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759B1 - the environment-friendly hard-boiled food apparatus - Google Patents

the environment-friendly hard-boiled food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759B1
KR102286759B1 KR1020190129091A KR20190129091A KR102286759B1 KR 102286759 B1 KR102286759 B1 KR 102286759B1 KR 1020190129091 A KR1020190129091 A KR 1020190129091A KR 20190129091 A KR20190129091 A KR 20190129091A KR 102286759 B1 KR102286759 B1 KR 102286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il
inner space
root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5713A (en
Inventor
민승기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승기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민병이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9012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759B1/en
Publication of KR20210045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7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7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Greenhous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조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뭄이 계속되거나 겨울철이나 혹한지역에서 조림을 위한 동파반지 또는 사막과 같은 건조지역 등에서 비산되는 수분을 친환경적으로 산림에 대한 성장을 보강시켜 주는 조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막화와 같은 건조지역에서도 새벽녘에는 이슬과 같은 응축수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사막화가 진행되는 지역이나, 혹한지에서 초지 또는 야산과 같은 들판에서 극심한 추위가 진행되는 지역에서는, 식생하는 초목(나무)의 냉해로 많은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다.
고로 지중의 토양(70)에 깊숙이 뿌리(83)로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성장되는 나무용 기둥(81)과, 상기 기둥(81)의 일측으로 구비된 태양광발전판(42)과, 상기 토양(70)에 깊숙이 뿌리(83)로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성장되는 나무용 기둥(81)의 가지에 돋아나는 잎사귀(87)와,
상기 잎사귀(87)을 둘러싸여서 내측공간(55)이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원주형 고정링(66)과, 상기 원주형 고정링(66)을 지지되는 지지대(68)으로 구비되는 원통형의 포집포대(60)과, 상기 포집블럭(40)의 외측면을 감싸주는 포집블럭(40)으로 형성되는 내측공간(55)에 있어서,
상기 토양(70)에 고정되는 뿌리(83) 부근에 매설되는 부숙재(49)와, 상기 뿌리(83)와 부숙재(49)를 감싸주는 보온망태(74)와,
상기 태양광발전판(42)의 배면에 일체되는 응축수 포집판(51)과, 상기 응축수 포집판(51)에서 파이프(46)로 연결되는 부숙탱크(78)과, 상기 부숙탱크(78)에서 공급되는 가열공기를 토양(70)으로 감싸주는 보온망태(74)로 공급시켜 주도록 이송관(48)이 제공되는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afforesta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freeze ring for reforestation in winter or cold regions or in dry areas such as deserts where drought continues or in an environment-friendly way that reinforces the growth of forests It is about cooking equipment.
In general, even in dry areas such as desertification, condensate such as dew is formed at dawn.
In areas where desertification is in progress, or in areas where extreme cold is in progress in fields such as grasslands or hills in a cold climate, a lot of loss occurs due to the cold damage of vegetation (trees).
A pillar 81 for a tree that is grown above the ground while fixing it with a root 83 deep in the soil 70 underground, a photovoltaic panel 4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llar 81, and the soil ( A leaf 87 that sprouts from the branch of a tree pole 81 that grows to the ground while fixing it with the root 83 deep in 70),
A cylindrical collecting bag ( 60), and in the inner space 55 formed of the collecting block 4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lecting block 40,
An auxiliary material 49 buried near the root 83 fixed to the soil 70, and a thermal insulation net 74 surrounding the root 83 and the auxiliary material 49,
The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integr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hotovoltaic panel 42, the holding tank 78 connected from the condensing water collecting plate 51 to the pipe 46, and the holding tank 78 It is an invention in which a conveying pipe 48 is provided so as to supply the supplied heating air to the insulating net 74 surrounding the soil 70 .

Figure 112019105982076-pat00001
Figure 112019105982076-pat00001

Description

친환경적인 조림장치{the environment-friendly hard-boiled food apparatus}The environment-friendly hard-boiled food apparatus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조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뭄이 계속되거나 겨울철이나 혹한지역에서 조림위한 동파방지 또는 사막과 같은 건조지역 등에서 비산되는 수분을 친환경적으로 산림에 대한 성장을 보강시켜 주는 조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afforest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freezing for afforestation in winter or cold regions, or to reinforcing the growth of forests in an eco-friendly manner by reinforcing moisture scattering in dry areas such as deserts, etc. It's about the device.

일반적으로 사막화와 같은 건조지역에서도 새벽녘에는 이슬과 같은 응축수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사막화가 진행되는 지역이나, 혹한지에서 초지 또는 야산과 같은 들판에서 극심한 추위로, 식생하는 초목(나무)의 냉해로 많은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다. In general, even in dry areas such as desertification, condensate such as dew is formed at dawn. There will be a lot of loss.

건조한 사막화 지역이나 혹한지역에서 수분의 공급과 아울러 식생을 위하는 조건은 토양에 스며든 물이나 지하수의 공급이 필요하는 것이다. In dry desertification or extreme cold regions, as well as supplying moisture, the conditions for vegetation need to be supplied with water or groundwater permeated into the soil.

또한 건조한 지역에서는 장기적인 가뭄의 발생으로 지하수의 고갈로 용수의 부족이 초래됨이며, 이는 침옆수와 같은 한냉식수는 내구성의 부족으로 병충해에 대한 노출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Also, in dry areas, long-term drought causes a shortage of water due to the depletion of groundwater.

