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511B1 -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 Google Patents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511B1
KR102285511B1 KR1020200106970A KR20200106970A KR102285511B1 KR 102285511 B1 KR102285511 B1 KR 102285511B1 KR 1020200106970 A KR1020200106970 A KR 1020200106970A KR 20200106970 A KR20200106970 A KR 20200106970A KR 102285511 B1 KR102285511 B1 KR 102285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insulating material
vertical
horizontal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박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우 filed Critical 박상우
Priority to KR102020010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구조의 조립식 갱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단열재가 장착되고, 단열재의 배치로 인한 강도저하의 단점을 개선한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은, 평판, 이 평판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직지지대, 수직지지대를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평지지대를 구비하는 갱폼에서, 수평지지대들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와 수평 수직대 사이를 기밀하게 하는 실리콘커버층;
상기 실리콘커버층을 포함한 단열재를 평판측으로 가압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지지대에 장착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례로, 가압수단은 수평지지대 또는 수직지지대의 일 측 또는 양측면에 고정되는 제1앵글 또는 제2앵글로 가압 고정된다.
상기 제1앵글 또는 제2앵글의 단열재를 가압하기 위한 앵글편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의 선단에 가압판이 피봇결합되어 상기 단열재를 가압조절 할 수 있도록 된다.

Description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Assembly type gang form having ins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단열구조의 조립식 갱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단열재가 장착되고, 단열재의 배치로 인한 갱폼 전체의 강도저하 단점을 개선한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또는 빌딩과 같은 각종 건물을 콘크리트로 시공하는 경우, 그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갱폼(gang for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갱폼은 일례로, 도 1에서 보듯이, 일정 크기의 평판 형태인 외부거푸집패널(10)에 다수의 수평지지대(20)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부착되고, 수평지지대(20)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직지지대(30)가 다수 부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 갱폼은 대향되어 설치된 내부거푸집패널(미도시)과 타이볼트(4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갱폼과 내부거푸집패널이 타이볼트(40)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공간이 형성되도록 세워지고, 이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외벽이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의 화학반응(수화반응)에 의해서 경화된다. 이런 반응은 수화열 발생으로 콘크리트 자체온도를 상당히 높이며, 외부온도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데,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수화반응의 지연과 콘크리트 중의 수분동결로 인한 동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 동해로 인해 소기의 강도를 얻기가 어렵다. 또한,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콘크리트는 수분이 급격하게 증발하여 적정 습윤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수화열과 외기 온도로 인해 콘크리트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여 균열현상 등의 내부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제작된 단열재가 구비된 종래의 갱폼은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2061호(발명의 명칭: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자면, 도 2에서 보듯이, 외부거푸집패널(10)에 수평지지대(2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이 수평지지대(20)들 사이에 단열재(50)가 부착되며, 수평지지대(20)들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직지지대(30)가 다수 설치된다. 이때, 단열재(50)는 외부거푸집패널(10)에 본딩으로 부착된다. 또한, 관통홀(11)을 통해 타이볼트(40)가 설치된다.
하지만, 단열 효과가 단열재(50)의 종류 및 두께 등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다. 또한, 단열재(50)를 설치하고 나면 위치를 변경하기 어렵고, 철거시 외부거푸집패널(10)에서 단열재(50)를 떼어 내기가 어려우며, 떼어 낸 후 남은 흔적으로 인해 재설치시 관통홀(11)의 수밀기능이 현저히 낮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열재의 재료 특성상 패널 전체적인 강도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4293호(2013.01.2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2061호(2012.11.1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7618호(2011.04.06.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재를 가압하여 외부거푸집패널에 밀착되도록 하여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단열재 특성상의 패널의 구조적 강도 저하의 문제를 보완하고, 더욱 향상된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은, 평판, 이 평판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직지지대, 수직지지대를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평지지대를 구비하는 갱폼에서, 수평지지대들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와 수평 수직대 사이를 기밀하게 하는 실리콘커버층;
상기 실리콘커버층을 포함한 단열재를 평판측으로 가압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지지대에 장착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례로, 가압수단은 수평지지대 또는 수직지지대의 일 측 또는 양측면에 고정되는 제1앵글 또는 제2앵글로 가압 고정된다.
