410은 센서(40)의 감지 영역 범위를 나타낸 일 예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A는 감지 영역 범위에 동적 객체가 접근하지 않은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1000)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 동적 객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의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1000)는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대기 화면으로써 절전 상태로 존재하거나,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홍보 화면 등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B에서는 감지 영역 범위에 동적 객체인 근로자가 접근하여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자 근로 계약서의 작성을 위한 초기 화면이 출력된 예를 도시하였다.
즉,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1000)의 감지 영역 범위에 동적 객체로서 근로자가 접근할 경우, 대기 모드로서 화면이 꺼진 상태로 존재하거나,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홍보 화면 등을 제공하던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자 근로 계약서의 작성을 위한 초기 화면으로 화면을 전환하여 근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전자 근로 계약이 수행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센서(40)는, 동적 객체가 접근함을 감지한 후, 기 설정된 임계 시간(예를 들어 5분)동안 동적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시, 대기 모드 혹은 홍보 화면으로 전환된다는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술한 메시지 송출에 응답이 없을 시, 상술한 대기 화면 혹은 홍보 화면으로 다시 화면을 전환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는 카메라(201) 및 지문 스캐너(2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카메라(201)는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 근로자의 화상 데이터 확보를 위해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술한 카메라는 근로자의 홍채 인증, 얼굴 안면을 포함한 전신 인증 및 정맥 인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상 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카메라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지문 스캐너(202)는, 근로자의 지문 데이터 추출을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강한 빛을 플래튼(Platen)에 쏘아 플래튼에 얹혀진 손끝의 지문 형태를 반사하여 반사된 지문의 이미지가 고굴절 렌즈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CCD(빛을 전기로 변환시켜 판독할 수 있는 장치)에 입력되는 방식 등을 이용되거나, 피부의 전기전도 특성을 이용하여 실리콘 칩 표면에 직접 손끝을 접촉시킴으로써 칩 표면에 붙은 지문의 특수한 모양을 전기 신호로 읽어 들이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결국, 상술한 카메라(201) 및 지문 스캐너(202)에 의하여 획득한 데이터는 근로자의 제2 신분 데이터로서 수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즉, 본 발명의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는, 수집한 화상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앞서 신분증 스캐너(20)에 의하여 수집된 제1 신분 데이터와 대조하여 근로자의 신분증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한 예로써, 상술한 카메라(201) 및 지문 스캐너(202)에 의하여 수집한 근로자의 얼굴 이미지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는, 신분증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와 비교 및 대조함으로써, 그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예를 들어 70%)이상인 경우, 동일인으로 판단하여 신분 확인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근로 계약의 체결을 수행하되, 위조 및 도용된 신분증을 이용하는 등의 비합리적인 근로 계약이 체결되는 것을 두 단계의 인증 프로세스를 통하여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계약 당사자들의 수가 많을 경우에도 각 당사자들의 신원 확인이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근로 계약이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이용하여 전자 문서의 법적 효력 및 개인 정보 보안 문제를 해소하고, 별도의 복잡한 과정 없이 모바일의 전자 서명만으로도 사업주 및 근로자 간의 근로 계약 체결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이용하여 허가된 사용자 이외의 접근을 금지하도록 하고, 공인 전자 서명, 수기 전자 서명, 타임스탬프 등의 인증을 통해 보안과 개인 정보 유출에 관련된 법적 규제를 충족하는 무인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된 전자 근로 계약서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서의 보관의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계약 체결 완료 시점 확인 서비스로서 전자 근로 계약서 상에 타임 스탬프가 발급되도록 하여, 전자 근로 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는, 구비된 센서(40)에 의하여 동적 객체인 근로자가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로 접근한 것으로 판단될 시,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전자 근로 계약서 작성을 위한 초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0)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100)으로 전자 근로 계약의 작성 시작에 대한 입력 명령이 수신되면,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근로자의 신분증 스캔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신분증 스캐너(20)로 하여금 근로자의 신분증이 스캔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신분증 스캔부는, 스캔되는 신분증에서 제1 근로자 정보 데이터로서, 이름, 주민등록번호(외국인등록번호), 얼굴이미지 및 지문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으며, 신분증의 위변조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카메라(201) 및 지문 스캐너(202)로부터 전자 근로 계약을 수행하는 근로자의 화상 데이터 및 지문 데이터를 추출 제2 신분 데이터로 추출하여 상술한 제1 근로자 정보 데이터와 비교 대조함으로써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여 전자 근로 계약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즉, 신분증의 위조 여부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 전자 근로 계약을 계속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이에 근로자의 신분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을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로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제공하여 사업주와 근로자 간의 전자 근로 계약을 체결이 수행된다.
