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443B1 - Uv 잉크젯 면경화 및 테두리 제어용 경화시스템 - Google Patents

Uv 잉크젯 면경화 및 테두리 제어용 경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443B1
KR102285443B1 KR1020200008892A KR20200008892A KR102285443B1 KR 102285443 B1 KR102285443 B1 KR 102285443B1 KR 1020200008892 A KR1020200008892 A KR 1020200008892A KR 20200008892 A KR20200008892 A KR 20200008892A KR 102285443 B1 KR102285443 B1 KR 102285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sub
plate
edg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5292A (ko
Inventor
강용훈
구교욱
김경용
Original Assignee
유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8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443B1/ko
Priority to KR1020210099419A priority patent/KR1023774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2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single means not covered by groups B05C1/00 - B05C7/00, whether or not also using o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2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일면 상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맞물려서 이동하는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 및 상기 서브플레이트(220)의 일면에 배치되는 선경화모듈(230);을 포함하는 테두리경화장치(200)를 제공한다. 상기 선경화모듈(230)은 일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232); 및 상기 하우징(232)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하나의 경화장치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피처리체(400)에 대해 테두리영역(420)을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UV 잉크젯 면경화 및 테두리 제어용 경화시스템{CURING SYSTEM FOR UV INKJET FACE HARDENING AND EDGE CONTROL}
본 발명은 경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패널의 테두리를 경화시킬 수 있고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테두리경화장치 및 하나의 경화장치로 면경화 및 테두리경화를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경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발되면서 패널의 크기/형태, 레진의 종류에 따라 생산공정이 세분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시, OCR(optically clear resin) 등과 같은 레진을 이용하여 패널 접합 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패널에 도포된 레진을 경화시키는 면경화공정은 물론 패널의 테두리에 댐을 형성하는 테두리경화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에는 상기 패널의 크기/형태, 레진의 종류, 경화영역(면경화 또는 테두리경화)에 따라 서로 다른 공정/장치에서 경화가 수행되었으므로 경화장치의 개수, 경화공정의 수가 증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비용 및 제조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2092호는 패널 합착시 패널 테두리의 UV 레진 경화에 적합한 UV 경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패널의 일측 테두리에 대응되게 일열로 배열된 UV 엘이디 모듈들의 어레이와, 상기 UV 엘이디 모듈들을 단위 개별 구동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패널크기/형태, 레진 종류, 경화영역(면경화 또는 테두리경화)에 따라 다양한 조건에서 하나의 경화장치로 경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경화장치를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패널의 테두리를 경화시킬 수 있는 테두리경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테두리경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경화장치로 면경화 및 테두리경화를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경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2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일면 상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맞물려서 이동하는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 및 상기 서브플레이트(220)의 일면에 배치되는 선경화모듈(230);을 포함하는 테두리경화장치(200)를 제공한다.
상기 선경화모듈(230)은 일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232); 및 상기 하우징(232)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경화모듈(230)은 다른 선경화모듈(230)과 일지점에서 연결되고, 상기 일지점을 연결하면 다각형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다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가 변경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선경화모듈(230)에 대해서 상기 일지점 주변에는 상기 다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를 나타내는 눈금(237)이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서브플레이트(220)에는 서브플레이트(2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이동경로 가이드레일 또는 이동경로 가이드홈이 형성된다(214, 224).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서브플레이트(220)의 가장자리에는 인접하는 서브플레이트(220)와 결합되는 결합유지 가이드레일 또는 결합유지 가이드홈(226, 228)이 형성되고 상기 인접하는 서브플레이트(220)는 상기 결합유지 가이드레일 또는 결합유지 가이드홈(226, 228)을 따라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 중 적어도 한 개의 서브플레이트(220)는 서브플레이트(220)를 이동시키는 위치조절부(240)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조절부(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가 맞물려서 이동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5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선경화모듈(53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 및 상기 선경화모듈(530) 사이에 구비되고 일면이 베이스플레이트(510)와 결합되고 타면이 선경화모듈(530)과 결합되어 선경화모듈(530)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수 개의 스테이지(540);를 포함하는 테두리경화장치(600)를 제공한다.
