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022B1 -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022B1
KR102286022B1 KR1020200174702A KR20200174702A KR102286022B1 KR 102286022 B1 KR102286022 B1 KR 102286022B1 KR 1020200174702 A KR1020200174702 A KR 1020200174702A KR 20200174702 A KR20200174702 A KR 20200174702A KR 102286022 B1 KR102286022 B1 KR 102286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oam
reinforcing material
binde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일
Original Assignee
남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용일 filed Critical 남용일
Priority to KR102020017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10)가 지면에 기립되어,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건축물 준공 단계(S100); 상기 발포재(10) 외면에 강화재를 적층시키는 강화 시공 단계(S200); 를 포함하는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이다.

Description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Method for coating reinforced polymer}
본 발명은 발포재로 건설되는 건축물의 외벽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이다.
특허문헌 001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대하여 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면처리가 수행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구체보호제를 과량 도포하는 단계; 구체보호제가 도포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상호 교차되는 제1, 2 탈기홈을 형성하는 단계; 제1, 2 탈기홈을 덮도록 제1, 2 탈기홈을 따라 제1 점착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제1, 2 탈기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침투성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다수 개의 방수 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다수의 방수 시트 간의 이격된 부분을 덮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제2 점착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제1 탈기홈과 제2 탈기홈이 교차되는 교차지점이 노출되도록 방수 시트에 탈기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탈기구멍 상에 탈기장치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탈기장치가 고정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방수 시트의 표면에 MMA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마감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ㅜ조물의 내구성 강화 복합 방수 공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일정한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설정된 소정의 형상 및 모양의 형틀이 형성되는 틀제작단계; 유리섬유 매트를 물리적으로 안정시키기 위한 유리섬유 내알칼리성화 단계; 형틀의 내부에 혼합물이 일정높이의 두께로 도포되고, 그 상부면 전체에 내알칼리화된 유리섬유 매트를 안착시킨 다음 유리섬유 매트라 함침되도록 혼합물이 수회 도포되는 유리섬유 함침 단계; 형틀의 내부에 혼합물과 유리섬유가 적층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과 온도에 의해 양생되는 부속물 경화단계; 경화된 후 형틀을 분리시키고 선택적으로 각양각색의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제작 또는 연마, 채색, 코팅 등의 사후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가공단계; 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를 이용한 고건축물의 내/외장재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상온에서 티이오에스, 아연 아세테이트, 에탄올, 물, 염화수소를혼합하고 교반하여 pH 3~4의 투명한 쏠을 얻는 단계와, 쏠에 글리시톨을 첨가하고, 축합제로서 황산을 가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 무기질의 제1 세라믹 코팅액; 상온경화형 합성수지, 수용성 폴리머,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 실리콘 카바이드, 이소결성 알루미나 분말, 아연 분말, 이산화규소, 복합 산화코발트, 수용성 형광 안료,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2 경화용 조성물; 이산화티탄 코팅된 합성 또는 천연 마이카 중에서 선택된 펄 소재; 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내식성 및 내염해성이 강화된 금속 표면 처리용 세라믹 도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발포성 단열재를 외벽에 접착하거나 경량벽돌 등을 접착하여 보강하는 과정에서 단열재의 표층을 강화함으로써, 단열재 접착 과정에서 단열재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접착력 향상이 가능하게 하는 등 단열재를 외벽 시공시나 그 단열재에 경량벽돌을 접착하여 단열블록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안정성이 확보되게 하며, 또한 단열재가 시공된 상태에도 그 단열재 표층부의 들뜸 현상이나 열화 현상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게 하는 등 시공상의 내구성 향상 및 이에 따른 단열 시공상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침투성 표면 강화제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강화 접착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690138 B1 (2016년12월23일) KR 10-0302125 B1 (2001년06월29일) KR 10-1233997 B1 (2013년02월12일) KR 10-1990748 B1 (2019년06월12일)