한편, 사업주와 근로자 간의 전자 근로 계약의 체결은, 작성된 전자 근로 계약서에 대한 별도의 수정 사항이 없을 경우, 사업주 측에서 공인 전자 서명이 입력되고 근로자가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수기로 전자 서명을 입력하게 됨으로써 전자 근로 계약이 체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렇게 체결 완료된 최종 전자 근로 계약서 원본은 보안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며, 근로자 가 입력한 연락처 정보로 송신되도록 하거나,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 구비된 프린터(30)를 통하여 서면으로 출력하여 배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베이스(110) 이용하여 전자 문서의 법적 효력 및 개인 정보 보안 문제를 해소하고, 별도의 복잡한 과정 없이 모바일의 전자 서명만으로도 사업주 및 근로자 간의 근로 계약 체결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베이스(110) 이용하여 허가된 사용자 이외의 접근을 금지하도록 하고, 공인 전자 서명, 수기 전자 서명, 타임스탬프 등의 인증을 통해 보안과 개인 정보 유출에 관련된 법적 규제를 충족하는 무인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된 전자 근로 계약서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서의 보관의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계약 체결 완료 시점 확인 서비스로서 전자 근로 계약서 상에 타임 스탬프가 발급되도록 하여, 전자 근로 계약서의 위, 변조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서 근로 계약서 체결이 진행되는 과정 중 일 실시 예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의 1000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키오스크 등의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통해 근로 계약 체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종래 근로 계약을 포함하는 각종 계약서들은 계약 당사자들이 오프라인 상에서 직접 계약 문서를 작성하고, 그 계약 시간 및 장소를 통보 한 후, 서면 계약서 상에 각종 인지를 부착하여, 서명(날인)하는 행위를 통하여 계약서 작성을 완료해왔으며, 이렇게 작성된 계약서는 계약 당사자들이 각각 나누어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서면을 통한 계약서 작성은 계약 당사자 쌍방 모두 계약 장소로 이동하는 시간이 소모되어, 이동에 따른 비용과, 각종 인지 및 증지를 위한 비용이 부가된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더불어 계약 당사자들의 수가 많을 경우 각 당사자들에 대한 신원 확인이 절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계가 존재하여 계약 당사자 일방이 계약 사기 등의 피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키오스크 단말 등의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스크린 기능을 통해 입력 명령 신호를 송신하고, 신분증 스캐너를 통하여 근로자의 제1 신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자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하고, 제어 수단을 통하여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함으로써,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사업주와 근로자의 전자 근로 계약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계약이 체결된 전자 근로 계약서 원본 상에는 사업주의 공인 서명 및 근로자의 수기 전자 서명이 입력되고 공인 인증 기관에서 발급된 타임 스탬프 토큰이 추가됨으로써, 전자 문서의 법적 효력이 확보될 수 있으며, 별도의 복잡한 과정 없이 모바일의 전자 서명만으로도 사업주 및 근로자 간의 근로 계약 체결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종래 서면으로 관리되던 근로 계약서의 관리, 보관의 용이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서 체결된 전자 근로 계약서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의 110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이 완료된 전자 근로 계약서 상에는 사업주에 의하여 발급된 공인 전자 서명, 본 발명의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입력된 근로자의 서명 및 공인 기관의 TSA(Time Stamping Authority) 서버로부터 타임 스탬프 토큰이 발급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타임 스탬프 토큰은, 상술하였듯이, 무인 정보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스크린 상에 근로자의 서명이 수기로 입력되어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의 완료 시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공인 기관에 타임 스탬프 토큰의 발급을 요청하여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서 상에 타임 스탬프 토큰이 발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된 전자 근로 계약서 원본에 사업주의 공인 전자 서명, 근로자의 수기 전자 서명 및 계약 체결이 완료된 시점을 인증하는 타임 스탬프 토큰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법적 효력을 확보할 수 있어 신뢰성 및 계약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별도의 복잡한 과정 없이 모바일 전자 서명을 이용하여 사업주 및 근로자의 계약 체결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구성은 단순히 전자 계약의 체결 여부 및 계약 당사자인 사업주 및 근로자의 서명 여부가 서버에 데이터 형태로만 존재함에 따라 전자 계약에 대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에 계약 여부 및 계약 당사자간 서명에 대한 사실 확인이 쉽지 않아 사기 피해의 우려가 있었던 종래 전자 계약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동시에,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근로 계약의 서비스 확산 및 사용자 접근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근로 계약을 수행한 이력이 있는 근로자가,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근로 계약을 재수행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근로자 측면에서 더욱 효율적인 전자 근로 계약이 재수행될 수 있도록, 앞서 언급한 제1 신분 데이터에서 추출한 근로자의 개인 정보 및 