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855B1 -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855B1
KR102286855B1 KR1020190065508A KR20190065508A KR102286855B1 KR 102286855 B1 KR102286855 B1 KR 102286855B1 KR 1020190065508 A KR1020190065508 A KR 1020190065508A KR 20190065508 A KR20190065508 A KR 20190065508A KR 102286855 B1 KR102286855 B1 KR 10228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hain
agricultural
processing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9007A (ko
Inventor
홍경자
김규형
안규철
최광진
최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닉스
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닉스, 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닉스
Priority to KR102019006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85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9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가 각 농수축산물 제품에 대한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농수축산물 유통을 처리하는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각각으로부터 블록체인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여, 각 거래 단위인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로 블록체인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및 정부/공공기관 서버(4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농수축산물 유통을 처리하는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중 농수축산물 제품을 가공 처리하는 하나로 액세스하여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Cloud 기반의 SaaS Platform)을 제공하며, 농수축산물 유통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모아서 빅데이터를 구축하며, 구축된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활용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하여 지능형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으로 확장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an Integrated Distribution Information Platform Based on Block Chai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Cloud 기반의 SaaS Platform)을 제공하며, 농수축산물 유통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모아서 빅데이터를 구축하며, 구축된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활용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하여 지능형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으로 확장 발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농수축산물 유통관리 시스템은 기능의 확장성이 낮고, 유지보수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보안성도 매우 낮은 수준이다.
즉, 농수축산물 유통관리 시스템은 도매법인에서 관리사무소 간 네트워크를 통해 자료전송 시스템으로 주로 FTP 방식 전송구조로 전송되며, 전송시 발생되는 오류에 따른 파일 누락 및 오류에 대한 처리가 어려움이 있으며, 일별/월별 데이터 전송에 따른 실시간 정산정보의 제공이 불가하므로 이에 대한 실시간 정보 공유 체계로 전환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있어 왔다.
또한, 농수축산물 유통관리 시스템은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표준코드 변환 또는 산지코드 입력 오류에 따른 정보 신뢰도가 낮아 각 유관기관에 신뢰성 있는 정보의 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농수축산물의 각 유통 단계별 발생 데이터가 일괄적으로 관리되고 있지 않고 분산 관리됨에 따라 빅데이터 구축이 어렵고, 지능형 분석 시스템을 구현하기도 매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농수축산물의 유통 데이터를 통합하지 않고 축적도 되고 있지 못함에 따라서 유통 단계별 데이터 분석을 통한 동향 및 트랜드 파악도 어렵고 미래 예측을 위한 정보로 사용하기도 어려운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44781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Cloud 기반의 SaaS Platform)을 제공하며, 농수축산물 유통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모아서 빅데이터를 구축하며, 구축된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활용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하여 지능형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으로 확장 발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산하여 관리함으로써, 농수축산물의 유통 단계별로 거래의 투명성 제고, 정보의 위변조 방지, 보안 강화, 거래 속도 향상, 비용 절감에 대한 극대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능형(AI)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의 구축을 위한 유연성과 확장성이 높은 Business Architect(BA), Application Architect(AA), Data Architect(DA), Technical Architect(TA)를 설계하고 구축하도록 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 방법은,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가 각 농수축산물 제품에 대한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농수축산물 유통을 처리하는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각각으로부터 블록체인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여, 각 거래 단위인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로 블록체인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및 정부/공공기관 서버(4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농수축산물 유통을 처리하는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중 농수축산물 제품을 가공 처리하는 하나로 액세스하여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 1 단계 이후, 소비자 단말(500)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농수축산물 유통을 처리하는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중 농수축산물 제품을 판매하는 하나로 액세스하여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각 농수축산물 제품에 대한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농수축산물 유통을 처리하는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및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농수축산물 유통을 처리하는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각각으로부터 블록체인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여, 각 거래 단위인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로 블록체인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농수축산물 유통을 처리하는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중 농수축산물 제품을 가공 처리하는 하나로 액세스하여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확인하는 정부/공공기관 서버(4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농수축산물 유통을 처리하는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중 농수축산물 제품을 판매하는 하나로 액세스하여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소비자 단말(5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Cloud 기반의 SaaS Platform)을 제공하며, 농수축산물 유통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모아서 빅데이터를 구축하며, 구축된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활용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하여 지능형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으로 확장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산하여 관리함으로써, 농수축산물의 유통 단계별로 거래의 투명성 제고, 정보의 위변조 방지, 보안 강화, 거래 속도 향상, 비용 절감에 대한 극대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지능형(AI)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의 