상기 선경화모듈(530)은 일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경화모듈(230, 530)은 상기 하우징(232)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하우징(232)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238)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가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면경화장치(100);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상기 테두리경화장치(200); 및 상기 테두리경화장치(2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하는 경화시스템(10)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내측에는 관통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2)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 및 복수 개의 상기 선경화모듈(230)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플레이트(22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브플레이트(220)는 상기 관통공(212)의 주변부를 막으면서 상기 관통공(212)의 중심부로 이동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가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면경화장치(100);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상기 테두리경화장치(500); 및 상기 테두리경화장치(5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하는 경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내측에는 관통공(5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12)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선경화모듈(530) 및 스테이지(540)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테두리경화장치(500)는 상기 지지부(3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에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생성하는 발광소자(112a, 112b)가 교대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는, 제1서브플레이트(220a); 일측면의 일부가 상기 제1서브플레이트(220a)와 접촉결합된 상태로 제1서브플레이트(220a)에 대해 제1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서브플레이트(220b); 일측면의 일부가 상기 제2서브플레이트(220b)와 접촉결합된 상태로 제2서브플레이트(220b)에 대해 제2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서브플레이트(220c); 및 일측면의 일부가 상기 제3서브플레이트(220c)와 접촉결합된 상태로 제3서브플레이트(220c)에 대해 상기 제1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일측면의 일부가 상기 제1서브플레이트(220a)와 접촉결합된 상태로 제1서브플레이트(220a)에 대해 상기 제2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서브플레이트(22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서브플레이트(220b)는 제2서브플레이트(220b)와 일체로 이동하고 제3서브플레이트(220c)에 형성된 제2결합유지 가이드(228c)와 결합되는 제1결합유지 가이드(226b)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유지 가이드(226b) 및 상기 제2결합유지 가이드(228c)는 상기 제2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서브플레이트(220c)는 제3서브플레이트(220c)와 일체로 이동하고 제4서브플레이트(220d)에 형성된 제4결합유지 가이드(228d)와 결합되는 제3결합유지 가이드(226c)를 구비하고, 상기 제3결합유지 가이드(226c) 및 상기 제4결합유지 가이드(228d)는 상기 제1축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면 상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맞물려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플레이트(220)에 배치되는 선경화모듈(230) 복수 개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가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경화장치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피처리체(400)의 테두리영역(420)이 경화될 수 있어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처리체(400)의 크기, 형태에 따라 경화장치의 교체가 불필요하여 경화장치의 개수, 경화공정의 개수가 감소하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경화모듈(230) 복수 개가 연결되어 형성된 다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가 서브플레이트(220)의 이동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경화장치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피처리체(400)의 테두리영역(420)이 경화될 수 있어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경화모듈(230)이 다른 선경화모듈(230)과 연결되는 일지점 주변에 선경화모듈(230)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를 나타내는 눈금(237)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플레이트(220)를 눈금에 맞추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피처리체(400)의 형태 또는 크기에 따라 서브플레이트(220)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플레이트(210)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서브플레이트(220)에는 서브플레이트(2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이동경로 가이드레일 또는 이동경로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서브플레이트(220)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한 개의 서브플레이트(220)의 가장자리에는 인접하는 서브플레이트(220)와 결합되는 결합유지 가이드레일 또는 결합유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서브플레이트(220)는 결합유지 가이드(226, 228)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서브플레이트(220)가 다른 서브플레이트(220)와 맞물려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조절부(240)가 적어도 한 개의 서브플레이트(220)에 구비되고 위치조절부(240)의 제어에 따라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가 맞물려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플레이트(220)에 배치되는 선경화모듈(230) 복수 개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각형(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가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지(540)가 베이스플레이트(510) 및 선경화모듈(5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선경화모듈(530)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가 빈틈없이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경화모듈(230)이 하우징(232)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23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경화모듈(230)에서 생성되는 빛의 조사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정확한 위치에서 빈틈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면경화장치(100)의 전면에 관통공(212)이 형성된 테두리경화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경화장치로 내부영역(410)에 대한 경화(면경화) 및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화영역(410, 420)에 따라 경화장치의 교체가 불필요하여 경화장치의 개수 및 경화공정의 수가 감소하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공(212)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 및 선경화모듈(23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영역(410) 및 테두리영역(420) 사이의 영역에 대해서도 경화가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서브플레이트(220)를 이동시켜 관통공(212)의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으므로 하나의 경화장치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피처리체(400)에 대해 내부영역(410)에 대한 경화(면경화) 및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처리체(400)의 크기, 형태 또는 