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157B1 - 모듈이 구비된 드라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이 구비된 드라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157B1
KR102287157B1 KR1020180170783A KR20180170783A KR102287157B1 KR 102287157 B1 KR102287157 B1 KR 102287157B1 KR 1020180170783 A KR1020180170783 A KR 1020180170783A KR 20180170783 A KR20180170783 A KR 20180170783A KR 102287157 B1 KR102287157 B1 KR 10228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nector
connection terminal
converter uni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856A (ko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알에스오토메이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에스오토메이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에스오토메이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0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1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5/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 H02P5/4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for speed regulation of two or more dynamo-electric motors in relation to one ano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드라이브 장치는 컨버터부가 형성된 베이스; 인버터부가 형성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상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모듈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면, 상기 컨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기 컨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 의해 모터의 구동 전력이 출력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이 구비된 드라이브 장치{DRIVE DEVICE}
본 발명은 다축 제어에 사용되는 다축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서보(servo)는 어떤 장치의 상태를 기준이 되는 것과 비교하고, 안정이 되는 방향으로 피드백(feedback)함으로써 가장 적합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것을 일컫는다. 예를 들면 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서보를 거는 데에는 모터의 회전을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der) 등으로 검출하고, 기준이 되는 회전수와 이것을 비교한다.
이 기준과 차의 회전수의 분량만큼 회전수를 변화시켜 주면, 항상 기준 회전수와 같은 안정된 회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동작을 전자 회로에 의해 자동으로 행하는 것을 서보라 한다.
드라이브(drive)는 전자 공학에서 전동기나 서보 기구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장치를 나타낸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746644호에는 다축 서보드라이브 시스템을 사용하는 로봇 등을 포함한 산업용 기계장치에서 주제어기의 모션인터페이스보드와 서보드라이브 사이가 광섬유 전송을 통한 SERCOS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주제어기와 서보드라이브 사이의 배선이 Fiber Option Cable 2선으로 단순화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746644호
본 발명의 용량 다변화가 가능한 드라이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드라이브 장치는 컨버터부가 형성된 베이스; 인버터부가 형성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상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모듈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면, 상기 컨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기 컨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 의해 모터의 구동 전력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라이브 장치는 공통의 단일 컨버터부에 대해 하나 이상의 인버터부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이브 장치와 주제어기를 연결하는 유선 케이블의 복잡성 및 혼잡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용량을 갖는 인버터부의 교체가 용이하다. 그 결과, 드라이브 장치 구성의 개방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악성 재고의 위험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의 단일 컨버터부 역시 출력 용량(전력량)에 따라 다양하게 교체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드라이브 장치는 컨버터부와 인버터부의 교체가 자유로운 진정한 개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에 대한 컨버터부 및 인버터부의 장착이 완료되면 하나의 몸체를 갖는 스탠드얼론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화, 유선 캐이블의 간결화가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라이브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라이브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장치(100)의 외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장치(100)의 외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모터(50)를 제어값에 맞춰 움직이기 위해 드라이브 장치(100)는 회로적으로 컨버터부(110) 및 인버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보 모터(50)는 자동 제어 구조 혹은 자동 평형 계기에 있어서 전압 입력을 회전각으로 바꾸기 위해 사용되는 전동기를 말한다. 2상 교류 서보 모터(50) 또는 직류 서보 모터(50)가 사용되며, 특히 소형으로 만들어진 것은 마이크로모터(50)라고 불리고 있다. 직류 서보 모터(50)의 경우 보수가 불편한 문제가 있으므로, 그다지 사용되고 있지 않다.
컨버터부(110)는 직류와 교류를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컨버터부(110)는 2상 교류 서보 모터(50)의 구동을 위해 직류 전기(전력)를 교류 전기(전력)로 바꿀 수 있다. 일 예로, 컨버터부(110)는 직류 서보 모터(50)의 구동을 위해 교류 전기(전력)를 직류 전기(전력)로 변환할 수 있다. 컨버터부(110)에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인버터부(130)는 교류/직류 전기(전력)를 다른 주파수의 교류/직류 전기(전력)로 변환할 수 있다. 인버터부(130)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의 인버터 소자, 전류 센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컨버터부(110)와 인버터부(130)는 하나의 보드 또는 케이스에 함께 설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기존 서보 드라이브 시스템의 경우, 컨버터부(110)와 인버터부(130)는 서로 떼어질 수 없는 일체형 구조를 취하고 있다.
다자유도 로봇을 제어하기 위해, 로봇에 형성된 자유도 축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터(50)가 마련될 수 있다. 로봇의 다축 제어에 필요한 복수의 모터(50)를 구동시키기 위해 도 1과 같이 컨버터부(110)와 인버터부(130)가 1:1로 대응된 드라이브 장치(100)가 복수개 필요하다.