본 발명은 발포재로 건설되는 건축물의 외벽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오물 처리 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10)가 지면에 기립되어,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건축물 준공 단계(S100); 상기 발포재(10) 외면에 강화재를 적층시키는 강화 시공 단계(S2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강화 시공 단계(S200)는 상기 발포재(10) 외측에 강화재(100)를 형성시키는 강화재 시공 단계(S210); 상기 발포재(10)에 시공된 강화재(100)의 외측에 마감재(200)를 형성시키는 마감재 시공 단계(S2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강화재(100)는 폴리우레탄과 폴리우레아의 혼합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강화재 시공 단계(S210)는 액상 또는 입자상의 상기 강화재(100)를 건축물(1)에 시공하는 강화재 도포 단계(S211); 건축물(1)에 흡착된 상기 강화재(100)를 일정 시간 건조시키는 강화재 건조 단계(S212); 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1)에 흡착된 상기 강화재(100) 외측에 결착재(300)를 형성시키는 결착재 시공 단계(S3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결착재 시공 단계(S300)는 상기 결착재(300)의 형상을 성형하는 결착재 성형 단계(S310); 성형이 완료된 상기 결착재(300)를 상기 강화재(100)에 침지시키는 강화재 침지 단계(S3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발포재(10)는 상기 강화재(100)가 시공되는 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 리브(11);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건축물 준공 단계(S100)는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을 형성하는 발포재 가공 단계(S110); 복수의 상기 발포재 블록(10-1)을 조립하여, 지면에 기립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발포재 준공 단계(S1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에 시공되는 단열재의 두께 값을 제어하여, 각각의 건축물이 외부의 충격 또는 복합적인 요인에 대하여 필요로 하는 내구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 외벽에 대하여 복수의 레이어가 적층되는 구조로 시공되는 강화재 간에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라 준공된 건축물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복수의 발포재 블록으로 준공된 건축물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2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건축물 외벽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탄알에 의해 충격력을 수신하는 건축물 외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결착재를 침지시키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침지 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3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발포재 블록에 대한 복수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발포재(10)가 지면에 기립되어,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건축물 준공 단계(S100); 상기 발포재(10) 외면에 강화재를 적층시키는 강화 시공 단계(S200); 를 포함한다.
EPS(Expanded Polystyrene)는 펜탄 또는 부탄가스와 같은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원료를 발포시킨 물질로, 단열재, 조립식 판넬 또는 가전제품의 보호용 포장재 등으로 사용된다. 이에 반해, EPP(Expanded Polypropylene)는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원료를 발포시킨 친환경적인 발포재를 의미한다.
상기한 EPS나 EPP를 이용하여, 시공자는 다양한 용도의 가설 건축물을 지면에 설치할 수 있다. 가설 건축물은 임시로 지면에 세우는 건축물을 의미하며,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발포재는 다른 건축재에 비해 경량재에 속하여, 설치와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건축물 내측에 대한 효과적인 단열 효율도 확보할 수 있다.
종래에는 발포재를 이용한 가설 건축물에 드라이비트 공법을 주로 사용해왔다. 드라이비트 공법은 건축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단열재 위에 시멘트 몰탈과 마감재를 도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시공비가 저렴하다는 점과 시공 기간이 비교적 짧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시멘트 몰탈은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의 측면에서는 한정된 효과를 도출하고, 스톤코트와 같은 재질이 주로 사용되는 마감재 역시 높은 경도 값을 갖지 못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된 건축물(1) 외벽에 강화재(100)를 추가적으로 시공한다. 즉, 건축물(1)의 외벽을 형성하는 발포재(10)는 강화재(100)에 의해 외부에서 작용하는 복합적인 요인에 대하여 추가적인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강화 시공 단계(S200)는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을 조립하여, 건축물(1)을 형성한 이후에 실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발포재 블록(10-1)은 건축물(1)의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1 발포재 블록(10-1A); 건축물(1)의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2 발포재 블록(10-1B); 을 포함한다.
발포재(10)는 지면에 준공되는 건축물(1)의 외벽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즉, 발포재(10)는 건축물(1)의 실내와 실외를 분리 구획하여, 건축물(1)의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교환을 차단한다.