경화영역(410, 420)에 따라 경화장치의 교체가 불필요하여 경화장치의 개수, 경화공정의 개수가 감소하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플레이트(220)가 베이스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관통공(2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브플레이트(220)가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관통공(212)의 주변부를 막으면서 관통공(212)의 중심부로 맞물려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경화장치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피처리체(400)에 대해 내부영역(410)에 대한 경화(면경화) 및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두리경화장치(200, 500)가 지지부(3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피처리체(400)의 형태 또는 크기에 맞추어 테두리경화장치(5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경화장치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피처리체(400)에 대해 내부영역(410)에 대한 경화(면경화) 및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경화장치(200, 500)를 용이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플레이트(110)에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생성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a, 112b)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경화장치로 서로 다른 파장의 빛에 의해 경화되는 다양한 종류의 레진이 도포되는 내부영역(410)이 경화될 수 있으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레진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경화장치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서 경화장치의 개수, 경화공정의 개수가 감소하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화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시스템에 안착된 피처리체에서 상방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피처리체의 내부영역에 대해 경화가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피처리체의 테두리영역에 대해 경화가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경화장치의 상부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시스템에 안착된 피처리체에서 상방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의 서브플레이트가 맞물려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경화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금이 표시된 테두리경화장치에서 특정한 눈금을 가리키도록 선경화모듈이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점선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금이 표시된 테두리경화장치에서 다른 특정한 눈금을 가리키도록 선경화모듈이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점선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경화모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경화시스템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화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시스템에 안착된 피처리체에서 상방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시스템(10)은 면경화장치(100), 면경화장치(100)의 하방(전면)에 설치되는 테두리경화장치(200) 및 테두리경화장치(2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테두리경화장치(200)의 하방(전면)에는 피처리체(400)가 배치될 수 있다.
피처리체(400)는 내부영역(410) 및 테두리영역(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내부영역(410) 및 테두리영역(420)은 각각 면경화장치(100) 및 테두리경화장치(200)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시스템(10)에 포함된 면경화장치(100)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가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한다.
또한, 테두리경화장치(200)는 내측에 관통공(212)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210), 관통공(2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도 3에서는 4개)의 서브플레이트(220) 및 복수 개(도 3에서는 4개)의 선경화모듈(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한다.
도 4는 피처리체의 내부영역에 대해 경화가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피처리체의 테두리영역에 대해 경화가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참조하면, 피처리체(400)의 내부영역(410)은 면경화장치(100)의 상부플레이트(110)에 배치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어 테두리경화장치(200)의 관통공(212)을 통과한 빛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피처리체(400)의 테두리영역(420)은 테두리경화장치(200)의 선경화모듈(230)에 배열된 발광소자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경화장치(100)의 전면에 관통공(212)이 형성된 테두리경화장치(200)가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경화장치로 내부영역(410)에 대한 경화(면경화) 및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화영역(410, 420)에 따라 경화장치의 교체가 불필요하여 경화장치의 개수 및 경화공정의 수가 감소하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관통공(212)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 및 선경화모듈(230)이 배치됨으로써, 내부영역(410) 및 테두리영역(420) 사이의 영역에 대해서도 경화가 빈틈없이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서브플레이트(220)를 이동시켜 관통공(212)의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으므로 하나의 경화장치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피처리체(400)에 대해 내부영역(410)에 대한 경화(면경화) 및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처리체(400)의 크기, 형태 또는 경화영역(410, 420)에 따라 경화장치의 교체가 불필요하여 경화장치의 개수, 경화공정의 개수가 감소하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면경화장치]
면경화장치(100)는 경화시스템(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부플레이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10)와 관련하여, 도 6을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경화장치의 상부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플레이트(110)에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가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상부플레이트(110)에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생성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a, 112b)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45nm, 365nm, 385nm 중 적어도 두 개 파장의 빛을 생성하는 발광소자(112)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10)에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생성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a, 112b)가 교대로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경화장치로 서로 다른 파장의 빛에 의해 경화되는 다양한 종류의 레진이 도포된 내부영역(410)이 경화될 수 있으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레진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경화장치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서 경화장치의 개수, 경화공정의 개수가 감소하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테두리경화장치]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200)는 베이스플레이트(210), 서브플레이트(220) 및 선경화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상부플레이트(1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내측에 관통공(2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테두리경화장치(200)가 도 1 내지 도 5와 달리 면경화장치(100)와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5, 도 7 및 도 8과 달리,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관통공(212)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상부플레이트(110)의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된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서브플레이트]
