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159B1 - 티켓 처리기의 스캔 소인장치 - Google Patents

티켓 처리기의 스캔 소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159B1
KR102287159B1 KR1020190160370A KR20190160370A KR102287159B1 KR 102287159 B1 KR102287159 B1 KR 102287159B1 KR 1020190160370 A KR1020190160370 A KR 1020190160370A KR 20190160370 A KR20190160370 A KR 20190160370A KR 102287159 B1 KR102287159 B1 KR 102287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icket
buffer
printer modu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0532A (ko
Inventor
이석환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190160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1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9/1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켓 처리기의 스캔과 소인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티켓의 이송경로를 커버(15)로 개폐 가능한 본체(10); 티켓의 이송경로에 구동축(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롤러(26)와 대향하며 소인을 수행하는 프린터모듈(22); 상기 프린터모듈(22)에 로드(31)와 편심캠(34)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회동을 유발하는 구동수단(30); 및 상기 본체(10), 스캐너모듈(20), 프린터모듈(22), 구동수단(30)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티켓 처리기에서 판독ㆍ소인과 관련된 부분에 대한 완전하고 빈번한 개방이 용이하여 점검, 보수, 교체의 편의성을 확보하므로 궁극적으로 작동 신뢰성과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티켓 처리기의 스캔 소인장치 {Scan and stamp apparatus for ticket processing machine}
본 발명은 티켓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의 티켓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스캔을 거쳐 소인을 프린팅하는 티켓 처리기의 스캔 소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버스승차권, 투표용지, 복권용지 등의 매체와 관련된 업무는 정확하고 신속한 프로세싱을 위해 티켓 처리기를 이용한 자동화가 요구된다. 티켓 처리기는 판독소인모듈을 사용하여 매체를 스캐닝하고 필요에 따라 소인을 부가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판독소인모듈의 경우 다량의 매체를 발권, 환불, 정산하는 과정에서 회동과 복귀를 반복하므로 작동 신뢰성과 더불어 내구성을 확보하는 설계요소가 중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508757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826638호(선행문헌 2) 등의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하부 및 상부의 본체 사이로 매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본체에 형성되어 매체의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 판독결과에 따른 정보를 매체에 인쇄하는 소인부; 및 본체에 형성되어 매체의 소인부에 걸림을 방지하는 제1 매체걸림방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소인시 매체가 소인부에 걸림으로 인한 잼(jam)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본체 상에 회동 가능하게 탑재되는 판독소인모듈; 본체에 장착된 링크판의 안내홈에 걸림축을 맞물려 판독소인모듈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링크수단; 및 링크수단의 링크판과 걸림축 사이에 장착되어 판독소인모듈의 하강 충격을 감소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모듈 손상의 우려를 경감하여 유지관리 효율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판독소인모듈의 점검, 보수, 교체를 위한 개방성과 접근성이 다소 미흡하여 작동 신뢰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차원에서 개선의 여지를 보인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508757호 "매체 판독소인장치" (공개일자 : 2015.04.07.)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826638호 "판독소인기의 모듈리턴 완충기구" (공개일자 : 2018.02.06.)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승차권 등의 매체를 프로세싱하는 티켓 처리기에서 판독ㆍ소인과 관련된 부분에 대한 완전하고 빈번한 개방이 용이하여 점검, 보수, 교체의 편의성을 높이는 티켓 처리기의 스캔 소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티켓 처리기의 스캔과 소인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티켓의 이송경로를 커버로 개폐 가능한 본체; 티켓의 이송경로에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롤러와 대향하며 소인을 수행하는 프린터모듈; 상기 프린터모듈에 로드와 편심캠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회동을 유발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본체, 스캐너모듈, 프린터모듈, 구동수단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일측에서 힌지축으로 연결되고 타측에서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이송롤러와 대향하는 복수의 완충롤러를 갖추고, 각각의 완충롤러는 완충스프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구동수단은 로드에서 편심캠과 접촉되는 영역에 완충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기는 검출기의 신호를 입력하여 커버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그 폐쇄 과정에서 완충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티켓 처리기에서 판독ㆍ소인과 관련된 부분에 대한 완전하고 빈번한 개방이 용이하여 점검, 보수, 교체의 편의성을 확보하므로 궁극적으로 작동 신뢰성과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주요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개방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티켓 처리기의 스캔과 소인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티켓에 대한 스캔은 버스승차권의 OMR 인식을 의미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티켓에 대한 환불이 요청되는 경우 정상적인 환불 조건에 해당하면 티켓 상에 '환불'이라는 문자가 인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티켓의 이송경로를 커버(15)로 개폐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본체(10)는 일측 투입구(11)와 타측 배출구(12) 사이에 경사로(13)를 갖춘 구조이다. 