고로 혹한기에 토양의 보온을 위하여 제공하는 여건으로서, As a condition provided to keep the soil warm in the cold season,

목축산업 등의 부산물인 분료 및 수산폐기물 등과 같은 부숙재는 부숙하는 과정서 발열반응과 아울러 퇴비생성하는 발명은, 본인의 선 발명으로 등록된(제10-0862582호)로서, 이는 부숙위한 수분공급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The invention of generating compost along with exothermic reaction during the ripening process of by-products such as manure and aquatic waste, which are by-products of the livestock industry, was registered as my prior invention (No. 10-0862582). will proceed

여기서 식생되는 초목은 성장하는 과정에서, 잎사귀 등으로 증발시켜 주는 수분의 량은 계속하게 되는 것으로서, 특히 건조지역이나 가뭄이 발생하는 경우에서도 일정한 량이 분출하는 것이다. In the process of growing vegetation, the amount of moisture evaporated by leaves, etc. continues, and a certain amount is ejected, especially in dry areas or when drought occurs.

일반적으로 녹색식물은 잎사귀에 엽록체로 구성이 되는 것인데, 상기 엽록체는 혹한기에는 동파 등으로 낙옆으로 변질됨으로서 염록소의 탄소동화작용이 불가능함으로서, 혹한기에 대한 적절한 보온과 아울러 비료 등의 공급으로 인하여 수분의 포집을 보강시켜 주도록 요구되는 것이다. In general, green plants are composed of chloroplasts on leaves, and the chloroplasts are degenerated to the side due to freezing during the cold season, so that carbon assimilation of chlorophyll is impossible. It is required to reinforce the capture.

또한 대부분의 건조지역에서는 일교차이로 인하여 새벽녘에는 공기 중의 수증기의 응축으로 이슬이 형성되는 바, 상기 이슬을 형성으로 포집되는 응축수를 제공시켜 주도록 제공하였으며, 이는 본인의 선 발명으로 등록된(제10-1067237호) 특허로 제공되었다. In addition, in most dry areas, dew is formed due to the condensation of water vapor in the air at dawn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dry areas, and it is provided to provide condensed water that is collected by forming the dew, which was registered as my prior invention (No. 10- 1067237) was provided as a patent.

따라서, 건조한 지중에 물기의 공급을 위하여서는, 식생하는 초목의 잎사귀에서 공기 중에 분산되는 미량의 수분을 포집하여 주도록, 냉동기의 콤푸레셔를 가동하여 발생하는 냉각수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동력은 전력을 사용하는데, 사막과 같은 건조지역이나 외딴지역에서는 전력의 공급을 위하는 축전지 또는 전선의 연결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dry ground, it is possible to obtain cooling water generated by operating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tor so as to collect a trace amount of moisture dispersed in the air from the leaves of vegetation vegetation, and the power for this can be obtained by electric power. However, in arid or remote areas such as deserts, it is practically very difficult to connect a storage battery or electric wire for supplying power.

본 발명은 건조지역에서의 삼림의 조성을 위한 수분과 비료성분을 공급과 아울러 겨울철에 발생을 하는 혹한기에 대한 조림을 보강함으로서, 친환경적인 조림을 제공시켜 주기 위함이다. 이는 겨울철이나 건조한 지역에서 조림을 하는 초목의 잎사귀에서 증발하는 수분을 포집포대로 포집과 동시에 조림을 위한 토양에 매설된 부숙대에 공급하는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friendly reforestation by supplying moisture and fertilizer components for the composition of a forest in a dry area and reinforcing reforestation for the severe cold season that occurs in winter. This is an invention that collects moisture evaporated from the leaves of plants planted in winter or in dry areas with a collecting bag and simultaneously supplies them to the stalks buried in the soil for afforestation.

또한 농축산 폐기물이나 어류폐기물에 대한 부숙기간은 다소 시일이 필요함으로, 별도의 예비 부숙탱크의 구비로 순차적인 부숙으로 비료화시켜서 조림에 대한 효과를 배가시켜 주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since the incubation period for livestock and livestock wastes or fish wastes requires some time, a separate reserve tank is provided to fertilize them sequentially in a fertilization process to provide a doubling of the effect of afforestation.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의 상승으로 인하여 기온이 낮아진(냉각)된 상태에서 더 적응력으로 성장되는 침엽수(예: 소나무, 구상나무 등)의 약화된 체질 변화를 위한 부숙제 제공으로서, 침투된 벌레에 대한 내구성(퇴치)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s a supplement for the weakened constitutional change of conifers (e.g., pines, conifers, etc.) that grow more adaptively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is lowered (cooled) due to the rise of the climate due to global warming, This is to reinforce the durability (extermination) of

또한 상기 잎사귀에서 분사되는 물기를 효과적으로 흡입을 함과 동시에 지중에 흡착으로 성장하고 있는 뿌리에 대한 적정한 보온, 보냉을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In addition, it is an invention for effectively inhaling the water sprayed from the leaves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proper warmth and cold storage for the roots growing by adsorption into the ground.

