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447B1 - A jig for fabricating the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A jig for fabricating the battery p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447B1
KR102286447B1 KR1020190171851A KR20190171851A KR102286447B1 KR 102286447 B1 KR102286447 B1 KR 102286447B1 KR 1020190171851 A KR1020190171851 A KR 1020190171851A KR 20190171851 A KR20190171851 A KR 20190171851A KR 102286447 B1 KR102286447 B1 KR 102286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iece
battery
main body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8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9743A (en
Inventor
신형규
Original Assignee
신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규 filed Critical 신형규
Priority to KR1020190171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447B1/en
Publication of KR20210079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7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4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배터리팩들을 하나의 배터리 모듈로 조립하고 외면을 커버로 씌우는 패키징 작업을 수행할 때 배터리팩들을 상하가 전도된 상태로 지지하고 용접 공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밧데리 조립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밧데리 조립 지그는, 하측으로 개방된 장방형 홈 형상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이동편; 상기 본체의 홈에 고정된 상태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편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이동편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편 이동축; 상기 이동편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밧데리팩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이동 접촉부;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밧데리팩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고정 접촉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battery packs in an upside down state when assembling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into one battery modul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performing a packaging operation of covering the outer surface with a cover, and a welding process position It relates to a battery assembling jig for moving to, the battery assembl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having a rectangular groove shape open to the lower side; a moving piece slid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main body and installed; a fixing piece which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 fixed state in the groove of the main body; a moving piece moving shaft that passes through the fixed piece and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moving piece, rotates by an external force and slides the moving piece; a moving contact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piece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battery pack; and a fixed contact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ece and contacting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pack.

Description

밧데리 조립 지그{A JIG FOR FABRICATING THE BATTERY PACK}Battery assembly jig {A JIG FOR FABRICATING THE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밧데리 조립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배터리팩들을 하나의 배터리 모듈로 조립하고 외면을 커버로 씌우는 패키징 작업을 수행할 때 배터리팩들을 상하가 전도된 상태로 지지하고 용접 공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밧데리 조립 지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assembly jig,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assembling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into one battery module and packaging the battery packs with a cover It relates to a battery assembly jig that supports up and down in an inverted state and moves it to a welding process position.

전기자동차에는 많은 양의 배터리가 사용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배터리팩(10)들을 연결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을 커버(20, 30, 40)로 씌워서 하나의 배터리 모듈(1)을 제조하고, 이러한 배터리 모듈(1)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전기 자동차에 로딩된다. Electric vehicles use a large amount of batteries. Therefore,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10 are connected and, as shown in FIG. 2, the outer surface is covered with covers 20, 30, 40 to manufacture one battery module 1, A plurality of such battery modules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loaded into one electric vehicle.