구축을 위한 유연성과 확장성이 높은 Business Architect(BA), Application Architect(AA), Data Architect(DA), Technical Architect(TA)를 설계하고 구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1) 중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 중 블록체인 기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 정보 수집 모듈(321)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1)에서 제공되는 농수축산물 제품 이력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신뢰성 확보를 위한 솔루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1)은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 네트워크(200),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300a), 정부/공공기관 서버(400) 및 소비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은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 운송/배송 단말(140) 및 마트/소매상 단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300a), 정부/공공기관 서버(400) 및 소비자 단말(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1) 중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 중 블록체인 기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 정보 수집 모듈(321)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블록체인 기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 정보 수집 모듈(321), 빅데이터 구축 모듈(322), AI 적용 모듈(323), 블록체인 기반 정보 제공 모듈(3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 정보 수집 모듈(321)은 생산물 정보 수집 수단(321a), 가공 처리 정보 수집 수단(321b), 저장 정보 수집 수단(321c), 운송/배송 정보 수집 수단(321d) 및 판매 정보 수집 수단(321e)을 구비할 수 있다.
생산물 정보 수집 수단(321a)은 농수축산물 생산자가 운영하는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로부터 생산품 농장 출발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임 스탬프(timestamp)를 자동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축산 환경 등의 센서데이터를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
생산물 정보 수집 수단(321a)은 수신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300a) 상에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메타데이터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가공 처리 정보 수집 수단(321b)은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300a)로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가 운영하는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 통지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에 의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가공 처리 정보 수집 수단(321b)은 생산물 정보 수집 수단(321a)으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송한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의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와 후술하는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에 의해 생성되는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위한 상호 검증을 위해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검증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며 검증이 완료되면,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에 의해 생성되는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를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에 의해 생성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공 처리 정보 수집 수단(321b)은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가공 처리 및 포장 이후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를 출발시 출발 매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출발 메시지 수신시간에 해당하는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임 스탬프를 자동생성한다. 이후, 가공 처리 정보 수집 수단(321b)은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가공 처리 환경 등 센서 데이터를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수신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300a) 상에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메타데이터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 정보 수집 수단(321c)은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300a)로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저장창고/냉동창고 업자가 운영하는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로 통지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에 의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저장 정보 수집 수단(321c)은 가공 처리 정보 수집 수단(321b)으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송한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의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와 후술하는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에 의해 생성되는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위한 상호 검증을 위해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검증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며 검증이 완료되면,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에 의해 생성되는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를 가공 처리 정보 수집 수단(321b)에 의해 생성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 정보 수집 수단(321c)은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제품 저장 이후 제품 창고를 출발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입 스탬프를 자동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보관 환경 조건 등 센서 데이터를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300a) 상에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메타데이터로 가공 블록체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운송/배송 정보 수집 수단(321d)은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300a)로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운송/배송 업자가 운영하는 운송/배송 단말(140)로 통지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운송/배송 단말(140)에 의한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운송/배송 정보 수집 수단(321d)은 저장 정보 수집 수단(321c)으로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송한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의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와 후술하는 운송/배송 단말(140)에 의해 생성되는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위한 상호 검증을 위해 운송/배송 단말(140)로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검증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며 검증이 완료되면, 운송/배송 단말(140)에 의해 생성되는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 정보 수집 수단(321c)에 의해 생성된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송/배송 정보 수집 수단(321d)은 운송/배송 단말(140)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운송/배송 업자의 영업소로 도착 이후, 제품 상차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임 스탬프를 자동 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운송 또는 배송 환경 조건 등의 센서 데이터를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300a) 