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268B1 - 공기 흡입 취출 공구 - Google Patents
공기 흡입 취출 공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5268B1 KR102285268B1 KR1020197017940A KR20197017940A KR102285268B1 KR 102285268 B1 KR102285268 B1 KR 102285268B1 KR 1020197017940 A KR1020197017940 A KR 1020197017940A KR 20197017940 A KR20197017940 A KR 20197017940A KR 102285268 B1 KR102285268 B1 KR 1022852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ompressed air
- cylinder
- air outlet
- air pass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annular, tubular or hollow conical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81—Apparatus supplied with low pressure gas, e.g. "hvlp"-guns; air supplied by a fan
- B05B7/0087—Atmospheric air being sucked by a gas stream, generally flowing through a venturi, at a location upstream or inside the spraying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통체(2)의 공기 통로(2a)로 압축 공기를 도입 가능한 압축 공기 도입부(5)가 설치된다. 압축 공기 도입부(5)는, 통체(2)의 통 중심축(C1) 둘레로 연장된 환형이고, 또한, 통체(2)의 직경 방향으로 직선-연장된 공기 통로(2a)에 개구된 슬릿 형태의 압축 공기 출구부(5a)를 가진다. 공기 통로(2a)를 형성하는 내주면의 압축 공기 출구부(5a)의 공기 취출구(2c) 측에는, 환형 돌출면부(30)가 형성되고, 환형 돌출면부(30)의 돌출면(30a)은, 압축 공기 출구부(5a)의 공기 취출구(2c) 측의 둘레로부터 통체(2)의 직경 방향으로 향하면서 점차 공기 취출구(2c) 측으로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 형태의 공구 내부로 압축 공기를 도입하여, 공구 내부로 통 중심축을 따라 대용량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켜 흡입 또는 취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 흡입 취출 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제조공장 등에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공기 흡입 취출 공구를 이용하여, 설비종래부터 제조공장 등에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공기 흡입 취출 공구를 이용하여, 설비에 부착된 절삭 찌꺼기나 물방울을 비산시키는 작업이나, 또는, 공장 내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쓰레기 회수 작업이 수행된다. 상기 공기 흡입 취출 공구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 통로가 통 중심축을 따라 설치된 통체를 구비하며, 해당 통체의 일단의 개구가 공기 흡입구를 구성하는 한편, 타단의 개구가 공기 취출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통체의 중도부에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컴프레셔로 압축된 압축 공기를 상기 공기 통로로 도입하기 위한 압축 공기 도입부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압축 공기 도입부는, 통 중심축 둘레로 환형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 압축 공기 도입부에 의해 압축 공기를 공기 통로로 공기 취출구 측을 향하도록 도입하고 공기 통로의 공기 흡입구 측을 부압으로 하여 공기 통로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고,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통로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취출구에서 공기를 취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흡입 취출 공구의 공기 취출구 측을 이용하여 절삭 찌꺼기나 물방울을 비산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공기 흡입 취출 공구의 공기 흡입구 측을 이용하여 분진이나 쓰레기를 흡입하여 회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공기 흡입 취출 공구에서는, 공기 통로를 흐르는 공기와 압축 공기 도입부의 압축 공기 출구부로부터 공기 통로로 도입되는 압축 공기를 원활하게 합류시키는 것이, 공기 통로에 있어서 압축 공기 출구부 둘레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적게 하여 공기 통로에서의 공기 체적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압축 공기 도입부는, 공기 취출구 측으로 가면 갈수록 점차 통 중심축 측에 위치하도록 직경이 감소하면서 통체 내주면에 개구되는 형상이 좋은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는, 수많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압축 공기 도입부를 상술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하면, 통체 내주면의 압축 공기 출구부를 형성하는 공기 흡입구 측이 공기 취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뾰족한 