드라이브 장치(100)는 산업용 PC를 기반으로 한 주제어기(30)에 다수의 서보 드라이브들이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구성은 축의 수가 증가할수록 주제어기(30)와 서보 드라이브 사이의 배선양 및 복잡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즉, 구동 제어하고자 하는 로봇 등의 산업용 기계 장치가 진공과 같은 특수한 환경이나 조작자로부터 원격에 위치해야 하는 경우 주제어기(30)와 개별 서보 드라이브가 각각 다수의 선을 포함한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야 하므로 배선이 길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배선 문제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제어기(30)와 서보 드라이브들 사이를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하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주제어기(30)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서보 드라이브를 반드시 채용해야 하기 때문에 서보 드라이브 및 모터(50)의 선정에 제한 요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여러 회사의 서보 드라이브 제품을 유연하게 사용하기도 어려우므로 개방형 제어기 및 제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장애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서보 드라이브에 네트워크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야 가능하므로, 서보 드라이브 및 모터(50)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제한을 가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개방형 제어시스템을 구성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드라이브 장치(100)에 따르면, 하나의 컨버터부(110)에 복수의 인버터부(130)가 연결되고 있다.
인버터부(130)는 모터(50)의 개수에 맞춰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하나의 컨버터부(110)는 복수의 인버터부(130)에 대해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콘트롤 보드(Control Board)가 구비된 제어부(150) 역시 복수의 인버터부(130)에 대해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SMPS(170)(Switched Mode Power Supply)가 단일 컨버터부(110)와 제어부(1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주제어기(30)와 통신하고, 컨버터부(110) 및 인버터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SMPS(170)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한 스위칭 제어 방식을 이용해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복수의 인버터부(130)에 대해 하나의 컨버터부(110)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형적으로 하나의 주제어기(30)는 단일의 컨버터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단일의 컨버터부(110)와 통신하면 충분하다.
드라이브 장치(100) 내부적으로 하나의 컨버터부(110)에 복수의 인버터부(130)가 연결된 1:n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컨버터부(110)에 많은 개수의 유선 케이블이 복잡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유선 케이블은 베이스(109)에 의해 지지되거나 가려질 수 있다. 복수의 유선 케이블은 전기가 도통되는 패턴이 형성된 보드 또는 케이블의 형태로 간소하게 정리되므로, 컨버터부(110)와 인버터부(130) 사이에서 복잡도 등의 문제 발생 소지가 적다.
따라서,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주제어기(30)와 드라이브 장치(100) 간의 배선양 및 복잡도가 개선될 수 있다. 다만, 여러 회사의 제품을 사용하기 어려운 면이 그대로 유지되는 문제가 있다. 여기에 더해, 단일의 컨버터부(110)에 대해 설정 용량의 인버터부(130)가 고정 설치되는 스탠드얼론(standalone) 형태로 인해, 모터(50)의 용량을 다양하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배선양 및 복잡도의 개선, 다양한 모터(50)에 적용할 수 있는 개방성 개선을 위해 도 3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드라이브 장치(100)는 베이스(109), 모듈(13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9)에는 컨버터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9)는 컨버터부(110)를 지지하는 지지 기능, 컨버터부(110)와 외부를 차단하는 격리 기능, 컨버터부(1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기능 등을 수행하는 받침대, 커버, 케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부(110)가 특정 보드에 형성된 경우, 베이스(109)는 해당 특정 보드를 지지할 수 있다.
컨버터부(110)를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109)에는 컨버터부(110)의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컨버터부(110)는 해당 수용 공간에 배치되기 위해 베이스(109)의 내면에 체결될 수 있다.
모듈(131)에는 인버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모듈(131)은 인버터부(130)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131)은 베이스(109)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모듈(131)이 베이스(109)에 장착되면, 컨버터부(110)와 인버터부(1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컨버터부(110)와 인버터부(130)에 의해 모터(50)의 구동 전력이 출력될 수 있다.
베이스(109)에는 모듈(131)이 설치되는 설치부(10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설치부(101)는 하나의 컨버터부(110)에 대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설치부(101)에는 컨버터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모듈(131)에는 제1 커넥터에 착탈되는 제2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설치부(101)는 모듈(131)이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부(101)에는 모듈(131)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9)에서 레일의 단부에 대면되는 위치에는 제1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는 컨버터부(110)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듈(131)에서 제1 커넥터에 대면되는 위치에는 제2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모듈(131)의 일면에는 모터(50)에 연결되는 외부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넥터는 인버터부(130)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는 모듈(131)이 레일의 단부까지 슬라이딩되면 제1 커넥터에 장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에 제2 커넥터가 장착되면 컨버터부(110)와 인버터부(13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설치부(101)로부터 모듈(131)을 빼내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간의 전기적 연결이 자연스럽게 해제될 수 있다.
