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500B1 - 빔포밍 제어장치 및 빔포밍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빔포밍 제어장치 및 빔포밍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500B1
KR102287500B1 KR1020190130901A KR20190130901A KR102287500B1 KR 102287500 B1 KR102287500 B1 KR 102287500B1 KR 1020190130901 A KR1020190130901 A KR 1020190130901A KR 20190130901 A KR20190130901 A KR 20190130901A KR 102287500 B1 KR102287500 B1 KR 102287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et value
radio
module
beamforming control
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174A (ko
Inventor
이대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0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5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0Polarisation diversity; Directional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에 동일한 Beam ID가 제공되더라도 각 Remote 장비에서 빔 방향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빔포밍 제어장치 및 빔포밍 제어 방법{BEAMFORMING CONTROLLER AND BEAMFORM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인빌딩 솔루션에 관한 기술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분산된 Remote 장비 및 단말과의 채널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4G LTE/LTE-Advanced System 대비 높은 중심주파수를 사용하는 5G NR 시스템에서는, Path-loss에 의한 감쇄 및 O2I(Outdoor to Indoor) 감쇄가 증가함에 따라 인빌딩 내 좋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울 전망이다.
이에, 인빌딩 내 서비스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며,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인빌딩 솔루션이 연구되고 있다.
인빌딩 솔루션 중 주목 받는 방식은, 중계기를 활용하는 방식이며, 인빌딩 솔루션의 경우 하나의 장비(중계기)로 넓은 영역이나 건물을 커버하기 위해서,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 또는 AAU(Active Antenna Unit) 등의 Remote 장비를 종단(안테나 종단)으로서 운용하여 동일한 기지국에서 송출된 이동통신 신호를 증폭하여 다수의 안테나 및 안테나 유닛에 전달한다.
이처럼 중계기를 활용한 인빌딩 솔루션의 경우, 각 안테나 종단에서 방사되는 다운링크(DL) 신호는 동일한 기지국 신호이며, 업링크(UL) 신호는 각 안테나 종단에서 수신된 신호를 모두 더해서 다시 기지국으로 전달된다.
이때, 각 안테나 종단에서 동일한 기지국 신호를 방사하는 방식은 신호 복사(Signal Copy)라고 불리는 방식이며, 인빌딩 솔루션에서는 이러한 신호 복사 방식으로 복사한 카피 신호(Copy Signal)를 이용함으로써 Macro 기지국 장비를 추가로 포설하지 않고 간단하게 동일한 신호를 넓게 분산 시켜 넓은 커버리지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카피 신호(Copy Signal)를 이용한 커버리지 확장은, 빔포밍(Beamforming)을 활용하는mm Wave대역의 신호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피 신호(Copy Signal)를 이용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는, 각 안테나 종단이 카피된 동일한 기지국 신호를 방사하기 때문에 빔포밍을 위한 Beam ID도 기지국 단에서 내려준 동일한 ID를 사용하게 되므로, 분산된 각 안테나 종단의 모든 Beam 방향이 동일한 Beam ID에 따라 동일하게 된다.