서브플레이트(220)는 복수 개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브플레이트(220)는 베이스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관통공(2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브플레이트(22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부플레이트(110)의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된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는 도 8과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면 상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때에, 서브플레이트(220)는 다른 서브플레이트(220)와 서로 맞물려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맞물려서 이동한다는 것은 서브플레이트(220)의 일측면의 일부가 다른 서브플레이트(220)와 접촉결합된 상태로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면 상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맞물려서 이동함으로써, 서브플레이트(220)에 배치되는 선경화모듈(230) 복수 개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각형(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가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경화장치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피처리체(400)의 테두리영역(420)이 경화될 수 있어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처리체(400)의 크기, 형태에 따라 경화장치의 교체가 불필요하여 경화장치의 개수, 경화공정의 개수가 감소하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 때에, 서브플레이트(220)는 베이스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관통공(212)의 주변부를 막으면서 상기 관통공(212)의 중심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 및 도 10을 살펴본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시스템에 안착된 피처리체에서 상방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서브플레이트(220)는 베이스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관통공(2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브플레이트(220)가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관통공(212)의 주변부를 막으면서 관통공(212)의 중심부로 맞물려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플레이트(110)에 배치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된 빛이 테두리경화장치(200)를 통과할 수 있는 면적이 작아지므로, 피처리체(410)의 내부영역(410)의 크기, 형태에 맞추어 면경화장치(100)의 발광소자(112)에서 생성된 빛이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플레이트(220)가 베이스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관통공(2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브플레이트(220)가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관통공(212)의 주변부를 막으면서 관통공(212)의 중심부로 맞물려서 이동함으로써, 하나의 경화장치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피처리체(400)에 대해 내부영역(410)에 대한 경화(면경화) 및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처리체(400)의 크기, 형태 또는 경화영역(410, 420)에 따라 경화장치의 교체가 불필요하여 경화장치의 개수, 경화공정의 개수가 감소하므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서브플레이트(220)의 이동과 관련하여 도 11 내지 19를 살펴본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서브플레이트(220)에는 서브플레이트(2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이동경로 가이드레일 또는 이동경로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214, 224).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제1이동경로 가이드레일(214b)이 형성되고 제2서브플레이트(220b)에는 제1이동경로 가이드홈(224b)이 형성되어, 제2서브플레이트(220b)가 제1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제2이동경로 가이드홈(214c)이 형성되고 제3서브플레이트(220c)에는 제2이동경로 가이드레일(224c)이 형성되어, 제3서브플레이트(220c)가 사선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제3이동경로 가이드홈(214d)이 형성되고 제4서브플레이트(220d)에는 제3이동경로 가이드레일(224d)이 형성되어, 제4서브플레이트(220d)가 제2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베이스플레이트(210) 또는 서브플레이트(220)에 형성되는 가이드가 가이드레일인지 가이드홈인지 여부, 서브플레이트(220)가 이동하는 방향, 가이드레일/홈이 형성된 방향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 내지 도 13과 달리, 베이스플레이트(210) 및 서브플레이트(220)에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이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과 달리, 베이스플레이트(210) 및 제2서브플레이트(220b)에는 제1이동경로 가이드레일(224b) 및 제1이동경로 가이드홈(224b)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서브플레이트(220b)가 제1축방향이 아니라 사선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과 달리, 베이스플레이트(210) 및 제1서브플레이트(220a)에 제4이동경로 가이드레일 및 제4이동경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제1서브플레이트(220a)가 사선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10)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서브플레이트(220)에는 서브플레이트(2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이동경로 가이드레일 또는 이동경로 가이드홈이 형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서브플레이트(220)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피처리체(400)의 형태비율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210) 및 서브플레이트(220)에 형성/배치되는 이동경로 가이드레일 및 이동경로 가이드홈의 기울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동경로 가이드레일 및 이동경로 가이드홈의 기울기가 피처리체(400)의 형태비율에 따라 결정되면, 서브플레이트(220)에 배치되는 선경화모듈(230) 복수 개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각형(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의 형태비율이 피처리체(400)의 형태비율과 동일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에 해당하는 피처리체(400)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 비율이 a:b 인 경우에, 도 11 내지 도 18에서 제2이동경로 가이드홈(214c) 및 제2이동경로 가이드레일(224c)이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tan-1(a/b)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배치되면, 서브플레이트(220)에 배치되는 선경화모듈(230) 복수 개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의 비율이 피처리체의 비율과 동일하게 a:b 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처리체(400)의 형태비율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210) 및 서브플레이트(220)에 형성/배치되는 이동경로 가이드레일 및 이동경로 가이드홈의 기울기가 결정됨으로써, 서브플레이트(220)에 배치되는 선경화모듈(230) 복수 개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각형(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의 형태비율이 피처리체(400)의 형태비율로 용이하게 형성/변경될 수 있다.