경사로(13)를 포함한 단순한 이송경로는 다량의 티켓이 처리되는 과정에서 잼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커버(15)는 본체(10)의 경사로(13) 부분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커버(15)는 일측에서 힌지축(16)으로 연결되고 타측에서 자석(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커버(15)에 힌지축(16)과 자석(17)이 연계된 상태를 예시한다. 커버(15)는 저면이 개방된 상자형 구조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스캐너모듈(20) 및 프린터모듈(22)을 탑재한다. 힌지축(16)은 본체(10)에서 배출구(12)에 인접한 영역에서 커버(15)와 연결된다. 자석(17)은 커버(15)에서 투입구(11)와 인접한 영역에 탑재되어 긴밀한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는 이송경로의 점검, 보수, 잼제거를 위해 커버(15)의 자석(17)이 설치된 상류단을 파지하고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커버(15)는 이송롤러(26)와 대향하는 복수의 완충롤러(46)를 갖추고, 각각의 완충롤러(46)는 완충스프링(44)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본체(10)의 경사로(13)에서 상류측과 하류측에 이송롤러(26)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커버(15)도 이에 대향하는 완충롤러(46)를 상류측과 하류측에 구비한다. 완충롤러(46)는 이송롤러(26)에 비하여 연질이면서 고탄성을 지닌 소재를 사용한다. 완충롤러(46)의 회전축에서 상측으로 완충스프링(44)이 연결된다. 커버(15)의 완충롤러(46)는 평상시 이송롤러(26)와 대향한 상태로 티켓의 이송을 조력한다. 이외에 커버(15)가 폐쇄되는 순간 완충롤러(46)는 완충스프링(44)과 연계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한편, 본체(10)에서 커버(15)의 스캐너모듈(20)과 대향하는 위치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지지블록과 스프링을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롤러(26)와 대향하며 소인을 수행하는 프린터모듈(22)이 티켓의 이송경로에 구동축(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이다. 커버(15) 상에서 프린터모듈(22)의 하류측에 프린터모듈(22)이 구동축(24)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린터모듈(22)은 본체(10)에 탑재된 하류측 이송롤러(26)와 대향하며, 이송되는 티켓에 적절한 소인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가압스프링(28)을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수단(30)이 상기 프린터모듈(22)에 로드(31)와 편심캠(34)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회동을 유발하는 구조이다. 프린터모듈(22)의 구동축(24)이 커버(15)의 외면으로 노출되고 그 단부에 로드(31)가 연결된다. 본체(10)에 탑재된 소인모터(38)의 구동축이 외부로 노출되고 그 단부에 편심캠(34)이 결합된다. 소인모터(38)에 의해 편심캠(34)이 회전되면서 로드(31)와 구동축(24)이 프린터모듈(22)을 이송롤러(26)에 접근시키도록 회동을 유발한다. 본체(10)에 탑재되는 이송모터(36)는 벨트(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이송롤러(26) 중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다.
도 3과 같이 본체(10)에서 커버(15)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구동축(24)과 로드(31)도 연동된다. 로드(31)와 편심캠(34)이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므로 커버(15)의 신속한 개폐가 가능하다. 본체(10)는 커버(15)의 폐쇄된 상태를 검출하도록 로드(31)의 하단을 감싸는 센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구동수단(30)은 로드(31)에서 편심캠(34)과 접촉되는 영역에 완충블록(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3에서, 편심캠(34)이 회전함에 따라 완충블록(32)과 접촉하며 로드(31)와 프린터모듈(22)을 회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완충블록(32)은 경량이면서 탄성과 내마모성을 지닌 수지재를 사용한다. 스캐너모듈(20)을 거친 티켓이 정상적인 환불 조건을 만족하면 프린터모듈(22)을 회동시켜 이송롤러(26)와 밀착한 상태에서 인쇄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완충블록(32)은 프린터모듈(22)의 충격적 회동과 밀착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40)가 상기 본체(10), 스캐너모듈(20), 프린터모듈(22), 구동수단(30)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구조이다. 제어기(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탑재한 마이콤 회로로 구성되고, 스캐너모듈(20), 프린터모듈(22), 이송롤러(26) 등을 구동하는 메인 프로그램과 더불어 구동수단(30)을 제어하고 커버(15)의 개폐 감지ㆍ완충 수행하는 서브루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기(40)는 검출기(42)의 신호를 입력하여 커버(15)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그 폐쇄 과정에서 완충코일(48)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기(40)의 입출력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검출기(42) 및 완충코일(48)이 나타난다. 검출기(42)는 커버(15)가 완전 개방 상태에서 중간 정도 하강하는 상태를 검출하도록 설치된다. 완충코일(48)은 본체(10)에서 커버(15)의 자석(17)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완충코일(48)은 철편에 코일을 감은 전자석 구조이다. 제어기(40)는 검출기(42)의 신호로 커버(15)의 폐쇄를 감지하면 완충코일(48)에 전원을 인가하여 자석(17)과 동일한 극성을 유발한다. 완충코일(48)이 커버(15)의 폐쇄 속도를 늦춘 후에 오프되어 완충하고 이후 자석(17)의 자력으로 긴밀한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3: 경사로
15: 커버 16: 힌지축
17: 자석 20: 스캐너모듈
22: 프린터모듈 24: 구동축
26: 이송롤러 28: 가압스프링
30: 구동수단 31: 로드
32: 완충블록 34: 편심캠
36: 이송모터 38: 소인모터
40: 제어기 42: 검출기
44: 완충스프링 46: 완충롤러
48: 완충코일