또한 지상으로 돌출되는 프레임에는 경사도가 형성하는 집광판을 고정하여 주되, 상기 경사지는 집광판의 배면에는 기온 조절이 가능한 응축대와 이의 내측공간에서 수분을 포집으로 저장된 응축수를, 토양에 매설된 부숙탱크에 공급으로, 효과적으로 삼림조성 효과를 보강시켜 주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 condensing plate formed by an inclination is fixed to the frame protruding from the ground, and the condensing plat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lable on the back surface of the sloping light collecting plate and the condensed water stored by collecting moisture in the inner space thereof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tank buried in the soil. supply, in order to effectively reinforce the effect of reforestation.

또한 본 발명의 냉각대에 대한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상기 부숙탱크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공급관을 이용으로 포집포대로 감싸주는 내측공간에 공급으로 보온되는 잎사귀는 추운 겨울철 동안에 냉온피해를 줄여서 원예사업에 기여하여 주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an embodiment of the cooling z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heat and heat damage during the cold winter when the heat generated in the incubation tank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that surrounds the collecting bag with the supply pipe. to contribute to the business.

지중의 토양(70)에 깊숙이 뿌리(83)로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성장되는 나무용 기둥(81)과, 상기 기둥(81)의 일측으로 구비된 태양광발전판(42)과, A pillar 81 for a tree that is grown on the ground while fixing it with a root 83 deep in the soil 70 underground, and a photovoltaic panel 4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llar 81,

상기 토양(70)에 깊숙이 뿌리(83)로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성장되는 나무용 기둥(81)의 가지에 돋아나는 잎사귀(87)와, A leaf 87 that sprouts from the branch of a tree pole 81 that grows on the ground while fixing it with a root 83 deep in the soil 70,

상기 잎사귀(87)을 둘러싸여 주는 포집포대(60)로 내측공간(55)이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원주형 고정링(66)과, 상기 원주형 고정링(66)을 지지되는 지지대(68)으로 구비되는 원통형의 포집포대(60)과, 상기 포집포대(60)의 외측면을 감싸주는 포집블럭(40)으로 형성되는 내측공간(55)에 있어서,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ylindrical fixing rings 66 and a support 68 for supporting the cylindrical fixing rings 66 so that an inner space 55 is formed with the collecting bag 60 surrounding the leaves 87. In the inner space (55) formed of a cylindrical collecting bag (60) and a collecting block (4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lecting bag (60),

상기 토양(70)에 고정되는 뿌리(83) 부근에 매설되는 부숙재(49)와, 상기 뿌리(83)와 부숙재(49)를 감싸주는 보온망태(74)와,An auxiliary material 49 buried near the root 83 fixed to the soil 70, and a thermal insulation net 74 surrounding the root 83 and the auxiliary material 49,

상기 태양광발전판(42)의 배면에 이동간격(47)이 구비되도록 응축수 포집판(51)으로 일체된 태양광발전장치(53)와, 상기 응축수 포집판(51)에서 파이프(46)로 연결되는 부숙탱크(78)과, 상기 부숙탱크(78)에서 공급되는 가열공기를 토양(70)으로 감싸주는 보온망태(74)로 공급시켜 주도록 이송관(48)이 제공되는 발명이다.The photovoltaic device 53 integrated with the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so that a movement interval 47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hotovoltaic panel 42, and from the condensed water collecting plate 51 to the pipe 46 It is an invention in which a connected holding tank 78 and a transfer pipe 48 are provided to supply the heated air supplied from the holding tank 78 to the insulating net 74 surrounding the soil 70.

또한 상기 포집포대(60)의 상측에서 하측 단부의 조임대(60)로 조립 및 분리 탈착시켜 주는 자크(86)와, In addition, a jack 86 for assembling, separating, and detaching the collection bag 60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end of the tightening rod 60,

상기 응축수 포집판(51)에는 내측공간을 보온시켜 주기 위한 투명한 단열공간(69)과, 상기 응축수 포집판(51)에는 응축수 유도대(54)와 유입구(58)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부숙탱크(78)의 내측공간에 구비되도록 관통구(41)가 형성된 파이프(46)과, 상기 부숙탱크(78)의 내측공간에 매설된 저온관(44)에다 별도의 냉각장치에 연결된 공급관으로 부숙재(49)가 부숙시켜 주는데 적절한 온도로 제공시켜 주되, 상기 부숙탱크(78)의 내측공간에서 연결된 이송관(48)으로 포집포대(60)의 내측공간(55)에 가열공기를 공급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The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insulating space 69 for insulating the inner space, and the condensed water collecting plate 51 is provided with a condensate guide 54 and an inlet 58, and the storage tank A pipe 46 having a through hole 41 formed so as to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78, and a low-temperature pipe 44 buri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welling tank 78, and a supply pipe connected to a separate cooling device. (49) is provid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o keep it fermented, and it is provided to supply heated air to the inner space (55) of the collecting bag (60) through the transfer pipe (48) connec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holding tank (78) It is an invention that becomes

또한 상기 응축수포집판(51)에 형성된 이동간격(47)에 구비된 지그재그형의 응축수응결관(59)와, In addition, the zigzag condensate condensing pipe 59 provided at the moving interval 47 formed in the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상기 태양광발전장치(53)의 내측공간에서 돌출된 파이프(46)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부숙탱크(78)와,a floating tank 78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pipe 46 protruding from the inner space of the photovoltaic device 53;

상기 태양광발전장치(53)에 구비되는 태양광가열대(76)와, 상기 태양광가열대(76)에는 가열공기 이동구간(79)과, 상기 이동구간(79)에서 연결된 파이프(46)으로 가열공기를 부숙탱크(78)에 공급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The solar heating unit 76 provided in the photovoltaic device 53, the solar heating unit 76 has a heating air moving section 79, and heating with a pipe 46 connected in the moving section 79 The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air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78).