이 때, 발포재(10)는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이 건축물(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내측에 형성되는 제1 발포재 블록(10-1A)의 외면에 별도의 제2 발포재 블록(10-1B)를 부착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시공자는 건축물(1) 외벽에 대한 두께 값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1) 실내 공간에 대한 추가적인 단열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발포재 블록(10-1)은 상호 접하는 일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함몰부(10-1C); 를 포함한다.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에 형성되는 함몰부(10-1C)는 발포재 블록(10-1)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이 상호 접하는 면에는 함몰부(10-1C)에 의해, 건축물(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 사이에는 별도의 중공층이 형성된다.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층은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이 상호 접하는 면적을 감소시켜, 전도에 의한 열전달 에너지를 경감시킨다. 이와 동시에 중공층 내에서는 외측에 배치되는 제2 발포재 블록(10-1B)에서 내측에 배치되는 제1 발포재 블록(10-1A)으로 침투되는 냉기 또는 열기를 차단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강화 시공 단계(S200)는 상기 발포재(10) 외측에 강화재(100)를 형성시키는 강화재 시공 단계(S210); 상기 발포재(10)에 시공된 강화재(100)의 외측에 마감재(200)를 형성시키는 마감재 시공 단계(S2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시공 단계(S220)는 상기 발포재(10)의 외면에 액상 또는 입자상의 마감재(200)를 도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마감재(200)는 건축물(1) 외벽의 최외곽부에 도포되어, 내측에 시공되는 발포재(10)와 강화재(100)를 보호한다. 발포재(10) 외측에 별도의 레이어로 형성되는 강화재(100)는 조성되는 물질의 종류와 그 혼합비에 따라 도출되는 효과가 상이하다.
이 때, 마감재(200)는 강화재(100)가 외부 물질과 상호 반응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발포재(10)에 강화재(100)가 시공된 후에 강화재(100) 위에 마감재(200)를 덧대거나 도포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재(200)가 강화재(100) 외측에 시공됨에 따라, 강화재(100)층은 발포재(10)층과 마감재(200)층 사이에 개재된다. 즉, 강화재(100) 층이 실내 공간 또는 실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200)는 자외선의 투입을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재로 형성된다.
건축물(1) 외벽에 조사되는 자외선은 외벽의 색을 발현하는 착색층에 침투하여, 변색을 유발한다. 따라서, 건축물(1) 외벽에 시공되는 마감재(200)에는 자외선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100)는 폴리우레탄과 폴리우레아의 혼합물로 형성된다.
건축물(1)의 외벽에 시공되는 강화재(100)는 단열과 부식에 대한 방지 외에도 외부 충격에 의해 건축물(1)이 파손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강화재(100)는 충격에 대하여 내측의 발포재(10)를 보호할 수 있는 조성물로 구성되어야 한다.
폴리우레탄은 연성이 강한 성질을 갖고 있으며, 외력에 의한 수축과 팽창이 수행된다. 즉,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힘에 의해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충격력의 일부를 흡수한다. 그러나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먼지 같은 물질과 반응하여 훼손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반응성이 작은 폴리우레아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물질과 상호 반응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지만,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건축물(1)의 외벽에 대한 향상된 내구성을 확보하는 강화재(100)는 폴리우레탄과 폴리우레아를 혼합한 물질로 형성되어, 대기 중 물질과의 반응성과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100)는 폴리우레탄의 중량비가 폴리우레아의 중량비보다 높은 값으로 조성되는 제1 강화재(101); 를 포함한다.
제1 강화재(101)에서는 폴리우레탄의 함량이 폴리우레아의 함량보다 높은 값으로 형성된다. 즉, 함량이 높은 폴리우레탄에 의해 일정한 탄성계수를 갖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에서 부여되는 힘의 크기와 방향에 대하여 종속적으로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1) 외부에서 내측을 향하여 외력을 가한다면, 건축물(1)에 시공된 제1 강화재(101)층은 외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된다. 즉, 내측의 발포재(10)로 전달되는 외력의 크기가 경감되어, 건축물(1)이 수신하는 충격을 일부 흡수한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100)는 폴리우레아의 중량비가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보다 높은 값으로 조성되는 제2 강화재(102); 를 포함한다.
제2 강화재(102)에서는 폴리우레아의 함량이 폴리우레탄의 함량보다 높은 값으로 형성된다. 즉, 함량이 높은 폴리우레아에 의해 자외선 또는 수분과 상호 반응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각종 기후변화에 대한 높은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100)는 난연재를 포함하여 혼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100)는 자외선의 투입을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재를 포함하여 혼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건축물(1)의 외벽을 조성하는 EPS와 EPP는 화재에 취약한 재질 중 하나다. 이는 발포재(10)를 구성하는 물질이 화염을 전도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포재(10)에 시공되는 강화재(100)는 화재 시에 화염을 전도하지 않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화재(100)에는 화염에 연소되지 않는 난연재를 첨가하여 조성될 수 있다.