이처럼, 분산된 각 안테나 종단에서, 단말의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Beam ID에 따라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안테나 빔을 형성하게 되면, 분산된 안테나 종단 및 단말 사이의 채널이 최적화 될 수 없으며, 결국 인빌딩 솔루션의 시스템 성능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분산된 Remote 장비 및 단말과의 채널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분산된 Remote 장비 및 단말과의 채널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실현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빔포밍 제어장치는, 빔 방향을 지시하는 빔 식별자를 동일하게 제공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과 관련하여, 무선모듈 각각에서 상기 제공받는 빔 식별자를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내 다른 무선모듈의 빔 식별자와 달라지도록 변경하는 빔식별자변경부; 및 상기 각 무선모듈에서 변경된 빔 식별자에 따른 빔 방향으로 빔포밍된 안테나 빔을 형성하는 빔형성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빔식별자변경부는, 무선모듈에서 기 설정되는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모듈에 제공되는 상기 빔 식별자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과 관련하여, 무선모듈 각각에서 상기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과 연동하여 무선모듈 및 단말 간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되는 무선채널 품질을 기반으로, 상기 빔 식별자 변경에 이용하기 위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오프셋값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프셋값설정부는, 무선모듈에서 오프셋값 설정 및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빔 식별자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무선모듈에서 무선채널 품질이 기 정의된 임계 품질 이상이 되는 특정 오프셋값을 최적 오프셋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프셋값설정부는,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에 따라, 상기 무선모듈에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설정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프셋값설정부는, 무선모듈에서 이전에 설정한 최적 오프셋값 간 변화량을 근거로, 상기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은, 인빌딩 내 설치되어, 무선모듈의 상단으로부터 빔 식별자가 포함된 카피 신호를 수신하는 Remote 장비일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무선모듈에서 동작하는 빔포밍 제어 방법은, 상단으로부터 제공받은 빔 방향을 지시하는 빔 식별자를, 상기 빔 식별자를 동일하게 제공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 내 다른 무선모듈의 빔 식별자와 달라지도록 변경하는 빔식별자변경단계; 및 변경된 빔 식별자에 따른 빔 방향으로 빔포밍된 안테나 빔을 형성하는 빔형성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빔식별자변경단계는, 기 설정되는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모듈에 제공되는 상기 빔 식별자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과 연동하여 무선모듈 및 단말 간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되는 무선채널 품질을 기반으로, 상기 빔 식별자 변경에 이용하기 위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오프셋값설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프셋값설정단계는, 오프셋값 설정 및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빔 식별자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무선모듈에서 무선채널 품질이 기 정의된 임계 품질 이상이 되는 특정 오프셋값을 최적 오프셋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프셋값설정단계는, 상기 무선모듈에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설정 주기를,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단으로부터 제공받은 빔 방향을 지시하는 빔 식별자를, 상기 빔 식별자를 동일하게 제공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 내 다른 무선모듈의 빔 식별자와 달라지도록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빔 식별자에 따른 빔 방향으로 빔포밍된 안테나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다.
이에,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 및 빔포밍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에 동일한 Beam ID가 제공되더라도 각 Remote 장비에서 빔 방향을 최적화하여, 분산된 Remote 장비 및 단말과의 채널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실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인빌딩 솔루션의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각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에서, 동일한 Beam ID에 따라 동일한 빔 방향의 안테나 빔을 형성하는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장치가 구현되는 무선모듈(Remote 장비)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각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에서, 동일한 Beam ID이 제공되더라도 서로 다른 빔 방향의 안테나 빔을 형성하는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빌딩 솔루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빌딩 솔루션 중 중계기를 활용하는 방식은, 하나의 장비(중계기)로 넓은 영역이나 건물을 커버하기 위해서,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 또는 AAU(Active Antenna Unit) 등의 Remote 장비를 종단(안테나 종단)으로서 운용하여 동일한 기지국에서 송출된 이동통신 신호를 증폭하여 다수의 안테나 및 안테나 유닛에 전달한다.
이처럼 중계기를 활용한 인빌딩 솔루션의 경우, 각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에서 방사되는 다운링크(DL) 신호는 동일한 기지국 신호이며, 업링크(UL) 신호는 각 안테나 종단에서 수신된 신호를 모두 더해서 다시 기지국으로 전달된다.
이때, 각 안테나 종단에서 동일한 기지국 신호를 방사하는 방식은 신호 복사(Signal Copy)라고 불리는 방식이며, 인빌딩 솔루션에서는 이러한 신호 복사 방식으로 복사한 카피 신호(Copy Signal)를 이용함으로써 Macro 기지국 장비를 추가로 포설하지 않고 간단하게 동일한 신호를 넓게 분산 시켜 넓은 커버리지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카피 신호(Copy Signal)를 이용한 커버리지 확장은, 빔포밍(Beamforming)을 활용하는mm Wave대역의 신호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1에서는, 기지국모듈(CU: Central Unit) 및 무선모듈(DU: Distributed Unit)을 분리한 구조의 분리형 기지국을 도시하며, 특히 일 예로서 무선모듈(DU)을 기 정의된 계층 분리를 통해 상위무선모듈(DU_H) 및 하위무선모듈(DU_L)로 분리하여, 하위무선모듈(DU_L)에 해당하는 Remote 장비를 분산시킨 각 안테나 종단으로서 이용하는 인빌딩 솔루션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피 신호(Copy Signal)를 이용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는, 각 안테나 종단 즉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에 복사된 카피 신호가 상단 즉 상위무선모듈(DU_H)으로부터 전달되어, 분산된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에서 동일한 기지국 신호를 방사하게 된다.