본 발명은 지구의 온난화 현상으로 심화되는 혹한기 또는 사막화 지역과 같은 건조지역에서 친환경적으로 조림을 위하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eco-friendly afforestation in a dry area such as a cold season or desertification area that is deepened due to global warming.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의 급격한 변화로 혹한으로 냉해가 예상되는 조림수인 경우, 생명력을 유지를 위한 보온제공으로 사멸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보강시켜 준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reforestation water that is expected to suffer from severe cold due to abrupt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it is reinforced to prevent death by providing heat to maintain vitality.

또한 계절에 따른 기온의 변화와 햇볕의 조사량의 변화에 의한 조림사업의 적응력을 보강으로서, 특히 건조, 혹한지역에서 조림사업에 대한 실용성이 높은 발명이다.In addition, it is an invention with high practicality for reforestation projects, especially in dry and severe cold regions, by reinforcing the adaptability of reforestation projects due to seasonal temperature changes and changes in the amount of sunlight.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된 상태의 일부 절개된 상태도
도 2는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확대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A-A선 단면도
도 4은 도 1에서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 7는 도 6에서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 다른요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사시도
1 is a partially cut-away state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in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6 ;
8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other main part in FIG. 6;

건조지역에서 조림을 위한 식수는 지중에 함유되는 수분의 부족으로 인하여, 계속적으로 물을 공급시켜 주어야 되는데, 현실적으로는 친환경적인 급수로서 실용적인 조림을 위하여, 시공 현장에 따라 적용이 용이하도록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며, 또한 폭염성 기온이 계속되는 경우, 침옆수와 같은 냉온성 수종은 뿌리가 부착된 토사에 저온대의 구비로 내구성보강 제공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Drinking water for afforestation in dry areas has to be continuously supplied due to the lack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ground. In reality, it is an eco-friendly water supply that provides easy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site for practical afforestation. In addition, when the heat wave temperature continues, cold and warm tree species such as needle-side water relates to an invention that provides durability reinforcement by providing a low-temperature zone to soil with roots attached.

이하, 본 발명의 현장시공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for on-sit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된 상태의 일부 절개된 상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확대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 4은 도 1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서 C-C선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artially cut-away state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ure 1, Figure 4 is in Figure 1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 .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7는 도 6에서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에서 다른요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사시도이다.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in FIG. 6, and FIG. 8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other main part in FIG. .

대부분의 나무(식물)은 토양에 뿌리가 고정된 상태에서 잎사귀에서 광합성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건조지역이나 혹한기에 나무의 성장을 위하여서는 토양에 수분의 공급과 아울러 기온을 따뜻하게 보온을 하여 주는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여건을 친환경적으로 제공을 위하는 발명으로서, Most trees (plants) grow photosynthetically from leaves with their roots fixed in the soi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y moisture to the soil and to keep the temperature warm for the growth of trees in dry areas or cold season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nvention for providing the above conditions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내부분의 나무는 뿌리와 연결로 성장하는 기둥에서 분리되는 잔가지 등에서 잎사귀가 돋아나면서 성장하는 것이다.The inner part of the tree grows as leaves sprout from twig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growing column by connecting with the root.

고로 지중의 토양(70)에 깊숙이 뿌리(83)로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성장되는 나무용 기둥(81)과, 상기 기둥에서 분리로 성장하는 가지에서 잎사귀(87)가 돋아나면서 성장하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to grow as the leaves 87 sprout from the tree pillar 81 that is grown above the ground while fixing it with the root 83 deep in the underground soil 70, and the branch growing separately from the pillar.

또한 잎사귀 부위에서 혹한기에 성장을 위한 보온이나 퇴비의 부숙을 촉진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기둥(81)의 일측에서 지지대로 고정되도록 태양광발전판(42)을 구비시켜 준다. In addition, a photovoltaic panel 42 is provided so as to be fixed as a support from one side of the pillar 81 in order to promote thermal insulation or compost ripening for growth in the cold season in the leaf region.

따라서 상기 토양(70)에 깊숙이 뿌리(83)로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성장되는 나무용 기둥(81)의 가지에 돋아나는 잎사귀(87)와, Therefore, the leaves 87 sprouting from the branches of the tree pillars 81 that are grown on the ground while being fixed with the roots 83 deep in the soil 70,

상기 잎사귀(87)을 둘러싸여 주는 내측공간(55)이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원주형 고정링(66)으로 내측공간(55)의 형성과, 상기 원주형 고정링(66)의 하측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대(68)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포집블럭(40)과, 상기 원통형의 포집블럭(40)의 외측면을 감싸주는 포집포대(60)으로 형성되는 내측공간(55)으로 잎사귀를 감싸서 기후의 급격한 변화에 대하여 보온시켜 주도록 한다. 또한 혹한기에 토양의 기온을 보온시켜 주면서 식생에 필요한 비료(퇴비)를 공급시켜 주기 위하도록, 축산물의 부자재인 페기물을 부숙으로 퇴비화 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The inner space 55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lumnar retaining rings 66 to form an inner space 55 that surrounds the leaves 87, and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cylindrical retaining ring 66 A cylindrical collecting block 40 formed of a support 68 and an inner space 55 formed of a collecting bag 60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collecting block 40 wraps the leaves in an abrupt climate. Keep warm against change. In addition, it is an invention provided to compost waste, which is a subsidiary material of livestock products, into composting in order to supply fertilizer (compost) necessary for vegetation while 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soil warm during the cold season.