상기 제1앵글 또는 제2앵글의 단열재를 가압하기 위한 앵글편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의 선단에 가압판이 피봇결합되어 상기 단열재를 가압조절 할 수 있도록 된다.
다른 예로, 가압수단은 수평지지대 또는 수직지지대의 각각 대응되는 양측면에 고정되는 제1앵글 또는 제2앵글의 저면으로 고정된 가압대 즉, 수평가압대 또는 수직가압대로 가압 고정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수평가압대는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기구의 설치 장소를 피한다면, 전 길이에 걸쳐서 한개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열재와 평판 사이에 형성된 단열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공간에 배치된 보조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단열재는 벌집 형상으로 만들어진 단열폼과, 이 단열폼의 양측면에 부착된 단열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에 단열재가 가압수단에 의해 밀착 고정됨으로써, 단열 효과가 우수하고, 단열재의 탈착이 용이하며, 단열재를 간단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판과 단열재 사이에 단열공간이 마련되고, 이 단열공간에 보조단열재가 배치됨으로써, 단열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재 및 평판의 구멍을 밀폐링으로 차단하여 외부와 단절되면서 단열 및 수밀이 이루어지고, 단열재 및 평판의 구멍으로부터 단열 공간을 수밀부재로 밀폐함으로써, 단열 및 수밀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갱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갱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지지대에 가압수단을 설치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지지대에 가압수단을 설치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3의 다른 변형 예가 도시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5의 다른 변형 예가 도시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c는 갱폼 보강수단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수직지지대에 설치된 가압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체결수단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10은 단열층을 2 개로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
도 11는 제 1단열층의 부분 절취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은 콘크리트의 균일한 양생을 위해 외부 열과의 차단을 위한 내부 및 외부 갱폼 중 외부 갱폼에 관한 것이다. 이 갱폼은 외부거푸집평판(이하, '평판'이라 함)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지지대가 장착되고, 수평지지대들 사이에 가압수단을 매개로 단열재가 끼움 결합되며, 수평지지대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직지지대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갱폼은 평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타이볼트를 포함한 고정기구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판과 단열재는 서로 밀착되어 배치되거나 적어 2개 이상의 이종 단열재를 적층 할 수 있다. 이때, 단열재는 경질우레탄폼을 포함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재질 및 형태일 수 있다.
한편, 가압수단은 단열재를 가압하여 콘크리트타설시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인 앵글 내지는 비교적 긴 찬넬로 간단히 해결하도록 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 및 변형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은 도 3에서 보듯이, 외부거푸집평판(100, 이하 '평판'이라 함), 이 평판(100)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평지지대(200), 수평지지대(200)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직지지대(300), 수평지지대(200)들 사이에 배치된 단열재(400), 단열재(400)를 평판(100)에 밀착시키면서 가압하도록 설치된 가압수단과, 고정기구(도시안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평판(100)은 평평하면서 양측부가 일방향으로 굴절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수평지지대(200)는 평판(100)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부착된다. 이때, 평판(100)의 굴절된 양측부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이 수평지지대(200)는 사각 단면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일 수 있다. 이 수평지지대(200)는 평판(100)에 용접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수평지지대(200)와 평판(100) 사이에 생성된 틈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실리콘 또는 수밀테이프 등을 포함한 실링재가 도포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이 실링재는 수밀을 위해 갱폼의 각 구성요소의 연결부위 마다 도포 및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수직지지대(300)는 수평지지대(200)의 윗면에 교차되어 배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 부착된다. 이 수직지지대(300)는 사각 단면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일 수 있다. 이때, 수평지지대(200)는 수직지지대(300)와 용접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지지대(300)는 고정기구를 장착하기 위해 갭을 형성한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예로 1개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단열재(400)는 서로 마주한 상태의 평판(100)과 내부거푸집패널(미도시) 사이의 공간에서 양생되는 콘크리트를 외부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단열재(400)는 평판(100)의 수평지지대(200)가 설치된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단열재(400)는 수평지지대(200)들 사이에 본딩을 배제한 채 끼움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끼움장착된 단열재(400)는 가압수단에 의해 고정 및 유지되고, 필요시 간단하게 평판(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재(400)는 도 4에서 보듯이 수평지지대(200)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고, 가압수단에 의해 눌릴 수 있다.