이 때문에, 분산된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에서는, 빔포밍을 위한 빔 식별자 즉 Beam ID도 기지국 단 즉 기지국모듈(CU)에서 내려준 복사된 동일 ID(예: Beam ID 1) 를 사용하게 되므로, 분산된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의 모든 Beam 방향이 동일한 Beam ID(예: Beam ID 1)에 따라 동일하게 된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된 각 안테나 종단 즉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에서, 단말의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Beam ID(예: Beam ID 1)에 따라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안테나 빔을 형성하게 되면, 분산된 안테나 종단((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 및 단말 사이의 채널이 최적화 될 수 없으며, 결국 인빌딩 솔루션의 시스템 성능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분산된 Remote 장비 및 단말과의 채널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에 동일한 Beam ID가 제공되더라도 각 Remote 장비에서 빔 방향을 최적화하여, 분산된 Remote 장비 및 단말과의 채널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빔식별자변경부(110), 빔형성부(13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오프셋값설정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빔포밍 제어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빔포밍 제어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빔포밍 제어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기술, 즉 각 Remote 장비에 동일한 Beam ID가 제공되더라도 각 Remote 장비에서 빔 방향을 최적화하는 기술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빔포밍 제어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안테나 종단(예: Remote 장비) 각각에 구현될 수 있고, 또는 각 안테나 종단 및 그 상단관 연동하는 별도의 장비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100)가 안테나 종단(예: Remote 장비) 각각에 구현되는 실시예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빔식별자변경부(110)는, 빔 방향을 지시하는 빔 식별자를 동일하게 제공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과 관련하여, 무선모듈 각각에서 상기 제공받는 빔 식별자를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내 다른 무선모듈의 빔 식별자와 달라지도록 변경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빔 방향을 지시하는 빔 식별자 즉 Beam ID를 동일하게 제공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은, 인빌딩 내 설치되어, 무선모듈의 상단으로부터 빔 식별자 즉 Beam ID가 포함된 카피 신호를 수신하는 Remote 장비 즉 안테나 종단을 의미한다.
이에, 도 1을 참조하여 분산된 하위무선모듈(DU_L)을 종단 즉 Remote 장비로서 이용하는 인빌딩 솔루션을 가정하면, 2 이상의 무선모듈은 상단 즉 상위무선모듈(DU_H)로부터 복사된 카피 신호를 제공받으며 이에 따라 카피 신호에 포함된 동일 Beam ID를 제공받게 되는 각 안테나 종단, 즉 분산된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에 해당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 이상의 무선모듈로서, 분산된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 상,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100)가 안테나 종단(예: Remote 장비) 각각에 구현되는 실시예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분산된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 중 첫번째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을 대표적으로 언급하여, 첫번째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 구현된 빔포밍 제어장치(100)를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러한 가정에 따라, 빔식별자변경부(110)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상단 즉 상위무선모듈(DU_H)로부터 제공받는 Beam ID를, 분산된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 중 자신 이외의 다른 하위무선모듈(DU-L #2 Beam-former,... DU-L #N Beam-former)의 Beam ID와 달라지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단 즉 상위무선모듈(DU_H)로부터 제공받는 Beam ID를 변경하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빔식별자변경부(110)는, 무선모듈 즉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100)가 구현된 안테나 종단으로서의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기 설정되는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 제공되는 빔 식별자 즉 Beam ID를 변경할 수 있다.