즉 상기 토양(70)에 고정되면서 식생되는 나무용 뿌리(83)의 부근에 다수개 뭉치로 매설되는 부숙재(49)와, 상기 부숙재(49)의 부숙으로 발산되는 가열온도의 보온을 제공하도록, 뿌리(83)와 제2부숙재(49')를 감싸주도록 매설되는 보온망태(74)로 구비시켜 주는 발명으로서, 이는 토양에서 혹한으로 결빙되는 현상을 지연시켜 주는 보온을 제공시켜 주도록 한다. That is, the auxiliary material 49 is buried in a plurality of bundles in the vicinity of the roots 83 for trees that are fixed to the soil 70 while being fixed in the soil 70, and the heating temperature radiated by the ripening of the auxiliary material 49 is provided. This invention provides a thermal insulation net 74 that is embedded to surround the root 83 and the second sub-seasoning material 49 ′, which provides thermal insulation to delay the freezing phenomenon in the soil due to the severe cold. .

여기서 상기 보온망태(74)에는 소정의 크기로 구비되는 통과구간(72)은 뿌리와 부숙대가 매설된 토양에 대한 수분의 이동이나 가열된 보온의 효과를 보강시켜 준다.Here, the passage section 72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ize in the thermal insulation net 74 reinforces the effect of moisture movement or heated insulation to the soil in which the roots and stalks are buried.

또한 상기 토양(70)에 제공되는 가열이나 부숙재(49)에 대하여 별도의 부숙으로서, 공중에서 비치는 햇볕이나 수분을 효과적인 포집으로, 넓은 면적의 산립지역에 대하여 적절한 부숙으로 비료화가 진행되는 부숙재의 공급으로서, 토양에 매설함과 동시에 부숙열을 발생시켜 주는 발명이다.In addition, as a separate fertilization for the heating provided to the soil 70 or the secondary fertilization 49, the sunlight or moisture that shines in the air is effectively captured, and the fertilization of the secondary fertilization proceeds with appropriate fertilization for a large area of the mountain area. As a supply, it is an invention that buries in the soil and at the same time generates ripening heat.

이는 특히 혹한기에 토양에 대한 가열을 제공하여서 산림효과를 증대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This is an invention providing to increase the forest effect by providing heating to the soil, especially in the cold season,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산림지역의 주위에 설치되도록 구비된 태양광발전판(42)의 배면에 이동간격(47)이 일체되도록 응축수 포집판(51)으로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53)와, 상기 응축수 포집판(51)에는 응축수 유도대(54)와 유입구(58)을 구비시켜 주되 이동간격(47)으로 이격시켜서 응축수가 부숙탱크(78)로 운반시켜 주는 파이프(46)로 조립도록 부숙탱크(78)와, The photovoltaic device 53 provided with the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so that the movement interval 47 is integr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plate 42 provided to be installed around the forest area, and the condensed water collecting plate (51) is provided with a condensate guide 54 and an inlet 58, spaced apart by a movement interval 47, and assembled into a pipe 46 for transporting the condensed water to the holding tank 78. Wow,

상기 부숙탱크(78)의 내측공간에 구비되도록 관통구(41)가 형성된 파이프(46)와, 상기 태양광발전판(42)의 면적에 형성되도록 지그재그형의 응축수응결관(59)와, 상기 응축수응결관(59)에서 연결되는 파이프(46)에 조립된 저장통(36)과, 상기 저장통(36)에서 돌출된 파이프(46)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부숙탱크(78)와, 상기 부숙탱크(78)에서 공급되는 가열공기를 보온망태(74)로 감싸주는 토양(70)으로, 공급시켜 주도록 제2이송관(48)이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이는 상기 설명되는 부숙탱크(78)에서 부숙으로 형성되는 가열공기를 보온망태(74)로 감싸주는 토양(70)에 공급시켜 주도록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A pipe 46 having a through hole 41 formed therein to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welling tank 78, a zigzag condensed water condensing pipe 59 formed in the area of the photovoltaic panel 42, and the The storage tank 36 assembled to the pipe 46 connected from the condensate condensing pipe 59, the storage tank 78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pipe 46 protruding from the storage container 36, and the storage tank ( 78) is an invention in which the second conveying pipe 48 is provided to supply the heated air supplied from the insulation net 74 to the soil 70 surrounding the insulation mesh 74, which is transferred from the above-described storage tank 78 to the storage It is an invention that provides to supply the formed heating air to the soil (70) surrounding the insulating net (74).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나무의 잎사귀(87)을 감싸주어서 내측공간(55)에 형성되는 포집포대(60)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잎사귀(87)의 일부를 감싸주도록 조립되는 포집포대(60)의 공정은, 산림작업 도중에서 관리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제공시켜 주기 위한 발명이다.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collecting bag 60 formed in the inner space 55 by surrounding the leaves 87 of the tree,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ng bag 60 assembled to surround a part of the leaves 87 as needed. This process is an invention to provide for easy management and maintenance during forestry operations.