또한 햇빛에 의한 외벽의 변색은 외벽의 색을 발현하는 착색층에 자외선이 침투하여 생기는 현상으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외선의 침투를 차단하는 UV컷 차단재를 강화재(100)에 첨가하여 조성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 시공 단계(S210)는 상기 발포재(10) 외면에 액상 또는 입자상의 상기 강화재(100)를 최초로 도포하는 강화재 도포 단계(S211); 건축물(1)에 흡착된 상기 강화재(100)를 일정 시간 건조시키는 강화재 건조 단계(S212); 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강화재(100)는 건축물(1) 외벽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이다. 이 때, 건축물(1)에 요구되는 내구성은 각각의 건축물(1)이 준공되는 용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발포재(10)에 시공되는 강화재(100)는 각각의 건축물(1)에 요구되는 내구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발포재(10) 외측의 강화재(100)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강화재(100)를 발포재(10)에 도포하는 과정과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건축물(1)에 시공되는 강화재(100)의 두께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충격이 큰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설계되는 건축물에서는 강화재를 도포하는 과정과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횟수를 증가시켜, 건축물(1)에 시공되는 강화재(100)의 두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강화재 도포 단계(S211)는 상기 제1 강화재(101)와 상기 제2 강화재(102)를 선택적으로 도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1 강화재(101)와 제2 강화재(102)는 건축물(1)에 추가적으로 내구성을 부여하는 구성이다. 제1 강화재(101)는 일정한 탄성계수를 갖는 특성상, 건축물(1)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제2 강화재(102)는 비교적 높은 강도 값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건축물(1)은 기후 변화에 대한 내후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자는 제1 강화재(101)와 제2 강화재(102)를 발포재(10) 외측에 선택적으로 도포하여, 건축물(1)이 사용되는 용도에 적합하도록 선택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최후에 실시되는 상기 강화재 도포 단계(S211)에는 상기 제2 강화재(102)가 도포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강화재 도포 단계(S211)는 상기 제1 강화재(101)의 도포층과 상기 제2 강화재(102)의 도포층이 상기 건축물(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두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2 강화재(102)는 높은 내후성을 갖는 재질의 특성상, 건축물(1) 외벽의 최외곽부에 시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제2 강화재(102)의 내측에는 일정한 탄성계수를 갖는 제1 강화재(101)가 시공되어, 건축물(1)에 추가적인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건축물(1) 외벽 구조는 외부에서 날아오는 탄알에 대한 방탄(防彈)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탄알이 건축물(1)을 향하여 발포되는 상황이 발생되면, 일정한 속도로 돌진하는탄알은 건축물(1)의 최외곽에 시공된 제2 강화재(102)에 충격을 가한다. 이 때, 충격이 전달된 제2 강화재(102)는 취성에 의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2 강화재(102)는 구조물(1)이 수신하는 충격력을 1차로 경감시킴과 동시에 제1 강화재(101)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종속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제1 강화재(101)는 경화된 제2 강화재(102)를 깨트린 탄알과 충돌한다. 이 때, 제1 강화재(101)는 일정한 탄성계수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탄알이 제1 강화재(101)로 전달하는 충격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 즉, 제1 강화재(101)는 탄알이 전달하는 충격력을 2차로 경감시켜, 건축물(1)의 발포재(10)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추가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강화재 도포 단계(S211)는 상기 발포재(10)의 외면에 액상의 상기 강화재(100)를 도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강화재 도포 단계(S211)는 상기 발포재(10)의 외면에 입자상의 상기 강화재(100)를 분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강화재(100)는 발포재(10)의 외면에 시공되어, 건축물(1)에 추가적인 내구성을 부여한다. 이 때, 건축물(1) 외벽에 형성되는 강화재(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액상으로 형성되는 강화재(100)는 시공자가 롤러나 붓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발포재(10) 외측에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강화재(100) 시공 방식은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시공성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반해, 입자상으로 형성되는 강화재(100)는 시공자가 스프레이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발포재(10) 외측에 도장될 수 있다. 이는 건축물(1) 외측에 노출되는 강화재(100) 층에 대하여 균일한 마감층을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건축물(1)에 흡착된 상기 강화재(100) 외측에 결착재(300)를 형성시키는 결착재 시공 단계(S300); 를 포함한다.