Beam ID는, 일반적으로 +/- 120 deg를 커버하는 경우, 16개에서 64개의 Beam ID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 Beam ID에 Binary로 정의된 값에 따라 Beam의 방향을 지시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Beam ID를 변경하기 위한 오프셋값을 이용하는 방식을 통해, 상단 즉 상위무선모듈(DU_H)로부터 복사된 카피 신호를 제공받는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 별로 각기 다른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Beam ID를 변경함으로써, 카피 신호 기반의 동일 Beam ID가 제공되더라도 각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에서 빔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Beam ID를 변경하기 위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Beam ID를 변경함으로써 각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에서 빔 방향을 다르게 하는 방식이므로, 각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에서 최적 오프셋값을 각기 다르게 이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오프셋값설정부(120)를 포함한다.
오프셋값설정부(120)는,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과 관련하여, 무선모듈 각각에서 상기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과 연동하여 무선모듈 및 단말 간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되는 무선채널 품질을 기반으로, 상기 빔 식별자 변경에 이용하기 위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하에서도, 앞서 가정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무선모듈로서 분산된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을 언급하고, 첫번째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 구현된 빔포밍 제어장치(100)를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러한 가정에 따라, 오프셋값설정부(120)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의 커버리지 내 단말과 연동하여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및 단말 간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하고, 확인되는 무선채널 품질을 기반으로 Beam ID 변경에 이용하기 위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프셋값설정부(120)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오프셋값 설정 및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Beam ID 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무선채널 품질이 기 정의된 임계 품질 이상이 되는 특정 오프셋값을 최적 오프셋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안테나 종단 즉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과 같은 Remote 장비에서는, 단말과의 무선채널 품질(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예: RSRP)을 직접적으로 측정/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Remote 장비에서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지표(예: RSSI)를 기준으로 RSRP를 추정하여 무선채널 품질(성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오프셋값설정부(120)는, 다음 수학식1에 따라,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RSSI값을 RSRP으로 변환(추정)함으로써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및 단말 간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9107438276-pat00001
그리고, 오프셋값설정부(120)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오프셋값 설정 및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Beam ID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 즉 RSRP값을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RSRP값이 기 정의된 임계 품질(RSRP_threshold) 이상이 되는 특정 오프셋값을 최적 오프셋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셋값설정부(120)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기본(default) 오프셋값을 설정 및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Beam ID(=Beam ID_Offset)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 즉 RSRP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RSRP값이 임계 품질(RSRP_threshold) 이상이 아니면 직전 설정한 오프셋값에 +1을 적용하여 오프셋값을 재 설정한다.
그리고, 오프셋값설정부(120)는, 재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Beam ID(=Beam ID_Offset)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 즉 RSRP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RSRP값이 임계 품질(RSRP_threshold) 이상이 아니면 직전 설정한 오프셋값에 +1을 적용하여 오프셋값을 재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에, 오프셋값설정부(120)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RSRP값이 임계 품질(RSRP_threshold) 이상이 되는 특정 오프셋값을 최적 오프셋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셋값설정부(120)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기본(default) 오프셋값을 설정 및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Beam ID(=Beam ID_Offset)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 즉 RSRP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RSRP값이 임계 품질(RSRP_threshold) 이상이 아니면 설정 가능한 오프셋값 범위 내에서 직전 설정한 오프셋값을 제외한 나머지 중 오프셋값을 선택(예: binary search, randomized serch 등)하는 선택엔진을 통해 오프셋값을 재 설정한다.
그리고, 오프셋값설정부(120)는, 재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Beam ID(=Beam ID_Offset)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 즉 RSRP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RSRP값이 임계 품질(RSRP_threshold) 이상이 아니면 선택엔진을 통해 오프셋값을 재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에, 오프셋값설정부(120)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RSRP값이 임계 품질(RSRP_threshold) 이상이 되는 특정 오프셋값을 최적 오프셋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셋값설정부(120)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통해 학습(training)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오프셋값으로 설정 및 및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Beam ID(=Beam ID_Offset)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 즉 RSRP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RSRP값이 임계 품질(RSRP_threshold) 이상이 아니면 CNN 내 Weight 학습(training) 업데이트 후 CNN로부터 다시 제공되는 오프셋값으로 재 설정한다.