그리고 가압수단은 단열재(400)를 평판(100)에 밀착시키는 수단이다. 이 가압수단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수직지지대(300)에 고정된 제1앵글(510), 도 5에서와 같이 수평지지대(200)에 고정된 제2앵글(5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앵글(510)은 수직지지대(300)에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앵글(510)은 도 4에서와같이 단열재(400)를 눌러서 단열재(400)가 평판(100)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앵글(520)은 제1앵글(510)처럼 수평지지대(200)의 일 측 또는 양측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앵글(520)은 단열재(400)를 눌러서 단열재(400)가 평판(100)에 더욱 견고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앵글(510)과 제2앵글(520)은 각각의 수직지지대(300) 및 수평지지대(2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일정간격 위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계 특성상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벽체가 형성된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보다 조밀하게 앵글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수직지지대(300)들 간의 간격이 450mm를 넘길경우 보강적 강도의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보강 가압수단으로 도 6a, 도 6b에서 보듯이, 수평지지대(200) 및 수직지지대(300)의 대응되는 양쪽에 설치된 앵글의 저면으로 띠판 구조의 수평 및 수직가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압대는 금속, 비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길이가 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대는 상기 앵글의 저면에 위치하여 나사결합 또는 볼트 결합 또는 용접 또는 본딩 등을 포함한 통상의 방식으로 체결되어 단열재(400)를 평판(100)과 밀착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실제 도 6a 및 도 6b에서는 긴변을 갖는 찬넬형태의 가압대(540)로 구성했다. 이 경우에는 제1앵글(510) 및 제2앵글(520)의 저면에 띠판을 고정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서 시공이 간편해 진다.
한편, 도 6c는 보강수단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써, 수직지지대(300)들 간의 간격이 450mm를 넘길경우 안전한 보강적 강도의 필요가 있다.
이에 20*40의 사각관파이프 형태의 보강대(500)를 압착보강치구로하여 수직지지대 사이의 1/2 지점에 용접고정하고 그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제3앵글(530)을 용접 또는 고정부착하여 단열재를 가압하도록 한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앵글의 고정단에는 장공(H)이 형성되어 볼트(B)로 고정함으로써 가압의 정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앵글의 가압단에는 나비볼트(N)의 선단에 가압판(P)을 피봇힌지 결합하여 가압의 부분적인 면적확대와 기울기에 대응한 가압 및 그 정도를 상기 제1 내지 제3앵글 고정단의 장공(H)에 의한 고정과 함께 가압의 1차 2차 등의 미세 보정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은 설게 치수에 따라 맞아 떨어지지 않는 현장 사정에 따른 보완 보정을 이루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강 가압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수직지지대(300)에 고정된 제1앵글(510)에 기립된 브래킷(511), 상기 브래킷에 힌지결합되는 제1 링크(512), 상기 제1링크와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513) 그리고 상기 제2링크 선단이, 하변이 긴 자유단인 제4앵글(514)의 기립된 브래킷(515)에 힌지결합된 구성으로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힌지결합부에는 반전 스프링(도시 안됨)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서와 같이 위에서 아래의 그림으로 설명하자면,
제1링크(512)와 제2링크(513)는 단열재(400) 측에서 떨어져 있으나 두 링크 사이의 볼록한 부위를 도구등으로 외력을 가하면 반전되어 록킹 되면서 제3앵글(530)의 긴변이 단열재를 가압하도록 되며, 해제 시에는 제3앵글(530)의 긴변과 제1, 2링크(512, 513) 사이로 지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재키면 역순으로 제1,2 링크(512, 513)가 반전되어 단열재의 잠금을 해제하여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제3앵글(530)의 긴변이 일정폭의 길이재로 표현되었으나, 이는 장벙형의 판상 또는 정방형의 판상으로 형성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하면 수직 지지대(300)와 수평지지대(200)의 크로스로 이루는 일평면을 거의 커버하는 형태로도 가능할 것이다.