이때 다수개의 배터리팩(10)들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배터리 모듈(1)로 제조하는 패키징 과정은 일반적으로 자동화 설비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공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다수개의 배터리팩(10)들은 하나의 파레트 위에 장착한 상태에서 각 공정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공정이 진행된다. At this time, the packag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ingle battery module 1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10 to each other is generally performed by an automated facility. The process proceeds while moving each process position in the state mounted on it.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파레트가 공정 위치 이동시에 다수개의 배터리팩들에 대한 안정적인 파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자주 파손되고, 배터리팩(10)들의 로딩이나 공정 수행에 많은 시간이 소용되는 불편한 구조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such a pallet not only fails to perform a stable gripping function for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when the process position is moved, but is also frequently damaged, and has an inconvenient structure that takes a lot of time to load or process the battery packs 10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배터리팩들을 하나의 배터리 모듈로 조립하고 외면을 커버로 씌우는 패키징 작업을 수행할 때 배터리팩들을 상하가 전도된 상태로 지지하고 용접 공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밧데리 조립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s are vertically inverted when assembling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into one battery modul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performing a packaging operation of covering the outer surface with a cover To provide a battery assembly jig for supporting and moving to a welding process posi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밧데리 조립 지그는, 하측으로 개방된 장방형 홈 형상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이동편; 상기 본체의 홈에 고정된 상태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편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이동편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편 이동축; 상기 이동편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밧데리팩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이동 접촉부;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밧데리팩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고정 접촉부;를 포함한다. Battery assembly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body having a rectangular groove shape open to the lower side; a moving piece slid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main body and installed; a fixing piece which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 fixed state in the groove of the main body; a moving piece moving shaft that passes through the fixed piece and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moving piece, rotates by an external force and slides the moving piece; a moving contact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piece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battery pack; and a fixed contact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ece and contacting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pack.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로봇과 결합되는 로봇 결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robot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robo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 하면에는 상기 본체 하면을 차단하고 상기 밧데리팩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면 접촉판넬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n upper contact panel that blocks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pac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밧데리 조립 지그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의 양측에는 가이드 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편의 양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는 가이드 블럭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battery assembl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uide grooves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guide blocks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piece. do.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편 이동축의 말단은, 상기 고정편의 측면으로 노출되고, 외부 회전부와 연결되는 연결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l end of the moving piece moving shaft is expos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xed piece, and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ng end connected to an external rotating part is further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로봇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중앙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본체; 상기 결합부 본체의 상면에 하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로봇의 접촉부가 삽입되는 접촉부 삽입홀; 상기 결합부 본체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로봇의 고정부가 삽입되는 고정부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obot coupl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coupling unit body in which a circular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 contact part insertion hole which is opened downward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body and into which the contact part of the robot is insert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xing part insertion hole respectively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coupling part body and into which the fixing part of the robot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 삽입홀은, 다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fixing part insertion hol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발명의 밧데리 조립 지그에 따르면, 가압된 다수개의 밧데리팩들의 하면이 노출된 상태로 공정 위치로 이동되므로, 상기 밧데리팩들의 하부에서 용접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밧데리팩들의 가압을 위한 구동부가 조립 지그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조립 지그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battery assembl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ized plurality of battery packs is moved to the process position in an exposed state, the welding operation is easily made in the lower part of the battery packs, and for the pressuriza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packs Since the driving unit is not installed in the assembly jig, the structure of the assembly jig is simplified and the movement is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밧데리 조립 지그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밧데리 조립 지그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사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그 내부 구성요소들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밧데리 조립 지그의 하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밧데리 조립 지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7은 일반적인 배터리 모듈의 패키징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attery assembly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assembly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and its internal compon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structure of a battery assembly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attery assembly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general packaging process of a battery modul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에 따른 밧데리 조립 지그(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이동편(120), 고정편(130), 이동편 이동축(140), 이동 접촉부(150) 및 고정 접촉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battery assembly jig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main body 110, a moving piece 120, a fixed piece 130, a moving piece moving shaft 140, and a moving contact part ( 150 ) and a fixed contact unit 160 .

먼저 상기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개방된 장방형 홈(112)이 형성된다. 이 홈(112)에는 상기 이동편(120)이 삽입되어 이동되며, 상기 고정편(130)도 삽입되어 설치된다. First, the main body 11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other components can be installed. An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2 and 3, a rectangular groove 112 open to the lower side is formed. The moving piece 120 is inserted and moved into the groove 112 , and the fixed piece 130 is also inserted and installed.

그리고 상기 홈(112)은 상기 본체(112)의 측면으로도 개방되어, 상기 이동편(120)과 고정편(130)의 설치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groove 112 is also open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112,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moving piece 120 and the fixed piece 130 is easy.

다음으로 상기 이동편(120)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홈(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이동편(120)은 상기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 접촉부(150)과 함께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배터리팩들을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S. 3 to 5 , the moving piece 120 is a component installed by being slid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112 of the main body 110 . That is, the moving piece 120 performs a function of pressing the plurality of battery pack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10 together with the moving contact part 150 while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 will be.

따라서 상기 이동편(120)은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상기 홈(112)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며, 양측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럭(12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가이드 블럭(122)이 상기 홈(112)의 가이드홈(114)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편(120)의 말단(12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이 말단(124)의 하면에는 상기 이동 접촉부(150)가 결합된다. Accordingly, the entir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oving piece 120 matche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112 , and as shown in FIG. 3 , the guide block 1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The guide block 122 slides on the guide groove 114 of the groove 112 . And the distal end 124 of the moving piece 120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1 , and the moving contact unit 15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tal end 124 . do.

그리고 상기 이동편(120)의 타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전달부(144)와 결합되는 전달 결합부(126)가 홈으로 형성된다. And as shown in FIG. 3 at the other end of the moving piece 120, a transmission coupling part 126 coupled to a transmission part 144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s a groove.