그리고, 오프셋값설정부(120)는, 재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Beam ID(=Beam ID_Offset)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 즉 RSRP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RSRP값이 임계 품질(RSRP_threshold) 이상이 아니면 CNN 내 Weight 학습(training) 업데이트 후 CNN로부터 다시 제공되는 오프셋값으로 재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에, 오프셋값설정부(120)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RSRP값이 임계 품질(RSRP_threshold) 이상이 되는 특정 오프셋값을 최적 오프셋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최적 오프셋값으로서 60을 설정한 경우로 가정하겠다.
이 경우, 빔식별자변경부(110)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 제공되는 Beam ID(예: Beam ID 1)에,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전술과 같이 최적으로 설정된 오프셋값(Offset 60)을 더하여 Beam ID(=Beam ID_Offset: 61)를 변경할 수 있다.
빔형성부(130)는, 상기 각 무선모듈에서 변경된 빔 식별자 즉 Beam ID에 따른 빔 방향으로 빔포밍된 안테나 빔을 형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하에서도, 앞서 가정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무선모듈로서 분산된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을 언급하고, 첫번째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 구현된 빔포밍 제어장치(100)를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러한 가정에 따라, 빔형성부(130)는, 상단 즉 상위무선모듈(DU-H)로부터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 제공된 Beam ID(예: Beam ID 1)이 아닌,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변경된 Beam ID(=Beam ID_Offset: 61)에 따른 빔 방향으로 빔포밍된 안테나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즉 분산된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 각각에 구현된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에 제공되는 Beam ID(예: Beam ID 1)를, 각기 최적으로 설정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Beam ID(=Beam ID_Offset)로 변경함으로써, 카피 신호 기반의 동일 Beam ID가 제공되더라도 각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에서 빔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장치가 구현되는 무선모듈 즉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으로서의 하위무선모듈(DU-L) 내 회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서는,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으로서 AAU(Active Antenna Unit)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으로서 AAU 장비에서는, 상단 예컨대 상위무선모듈(DU-H)로부터 복사된 카피 신호(기지국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 처리 패스(예: SFP Module and I/F, CPRI Mapper, ADC, Transceiver IC, RF Beamformer)를 통해 처리된 신호를 무선 형태의 신호로서 방사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위무선모듈(DU-H)로부터 복사된 카피 신호(기지국 신호)가 동일하게 수신되는 각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에서는 동일한 기지국 신호를 방사하게 된다.
도 3에서는, AAU 장비에 구현된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를 Proposed BeamForming Controller로 도시하고 있다.
즉, 전술의 빔포밍 제어장치(100)에서 설명한 빔식별자변경부(110)는, 도 3에 도시된 AAU 장비 내 회로 구성에서 Beam ID offset summation에 해당되며, 오프셋값설정부(120)는 Beam ID offset에 해당되며, 빔형성부(130)는 BeamBook 및 RF Beamformer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물론,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으로서의 하위무선모듈(DU-L)을 구현하는 장비는 AAU 외에도 DAS 등 다양한 장비일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100)의 빔식별자변경부(110), 오프셋값설정부(120), 빔형성부(130)는 다른 위치 및 형태의 회로 유닛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각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에서, 동일한 Beam ID이 제공되더라도 서로 다른 빔 방향의 안테나 빔을 형성하는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과 동일하게, 하위무선모듈(DU_L)에 해당하는 Remote 장비를 분산시킨 각 안테나 종단으로서 이용하는 인빌딩 솔루션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을 참조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도 4에서 역시, 각 안테나 종단 즉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에 복사된 카피 신호가 상단 즉 상위무선모듈(DU_H)으로부터 전달된다.
이때,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에 구현된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100, 도 4의 Controller(100))에서는, 자신이 구현된 하위무선모듈(DU-L)에 제공된 Beam ID(예: Beam ID 1)를, 단말과의 무선채널 품질 기반의 최적 오프셋값 설정 과정을 거쳐 설정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Beam ID(=Beam ID_Offset)를 변경한다.