상에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메타데이터로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판매 정보 수집 수단(321e)은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300a)로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마트/소매상 업자가 운영하는 마트/소매상 단말(150)로 통지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마트/소매상 단말(150)에 의한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판매 정보 수집 수단(321e)은 운송/배송 정보 수집 수단(321d)으로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송한 운송/배송 단말(140)의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와 후술하는 마트/소매상 단말(150)에 의해 생성되는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위한 상호 검증을 위해 마트/소매상 단말(150)로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검증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며 검증이 완료되면, 마트/소매상 단말(150)에 의해 생성되는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를 운송/배송 정보 수집 수단(321d)에 의해 생성된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매 정보 수집 수단(321e)은 마트/소매상 단말(150)로부터 농축산물에 대한 제품 마트 도착 이후, 제품 판매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임 스탬프를 자동 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판매 환경 등 센서 데이터를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300a) 상에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메타데이터로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빅데이터 구축 모듈(322)은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메타데이터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 가공/포장 블록체인 데이터,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서버(300a)에 대한 관리를 위해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관리하며, 정부/공공기관 서버(400)에 의한 농수축산물 제품 자체의 문제에 대한 조회시 메타데이터와 블록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력 조회를 통해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에 대한 정보 서치 방식으로 제공하며, 소비자 단말(500)에 의한 농수축산물 제품의 유통 과정에 대한 문제 및 자체의 문제에 대한 조회시 동일하게 메타데이터와 블록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력 조회를 통해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에 대한 정보 서치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빅데이터 구축 모듈(322)은 각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조회시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각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 운송/배송 단말(140) 및 마트/소매상 단말(150)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블록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력 조회를 통해 정보 서치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AI 적용 모듈(323)은 빅데이터 서버(300a)에 저장된 각 블록체인 데이터 단위에 포함된 단계별 블록체인 데이터를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각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 운송/배송 단말(140) 및 마트/소매상 단말(150)에 대한 정보 서치 방식으로 조회한 뒤, 각 블록체인 데이터에서의 타임스탬프 간의 간격에 대한 평균을 연산하고, 연산된 평균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문제가 있는 농수축산물 제품으로 분석하여 자동으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비자 단말(500)로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AI 적용 모듈(323)은 머신러닝과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I 적용 모듈(323)은 머신러닝 적용시,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각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 운송/배송 단말(140) 및 마트/소매상 단말(150)에 분산 저장된 블록체인 데이터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고 상태 관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I 적용 모듈(323)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
AI 적용 모듈(323)은 각 단말에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다수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AI 적용 모듈(323)은 상태 여부 판단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 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AI 적용 모듈(323)은 머신러닝 이후 정제된 데이터를 활용해 딥러닝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AI 적용 모듈(323)에 의한 딥러닝 방식은 이상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형성된 패턴 데이터별 반복 작업시 하나의 전체 프로세스에 소요되는 시간인 사이클 타임(Cycle time)과, 각 공정시간의 최대 시간인 택트 타임(Tact time)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정보 제공 모듈(324)은 정부/공공기관 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액세스에 따른 농수축산물 제품 자체의 문제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액세스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여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에 저장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와 블록체인으로 연결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이용하여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블록체인 기반의 이력 추적으로 제품 처리 오류 또는 제품 오염 여부를 확인하여 분석한 뒤, 정부/공공기관 서버(400)로 결과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소비자 단말(5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액세스에 따른 농수축산물 제품의 유통 과정에 대한 문제 및 자체의 문제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마트/소매상 단말(150)로 액세스하여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와 블록체인으로 연결된 각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이용하여 상술한 블록체인 기반의 이력 추적과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농수축산물 제품에 대해 확인하여 분석한 뒤, 소비자 단말(500)로 결과 정보를 통보함으로써, 소비자 단말(500)에 의한 농수축산물 제품에 대한 교환, 환불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는 농수축산물 생산자가 운영하는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로부터 생산품 농장 출발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임 스탬프(timestamp)를 자동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축산 환경 등의 센서데이터를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여 저장한다(S11).
단계(S11) 이후,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는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300a)로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가 운영하는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 통지하여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에 의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한다(S12).
단계(S12) 이후,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는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가공 처리 및 포장 이후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를 출발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임 스탬프를 자동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가공 처리 환경 등 센서 데이터를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여 저장한다(S13).