한편, 서브플레이트(220)가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에 서브플레이트(220)는 다른 서브플레이트(220)와 서로 맞물려서 이동할 수 있다. 서브플레이트(220)가 맞물려 이동할 때에 서브플레이트(220)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제2서브플레이트(220b)는 일측면의 일부가 제1서브플레이트(220a)와 접촉결합된 상태로 제1서브플레이트(220a)에 대해 제1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3서브플레이트(220c)는 일측면의 일부가 제2서브플레이트(220b)와 접촉결합된 상태로 제2서브플레이트(220b)에 대해 제2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4서브플레이트(220d)는 일측면의 일부가 제3서브플레이트(220c)와 접촉결합된 상태로 제3서브플레이트(220c)에 대해 제1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일측면의 일부가 제1서브플레이트(220a)와 접촉결합된 상태로 제1서브플레이트(220a)에 대해 제2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서브플레이트(220)가 다른 서브플레이트(220)와 맞물려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개의 서브플레이트(220)의 가장자리에는 인접하는 서브플레이트(220)와 결합되는 결합유지 가이드레일 또는 결합유지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226, 228, 이하, 결합유지 가이드). 인접하는 서브플레이트(220)는 결합유지 가이드(226, 228)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제2서브플레이트(220b)는 제2서브플레이트(220b)와 일체로 이동하고 제3서브플레이트(220c)에 형성된 제2결합유지 가이드(228c)와 결합되는 제1결합유지 가이드(226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결합유지 가이드(226b) 및 제2결합유지 가이드(228c)는 제2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서브플레이트(220c)는 제3서브플레이트(220c)와 일체로 이동하고 제4서브플레이트(220d)에 형성된 제4결합유지 가이드(228d)와 결합되는 제3결합유지 가이드(226c)를 구비할 수 있다. 제3결합유지 가이드(226c) 및 제4결합유지 가이드(228d)는 제1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서브플레이트(220)가 다른 서브플레이트(2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 결합유지 가이드(226, 228)가 형성된 방향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과 달리, 제1서브플레이트(220a)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제4서브플레이트(220d)와 제1서브플레이트(220b) 사이 및 제1서브플레이트(220a)와 제2서브플레이트(220b) 사이에도 결합유지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한 개의 서브플레이트(220)의 가장자리에는 인접하는 서브플레이트(220)와 결합되는 결합유지 가이드레일 또는 결합유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서브플레이트(220)는 결합유지 가이드(226, 228)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서브플레이트(220)가 다른 서브플레이트(220)와 맞물려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의 서브플레이트가 맞물려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서브플레이트(220) 복수 개가 맞물려서 이동함에 따라 서브플레이트(220)에 배치되는 선경화모듈(230) 복수 개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각형(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의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 내지 도 18에서 4개의 선경화모듈(230a 내지 230d)을 연결한 직사각형의 대각선 길이는 각각 15.6인치, 13.4인치, 12.3인치, 10인치 및 9인치에 해당할 수 있다.