결착재(300)는 건축물(1)에 시공되는 강화재(100)의 결착력을 증대시키는 구성이다. 즉, 결착재(300)는 상호 결착을 요하는 레이어 사이에 형성되어, 복수의 레이어 간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이 때, 결착재(300)는 발포재(10)층과 강화재(100)층 사이 또는 복수의 강화재(100)층 사이에 시공될 수 있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결착재(300)는 복수의 일정한 메시를 갖는 구조체로 형성된다.
결착재(300)는 복수의 레이어가 건축물(1)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즉, 결착재(300)는 결착재(300) 시공 전후에 도포되거나 도장된 복수의 레이어가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결착재(300)는 상기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 가능한 구조체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결착재(300)는 복수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발포재(10) 또는 강화재(100)와 접하는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지하며, 일정한 메시(Mesh)를 갖는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결착재(300)는 복수의 유리 섬유가 상호 교차하는 구조체로 형성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결착재(300)는 복수의 케블라 섬유가 상호 교차하는 구조체로 형성된다.
일정한 메시를 갖는 결착재(300)의 형상은 복수의 섬유가 반복적으로 상호 교차함에 따라 실현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메시 또는 목(目)을 형성하는 섬유의 재질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착재(300)를 형성하는 섬유는 유리 재질의 FRP(Fiber Reinforced Plastic)로 형성될 수 있다. FRP는 내수, 내열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높은 장력강도를 갖는 재질로, 복수의 레이어를 상호 결착하는 기능성과 우수한 내식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1)의 용도를 고려하여, 결착재(300)를 형성하는 섬유는 케블라(Kevlar)로 형성될 수 있다. 케블라로 형성된 결착재(300)는 높은 강도와 내화성을 갖는 재질로, 인장과 전단응력에 대한 강도 모두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강력한 충격력을 전달하는 탄알에 자주 노출되는 환경에서 사용이 적합하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결착재 시공 단계(S300)는 상기 결착재(300)의 형상을 성형하는 결착재 성형 단계(S310); 성형이 완료된 상기 결착재(300)를 상기 강화재(100)에 침지시키는 강화재 침지 단계(S320); 를 포함한다.
복수의 강화재(100)층 사이에 개재되는 결착재(300)의 주된 목적은 복수의 강화재(100)층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결착재(300)는 강화재(100)가 건축물(1) 외벽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와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결착재 성형 단계(S310)에서는 섬유 형태로 존재하는 재질을 일정한 메시를 갖는 형상으로 상호 교차시켜 결착재(300)를 직조한다. 이후, 별도의 강화재(100)에 결착재(300)를 침지시키는 강화재 침지 단계(S320)가 실시된다.
이 때, 복수의 레이어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결착재(300)는 레이어를 구성하는 강화재(100)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결착재(300)의 일부 구간에서는 강화재(100)층과 결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강화재 침지 단계(S320)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공정으로, 강화재(100)와 결착재(300)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하여 강화재(100)의 박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 침지 단계(S320)는 침지 수단(20)으로 상기 결착재(300)를 이송시키는 결착재 투입 단계(S321); 상기 침지 수단(20)에서 상기 결착재(300)를 압착시키는 결착재 압착 단계(S322); 상기 침지 수단(20)으로부터 상기 결착재(300)가 반출하는 결착재 배출 단계(S323); 를 포함한다.
강화재(100)는 건축물(1)의 외벽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는 구성으로, 연성의 폴리우레탄이 포함된 물질이다. 이 때, 폴리우레탄은 일정한 점성계수를 갖는 물질로, 건축물(1) 외벽에 시공된 후에 부착되는 결착재(30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즉, 강화재(100)와 결착재(300) 사이에 별도의 중공층이 형성됨에 따라, 상호 결착력이 하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화재 침지 단계(S320)에서는 침지 대상물인 강화재(100)와 결착재(300) 사이의 중공층을 제거하는 결착재 압착 단계(S322)를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6-3)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침지 수단(20)은 상기 강화대(100)를 내부에 수용하는 풀먹임조(21); 상기 풀먹임조(21)의 외측에 배치되는 이송부(22); 상기 풀먹임조(21)의 내측에 배치되는 압착부(23); 를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23)는 상기 이송부(22)에 의해 상기 풀먹임조(21)로 투입되는 상기 결착재(200)를 가압하는 복수의 롤러로 형성된다.