단계(S13) 이후,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는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300a)로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저장창고/냉동창고 업자가 운영하는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로 통지하여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에 의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한다(S14).
단계(S14) 이후,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는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제품 저장 이후 제품 창고를 출발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입 스탬프를 자동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보관 환경 조건 등 센서 데이터를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여 저장한다(S15).
단계(S15) 이후,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는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300a)로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운송/배송 업자가 운영하는 운송/배송 단말(140)로 통지하여 운송/배송 단말(140)에 의한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한다(S16).
단계(S16) 이후,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는 운송/배송 단말(140)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운송/배송 업자의 영업소로 도착 이후, 제품 상차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임 스탬프를 자동 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운송 또는 배송 환경 조건 등의 센서 데이터를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여 저장한다(S17).
단계(S17) 이후,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는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300a)로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마트/소매상 업자가 운영하는 마트/소매상 단말(150)로 통지하여 마트/소매상 단말(150)에 의한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한다(S18).
단계(S18) 이후,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는 마트/소매상 단말(150)로부터 농축산물에 대한 제품 마트 도착 이후, 제품 판매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임 스탬프를 자동 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판매 환경 등 센서 데이터를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여 저장한다(S19).
단계(S11) 내지 단계(S19) 중 단계(S13) 이후, 정부/공공기관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 액세스하여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와 블록체인으로 연결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이용하여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제품 처리 오류 또는 제품 오염 여부를 확인한다(S20).
한편, 단계(S11) 내지 단계(S19) 중 단계(S19) 이후, 소비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마트/소매상 단말(150)로 액세스하여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와 블록체인으로 연결된 각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이용하여 단계(S20)과 동일한 방식으로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농수축산물 제품에 대한 확인을 한다(S3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1)에서 제공되는 농수축산물 제품 이력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신뢰성 확보를 위한 솔루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1)은 1단계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Cloud 기반의 SaaS Platform) 개발을 추진하고, 2단계로 농수축산물 유통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모아서 빅데이터를 구축하며, 3단계로 구축된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활용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하여 지능형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으로 확장 발전시키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1)은 각 농수축산물 제품에 대한 영업관리, 생산관리, 창고관리, 물류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1)은 합의 알고리즘 분석/설계로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력 데이터 바탕으로 합의 위한 연결성 도출하고,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합의 알고리즘 이론적 기반 구성하며, 합의 알고리즘 구현으로, 구성된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구성하고 농수축산물 가공 처리 솔루션과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구축하며, 합의 알고리즘 테스팅으로, 농수축산물 가공 처리 솔루션과 통합 테스트 수행하며, 테스트 결과 및 성능 요구치 분석 통한 고도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100 :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
110 :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
120 :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
130 :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
140 : 운송/배송 단말
150 : 마트/소매상 단말
200 : 네트워크
300 :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블록체인 기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 정보 수집 모듈
321a : 생산물 정보 수집 수단
321b : 가공 처리 정보 수집 수단
321c : 저장 정보 수집 수단
321d : 운송/배송 정보 수집 수단
321e : 판매 정보 수집 수단
322 : 빅데이터 구축 모듈
323 : AI 적용 모듈
300a : 빅데이터 서버
400 : 정부/공공기관 서버
500 : 소비자 단말

Claims (5)

  1.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 운송/배송 단말(140) 및 마트/소매상 단말(150)을 포함하는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 네트워크(200);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300a); 정부/공공기관 서버(400); 및 소비자 단말(500); 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1)에 있어서,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은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블록체인 기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 정보 수집 모듈(321), 빅데이터 구축 모듈(322), AI 적용 모듈(323), 블록체인 기반 정보 제공 모듈(324)을 포함하며, 블록체인 기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 정보 수집 모듈(321)은 생산물 정보 수집 수단(321a), 가공 처리 정보 수집 수단(321b), 저장 정보 수집 수단(321c), 운송/배송 정보 수집 수단(321d) 및 판매 정보 수집 수단(321e)을 구비하며,
    생산물 정보 수집 수단(321a)은,
    농수축산물 생산자가 운영하는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로부터 생산품 농장 출발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임 스탬프(timestamp)를 자동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축산 환경 등의 센서데이터를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수신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300a) 상에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메타데이터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며,