따라서 상기 포집포대(60)의 조립은 나무의 잎사귀를 내장되도록 상측에서 하측 단부의 조임대(60)로 조립 및 분리 탈착시켜 주는 자크(86)를 구비시켜 준다. Therefore, the assembly of the collecting bag 60 is provided with a jack 86 for assembling, separating and detaching the leaves of the tre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end of the fastener 60 so as to be embedded therein.

또한 본 발명의 조립을 위한 산림지역은 혹한지역이나 겨울철에 기후변화 등으로 강풍이 부는 경우, 찢어져서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strong wind blows due to climate change, etc. in a cold region or winter in the forest area f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where it is torn and damaged occurs.

고로 상기 포집포대(60)에 구비되는 단열공간(69)과, 상기 단열공간(69)에는 별도의 보호막과 융착대로 일체시켜서, 계절에 따른 주위의 토양온도의 변화에 보온되도록 제공시켜 준다.Therefore, the insulation space 69 provided in the collection bag 60 and the insulation space 69 are integrated with a separate protective film and a fusion rod to provide insulation against changes in the surrounding soil temperature according to seasons.

또한 상기 부숙탱크(78)에서 충만으로 구비된 부숙재(49)에 대한 부숙을 위하여 일정량의 수분이 필요하는 바, 특히 건조지역인 사막화 지역에서는 빗물에 대한 공급이 매우 어려우므로, 공기 중에 비산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응축시켜서 수분을 공급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산림을 위한 부숙탱크(78)에 인접으로 설치되는 태양광발전판(42)의 배면으로, 태양광의 가열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위하도록, 소정의 간격인 이동간격(47)이 구비되는 응축수포집판(51)으로 일체된 태양광발전장치(53)와, 상기 응축수포집판(51)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유도대(54)의 돌출과 아울러 관통되도록 제공되는 유입구(58)로 형성시켜 준다. 이는 상기 응축수포집판(51)에서 응축으로 흘러내리는 수분을 유입구(58)로 유입시켜 주는 유도대(54)의 돌출로 제공되는 발명이다. In addition,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is required for the storage of the auxiliary material 49 provided in full in the storage tank 78. In particular, in a desertified area, which is a dry area, it is very difficult to supply rainwater, so As an invention for supplying moisture by effectively condensing moisture, to the back of the photovoltaic panel 42 installed adjacent to the storage tank 78 for forests, for the movement of air that is moved by the heating of sunlight , a photovoltaic device 53 integrated with a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provided with a moving interval 47 that is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guide plate 54 to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condensed water collecting plate 51 . It is formed with an inlet 58 provided to be penetrated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of the. This is an invention provided by the protrusion of the guide plate 54 that introduces moisture flowing down from the condensed water collecting plate 51 to the inlet 58 into the condensate.

여기서 상기 응축수 포집판(51)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부숙탱크(78)으로 공급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응축수 포집판(51)에서 연결되는 파이프(46)가 부숙탱크(78)의 내측공간에 연결시켜 주되, 상기 파이프(46)에 천공된 관통구(41)로 공급되는 수분으로 부숙탱크(78)에 충만시켜 주며, 별도의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저온관(44)으로 뿌리(83) 부근의 토양에 매설된 부숙재(49)를 부숙시켜 준다.Here, in order to supply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from the condensed water collecting plate 51 to the holding tank 78, a pipe 46 connected from the condensed water collecting plate 51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holding tank 78. However, it fills the holding tank 78 with moisture supplied to the through hole 41 punched in the pipe 46, and the soil near the root 83 through a low temperature pipe 44 connected to a separate control device. Gives the sub-fermented material (49) buried in the fermented.

여기서 부숙으로 가열된 공기를 토양(70)에 공급으로 보온시켜 주는 파이프(46)을 연장으로 구비시켜 준다.Here, a pipe 46 for warming the soil 70 by supplying the air heated by fermenting is provided as an extension.

또한 상기 부숙탱크(78)에서 부숙으로 가열된 공기를 포집포대(60)의 내측공간(55)으로 연결되는 이송관(48)으로 공급시켜 줌으로서, 잎사귀(87)에 대한 성장력을 보강시켜서 침옆수와 같은 냉온성 수종에서 폭염으로 가열된 기후에 대하여 내구성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이다. In addition, by supplying the air heated by the ripening in the aging tank 78 to the transfer pipe 48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55 of the collecting bag 60, the growth force for the leaves 87 is reinforced and acupuncture. It is an invention to reinforce durability against a climate heated by heat waves in cold and warm tree species such as side water.

여기서 상기 응축수 포집판(51)에는 내측공간을 보온시켜 주기 위한 투명하면서 단열을 위한 보온공간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Here, the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needs a transparent and insulating space for insulating the inner space.

또한 상기 포집포대(60)의 내측공간(55)에서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별도의 이송펌프(38)의 구비로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In addition, it is an invention that provides a separate transfer pump (38) for accelerating evaporation of moisture in the inner space (55) of the collecting bag (60).

여기서 상기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는 지구온난화 등으로 더워지는 기온에 대하여 적응력이 낮아져서, 침옆수의 채질의 약화와 면역성 저하로 인한 해충피해로 죽어나는 것이다.Here, the conifers such as the pine tree have low adaptability to the warming temperature due to global warming, etc., and thus die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coniferous trees and the pest damage due to the decrease in immunity.