이에,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에서는, 상위무선모듈(DU_H)으로부터 동일한 Beam ID(예: Beam ID 1)를 제공받았지만, 각기 최적으로 설정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Beam ID(=Beam ID_Offset)로 변경함으로써, 단말과의 무선채널 품질을 기반으로 각기 다르게 변경한 Beam ID(=Beam ID_Offset)에 따라 단말과의 무선채널 품질이 최적이 되는 각기 다른 빔 방향으로 빔 포밍된 안테나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분산된 각 안테나 종단 즉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에서, 단말과의 무선채널 품질이 최적이 되는 각기 다른 방향으로 안테나 빔 방향을 최적화하게 되면, 분산된 안테나 종단((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 및 단말 사이의 채널이 최적화 될 수 있고, 결국 인빌딩 솔루션의 시스템 성능이 향상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단말과의 무선채널 품질 기반의 최적 오프셋값 설정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적 오프셋값 설정 과정을 진행하는 동안 단말의 전송 성능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반복하는 주기를 최적화하여 단말의 전송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100)에서는,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주기(이하, Offset 설정 주기)를 최적화(조정)하는 기능을 더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프셋값설정부(120)는, 무선모듈 즉 빔포밍 제어장치(100)가 구현된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에 따라,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설정 주기 즉 Offset 설정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오프셋값설정부(120)는, 무선모듈 즉 빔포밍 제어장치(100)가 구현된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이전에 설정한 최적 오프셋값 간 변화량을 근거로,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프셋값설정부(120)는, 가장 최근 2 이상의 Offset 설정 주기 별로 설정한 최적 오프셋값 간 변화량을 계산하여, 계산된 최적 오프셋값 간 변화량이 임계변화량 이상이면 단말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계산된 최적 오프셋값 간 변화량이 임계변화량 이상이 아니면 단말이 정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오프셋값설정부(120)는, 외부 위치기반 서비스와의 연동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의 단말 위치를 파악 및 변화량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오프셋값설정부20)는,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라면 Offset 설정 주기를 짧게 조정할 수 있고, 단말이 정주하는 경우라면 Offset 설정 주기를 길게 조정할 수 있다.
이처럼 Offset 설정 주기를 짧게 또는 길게 조정하는 방식은, 직전 Offset 설정 주기를 설정치 만큼 짧게 또는 길게 변경하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고, 또는 직전 Offset 설정 주기를 단말의 개수 및 트래픽량 등 추가 파라미터를 반영하여 결정한 결정치 만큼 짧게 또는 길게 변경하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에서 단말과의 무선채널 품질 기반의 최적 오프셋값 설정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데 있어,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주기 즉 Offset 설정 주기를 최적화하여, 최적 오프셋값 설정 과정 동안 야기되는 단말의 전송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에 따르면,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에 동일한 Beam ID가 제공되더라도 각 Remote 장비에서 빔 방향을 최적화하여, 분산된 Remote 장비 및 단말과의 채널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인빌딩 솔루션의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 방법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 방법은, 안테나 종단(예: Remote 장비) 각각에 구현될 수 있고, 또는 각 안테나 종단 및 그 상단관 연동하는 별도의 장비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 방법이 안테나 종단(예: Remote 장비) 각각에 구현된 실시예로 가정하여 설명하고, 도 4에 도시된 안테나 종단에 해당되는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 중 첫번째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 구현된 빔포밍 제어장치(100)를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 방법에 따르면, 빔포밍 제어장치(100) 예컨대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 구현된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Offset 설정 주기에 도달한 경우(S10 Yes), 자신이 구현된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단말과의 무선채널 품질을 기반으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2~S18).
구체적으로,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자신이 구현된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오프셋값 설정하고(S12),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Beam ID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S14),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무선채널 품질이 기 정의된 임계 품질 이상이 되는 특정 오프셋값을 최적 오프셋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S16 Yes, S18).