다음으로 상기 고정편(130)은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홈(112)에 고정된 상태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고정편(130)은 상기 본체(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편(120)과 달리 상기 홈(112)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Next, as shown in FIGS. 3 and 5 , the fixing piece 130 is a component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 fixed state in the groove 112 of the main body. That is, the fixing piece 130 is installed in a symmetr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 and unlike the movable piece 120 , it is installed in a fixed state in the groove 112 .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편(130)을 구체적으로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 결합블럭(132), 중간 블럭(134) 및 외측 블럭(1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달부 결합블럭(132)은 상기 홈(112)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전달부(144)와 결합된다. 상기 전달부 결합블럭(132)의 중앙에는 상기 이동편 이동축이 삽입되는 축 삽입홀이 형성된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piece 1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ransfer unit coupling block 132, an intermediate block 134 and an outer block 136, as specifically shown in FIGS. 3 and 5. there is. First, the transfer unit coupling block 132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roove 112 ,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144 . A shaf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moving piece moving shaf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ransfer unit coupling block 132 .

그리고 상기 중간 블럭(134)는 상기 전달부 결합 블럭(132)와 외측 블럭(136)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 블럭(134)의 중앙에도 축 삽입홀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 블럭(136)은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중간 블럭의 외측면과도 결합된다. 상기 외측 블럭(136)에도 축 삽입홀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block 134 is installed between the transfer unit coupling block 132 and the outer block 136 , and a shaft insertion hole is also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block 134 . In addition, the outer block 136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is also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lock. A shaft insertion hole is also formed through the outer block 136 .

또한 상기 외측 블럭(136)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 접촉부(160)가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fixed contact portion 16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block 136 .

다음으로 상기 이동편 이동축(140)은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130)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편(120)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이동편(12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이동편 이동축(140)은 외부의 회전 동역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편을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전후진시키는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S. 3 and 5 , the moving piece moving shaft 140 passes through the fixed piece 130 and is coupled to the moving piece 120 and installed, rotates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moving piece passes through. It is a component that slides the 120 . That is, the moving piece moving shaft 140 rotates by an external rotational dynamic force to move the moving piec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by the rotational force.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편 이동축(140)은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부재(140)와, 연결단(142) 및 전달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축 부재는 전체적으로 원형 봉 형상을 가지며, 그 말단은 상기 전달부(144)에 삽입되고, 상기 전단부(144)의 코어를 회전시킨다. 물론 상기 축부재(140)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고정편을 관통하여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3 and 5 , the moving piece moving shaft 140 may include a shaft member 140 , a connecting end 142 , and a transmission unit 144 . First, the shaft member has a circular rod shape as a whole, and the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transmission part 144 , and the core of the front end part 144 is rotated. Of course, the rest of the shaft member 140 is installed to be freely rotatable through the fixing piece.

다음으로 상기 연결단(142)은 상기 축부재(140)의 타단면에 형성되며, 외부의 회전동력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142)은 다각형상으로 음각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단(142)은 상기 고정편의 외측 블럭(136)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Next, the connecting end 142 is formed on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shaft member 140, and is a portion to which an external rotational power is connec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end 142 is formed by being engraved in a polygonal shape. In addition, the connection end 142 is installed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block 136 of the fixing piece.

다음으로 상기 전달부(144)는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 접촉판넬(180)의 상면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이동편(120)과 고정편(130) 사이에서 상기 축부재(140)의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편(120)을 전후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Next, as shown in FIGS. 3 and 5 , the transfer unit 144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contact panel 180 , and the shaft is between the moving piece 120 and the fixed piece 130 . It is a component that moves the moving piece 120 forward and backward us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ember 140 .

따라서 상기 축부재(14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코어에 의하여 나선구조를 가지는 외측 블럭이 전후진하면서 여기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이동편(120)이 동시에 전후진하는 것이다. Accordingly, while the outer block having a spiral structure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co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member 140 , the moving piece 120 coupled thereto moves forward and backward at the same time.

다음으로 상기 이동 접촉부(15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편(140)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밧데리팩(10)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이동 접촉부(150)는 용접 작업이 진행될 밧데리 팩들의 일측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이동편에 의하여 전후진하면서 이들을 가압하는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moving contact unit 150 is install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piece 140 , and is a component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attery pack 10 . That is, the moving contact part 150 directly contacts one side of the battery packs to be welded and presses them whil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by the moving piece.