고로 여름철의 높은 기후와 가뭄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태양광발전판(42)의 배면에 일체되는 응축수 포집판(51)과, 상기 응축수 포집판(51)에서 연결되는 파이프(46)에 구비된 파이프형 구조의 저온관(44)에 구비된 미도시된 냉동장치와, 상기 냉동장치에 연결된 부숙탱크(78)과, 상기 부숙탱크(78)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보온망태(74)로 감싸주는 토양(70)으로 공급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Therefore, when the high climate and drought in summer occur, the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integr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hotovoltaic panel 42 and the pipe 46 connected from the condensed water collecting plate 51 are provided. A refrigerat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the low-temperature pipe 44 having a pipe-like structure, a holding tank 78 connected to the refrigerating device, and cooling air supplied from the holding tank 78 are wrapped with a thermal insulation net 74 It is an invention that is provided to supply to the soil (70).

또한 상기 응축수포집판(51)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의 응축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응축수포집판(51)에 소정의 이격으로 형성되는 이동간격(47)에 지그재그형의 응축수응결관(59)의 구비로 제공시켜 준다.In addit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condensation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n the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a zigzag condensate condensing pipe 59 is formed at a moving interval 47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 is provided with the provision of

또한 산림지역에서 비치는 태양열을 포집시켜서 혹한기에 보온으로 부숙탱크(78)에 대한 난방을 보강으로, 부숙재(49)의 부숙효율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In addition, it is an invention for reinforcing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sub-storage material (49) by reinforcing the heating of the sub-storage tank (78) to keep it warm in the cold season by collecting solar heat reflected from the forest area,

상기 태양광발전장치(53)의 내측공간에서 돌출된 파이프(46)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부숙탱크(78)와,a floating tank 78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pipe 46 protruding from the inner space of the photovoltaic device 53;

상기 태양광발전장치(53)에 구비되는 태양광가열대(76)와, 상기 태양광가열대(76)에는 가열공기 이동구간(79)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태양광발전장치(53)에서 햇볕에 의하여 가열되는 공기를 부숙탱크(78)에 이송으로 부숙이 용이하게 수행하여서 비료화 공정이 제공되는 발명이다.The solar heating unit 76 provided in the photovoltaic device 53 and the solar heating unit 76 are provided with a heating air moving section 79, so that the solar power generating device 53 is exposed to sunlight. It is an invention in which the fermentation process is provided by transferring the heated air to the storage tank 78 to facilitate the fermenta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 변형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40 : 포집블럭 41 : 관통구
42: 태양광발전판 44 : 저온관 46 : 파이프
47 : 이동간격 48 : 이송관 49 : 부숙재
51 : 응축수포집판 55 : 내측공간 58 : 유입구
60 : 포집포대 69 : 단열공간 70 : 토양
72 : 통과구간 74 : 보온망태
78 : 부숙탱크 81 : 기둥 83 : 뿌리
40: collection block 41: through hole
42: solar panel 44: low temperature tube 46: pipe
47: movement interval 48: transfer pipe 49: sub-cooked material
51: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5: inner space 58: inlet
60: trap bag 69: insulation space 70: soil
72: passage section 74: thermal insulation net
78: storage tank 81: column 83: root

Claims (3)