침지수단(20)은 결착재(300)를 강화재(100)에 침지시키는 장치다. 결착재 투입 단계(S321)에서는 이송부(22)가 결착재(300)를 풀먹임조(21) 내측으로 이송시킨다. 이 때, 이송부(22)는 결착재(300)를 외주부에 권취시키는 권취 롤러와 이송 경로를 따라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이송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부(22)에 의해 풀먹임조(21)의 강화재(100)에 침지되는 결착재(300)는 압착부(23)에 의해 외력을 수신하는 결착재 압착 단계(S322)가 실시된다. 풀먹임조(21)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압착 롤러는 결착재(300)의 상측과 하측을 동시에 가압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강화재(100)와 결착재(300) 사이에 존재하는 중공층을 제거한다.
이후, 이송부(22)에 의해 결착재(300)가 풀먹임조(21) 외부로 배출되는 결착재 배출 단계(S323)를 수행함에 따라, 결착재(200)의 침지가 완료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10)는 상기 강화재(100)가 시공되는 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 리브(11); 를 포함한다.
외측에 복수의 돌출 리브(11)가 형성된 발포재(10)는 평평한 외면을 갖는 발포재에 비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유량의 강화재(100)가 발포재(10) 외측에 시공된다고 가정한다면, 복수의 돌출 리브(11)가 형성된 발포재(10) 외측에 시공되는 강화재(100)층의 두께가 더 큰 값으로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평평한 면의 발포재는 건축물(1) 내측에 동일한 방향으로 충격을 전달한다면, 복수의 돌출 리브(11)가 형성된 발포재(10)는 돌출 리브(11)의 법선 방향으로 힘을 분산시켜, 건축물(1) 내측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일부 경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7-2)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10)는 상기 강화재(100)가 시공되는 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 리브(12); 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 리브(11)와 함몰 리브(12)가 모두 형성되는 발포재(10)의 외면에는 시공되는 강화재(100)층의 두께가 동일한 값으로 형성될 시에 더 많은 유량의 강화재(100)를 시공할 수 있다.
즉, 시공자는 건축물(1)에 강화재(100)를 무리하게 두꺼운 두께 값으로 시공하지 않더라도 방탄과 방호와 같은 높은 내구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7-3)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2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돌출 리브(11)와 상기 함몰 리브(12)의 단면은 소정 높이 돌출되거나 소정 깊이 함몰되는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2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돌출 리브(11)와 상기 함몰 리브(12)의 단면은 소정 높이 돌출되거나 소정 깊이 함몰되는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발포재(10)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 리브(11)와 복수의 함몰 리브(12)는 건축물(1)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는 구성이다. 즉, 내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리브의 법선 방향으로 힘을 분산시켜, 건축물(1)이 수신하는 충격력을 경감시킨다.
이 때, 발포재(10) 외측에 형성되는 리브(11,12)의 종단면은 건축물(1)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단면을 갖는 삼각형 또는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경사진 단면은 건축물(1)의 두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그러나 건축물(1)이 수신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복수의 돌출 리브(11)와 복수의 함몰 리브(12)에 대한 형상 또는 구조를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준공 단계(S100)는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을 형성하는 발포재 가공 단계(S110); 복수의 상기 발포재 블록(10-1)으로 하나의 레이어로 형성된 두께의 건축물(1)을 지면에 건립하는 발포재 준공 단계(S1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 시공 단계(S210)는 상기 발포재 가공 단계(S110)가 실시된 복수의 상기 발포재 블록(10-1)에 실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건축물(1)은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을 상호 조립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건축물(1)은 각각의 발포재 블록(10-1)을 생산하는 발포재 가공 단계(S110)와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을 조립시켜 지면에 준공하는 발포재 건립 단계(S120)로 형성된다.