그럴 경우에는 상기 힌지결합된 제1, 2링크(512,513)는 적어도 상하 한 쌍ㅇ으로 설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서 보듯이, 평판(100)과 단열재(400) 사이에 보조단열재(710)를 삽입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단열재(710)는 평판(100)과 단열재(400) 사이에 배치된 후 수직지지대(300)에 장착된 제1앵글(510), 제2앵글(520) 및 이를 포함한 가압대(540)에 의해 견고히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보조단열재(710)는 대략 벌집 형상의 단열폼(711)과, 단열폼(711)의 양측면에 부착된 단열시트(712)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 보조단열재(710)는 대략 단열재(400)의 크기이면서 두께는 일례로 5 ~ 20mm 정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평판 200:수평지지대
300:수직지지대 400:단열재
500:보강대 510:제1앵글
520:제2앵글 530:제3앵글
540:가압대 600:고정기구
710:보조단열재 711:단열폼

Claims (7)

  1. 평판(100), 평판(100)의 일면에 수평이면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수평지지대(200), 수평지지대(200)를 가로질러 수직이면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수직지지대(300), 수평지지대(200)들 사이에 배치된 단열재(400)와, 이 단열재(400)를 평판(100)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단열구조의 갱폼에서,
    상기 가압수단은,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는 'ㄴ'자 형상이고 수직부에 가공된 장공(H)을 관통하여 체결된 볼트(B)를 매개로 수직지지대(300)에 고정되는 제1앵글(510)과, 이 제1앵글(510)의 수평부를 관통하여 체결된 제2볼트(N)에 의해 단열재(400)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가압판(P)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B)가 장공(H)를 따라 이동 및 고정되어 제1앵글(510)과 단열재(400) 간의 간격이 조정되는 제1앵글(510)의 위치 조정과, 볼트(N)의 관통 길이에 의해 가압판(P)이 단열재(400)를 가압하는 가압 정도의 조정으로, 2차례에 걸쳐 단열재(400)의 가압 정도가 조정되거나,

    또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는 'ㄴ'자 형상이고 수직부가 당해 수직지지대(300)에 고정되며 수평부에서 돌출된 브래킷을 구비한 제1앵글(510), 이 제1앵글(510)의 브래킷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된 제1링크(512), 제1링크(512)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된 제2링크(513),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는 'ㄴ'자 형상이고 일부위에 가공된 브래킷에 제2링크(513)의 타측부가 힌지 결합된 제3앵글(5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512)와 제2링크(513)의 힌지 결합부위가 단열재(400) 반대측으로 굴절된 상태에서, 제3앵글(530)의 수직부 및 수평부가 이웃한 수직지지대(300) 및 단열재(400)에 밀착되면 제1링크(512)와 제2링크(513)의 힌지 결합부위가 단열재(400)측으로 굴절되도록 함으로써, 제3앵글(530)이 단열재(400)를 가압하여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2. 청구항 1에서,
    상기 가압판(P)은 단열재(400)의 기울기에 상응하여 전체 면이 접촉되면서 가압력을 고루 제공하도록 볼트(B)와 피봇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3.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수평지지대(200)들 또는 수직지지대(300)들 가로질러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단열재(400)를 가압하도록 설치된 가압대(540), 수직지지대(300)의 측면에 고정되어 단열재(400)를 가압하도록 설치된 'ㄴ'자 형상의 앵글, 수평지지대(200)의 측면에 고정되어 단열재(400)를 가압하도록 설치된 'ㄴ'자 형상의 제2앵글(5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06970A 2020-08-25 2020-08-25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KR102285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970A KR102285511B1 (ko) 2020-08-25 2020-08-25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970A KR102285511B1 (ko) 2020-08-25 2020-08-25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511B1 true KR102285511B1 (ko) 2021-08-03

Family

ID=7731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970A KR102285511B1 (ko) 2020-08-25 2020-08-25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5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645B1 (ko) * 2022-01-25 2023-02-09 앤에스폼 주식회사 단열 갱폼