형상으로 되지만, 압축 공기 출구부로부터 공기 통로로 도입되는 압축 공기의 극히 일부가 상술한 뾰족한 형상의 부분을 따라 접히듯이 역류하여 공기 통로의 공기 흡입구 측으로 흘러가 버리므로, 해당 부분에 있어서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대응하고자, 통체 내주면의 압축 공기 출구부를 형성하는 공기 흡입구 측의 단면 형상이 뾰족하게 되지 않도록, 압축 공기 출구부의 공기 흡입구 측의 주연(周緣)을 최대한 공기 흡입구 측으로 위치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그렇게 할 경우 압축 공기 도입부의 압축 공기 출구부가 넓어지고, 압축 공기 도입부에 의해 공기 통로로 도입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이 떨어져 버리기 때문에, 반대로 공기 통로에서의 공기 체적 유량이 감소해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참고하여 달성된 것으로서, 흡입량 및 취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기 흡입 취출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 통로로 압축 공기를 도입하는 구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흡입구를 일단으로, 공기 취출구를 타단으로 가지는 공기 통로가 통 중심축을 따라 설치된 통체를 구비하고, 해당 통체의 중도부에는, 상기 공기 통로로 압축 공기를 도입 가능한 압축 공기 도입부가 설치되고, 해당 압축 공기 도입부에 의해 압축 공기를 상기 공기 통로의 공기 취출구 측으로 향하도록 도입하여 상기 공기 통로의 공기 흡입구 측을 부압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기 통로에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고,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통로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취출구로부터 공기를 내보내도록 구성된 공기 흡입 취출 공구를 대상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제 1 발명에서는, 상기 압축 공기 도입부는, 상기 통 중심축 둘레로 연장되는 환형이며, 또한, 상기 통체의 직경 방향으로 직선-연장하고 상기 공기 통로에 개구된 슬릿 형태의 압축 공기 출구부를 가지며, 상기 통체의 상기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의 상기 공기 취출구 측에는, 상기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내주면의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의 상기 공기 흡입구 측보다도 상기 통체의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더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통 중심축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환형 돌출면부가 형성되고, 해당 환형 돌출면부의 돌출면은,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의 상기 공기 취출구 측의 주연(周緣)으로부터 상기 통체의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면서 점차 상기 공기 취출구 측으로 곡선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상기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의 상기 공기 흡입구 측에는,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의 상기 공기 흡입구 측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환형 단차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체는, 각각의 양단이 개구된 제 1 및 제 2 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 부재의 일단 측을 상기 제 2 통 부재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제 1 통 부재의 중도부 외주면에 상기 제 2 통 부재의 일단 측을 나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조립되며, 상기 압축 공기 도입부는, 상기 제 1 통 부재의 일단 측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통 부재의 중도부 내주면으로 둘러 싸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 부재의 중도부 내주면에는, 통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제 1 통 부재의 일단면에 대향하는 환형면이 설치되고,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는, 상기 제 1 통 부재의 일단면과 상기 환형면과의 사이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서는, 압축 공기 도입부로 도입된 압축 공기는, 압축 공기 출구부로부터 통체 내부의 공기 통로로 통체의 직경 방향 측을 향하여 곧바로 흘러가도록 도입된다. 그리고, 압축 공기 출구부의 공기 취출구 측에는 환형 돌출면부가 있는 한편, 압축 공기 출구부의 공기 흡입구 측에는 벽이 없기 때문에, 압축 공기 출구부로부터 공기 통로로 도입된 압축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환형 돌출면부의 돌출면을 따라 공기 취출구 측을 향해 원활히 흐른다. 이와 같이, 압축 공기는, 결과적으로 공기 통로로 해당 공기 취출구 측을 향하도록 도입되기 때문에, 공기 통로에 공기 흐름이 발생한다. 