지중의 토양(70)에 깊숙이 뿌리(83)로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성장되는 나무용 기둥(81)과, 상기 기둥(81)의 일측으로 구비된 태양광발전판(42)과,
상기 나무용 기둥(81)에서 자라나는 가지에서 돋아나는 잎사귀(87)와,
상기 잎사귀(87)을 둘러싸여 주는 포집포대(60)의 내측공간(55)이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원주형 고정링(66)과, 상기 원주형 고정링(66)을 지지되는 지지대(68)으로 구비되는 원통형의 포집포대(60)과, 상기 포집포대(60)의 외측면을 감싸주는 포집블럭(40)으로 형성되는 친환경적인 조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양(70)에 고정되는 뿌리(83) 부근에 매설되는 부숙재(49)와, 상기 뿌리(83)와 부숙재(49)를 감싸주는 보온망태(74)와,
상기 태양광발전판(42)의 배면에 이동간격(47)이 구비되도록 응축수 포집판(51)으로 일체된 태양광발전장치(53)와, 상기 응축수 포집판(51)에서 파이프(46)로 연결되는 부숙탱크(78)과, 상기 부숙탱크(78)에서 공급되는 가열공기를 토양(70)으로 감싸주는 보온망태(74)로 공급시켜 주도록 이송관(48)이 제공되는 친환경적인 조림장치.
A pillar 81 for a tree that is grown on the ground while fixing it with a root 83 deep in the soil 70 underground, and a photovoltaic panel 4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llar 81,
A leaf (87) sprouting from a branch growing on the tree column (81),
A plurality of cylindrical fixing rings 66 and a support 68 for supporting the cylindrical fixing rings 66 to form an inner space 55 of the collecting bag 60 surrounding the leaves 87 are provided. In an eco-friendly afforestation device formed of a cylindrical collecting bag (60) and a collecting block (4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lecting bag (60),
An auxiliary material 49 buried near the root 83 fixed to the soil 70, and a thermal insulation net 74 surrounding the root 83 and the auxiliary material 49,
The photovoltaic device 53 integrated with the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so that a movement interval 47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hotovoltaic panel 42, and from the condensed water collecting plate 51 to the pipe 46 An eco-friendly afforestation device in which a connected holding tank 78 and a transfer pipe 48 are provided to supply the heated air supplied from the holding tank 78 to a thermal insulation net 74 that surrounds the soil 7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포대(60)의 상측에서 하측 단부의 조임대(60)로 조립 및 분리 탈착시켜 주는 자크(86)와,
상기 응축수 포집판(51)에는 내측공간을 보온시켜 주기 위한 투명한 단열공간(69)과, 상기 응축수 포집판(51)에는 응축수 유도대(54)와 유입구(58)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부숙탱크(78)의 내측공간에 구비되도록 관통구(41)가 형성된 파이프(46)과, 상기 부숙탱크(78)의 내측공간에 매설된 저온관(44)에다 별도의 냉각장치에 연결된 공급관으로 부숙재(49)가 부숙시켜 주는데 적절한 온도로 제공시켜 주되, 상기 부숙탱크(78)의 내측공간에서 연결된 이송관(48)으로 포집포대(60)의 내측공간(55)에 가열공기를 공급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친환경적인 조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jack 86 for assembling, separating and detaching the collection bag 60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end of the tightening rod 60;
The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insulating space 69 for insulating the inner space, and the condensed water collecting plate 51 is provided with a condensate guide 54 and an inlet 58, and the storage tank A pipe 46 having a through hole 41 formed so as to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78, and a low-temperature pipe 44 buri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welling tank 78, and a supply pipe connected to a separate cooling device. (49) is provid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o keep it fermented, and it is provided to supply heated air to the inner space (55) of the collecting bag (60) through the transfer pipe (48) connec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holding tank (78) Eco-friendly afforestation equipment.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포집판(51)에 형성된 이동간격(47)에 구비된 지그재그형의 응축수응결관(59)와,
상기 태양광발전장치(53)의 내측공간에서 돌출된 파이프(46)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부숙탱크(78)와,
상기 태양광발전장치(53)에 구비되는 태양광가열대(76)와, 상기 태양광가열대(76)에는 가열공기 이동구간(79)과, 상기 이동구간(79)에서 연결된 파이프(46)으로 가열공기를 부숙탱크(78)에 공급되도록 제공되는 친환경적인 조림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zigzag condensate condensing pipe 59 provided at the moving interval 47 formed in the condensate collecting plate 51,
a floating tank 78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pipe 46 protruding from the inner space of the photovoltaic device 53;
The solar heating unit 76 provided in the photovoltaic device 53, the solar heating unit 76 has a heating air moving section 79, and heating with a pipe 46 connected in the moving section 79 An eco-friendly afforestation device that is provided to supply air to the storage tank (78).
KR1020190129091A 2019-10-17 2019-10-17 the environment-friendly hard-boiled food apparatus KR1022867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91A KR102286759B1 (en) 2019-10-17 2019-10-17 the environment-friendly hard-boiled foo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91A KR102286759B1 (en) 2019-10-17 2019-10-17 the environment-friendly hard-boiled food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713A KR20210045713A (en) 2021-04-27
KR102286759B1 true KR102286759B1 (en) 2021-08-06

Family

ID=7572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091A KR102286759B1 (en) 2019-10-17 2019-10-17 the environment-friendly hard-boiled food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75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237B1 (en) 2009-02-23 2011-09-22 민승기 Absorber for condensat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528B1 (en) * 2017-11-01 2020-05-22 민승기 Energy collection device for air purification in planted wa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237B1 (en) 2009-02-23 2011-09-22 민승기 Absorber for condens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713A (en)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zgaou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of combining rock-bed thermal energy storage and water filled passive solar sleeves for heating Canarian greenhouse
US20060150497A1 (en) Method of hydroponic cultivation and components for use therewith
CN101919345B (en) Digital space greenhouse
CN101796911B (en) Mulberry panicle-sprout grafting-cuttage seedling raising method
US20140053463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nsulated grain germination
Belov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helio-greenhouse with soil heating
CN109105193A (en) A kind of glycan high-yield culture technique
Ummyiah et al. Protected cultivation of vegetable crops under temperate conditions
Morgan Hydroponics and protected cultivation: a practical guide
KR102286759B1 (en) the environment-friendly hard-boiled food apparatus
RU2619759C1 (en) Method for using melt water
CN110771446B (en) Anti-season vegetable planting method based on agricultural greenhouse
CN114711050A (en) Planting method and device suitable for alpine plants
Rodríguez et al. Water needs and production of asparagus in the arid zone of northwestern Mexico
Bafdal et al. Water harvesting as a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greater solving of climatic change impact to supply fertigation
KR101759179B1 (en) Removable growth bed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
Sharma et al. Protected Cultivation: Technology, Constraints, and Its Global Status
CN214902548U (en) Ecological greenhouse seedling raising bas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intelligent temperature increasing system
CN112425304B (en) Method for planting crops in desert
CN218184353U (en) Ecological planting and breeding structure of fruit tree forage grass poultry combination
CN106961961A (en) A kind of implantation methods of potyvirus
Katzir Farming in the Desert: Advantages andLimitations Based on Israel Experience
Bordoloi et al. Technology inventory for Northeast India
Prabhavathi et al. Chapter-5 Successful Modules Proved under NICRA to Enhance the Productivity and Income in Agriculture
CN116982512A (en) Efficient income-increasing planting method for grapes based on cold shed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