인버터부(130)에는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IGBT 등의 인버터 소자, 인버터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인버터 소자 및 전류 센서의 종류/용량은 모터(5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인버터 소자는 입력 전류를 다른 주파수의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IGBT는 파워 MOS 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와 바이폴러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switching) 소자이다. IGBT는 작은 구동 전력, 고속 스위칭, 고내압 또 구동전력이 작고, 고속스위칭, 고내압화, 고전류 밀도화가 가능한 특성을 이용해 입력 전기를 다른 주파수의 전기로 변환할 수 있다.
전류 센서는 인버터 소자로부터 모터(50)로 제공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전류 센서의 측정값은 모터(50)의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산업 기계의 다축 제어에 사용되는 모터(50)마다 구동에 필요한 용량(예를 들어 전력량)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복수의 인버터부(130)와 공통의 단일 컨버터부(110)가 구비된 드라이브 장치(100)가 일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해당 드라이브 장치(100)는 해당 산업 기계에만 적용 가능할 뿐 다른 산업 기계에는 적용하는데 무리가 있다. 또한, 해당 산업 기계에서 특정 모터(50)를 다른 용량의 새로운 모터(50)로 변경한 경우에도 해당 드라이브 장치(100)를 사용하기 곤란하다. 즉, 단일 컨버터부(110)에 대해 인버터부(130)가 고정된 스탠드얼론 방식에 따르면,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는 개방성이 매우 취약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의 단일 컨버터부(110)에 대해 인버터부(130)의 연결 및 해제가 프리(free)하게 가능하므로, 기제작된 다양한 용량의 인버터부(130)를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컨버터부(110)가 설치된 베이스(109)에 착탈 가능한 인버터부(130)는 복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개방성이 개선된 다축 드라이브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컨버터부(110)의 개방성 개선을 위해 컨버터부(110) 또한 베이스(109)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9)에 형성된 복수의 설치부(101)에는 컨버팅 설치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컨버팅 설치 수단은 컨버터부(110)의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컨버팅 설치 수단에는 컨버터부(1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컨버팅 설치 수단에는 제1 연결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에 대면되는 컨버터부(110)의 일면에는 제1 연결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는 컨버터부(110)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버터부(110)는 제2 연결 단자가 제1 연결 단자를 향해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컨버팅 설치 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컨버팅 설치 수단에 대한 컨버터부(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2 연결 단자는 제1 연결 단자를 향해 움직이면서 제1 연결 단자에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9)에는 모듈(131)이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설치부(101)가 마련될 수 있다. 각 설치부(101)에는 제1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 설치부(101)에 마련된 제1 커넥터는 제1 연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버터부(110)에 마련된 제2 연결 단자가 제1 연결 단자에 연결되고 모듈(131)에 마련된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연결되면, 제2 커넥터, 제1 커넥터, 제1 연결 단자, 제2 연결 단자를 통해 컨버터부(110)와 인버터부(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라이브 장치(100)는 스탠드얼론 형태의 온보드(One board) 구조와 module 형태를 혼합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다축 드라이브의 스탠드얼론 형태의 온보드의 장점과 모듈(131) 형태의 용량 선택 구성의 장점을 합해서 스탠드얼론 형태에 모듈(131)을 삽입하는 구조로 필요 용량을 선택하여 제품을 구성할 수 있는 두 형태를 혼합한 하이브리드(hybrid) 형태의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스탠드얼론 형태의 경우, 제품 설계의 특성상 설정 용량, 예를 들어 100W, 200W, 400W(와트) 등이 변경 불가능한 고정 상태로 드라이브 장치(100)가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이후 특정 용량으로 제품을 변경하거나 고객의 요청에 의해 용량이 변경될 경우 재고 위험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드라이브 장치(100)는 공통의 단일 컨버터부(110)에 대해 인버터부(130)가 착탈 가능한 하이브리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인버터부(130)가 마련된 모듈(131)을 다양한 용량으로 계획 생산할 수 있다. 일 예로, 100W, 200W, 400W 등의 용량으로 개발된 모듈(131)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자유롭게 채택되고 용량에 맞춰 베이스(109)에 장착되기만 하면 온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고객의 요청에 맞는 메인 모듈(131)(main module)과 축 모듈(131)(axis module)만 조립하여 빠른 출고가 가능하며 불용 재고의 위험성이 적은 드라이브 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드라이브 장치(100)는 다품종 소 수량이 적용되는 산업 기계에 유리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주제어기 50...모터
100...드라이브 장치 101...설치부
109...베이스 110...컨버터부
130...인버터부 131...모듈
150...제어부 170...SMPS

Claims (7)

  1.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전환시키는 컨버터부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컨버터부에 의해서 전환된 상기 직류 전류를, 모터에 이용되는 구동 전력으로 바꾸어 출력하는 인버터부가 형성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상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모듈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면, 상기 컨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기 컨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 의해 상기 모터의 상기 구동 전력이 출력되며,
    상기 모듈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및 전류 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모듈은 상기 모터의 개수에 맞춰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모듈은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제1 모터와 제2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제1 IGBT, 제1 전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듈은 제2 IGBT, 제2 전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모터에 제1 구동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모터에 제2 구동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컨버터부는 복수의 상기 모듈에 대해 공통적으로 단일 형성되고,