이 때, 강화재(100)는 각각의 발포재 블록(10-1)이 가공된 이후에 건설 현장으로 운반되기 이전에 시공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발포재 블록(10-1) 외측에 강화재(100)를 시공한 이후에 건설 현장으로 운반하여, 잦은 기후 변화가 발생하는 야외 현장에서 건축물(1)을 건립하고 시공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 8-3)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8-2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시공 단계(S220)는 상기 발포재 건립 단계(S120)가 실시되어 지면에 설립된 상기 건축물(1)에 실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8-4) 본 발명은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8-3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일정한 강성률을 갖는 재질의 패널로 형성된다.
마감재는 강화재(100) 상층에 시공되어, 강화재(100)가 외부에 노출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러나 각각의 발포재 블록(10-1) 외측에 시공된 강화재(100)는 공정의 특성상,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이 상호 접합하는 구간 상측에는 강화재(100)가 시공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의 이음새가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에서 수신하는 힘과 기후 변화에 의해 내구성이 하락될 수 있다는 부정적인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지면에 건립된 건축물(1) 외벽에 마감재(200)를 시공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 때, 마감재는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이 상호 접합하는 이음새 구간 상측에 시공될 수 있으며, 외력으로부터 형상이 용이하게 가변되지 않는 재질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1 : 건축물 10 : 발포재
10-1 : 발포재 블록 10-1A : 제1 발포재 블록
10-1B : 제2 발포재 블록 10-1C : 함몰부
11 : 돌출 리브 12 : 함몰 리브
20 : 침지 수단 21 : 풀먹임조
22 : 이송부 23 : 압착부
100 : 강화재 101 : 제1 강화재
102 : 제2 강화재
200 : 마감재 300 : 결착재

Claims (8)

  1. 발포재(10)로 형성되는 건축물(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10)가 지면에 기립되어,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건축물 준공 단계(S100);
    상기 발포재(10) 외면에 강화재를 적층시키는 강화 시공 단계(S200); 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 시공 단계(S200)는 상기 발포재(10) 외측에 강화재(100)를 형성시키는 강화재 시공 단계(S210); 상기 발포재(10)에 시공된 강화재(100)의 외측에 마감재(200)를 형성시키는 마감재 시공 단계(S220); 를 포함하며,
    상기 강화재(100)는 폴리우레탄과 폴리우레아의 혼합물로 형성되되,
    폴리우레탄의 중량비가 폴리우레아의 중량비보다 높은 값으로 조성되는 제1 강화재(101); 폴리우레아의 중량비가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보다 높은 값으로 조성되는 제2 강화재(102);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재 시공 단계(S210)는 액상 또는 입자상의 상기 강화재(100)를 건축물(1)에 시공하는 강화재 도포 단계(S211); 건축물(1)에 흡착된 상기 강화재(100)를 일정 시간 건조시키는 강화재 건조 단계(S212); 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각각의 상기 강화재 도포 단계(S211)는 상기 제1 강화재(101)와 상기 제2 강화재(102)를 선택적으로 도포하는 구조로 형성되되, 최후에 실시되는 상기 강화재 도포 단계(S211)에는 상기 제2 강화재(102)가 도포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강화재(101)의 도포층과 상기 제2 강화재(102)의 도포층이 상기 건축물(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두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건축물(1)에 흡착된 상기 강화재(100) 외측에 결착재(300)를 형성시키는 결착재 시공 단계(S300); 를 포함하는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착재 시공 단계(S300)는,
    상기 결착재(300)의 형상을 성형하는 결착재 성형 단계(S310);
    성형이 완료된 상기 결착재(300)를 상기 강화재(100)에 침지시키는 강화재 침지 단계(S320); 를 포함하는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10)는,
    상기 강화재(100)가 시공되는 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 리브(11); 를 포함하는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준공 단계(S100)는,
    복수의 발포재 블록(10-1)을 형성하는 발포재 가공 단계(S110);
    복수의 상기 발포재 블록(10-1)을 조립하여, 지면에 기립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발포재 준공 단계(S120); 를 포함하는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

KR1020200174702A 2020-12-14 2020-12-14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 KR102286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02A KR102286022B1 (ko) 2020-12-14 2020-12-14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02A KR102286022B1 (ko) 2020-12-14 2020-12-14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022B1 true KR102286022B1 (ko) 2021-08-03

Family

ID=7731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702A KR102286022B1 (ko) 2020-12-14 2020-12-14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02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125B1 (ko) 1998-12-02 2001-09-06 유종성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를 이용한 고건축물의 내/외장재 제조방법및 그 조성물