[선경화모듈]
선경화모듈(230)은 서브플레이트(22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경화모듈(230)은 베이스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관통공(2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선경화모듈(230)과 관련하여 도 19 및 도 20을 살펴본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경화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선경화모듈(230)은 일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선형 하우징(232), 개구에 설치되는 렌즈(234) 및 하우징(232) 내에 하우징(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미도시됨)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렌즈(234)는 하우징(232) 내에 배열된 발광소자(미도시됨)에서 생성된 빛을 집광시켜 피처리체(400)의 테두리영역(420)에 조사할 수 있다.
선경화모듈(230)은 다른 선경화모듈(230)과 일지점에서 연결될 수 있고 일지점들을 연결하면 다각형(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브플레이트(220)가 맞물려서 이동하면 서브플레이트(220)의 일면에 배치된 선경화모듈(230)도 일정한 방향으로 맞물려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다각형(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 때에, 적어도 한 개의 선경화모듈(230)에 대해서 상기 일지점 주변에는 상기 다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를 나타내는 눈금(237)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1 내지 도 24를 살펴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금이 표시된 테두리경화장치에서 특정한 눈금을 가리키도록 선경화모듈이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점선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금이 표시된 테두리경화장치에서 다른 특정한 눈금을 가리키도록 선경화모듈이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점선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선경화모듈(230)이 다른 선경화모듈(230)과 연결되는 일지점에 5개의 눈금(237)이 표시된 지그(236)가 배치될 수 있다. 눈금(237)은 선경화모듈(230a 내지 230d)을 연결한 직사각형의 대각선 길이가 각각 15.6인치, 13.4인치, 12.3인치, 10인치 및 9인치에 해당할 때에, 선경화모듈(230)이 다른 선경화모듈(230)과 연결되는 올바른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위치조절부(240)를 이용하여 서브플레이트(220) 및 선경화모듈(230)을 눈금에 맞추어 이동시키면, 선경화모듈(230a 내지 230d)을 연결한 다각형(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이 눈금에 해당하는 형태 또는 크기(도면에서는 대각선 길이)를 가지도록 변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선경화모듈(230a 내지 230d)을 연결한 직사각형이 15.6인치의 대각선 길이를 가지도록 선경화모듈(230)을 이동시킨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에, 테두리경화장치(200)의 하방(전면)에 배치되는 피처리체(400)는 예를 들면 15.6인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선경화모듈(230a 내지 230d)을 연결한 직사각형이 9인치의 대각선 길이를 가지도록 선경화모듈(230)을 이동시킨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에, 테두리경화장치(200)의 하방(전면)에 배치되는 피처리체(400)는 예를 들면 9인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경화모듈(230) 복수 개가 연결되어 형성된 다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가 서브플레이트(220)의 이동에 따라 변경됨으로써, 하나의 경화장치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피처리체(400)에 대해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수행될 수 있어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선경화모듈(230)이 다른 선경화모듈(230)과 연결되는 일지점 주변에 선경화모듈(230)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를 나타내는 눈금(237)이 표시됨으로써, 서브플레이트(220)를 눈금에 맞추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피처리체(400)의 형태 또는 크기에 따라 서브플레이트(220)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선경화모듈(230)이 베이스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관통공(2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경화장치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피처리체(400)에 대해 내부영역(410)에 대한 경화(면경화) 및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
위치조절부(240)는 적어도 한 개의 서브플레이트(22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 내지 도 18과 같이, 위치조절부(240)는 제2서브플레이트(220b)에 구비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240)는 나사식 이동 스테이지 및 인치 조절 손잡이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240)의 제어에 따라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가 맞물려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조절부(240)가 적어도 한 개의 서브플레이트(220)에 구비되고 위치조절부(240)의 제어에 따라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가 맞물려서 이동함으로써, 서브플레이트(220)에 배치되는 선경화모듈(230) 복수 개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각형(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가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지지부]
지지부(300)는 경화시스템(10)에 구비될 수 있고, 테두리경화장치(200) 또는 후술할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500)를 지지할 수 있다.
테두리경화장치(200, 500)는 지지부(3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지지부(300)에는 테두리경화장치(200, 5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 510) 양측단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테두리경화장치(200, 500)를 경화시스템(10)에 탈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두리경화장치(200, 500)가 지지부(3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피처리체(400)의 형태 또는 크기에 맞추어 테두리경화장치(5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경화장치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피처리체(400)에 대해 내부영역(410)에 대한 경화(면경화) 및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피처리체(400)의 제조비용 및 경화설비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경화장치(200, 500)를 용이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다.