근로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계약 조건에 대한 입력 명령을 블록 데이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 데이터를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말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블록 체인은 블록 데이터를 잇따라 연결하여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블록 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근로자의 개인 정보를 근로자의 전자 근로 계약 체결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블록 데이터로서 분산 저장함으로써, 근로자가 전자 근로 계약을 재수행 하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 복잡한 신분 확인 및 인증 절차가 간소화하여 전자 근로 계약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의 더욱 바람직한 예로써, 상술한 근로자의 개인 정보는 해시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블록 데이터로 생성되거나, 블록 체인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블록 체인 복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다시 블록 체인을 복호화하는 기법이 적용되어 근로자의 개인 정보를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 근로자 측면에서 살펴볼 때,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근로 계약을 체결한 이력이 있는 근로자 A의 경우, 상술한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가 설치된 곳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전자 근로 계약을 재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근로자가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 구비된 신분증 스캐너, 카메라 및 지문 스캐너 중 어느 하나에 수신되는 실물 신분 인증 수단(예를 들어, 근로자 신분증, 근로자의 얼굴 이미지, 근로자의 지문, 근로자의 홍채, 정맥 인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과 매칭되는 개인 정보 및 계약 조건이 다운로드되어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 상에 입력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전자 근로 계약을 수행한 근로자 측면에서는 전자 근로 계약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전자 근로 계약을 체결하는데 일일이 개인 정보 및 요구 사항 등의 계약 조건을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자 근로 계약 체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때, 근로자의 개인 정보의 변동 및 계약 조건의 변동이 존재할 경우를 대비하여, 다운로드된 근로자의 개인 정보 및 계약 조건의 편집이 가능한 별도의 편집 인터페이스가 더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업주와 근로자 간의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며, 근로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입력 명령이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을 수행하기 위한 근로자의 신분 인증 수단으로서, 근로자 신분증이 스캔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의 제1 신분 데이터를 추출하는 신분증 스캐너; 및
    상기 제1 신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 제공하고, 상기 근로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명령을 기록하여 보안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업주 및 상기 근로자 간의 전자 근로 계약이 체결되도록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근로자가 상기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근로 계약을 재수행 할 시,
    상기 신분증 스캐너, 카메라 및 지문 스캐너 중 어느 하나에 수신되는 실물 신분 인증 수단에 매칭되는 개인 정보 및 계약 조건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전자 근로 계약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근로 계약서 양식 상에 입력되도록 하되,
    상기 근로자의 개인 정보의 변동 및 계약 조건의 변동이 존재할 경우를 대비하여, 다운로드된 근로자의 개인 정보 및 계약 조건의 편집이 가능한 별도의 편집 인터페이스가 더 제공되며,
    상기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배포되는 전자 근로 계약서에는, 상기 전자 근로 계약서의 계약 완료 시점을 인증하기 위하여, 공인 기관의 TSA(Time Stamping Authority) 서버에서 발급된 타임 스탬프 토큰이 포함되되,
    상기 타임 스탬프 토큰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근로자의 서명이 수기로 입력되어 전자 근로 계약 체결의 완료 시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공인 기관에 타임 스탬프 토큰의 발급을 요청하여 발급된 타임 스탬프 토큰이고,
    상기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는,
    상기 전자 근로 계약서의 작성을 진행하는 상기 근로자의 화상 데이터 확보를 위한 카메라; 및 상기 근로자의 지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지문 스캐너;를 더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지문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상기 근로자의 제2 신분 데이터로서,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지문 데이터를 상기 제1 신분 데이터와 대조하여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인 경우를 동일인으로 판단해 신분 확인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근로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자 근로 계약의 체결이 완료될 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근로자에게 체결 완료된 상기 전자 근로 계약서의 원본 제공을 위해 근로자의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 메신저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락처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여, 입력된 상기 연락처 정보로 상기 전자 근로 계약서 원본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서버 접속 URL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전자 근로 계약서의 열람 편의가 증대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신분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상기 근로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근로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계약 조건에 대한 입력 명령을 블록 데이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블록 데이터를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말에 분산 저장하고,