    상기 개별 모듈의 각 IGBT, 각 전류 센서는 상기 각 모터의 상기 구동 전력에 따라 결정되는 드라이브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노이즈 필터 및 정류기가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모듈은 직류 버스 커패시터(DC-Bus Capacitor)와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모듈이 설치되는 설치부가 마련되고,
    상기 설치부는 하나의 컨버터부에 대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모듈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 상기 컨버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모듈에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착탈되는 제2 커넥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외부 커넥터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인버터부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모듈이 상기 레일의 단부까지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 커넥터에 장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넥터에 상기 제2 커넥터가 장착되면 상기 컨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설치부로부터 상기 모듈을 빼내면,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는 드라이브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컨버터부의 착탈이 가능한 컨버팅 설치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컨버팅 설치 수단에는 제1 연결 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연결 단자에 대면되는 상기 컨버터부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연결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버터부는 상기 제2 연결 단자가 상기 제1 연결 단자를 향해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상기 컨버팅 설치 수단에 장착 가능하고,
    상기 컨버팅 설치 수단에 대한 상기 컨버터부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제1 연결 단자를 향해 움직이면서 상기 제1 연결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부가 마련되고,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제1 연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커넥터가 마련되며,
    상기 컨버터부에 마련된 상기 제2 연결 단자가 상기 제1 연결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모듈에 마련된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되면, 상기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1 연결 단자, 상기 제2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컨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드라이브 장치.
KR1020180170783A 2018-12-27 2018-12-27 모듈이 구비된 드라이브 장치 KR102287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83A KR102287157B1 (ko) 2018-12-27 2018-12-27 모듈이 구비된 드라이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83A KR102287157B1 (ko) 2018-12-27 2018-12-27 모듈이 구비된 드라이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56A KR20200080856A (ko) 2020-07-07
KR102287157B1 true KR102287157B1 (ko) 2021-08-06

Family

ID=7160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783A KR102287157B1 (ko) 2018-12-27 2018-12-27 모듈이 구비된 드라이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1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653B1 (ko) * 2003-10-07 2005-05-11 주식회사 효성 신장성 공기교락사
KR100746644B1 (ko) 2006-06-14 2007-08-0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 개방형 서보드라이브 시스템
KR101468143B1 (ko) * 2013-04-23 2014-12-05 데스틴파워 주식회사 인버터 모듈 착탈형 인버터 접속반
KR102499259B1 (ko) * 2015-10-05 202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 구동 장치, 모터 구동 장치의 제어 방법, 인버터 장치 및 전원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0489호(2017.04.13.) 1부.*
인용발명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033910호(2005.02.03.) 1부.*
인용발명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6574호(2014.10.3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56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5271B2 (en) Motor drive with inherent power isolation
WO2013121719A1 (ja) 車両用駆動制御装置
JP5029900B2 (ja) モータの制御装置
US8072174B2 (en) Motor controller with integrated serial interface having selectable synchronization and communications
EP2713686B1 (en) Modular motor drive system and method
US8860335B2 (en) System for managing DC link switching harmonics
CA2831436C (en) Converter assembly, method for producing a converter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nverter assembly
US20150061423A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vehicle
CN110417278B (zh) 马达驱动用的逆变器控制装置
US20150061422A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vehicle
US8212514B2 (en) Serial interface motor controller having user configurable communications speeds
EP2713503B1 (en) Motor drive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KR102287157B1 (ko) 모듈이 구비된 드라이브 장치
US8080965B2 (en) Motor controller with deterministic synchronous interrupt having multiple serial interface backplane
JP5502091B2 (ja) 電力変換装置
KR102232818B1 (ko) 센싱 유니트가 구비된 드라이브 장치
CN208110358U (zh) 一种双轴工业机器人伺服驱动器
US6842352B2 (en) Inverter module for train traction systems
US11249461B2 (en) Motor control device and setting device
KR20130088596A (ko) 집중형 및 분산형 제어기 장치
US8569987B2 (en) Configurable multi-axis electric drive system concept
US11984774B2 (en) Drive module for motor-drive systems
JP2002300787A (ja) 射出成形機用インバータ設備
CN214330303U (zh) 一种集成有控制箱的工业开门机
JP2017028848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