[테두리경화장치]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500)는 베이스플레이트(510), 선경화모듈(530) 및 스테이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테두리경화장치(500)는 경화시스템(10)에 설치된 도 1 내지 도 5의 테두리경화장치(200)를 갈음할 있다.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510)는 상부플레이트(1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내측에 관통공(5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테두리경화장치(500)가 도 1 내지 도 5와 달리 면경화장치(100)와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25 내지 도 27과 달리,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관통공(212)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베이스플레이트(510)는 상부플레이트(110)의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된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선경화모듈]
선경화모듈(530)은 베이스플레이트(510)의 일면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경화모듈(530)은 베이스플레이트(510)에 형성된 관통공(5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선경화모듈(530)과 관련된 다른 구성은 도 19 및 도 20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스테이지]
스테이지(540)는 베이스플레이트(510) 및 선경화모듈(5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스테이지(540)의 일면은 베이스플레이트(510)와 결합되고 타면은 선경화모듈(53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540)는 고정밀도 위치조절 스테이지에 해당할 수 있다.
스테이지(540)는 선경화모듈(5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스테이지(540)는 도 26과 같이 선경화모듈(53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27과 같이 선경화모듈(53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이지(540)가 베이스플레이트(510) 및 선경화모듈(530)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선경화모듈(530)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빈틈없이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경화모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선경화모듈(230)은 각도조절부(23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238)는 일면이 하우징(232)의 타단부와 결합될 수 있고 타면이 서브플레이트(220)와 결합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238)는 하우징(23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경화모듈(230)이 하우징(232)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23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선경화모듈(230)에서 생성되는 빛의 조사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테두리영역(420)에 대한 경화(테두리경화)가 정확한 위치에서 빈틈없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9와 같이 하우징(232)의 각도를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각도조절부(238)를 조절함으로써, 테두리영역(420) 중에서 내부영역(410)과 인접한 영역에 대한 경화가 빈틈없이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각도조절부(238)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경화장치(500)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 때에는, 각도조절부(238)의 일면이 하우징(532)의 타단부와 결합될 수 있고 각도조절부(238)의 타면이 스테이지(540)의 타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경화시스템
100: 면경화장치
110: 상부플레이트 112: 발광소자
200: 테두리경화장치
210: 베이스플레이트 212: 관통공
214: 이동경로 가이드
220: 서브플레이트 224: 이동경로 가이드
226, 228: 결합유지 가이드
230: 선경화모듈
232: 하우징 234: 렌즈
236: 지그 237: 눈금
238: 각도조절부 240: 위치조절부
300: 지지부
400: 피처리체
500: 테두리경화장치
510: 베이스플레이트 530: 선경화모듈
540: 스테이지

Claims (13)

  1.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가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면경화장치(100);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테두리경화장치(200); 및
    상기 테두리경화장치(2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하는 경화시스템으로서,
    상기 테두리경화장치(200)는:
    내측에 관통공(212)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면 상에 상기 관통공(2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선경화모듈(230);을 포함하고,
    상기 선경화모듈(230)은 일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232); 및 상기 하우징(232)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화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경화장치(2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면에 상기 관통공(2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일면 상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맞물려서 이동하는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선경화모듈(230)은 상기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기 일면 상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맞물려서 이동하는, 경화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경화모듈(230)은 다른 선경화모듈(230)과 일지점에서 연결되고,
    상기 일지점을 연결하면 다각형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다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선경화모듈(230)에 대해서 상기 일지점 주변에는 상기 다각형의 형태 또는 크기를 나타내는 눈금(237)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서브플레이트(220)에는 서브플레이트(2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이동경로 가이드레일 또는 이동경로 가이드홈이 형성(214, 224)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서브플레이트(220)의 가장자리에는 인접하는 서브플레이트(220)와 결합되는 결합유지 가이드레일 또는 결합유지 가이드홈(226, 228)이 형성되고 상기 인접하는 서브플레이트(220)는 상기 결합유지 가이드레일 또는 결합유지 가이드홈(226, 228)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 중 적어도 한 개의 서브플레이트(220)는 서브플레이트(220)를 이동시키는 위치조절부(240)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조절부(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서브플레이트(220)가 맞물려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브플레이트(22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브플레이트(220)는 상기 관통공(212)의 주변부를 막으면서 상기 관통공(212)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시스템.