    상기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의 일 영역에는,
    동적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가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상기 동적 객체로서 상기 근로자가 접근한 것으로 감지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전자 근로 계약서의 작성을 위한 초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의 일 영역에는,
    체결 완료된 상기 전자 근로 계약서의 원본을 상기 근로자에게 서면으로 출력 제공하기 위한 프린터;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52013A 2019-05-03 2019-05-03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 KR10228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13A KR102287753B1 (ko) 2019-05-03 2019-05-03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13A KR102287753B1 (ko) 2019-05-03 2019-05-03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591A KR20200127591A (ko) 2020-11-11
KR102287753B1 true KR102287753B1 (ko) 2021-08-09

Family

ID=7345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013A KR102287753B1 (ko) 2019-05-03 2019-05-03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82B1 (ko) * 2021-01-07 2023-05-10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키오스크를 활용한 근로 계약 체결 및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5023A (ja) * 2004-12-27 2006-07-13 Miwa Tsutomu 自動取引契約方法と、自動取引契約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257B1 (ko) * 2004-09-09 2005-09-15 주식회사 사이버알닷컴 페이퍼 피딩기를 갖는 무인 대출기와 이를 구비한 무인대출 시스템 및 무인 대출 방법
KR20070109378A (ko) * 2006-05-11 2007-11-15 (주)버뮤다정보기술 공인전자문서보관소 기반 페이퍼리스 전자계약 방법
KR20170119517A (ko) * 2016-04-19 2017-10-27 김정훈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1989A (ko) * 2017-09-19 2019-03-27 주식회사 케이티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 계약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5023A (ja) * 2004-12-27 2006-07-13 Miwa Tsutomu 自動取引契約方法と、自動取引契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591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12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n identity of a user using a cryptographic challenge based on a cryptographic operation
JP4420201B2 (ja) ハードウェアトークンを用いた認証方法、ハードウェアトークン、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6122737A (en) Method for using fingerprints to distribute information over a network
KR102086704B1 (ko) 무인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510706B1 (ko) 무선 주파수 식별 가능한 신분 서류 및 제스처 요청-응답 프로토콜에 기초한 사용자 인증
CN105553947A (zh) 找回帐号、保护帐号安全、帐号防盗的方法和装置
CN1897046B (zh) 生物认证系统
MY139673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agent system server, computer progra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CN107395359B (zh) 一种电子数据固证方法、终端及系统
SA110310576B1 (ar) جهاز، نظام وطريقة لتسجيل وتوثيق التواقيع المخطوطة باليد
KR102164413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96509A1 (en) Ticket authorisation
US959608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e-signature
US892472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E-signature
KR102287753B1 (ko)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
US20210350389A1 (en) Notarization mobile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TW202022663A (zh) 識別認證系統及其方法
KR20220099659A (ko) 키오스크를 활용한 근로 계약 체결 및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00142834A (ko) 암호화되어 인쇄된 암호화 이미지의 진위 여부 판정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암호화 이미지 판독 방법
CN110472423A (zh) 一种核电站文件权限管理方法、装置及设备
TWM624786U (zh) 互動式遠距簽約系統
GB2556625A (en) Secure enrolment of biometric data
KR20130048532A (ko) 차세대 금융 거래 시스템
CN112308050A (zh) 一种基于生物特征识别的电子文档手写签名方法
KR100665277B1 (ko) 가상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한 실명확인 시스템 및 방법,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