다음으로 상기 고정 접촉부(16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130)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밧데리팩(10)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고정 접촉부(160)는 상기 고정편(130)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용접 작업이 진행될 다수개의 밧데리 팩들 중 최외곽의 밧데리팩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이동 접촉부(150)에 의한 가압이 가능하도록 한다. Next,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fixed contact unit 160 is install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ece 130 , and is a component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pack 10 . That is, the fixed contact unit 160 is installed in a fixed state under the fixed piece 130 , and is pressed by the movable contact unit 150 by fixing the outermost battery pack among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to be welded. make this possible

다음으로 상기 로봇 결합부(17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밧데리 조립 지그(100)를 이동시키는 로봇과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로봇 결합부(17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밧데리 조립 지그의 공정 위치 이동을 위하여 이를 이동시키는 로봇이 결합하는 부분이다. Next,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robot coupling unit 17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and is a component coupled to a robot that moves the battery assembly jig 100 . That is, the robot coupling unit 17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is a part coupled to a robot that moves the battery assembly jig in order to move the process position.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봇 결합부(170)를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 본체(172), 접촉부 삽입홀(174) 및 고정부 삽입홀(176)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결합부 본체(172)는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로봇 결합부(17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결합부 본체(172)의 중앙에는 원형의 홀이 형성된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robot coupling part 17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part body 172, a contact part insertion hole 174 and a fixing part insertion hole 176 as shown in FIGS. 1 and 2 . it is preferable First, the coupling part body 172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 and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obot coupling part 170 . A circular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part body 172 .

다음으로 상기 접촉부 삽입홀(174)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 본체(172)의 상면에 하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로봇의 접촉부가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로봇의 접촉부는 상기 밧데리 조립 지그의 작동을 위한 상기 로봇의 전자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접촉부 삽입홀(174)에는 접촉단자가 형성된다. Next,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contact part insertion hole 174 is opened downward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body 172 , and is a component into which the contact part of the robot is inserted. The contact part of the robot is a component for transmitting an electronic signal of the robot for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assembly jig, and a contact terminal is formed in the contact part insertion hole 174 .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 삽입홀(176)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 본체(172)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로봇의 고정부가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로봇의 고정부는 상기 밧데리 조립 지그를 상기 로봇이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밧데리 조립 지그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로봇의 고정부는 상기 로봇 결합부(170)를 완전히 감싼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 삽입홀(176)로 진입하여 상기 로봇 결합부를 고정시킨다. Next,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fixing part insertion hole 176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art body 172 facing each other, and is a component into which the fixing part of the robot is inserted. The fixing part of the robot is a component for preventing and fixing the battery assembling jig in a state in which the robot grips the battery assembling jig. Therefore, the fixing part of the robot enters the fixing part insertion hole 176 in a state that completely surrounds the robot coupling part 170 to fix the robot coupling part.

이때 상기 고정부 삽입홀(176)은, 상기 결합부 본체(172)의 양측면에 대칭되는 위치로 다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상기 로봇 결합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art insertion hole 176 is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the coupling part main body 172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robot coupling part can be more stably fixed.

다음으로 상기 상면 접촉판넬(180)은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하면을 차단하고 상기 밧데리팩(10)의 상면과 접촉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상면 접촉판넬(180)은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하면을 덮는 구성요소이며, 그 상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달부(144)가 설치된다. Next, as shown in FIGS. 1 and 3 , the upper surface contact panel 18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blocks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pack 10 . . That is, the upper surface contact panel 180 is a component that covers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and the transfer unit 144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s described above.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밧데리 조립 지그
110 : 본체 120 : 이동편
130 : 고정편 140 : 이동편 이동축
150 : 이동 접촉부 160 : 고정 접촉부
100: battery assembly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body 120: moving piece
130: fixed piece 140: moving piece moving shaft
150: moving contact 160: fixed contact

Claims (5)