Claims (5)

  1. 티켓 처리기의 스캔과 소인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티켓의 이송경로를 커버(15)로 개폐 가능한 본체(10);
    티켓의 이송경로에 구동축(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롤러(26)와 대향하며 소인을 수행하는 프린터모듈(22);
    상기 프린터모듈(22)에 로드(31)와 편심캠(34)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회동을 유발하는 구동수단(30); 및
    상기 본체(10), 스캐너모듈(20), 프린터모듈(22), 구동수단(30)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15)는 일측에서 힌지축(16)으로 연결되고 타측에서 자석(17)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15)는 이송롤러(26)와 대향하는 복수의 완충롤러(46)를 갖추고, 각각의 완충롤러(46)는 완충스프링(44)으로 지지되며,
    상기 구동수단(30)은 로드(31)에서 편심캠(34)과 접촉되는 영역에 완충블록(32)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40)는 검출기(42)의 신호를 입력하여 커버(15)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그 폐쇄 과정에서 완충코일(48)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처리기의 스캔 소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60370A 2019-12-05 2019-12-05 티켓 처리기의 스캔 소인장치 KR102287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70A KR102287159B1 (ko) 2019-12-05 2019-12-05 티켓 처리기의 스캔 소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70A KR102287159B1 (ko) 2019-12-05 2019-12-05 티켓 처리기의 스캔 소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532A KR20210070532A (ko) 2021-06-15
KR102287159B1 true KR102287159B1 (ko) 2021-08-09

Family

ID=7641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370A KR102287159B1 (ko) 2019-12-05 2019-12-05 티켓 처리기의 스캔 소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1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751B1 (ko) * 2004-05-24 2005-11-08 안중건 2개의 축사이의 충격을 완충하는 롤러커플링
KR100608071B1 (ko) * 2005-06-28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력을 이용한 힌지장치 및 상기 힌지장치를 구비한 화상입/출력 장치
JP2010009492A (ja) * 2008-06-30 2010-01-14 Toshiba Tec Corp チケット発券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757B1 (ko) 2013-12-31 2015-04-07 (주)위테크시스템 매체 판독소인장치
KR101826638B1 (ko) * 2016-07-27 2018-02-07 (주)에이텍티앤 판독소인기의 모듈리턴 완충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751B1 (ko) * 2004-05-24 2005-11-08 안중건 2개의 축사이의 충격을 완충하는 롤러커플링
KR100608071B1 (ko) * 2005-06-28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력을 이용한 힌지장치 및 상기 힌지장치를 구비한 화상입/출력 장치
JP2010009492A (ja) * 2008-06-30 2010-01-14 Toshiba Tec Corp チケット発券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532A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9790B1 (en) Media processing device
US7165904B2 (en) Printer and medium transportation assembly
US6068187A (en) Inform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for recording media
KR102287159B1 (ko) 티켓 처리기의 스캔 소인장치
JPH03169664A (ja) 通帳印字機
US5156465A (en) Printer for printing information on center-folding type book in open state
CN102642409B (zh) 图像处理装置及罩的安装结构
JP2759379B2 (ja) 有価証券の印字装置
JP6263097B2 (ja) 印字装置
KR101183993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인자장치
CN201494941U (zh) 可动板式记录介质翻转装置及记录介质处理设备
US200501294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ransportation path opening/closing mechanism
KR102063714B1 (ko) 매체 판독소인기의 인쇄장치
KR940005908B1 (ko) 책자류 프린터 및 책자류 취급장치
JP3725062B2 (ja) 磁気記録装置
KR100462300B1 (ko) 마그네틱 헤드 어셈블리를 가진 승차권 이송장치
CN109422111A (zh) 可动单元的锁定机构、薄片体供给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JP3745206B2 (ja) 媒体搬送装置とプリンタ
CN103218882A (zh) 一种自助还书机
JP3241052B2 (ja) カード類処理装置
JP4931468B2 (ja) 媒体処理装置
US9193187B2 (en) Gap control method for a media processing device, and a media processing device
KR100575851B1 (ko) 통장 인쇄장치
JP4599845B2 (ja) 印刷装置
US6386662B1 (en) Wide mouth banking depos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