KR20230100256A (ko) * 2021-12-28 2023-07-05 동경금속(주) 단열 조립체가 구비된 시스템 거푸집
CN117605166A (zh) * 2023-12-04 2024-02-27 陕西建工第三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免拆复合保温板的加固装置及其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18B1 (ko) 2009-09-25 2011-04-06 강인선 외부 단열 갱폼,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KR101202061B1 (ko) 2012-05-24 2012-11-15 대건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KR101224293B1 (ko) 2012-05-25 2013-01-21 대건기술 주식회사 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
KR20170142852A (ko) * 2016-06-20 2017-12-28 에이스아이엔씨 주식회사 열교차단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KR20180002786U (ko) * 2017-03-20 2018-10-01 조진규 건축용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장치
KR101958237B1 (ko) * 2018-09-07 2019-05-22 (주)신일산업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18B1 (ko) 2009-09-25 2011-04-06 강인선 외부 단열 갱폼,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KR101202061B1 (ko) 2012-05-24 2012-11-15 대건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KR101224293B1 (ko) 2012-05-25 2013-01-21 대건기술 주식회사 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
KR20170142852A (ko) * 2016-06-20 2017-12-28 에이스아이엔씨 주식회사 열교차단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KR20180002786U (ko) * 2017-03-20 2018-10-01 조진규 건축용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장치
KR101958237B1 (ko) * 2018-09-07 2019-05-22 (주)신일산업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256A (ko) * 2021-12-28 2023-07-05 동경금속(주) 단열 조립체가 구비된 시스템 거푸집
KR102615547B1 (ko) * 2021-12-28 2023-12-19 동경금속(주) 단열 조립체가 구비된 시스템 거푸집
KR102498645B1 (ko) * 2022-01-25 2023-02-09 앤에스폼 주식회사 단열 갱폼
CN117605166A (zh) * 2023-12-04 2024-02-27 陕西建工第三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免拆复合保温板的加固装置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511B1 (ko)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KR101386054B1 (ko) 건축 공사용 거푸집 차폐 장치
KR101958237B1 (ko)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KR101544153B1 (ko) 건축물의 외벽 고정 시스템
KR200432977Y1 (ko) 막 설치구조
KR101258188B1 (ko) 건축물 콘크리트벽 단열재 연결장치
KR101062223B1 (ko)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된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1119605B1 (ko)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KR20200103985A (ko) 건축용 단열패널 시공시스템
KR102033624B1 (ko) 외단열재가 일체로 구비되는 건물용 갱폼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42015B1 (ko) 발열거푸집
JP2009007821A (ja) 太陽電池パネルを設置した瓦葺き屋根における瓦補強構造
JP4888278B2 (ja) 基礎の防蟻構造
JPH0368187B2 (ko)
EP3319228B1 (en) An integrated solar panel to a tiled roof
KR101785722B1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JP2009041266A (ja) 外断熱用複合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目地構造
RU2616311C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ВАРИАНТЫ)
JP7115922B2 (ja) 断熱構造及び建物
JP4989270B2 (ja) 外断熱構造における通気構造
KR20170090959A (ko) 충전형 상부 플랜지를 갖는 거더를 이용한 단부 흉벽 일체형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230001872U (ko) 단열 갱폼
JP2009243164A (ja)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
CN114800772B (zh) 一种边模装置及外墙外保温保护系统的制备方法
CN110409655A (zh) 一种现浇混凝土免拆复合模板保温系统及其施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