  9. 삭제
  10.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가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면경화장치(100);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테두리경화장치(500); 및
    상기 테두리경화장치(5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하는 경화시스템으로서,
    상기 테두리경화장치(500)는:
    내측에 관통공(512)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5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일면 상에 상기 관통공(5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선경화모듈(53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 및 상기 선경화모듈(530) 사이에 구비되고 일면이 베이스플레이트(510)와 결합되고 타면이 선경화모듈(530)과 결합되어 선경화모듈(530)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관통공(5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테이지(540);를 포함하고,
    상기 선경화모듈(530)은 일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화시스템.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선경화모듈(230, 530)은 상기 하우징(232)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하우징(232)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2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시스템.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경화장치(200, 500)는 상기 지지부(3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시스템.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에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생성하는 발광소자(112a, 112b)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시스템.
KR1020200008892A 2020-01-22 2020-01-22 Uv 잉크젯 면경화 및 테두리 제어용 경화시스템 KR102285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892A KR102285443B1 (ko) 2020-01-22 2020-01-22 Uv 잉크젯 면경화 및 테두리 제어용 경화시스템
KR1020210099419A KR102377491B1 (ko) 2020-01-22 2021-07-28 Uv 잉크젯 면경화 및 테두리 제어용 경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892A KR102285443B1 (ko) 2020-01-22 2020-01-22 Uv 잉크젯 면경화 및 테두리 제어용 경화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419A Division KR102377491B1 (ko) 2020-01-22 2021-07-28 Uv 잉크젯 면경화 및 테두리 제어용 경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292A KR20210095292A (ko) 2021-08-02
KR102285443B1 true KR102285443B1 (ko) 2021-08-04

Family

ID=773147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892A KR102285443B1 (ko) 2020-01-22 2020-01-22 Uv 잉크젯 면경화 및 테두리 제어용 경화시스템
KR1020210099419A KR102377491B1 (ko) 2020-01-22 2021-07-28 Uv 잉크젯 면경화 및 테두리 제어용 경화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419A KR102377491B1 (ko) 2020-01-22 2021-07-28 Uv 잉크젯 면경화 및 테두리 제어용 경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54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7666B2 (ja) * 2013-03-31 2015-08-19 Hoya Candeo Optronics株式会社 光照射装置
KR101605555B1 (ko) * 2014-02-24 2016-03-22 유버 주식회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uv 경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491B1 (ko) 2022-03-23
KR20210096587A (ko) 2021-08-05
KR20210095292A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4439B2 (ja) ステレオリソグラフィ装置用の照射システム
JP6932676B2 (ja) 転写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転写装置
CN101978308B (zh) 光照射装置的光照射方法以及光照射装置
KR102549429B1 (ko) 디지털 리소그래피 시스템들 상에서의 다중-기판 프로세싱
TWI543228B (zh) Light irradiation device
CN107615170B (zh) 曝光用照明装置、曝光装置和曝光方法
KR102285443B1 (ko) Uv 잉크젯 면경화 및 테두리 제어용 경화시스템
KR101323235B1 (ko) 임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프린팅 방법
KR100755235B1 (ko) 임프린팅장치
JPWO2011024630A1 (ja) ウエハレンズ製造装置、成形型及びウエハレンズの製造方法
KR20110117444A (ko) 실런트 경화장치
KR20080044152A (ko) 패턴 형성 장치 및 패턴 형성 방법
JP2010250071A (ja) パネル貼り合せ方法
KR100931320B1 (ko) 평판 표시 소자 액정 제조용 자외선 경화 장치
KR102323258B1 (ko) 선형광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d프린터
KR20120035782A (ko) 실런트 경화 장치 및 실런트 경화장치용 엘이디 배열구조
KR102277983B1 (ko) 카메라 정렬 방법
KR20170014484A (ko) 자외선 광원 모듈
JP5704527B2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を使用した露光装置
KR102297923B1 (ko) 테두리경화기
KR20190109247A (ko) 광 조사장치
US10768529B2 (en) Proximity exposure method
KR102494572B1 (ko) 전사 장치
CN109302779B (zh) 掩模制造装置
KR20120074860A (ko) 기판 접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접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