이하에서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최적 오프셋값으로서 60을 설정한 경우로 가정하겠다.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 방법에 따르면, 빔포밍 제어장치(100) 예컨대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 구현된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상위무선모듈(DU-H)로부터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 카피 신호 기반의 Beam ID(예: Beam ID 1)가 수신되면(S20),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전술과 같이 최적으로 설정된 오프셋값(Offset 60)을 더하여 Beam ID(=Beam ID_Offset: 61)를 변경할 수 있다(S30).
이에,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 방법에 따르면,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상단 즉 상위무선모듈(DU-H)로부터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 제공된 Beam ID(예: Beam ID 1)이 아닌,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변경된 Beam ID(=Beam ID_Offset: 61)에 따른 빔 방향으로 빔포밍된 안테나 빔을 형성할 수 있다(S40).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즉 분산된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 각각에 구현된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각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 DU-L #N Beam-former)에 제공되는 Beam ID(예: Beam ID 1)를, 각기 최적으로 설정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Beam ID(=Beam ID_Offset)로 변경함으로써, 카피 신호 기반의 동일 Beam ID가 제공되더라도 각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에서 빔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 방법에 따르면, 빔포밍 제어장치(100) 예컨대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 구현된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에 따라,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설정 주기 즉 Offset 설정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S50).
예를 들면,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무선모듈 즉 빔포밍 제어장치(100)가 구현된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에서 이전에 설정한 최적 오프셋값 간 변화량을 근거로,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빔포밍 제어장치(100)는,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라면 Offset 설정 주기를 짧게 조정할 수 있고, 단말이 정주하는 경우라면 Offset 설정 주기를 길게 조정할 수 있다.
전술과 같은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 방법은, 빔포밍 제어장치(100)의 동작이 오프되거나 구현된 하위무선모듈(DU-L #1 Beam-former)이 동작 오프되지 않는 한(S60 No), 전술의 동작들을 반복해서 수행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에 동일한 Beam ID가 제공되더라도 각 Remote 장비에서 빔 방향을 최적화하여, 분산된 Remote 장비 및 단말과의 채널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인빌딩 솔루션의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빔포밍 제어장치 및 빔포밍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인빌딩 솔루션을 위해 분산된 안테나 종단(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에 동일한 Beam ID가 제공되더라도 각 Remote 장비에서 빔 방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빔포밍 제어장치
110 : 빔식별자변경부 120 : 오프셋값설정부
130 : 빔형성부

Claims (13)

  1. 빔 방향을 지시하는 빔 식별자를 동일하게 제공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과 관련하여, 무선모듈 각각에서 상기 제공받는 빔 식별자를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내 다른 무선모듈의 빔 식별자와 달라지도록 변경하는 빔식별자변경부; 및
    상기 각 무선모듈에서 변경된 빔 식별자에 따른 빔 방향으로 빔포밍된 안테나 빔을 형성하는 빔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무선모듈 별로, 무선모듈에서 상기 빔 식별자를 변경하는데 이용하는 설정 값이 설정되는 설정 주기는,
    상기 각 무선모듈 별로,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식별자변경부는,
    무선모듈에서 기 설정되는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모듈에 제공되는 상기 빔 식별자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과 관련하여, 무선모듈 각각에서 상기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과 연동하여 무선모듈 및 단말 간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되는 무선채널 품질을 기반으로, 상기 빔 식별자 변경에 이용하기 위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오프셋값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값설정부는,
    무선모듈에서 오프셋값 설정 및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빔 식별자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무선모듈에서 무선채널 품질이 기 정의된 임계 품질 이상이 되는 특정 오프셋값을 최적 오프셋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값설정부는,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에 따라, 상기 무선모듈에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설정 주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값설정부는,
    무선모듈에서 이전에 설정한 최적 오프셋값 간 변화량을 근거로, 상기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은,