밧데리 조립 지그에 있어서,
하측으로 개방된 장방형 홈 형상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이동편;
상기 본체의 홈에 고정된 상태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편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이동편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편 이동축;
상기 이동편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밧데리팩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이동 접촉부;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밧데리팩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고정 접촉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며, 로봇과 결합되는 로봇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중앙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본체;
상기 결합부 본체의 상면에 하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밧데리 조립 지그의 작동을 위한 상기 로봇의 전자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로봇의 접촉부가 삽입되고 접촉되는 접촉단자가 형성되는 접촉부 삽입홀;
상기 결합부 본체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로봇의 고정부가 삽입되어 상기 밧데리 조립 지그를 상기 로봇이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밧데리 조립 지그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하는 고정부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조립 지그.
In the battery assembly jig,
a body having a rectangular groove shape open downward;
a moving piece slid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main body and installed;
a fixing piece which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 fixed state in the groove of the main body;
a moving piece moving shaft that passes through the fixed piece and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moving piece, rotates by an external force and slides the moving piece;
a moving contact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piece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battery pack;
a fixed contact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and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ece and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pack;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robot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robot;
The robot coupling unit,
a coupling part bod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having a circular hole formed in the center;
a contact insertion hole formed by being opened downward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unit body, the contact portion of the robot for transmitting an electronic signal of the robot for operation of the battery assembly jig is inserted and a contact terminal to be contacted is formed;
A fixing part insertion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art body facing each other, and a fixing part of the robot is inserted to prevent and fix the detachment of the battery assembly jig in a state in which the robot grips the battery assembly jig; Battery assembly jig,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면에는 상기 본체 하면을 차단하고 상기 밧데리팩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면 접촉판넬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조립 지그.
According to claim 1,
A battery assembly jig,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n upper contact panel that blocks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p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의 양측에는 가이드 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편의 양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는 가이드 블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조립 지그.
According to claim 1,
Guide groove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 face each other,
A battery assembling jig,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block inserted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편 이동축의 말단은,
상기 고정편의 측면으로 노출되고, 외부 회전부와 연결되는 연결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조립 지그.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of the moving piece moving shaft,
A battery assembling jig exposed to a side surface of the fixing piece an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end connected to an external rotating part.
KR1020190171851A 2019-12-20 2019-12-20 A jig for fabricating the battery pack KR1022864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851A KR102286447B1 (en) 2019-12-20 2019-12-20 A jig for fabricating the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851A KR102286447B1 (en) 2019-12-20 2019-12-20 A jig for fabricating the battery p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743A KR20210079743A (en) 2021-06-30
KR102286447B1 true KR102286447B1 (en) 2021-08-05

Family

ID=7660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851A KR102286447B1 (en) 2019-12-20 2019-12-20 A jig for fabricating the battery p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4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0332A (en) * 2022-05-31 2022-07-29 中国标准化研究院 Signal collector assembling and positioning device and position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8140A (en) * 2011-11-04 2013-05-20 Toyota Motor Corp Assembly jig of battery pack
KR101890701B1 (en) * 2017-02-28 2018-08-22 신형규 A pallet for packaging batt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8140A (en) * 2011-11-04 2013-05-20 Toyota Motor Corp Assembly jig of battery pack
KR101890701B1 (en) * 2017-02-28 2018-08-22 신형규 A pallet for packaging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743A (en)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7429B2 (en) Battery pack having battery modules held by holding spacers
EP2897193B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KR20040085178A (en) Battery pack manufacturing method
KR101890701B1 (en) A pallet for packaging battery
KR102286447B1 (en) A jig for fabricating the battery pack
EP33210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having fixing structure made from thermoplastic resin
KR100240430B1 (en) Contact array
EP3800695A1 (en) Battery box and battery module
KR102056366B1 (en) Cell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pack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EP3758094A1 (en)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assembly device
CN104185911A (en) Bus bar attachment device and bus bar attachment method
KR102259043B1 (en) A system for fabricating the battery pack
WO1998011615A1 (en) Insert insulator-molded battery contac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2005108481A (en) Battery pack
KR102570265B1 (en) Battery pack
US10403870B2 (en) Battery module
KR100891080B1 (en) Battery Cell-Connecting Member for Preparation of Battery Pack
KR102252181B1 (en) Jig for Assembling Battery Module and Circuit Member
CN210982530U (en) Electricity core function test module and mechanism
JP5481842B2 (en) Battery pack
KR102056362B1 (en) Cell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pack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CN219873844U (en) Battery pack,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nd charging trailer
KR20050059891A (en) A mobile-phone secondary battery pack for its intensity reinforcement
WO2024004506A1 (en) Battery pack
CN116960556B (en) Battery pack, energy storage equipment and electr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