    가공 처리 정보 수집 수단(321b)은,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300a)로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가 운영하는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 통지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에 의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하며, 생산물 정보 수집 수단(321a)으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송한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의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와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에 의해 생성되는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위한 상호 검증을 위해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검증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며 검증이 완료되면,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에 의해 생성되는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를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에 의해 생성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수행하며,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가공 처리 및 포장 이후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를 출발시 출발 매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출발 메시지 수신시간에 해당하는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임 스탬프를 자동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가공 처리 환경 등 센서 데이터를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수신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300a) 상에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메타데이터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며,
    저장 정보 수집 수단(321c)은,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300a)로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저장창고/냉동창고 업자가 운영하는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로 통지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에 의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하되,
    가공 처리 정보 수집 수단(321b)으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송한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의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와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에 의해 생성되는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위한 상호 검증을 위해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검증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며 검증이 완료되면,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에 의해 생성되는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를 가공 처리 정보 수집 수단(321b)에 의해 생성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수행하며,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제품 저장 이후 제품 창고를 출발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입 스탬프를 자동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보관 환경 조건 등 센서 데이터를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300a) 상에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메타데이터로 가공 블록체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며,
    운송/배송 정보 수집 수단(321d)은,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300a)로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운송/배송 업자가 운영하는 운송/배송 단말(140)로 통지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운송/배송 단말(140)에 의한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하되,
    저장 정보 수집 수단(321c)으로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송한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의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와 운송/배송 단말(140)에 의해 생성되는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위한 상호 검증을 위해 운송/배송 단말(140)로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검증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며 검증이 완료되면, 운송/배송 단말(140)에 의해 생성되는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 정보 수집 수단(321c)에 의해 생성된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수행하며,
    운송/배송 단말(140)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운송/배송 업자의 영업소로 도착 이후, 제품 상차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임 스탬프를 자동 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운송 또는 배송 환경 조건 등의 센서 데이터를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300a) 상에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메타데이터로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며,
    판매 정보 수집 수단(321e)은,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300a)로의 저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마트/소매상 업자가 운영하는 마트/소매상 단말(150)로 통지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마트/소매상 단말(150)에 의한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하되,
    운송/배송 정보 수집 수단(321d)으로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송한 운송/배송 단말(140)의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와 마트/소매상 단말(150)에 의해 생성되는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위한 상호 검증을 위해 마트/소매상 단말(150)로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검증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며 검증이 완료되면, 마트/소매상 단말(150)에 의해 생성되는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를 운송/배송 정보 수집 수단(321d)에 의해 생성된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 간의 체인 결합을 수행하며,
    마트/소매상 단말(150)로부터 농축산물에 대한 제품 마트 도착 이후, 제품 판매시 시간 매개 변수인 타임 스탬프를 자동 생성하며, 생성된 타임 스탬프와 함께 판매 환경 등 센서 데이터를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300a) 상에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메타데이터로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며,