    인빌딩 내 설치되어, 무선모듈의 상단으로부터 빔 식별자가 포함된 카피 신호를 수신하는 Remote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무선모듈에서 동작하는 빔포밍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단으로부터 제공받은 빔 방향을 지시하는 빔 식별자를, 상기 빔 식별자를 동일하게 제공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 내 다른 무선모듈의 빔 식별자와 달라지도록 변경하는 빔식별자변경단계; 및
    변경된 빔 식별자에 따른 빔 방향으로 빔포밍된 안테나 빔을 형성하는 빔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무선모듈 별로, 무선모듈에서 상기 빔 식별자를 변경하는데 이용하는 설정 값이 설정되는 설정 주기는,
    상기 각 무선모듈 별로,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빔식별자변경단계는,
    기 설정되는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모듈에 제공되는 상기 빔 식별자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과 연동하여 무선모듈 및 단말 간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되는 무선채널 품질을 기반으로, 상기 빔 식별자 변경에 이용하기 위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오프셋값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값설정단계는,
    오프셋값 설정 및 설정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변경한 빔 식별자에 따른 안테나 빔 형성 시의 무선채널 품질을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무선모듈에서 무선채널 품질이 기 정의된 임계 품질 이상이 되는 특정 오프셋값을 최적 오프셋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듈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이동하는지 또는 정주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프셋값설정단계는,
    상기 무선모듈에서 최적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설정 주기를,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90130901A 2019-10-21 2019-10-21 빔포밍 제어장치 및 빔포밍 제어 방법 KR102287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01A KR102287500B1 (ko) 2019-10-21 2019-10-21 빔포밍 제어장치 및 빔포밍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01A KR102287500B1 (ko) 2019-10-21 2019-10-21 빔포밍 제어장치 및 빔포밍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174A KR20210047174A (ko) 2021-04-29
KR102287500B1 true KR102287500B1 (ko) 2021-08-09

Family

ID=7572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901A KR102287500B1 (ko) 2019-10-21 2019-10-21 빔포밍 제어장치 및 빔포밍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5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2937A (ja) 2017-06-30 2019-01-24 株式会社Nttドコモ 信号処理装置、無線装置、フロントホールマルチプレクサ、ビーム制御方法、および信号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7969B2 (en) * 2014-07-16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Low-frequency assisted methods for beamforming, timing and frequency offset in mm-wave access systems
KR102164690B1 (ko) * 2017-10-31 2020-10-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빔 인덱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2937A (ja) 2017-06-30 2019-01-24 株式会社Nttドコモ 信号処理装置、無線装置、フロントホールマルチプレクサ、ビーム制御方法、および信号合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174A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830B1 (ko) 무선 기지국의 커버리지 및 용량을 조화시키는 시스템 및방법
EP2868133B1 (en) Terrestrial communications network suitable for providing air-to-ground connectivity
US6571097B1 (en) Adaptive antenna directivity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CN106105291B (zh) 确定用于服务于无线电网络的垂直扇区化小区的天线的倾斜角的调整
EP2253078A2 (en) An adaptive transmission method and a base station using the method
KR20100028100A (ko)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및 지향성 제어방법
JP5944086B1 (ja) アンテナ制御装置、アンテナ調整方法および分散アンテナシステム
US10498427B2 (en) Methods for radio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JP6514131B2 (ja) 基地局制御装置、基地局制御方法及び基地局制御システム
US11764843B2 (en) Adaptation of beamformed transmission
US7123911B1 (en) Method and system of wireless signal repeating
CN110771061B (zh) 用于具有固定位置的无线站的波束成形的系统和方法
KR102117750B1 (ko) 장애물 인지기반 셀 커버리지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287500B1 (ko) 빔포밍 제어장치 및 빔포밍 제어 방법
KR101663062B1 (ko)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기지국
WO2002015326A2 (en) Optimizing clever antenna by beam tilting
JP2600448B2 (ja) 移動通信における無線チャネル割当制御方法
JP200701956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2165802B1 (ko) 송신출력제어장치 및 송신출력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EP3725111B1 (en) Cell shap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102368827B1 (ko) 안테나의 최적 각도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37860B1 (ko) 다중 빔 통신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50085720A (ko) 무선전송 장치의 전파 빔 방향 조정 방법
KR102230906B1 (ko) 빔 제어장치 및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빔 제어 방법
KR101067367B1 (ko) 빔 스캐닝 기법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