KR20020016082A (ko) * 2000-08-24 2002-03-04 김숭근 건축용 단열판
JP2010168878A (ja) * 2009-01-23 2010-08-05 Toyokoh Co Ltd 屋根・壁・鋼構造物・床・基礎・地面・地盤の施工構造及び施工方法。
KR101233997B1 (ko) 2012-09-18 2013-02-22 주식회사 미로 내식성 및 내염해성이 강화된 금속 표면 처리용 세라믹 도료 조성물
KR101675007B1 (ko) * 2015-04-28 2016-11-10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아라미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방탄 벽체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방탄 벽체 및 상기 방탄 벽체를 이용한 방탄 건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20160130620A (ko) * 2015-05-04 2016-11-14 김광수 스티로폼 및 에프알피 복합판넬
KR101690138B1 (ko) 2016-05-04 2016-12-30 씨엘엠테크(주) 멀티 합성고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강화 복합 방수공법
KR101990748B1 (ko) 2018-11-23 2019-06-19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침투성 표면강화제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강화 접착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125B1 (ko) 1998-12-02 2001-09-06 유종성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를 이용한 고건축물의 내/외장재 제조방법및 그 조성물
KR20020016082A (ko) * 2000-08-24 2002-03-04 김숭근 건축용 단열판
JP2010168878A (ja) * 2009-01-23 2010-08-05 Toyokoh Co Ltd 屋根・壁・鋼構造物・床・基礎・地面・地盤の施工構造及び施工方法。
KR101233997B1 (ko) 2012-09-18 2013-02-22 주식회사 미로 내식성 및 내염해성이 강화된 금속 표면 처리용 세라믹 도료 조성물
KR101675007B1 (ko) * 2015-04-28 2016-11-10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아라미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방탄 벽체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방탄 벽체 및 상기 방탄 벽체를 이용한 방탄 건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20160130620A (ko) * 2015-05-04 2016-11-14 김광수 스티로폼 및 에프알피 복합판넬
KR101690138B1 (ko) 2016-05-04 2016-12-30 씨엘엠테크(주) 멀티 합성고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강화 복합 방수공법
KR101990748B1 (ko) 2018-11-23 2019-06-19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침투성 표면강화제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강화 접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6061C2 (ru) Защитный слой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й панели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c улучшен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сцепления с изоляционным слоем
US9032679B2 (en) Roof panel and method of forming a roof
US5837363A (en) Rigid foam roofing product
US5431996A (en) Composite material
EP2417078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building materials and building products manufactured thereby
JP6527169B2 (ja) 断熱パネル
KR10194298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단열 및 보강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방수 및 보강 복합 구조 및 그 시공공법
US20170022106A1 (en) Dry building material mixture and thermal insulation plaster resulting therefrom
US20120317914A1 (en) Continuous thermal insulation and fire protective composite placed on thermo-grid designed for wind load transfer
ES2598304T3 (es) Estructura multifuncional y método para su fabricación
KR102180076B1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조인트 강화 복합방수공법
KR101361910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고분자 복합시트의 일체화 방수 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2286022B1 (ko) 건축물 강화 폴리머 코팅 시공 방법
US20040176004A1 (en) Method of applying fire protection coating to FRP-reinforced structure
KR101942977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 및 단열 복합 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및 단열 복합 시공공법
EP3245350B1 (en) High-performance torchable thermal insulating panel for buildings roofs
KR101332646B1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0718006B1 (ko) 단열재를 이용한 3차원 입체 지붕재
WO2010067334A2 (en) Building componen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10779A (ko)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US20220195724A1 (en) Structural fire- and water-resistant panel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CN201339285Y (zh) 外墙墙体的玻化微珠防护装饰结构
US20140106159A1 (en) Barrier structure
CN209413178U (zh) 一种岩棉外保温水刷石墙面
CN112647641A (zh) 装配式混凝土预制墙保温防火一体化板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