    빅데이터 구축 모듈(322)은,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메타데이터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 가공/포장 블록체인 데이터, 저장 블록체인 데이터, 운송/배송 블록체인 데이터,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서버(300a)에 대한 관리를 위해 하나의 농수축산물 제품 ID를 관리하며, 정부/공공기관 서버(400)에 의한 농수축산물 제품 자체의 문제에 대한 조회시 메타데이터와 블록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력 조회를 통해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에 대한 정보 서치 방식으로 제공하며, 소비자 단말(500)에 의한 농수축산물 제품의 유통 과정에 대한 문제 및 자체의 문제에 대한 조회시 동일하게 메타데이터와 블록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력 조회를 통해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300a)에 대한 정보 서치 방식으로 제공하며,
    각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조회시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각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 운송/배송 단말(140) 및 마트/소매상 단말(150)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블록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력 조회를 통해 정보 서치 방식으로 제공하며,
    AI 적용 모듈(323)은,
    빅데이터 서버(300a)에 저장된 각 블록체인 데이터 단위에 포함된 단계별 블록체인 데이터를 농수축산물 처리 단위 단말 그룹(100)을 구성하는 각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 저장창고/냉동창고 단말(130), 운송/배송 단말(140) 및 마트/소매상 단말(150)에 대한 정보 서치 방식으로 조회한 뒤, 각 블록체인 데이터에서의 타임스탬프 간의 간격에 대한 평균을 연산하고, 연산된 평균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문제가 있는 농수축산물 제품으로 분석하여 자동으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비자 단말(500)로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블록체인 기반 정보 제공 모듈(324)은,
    정부/공공기관 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액세스에 따른 농수축산물 제품 자체의 문제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액세스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여 가공/포장 처리업체/센터 단말(120)에 저장된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가공 처리 블록체인 데이터와 블록체인으로 연결된 생산지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이용하여 농수축산물 생산자 단말(110)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블록체인 기반의 이력 추적으로 제품 처리 오류 또는 제품 오염 여부를 확인하여 분석한 뒤, 정부/공공기관 서버(400)로 결과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블록체인 기반 정보 제공 모듈(324)은,
    소비자 단말(5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액세스에 따른 농수축산물 제품의 유통 과정에 대한 문제 및 자체의 문제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마트/소매상 단말(150)로 액세스하여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판매 블록체인 데이터와 블록체인으로 연결된 각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해서 Hyperledger explorer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이력 추적과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농수축산물 제품에 대해 확인하여 분석한 뒤, 소비자 단말(500)로 결과 정보를 통보함으로써, 소비자 단말(500)에 의한 농수축산물 제품에 대한 교환, 환불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65508A 2019-06-03 2019-06-03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508A KR102286855B1 (ko) 2019-06-03 2019-06-03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508A KR102286855B1 (ko) 2019-06-03 2019-06-03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007A KR20200139007A (ko) 2020-12-11
KR102286855B1 true KR102286855B1 (ko) 2021-08-06

Family

ID=7378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508A KR102286855B1 (ko) 2019-06-03 2019-06-03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066B1 (ko) * 2021-08-12 2022-07-21 농업회사법인 디에이치팩토리 주식회사 정보기술을 이용한 육류 종합 관리시스템
KR102597257B1 (ko) * 2023-04-28 2023-11-03 ㈜다우에프에스 고속도로 휴게소 기반 배송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468B1 (ko) * 2017-08-02 2018-06-26 조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241A (ko) * 2012-09-27 2014-04-04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태그를 이용한 상품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17988B1 (ko) * 2018-11-22 2021-02-18 김경준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468B1 (ko) * 2017-08-02 2018-06-26 조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007A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onso et al. An intelligent Edge-IoT platform for monitoring livestock and crops in a dairy farming scenario
US11108863B2 (en) Tag operating system
EP34258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data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Rani et al. Fog computing in industry 4.0: Applications and challenges—A research roadmap
US1095624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valuation and migration
US20200364525A1 (en) Rf tag operating system with iot connector core
CN104636421A (zh) 使用云计算的工业监视
CN103761309A (zh) 一种运营数据处理方法及系统
Cao et al. The design of an IoT-GIS platform for performing automated analytical tasks
KR102286855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6368A (ko) 공장 자동화를 위한 분산 데이터 수집 및 분산 제어 명령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분산 데이터 수집 및 분산 제어 방법
CN109558674A (zh) 销量预测及其模型训练方法、装置
CN110086673A (zh) 数据获取方法及装置
US20140222871A1 (en) Techniques for data assignment from an external distributed file system to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WO2019157122A1 (en) Rf tag operating system with iot connector core
Fatima et al. Cyber physical systems and IoT: Architectural practices, interoperability, and transformation
Rizwan et al. An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block chain technology to enhance the quality of supply chain management (SCM)
KR102094639B1 (ko) 공장 제조라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US11423499B2 (en) Logistics sensors for smart contract arbitration
EP4122183B1 (en) Multi-tenant routing gateway for internet-of-things devices
CN114490272A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10067613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creating data structure facilitat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N116095107A (zh) 混凝土智能化生产与控制的云边协同系统及云边协同方法
CN114490303A (zh) 故障根因确定方法、装置和云设备
KR101979161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레이블 타입 데이터 관리 기반의 ai 학습 데이터 생산성 향상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