이때, 압축 공기 출구부는, 통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통체 내주면의 압축 공기 출구부를 형성하는 공기 흡입구 측의 단면 형상이 90°보다 작은 각도(예각)로 되어 있지 않으며, 압축 공기 출구부로부터 공기 통로로 도입되는 압축 공기의 일부가 공기 흡입구 측으로 흐르는 현상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압축 공기 출구부 둘레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적어지고, 공기 통로에서의 공기의 체적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압축 공기 출구부를 넓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압축 공기 도입부에 의해 공기 통로로 도입된 압축 공기의 유속이 떨어지지 않는다. 게다가, 통체 내주면에 있어서, 압축 공기 출구부의 공기 흡입구 측이 공기 취출구 측보다도 직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공기 흡입구의 직경을 크게 설계하여 공기 흡입구의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에서는, 만약 반대로, 압축 공기 출구부로부터 공기 통로로 도입된 압축 공기의 일부가 공기 흡입구 측으로 흐른다고 하여도, 그 흐름이 환형 단차면부에 대응하는 특정 부분에 머물게 되므로 공기 통로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 공기 출구부 둘레에서의 에너지 손실의 발생이 더욱 적게 되며, 공기 통로에서의 공기의 체적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3 발명에서는, 조립된 공기 흡입 취출 공구의 중도부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통 부재 각각의 둘레의 벽이 겹치도록 되기 때문에, 강성이 높은 공기 흡입 취출 공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 흡입 취출 공구를 구성하는 부품이 2개 밖에 없기 때문에, 조립 시간이 단축되어 조립 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통 부재를 조립할 때에, 제 1 및 제 2 통 부재 사이에 있어서 형성된 틈새가 압축 공기 도입부에서의 압축 공기 출구부로 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통 부재에 압축 공기 출구부로 될 구멍이나 도랑의 가공을 미리 해둘 필요가 없으며, 가공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공기 흡입 취출 공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 부분의 확대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 부분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공기 흡입 취출 공구(1)를 나타낸다. 이 공기 흡입 취출 공구(1)는, 컴프레셔(도시 없음)에서 발생시킨 압축 공기를 대용량의 공기 흐름으로 변환하여, 설비에 부착된 절삭 찌꺼기나 물방울에 공기를 불어서 비산 시키는 작업이나, 또는, 공장 내에 있어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쓰레기를 공기로 흡입하여 회수하는 작업에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 흡입 취출 공구(1)는, 내부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 통로(2a)를 통 중심축(C1)을 따라서 가지는 통체(2)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통로(2a)의 일단의 개구가 공기 흡입구(2b)를 구성하는 한편, 타단의 개구가 공기 취출구(2c)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통체(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양단이 개구된 제 1 통 부재(3) 및 제 2 통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통 부재(3)의 일단 측의 외주면에는, 통 중심축(C1) 둘레로 연장되는 환형의 제 1 오목형 홈부(3a)가 형성되며, 해당 제 1 오목형 홈부(3a)는, 홈의 폭이 넓고, 또한, 바닥이 얕은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제 1 통 부재(3)의 중도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b)가 상기 제 1 오목형 홈부(3a)에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 부재(3)의 중도부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 외측에 돌출되면서 통 중심축(C1) 둘레로 연장된 환형 돌출부(3c)가 상기 수나사부(3b)에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통 부재(3)의 일단 측의 내주면에는, 상기 통체(2)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통 중심축(C1) 둘레로 연장된 환형 돌출면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환형 돌출면부(30)의 돌출면(30a)은, 상기 제 1 통 부재(3)의 일단면 (후술할 압축 공기 출구부(5a)의 공기 취출구(2c) 측 주변)으로부터 상기 통체(2)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면서 점차 상기 제 1 통 부재(3)의 타단 측에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 부재(3)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중도부로부터 타단 측에 이르는 부분에는, 상기 돌출면(30a)에 연결하는 취출측 공기 안내면(3d)이 형성되고, 해당 취출측 공기 안내면(3d)은, 상기 돌출면(30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태를 하고 있다.
상기 제 2 통 부재(4)의 일단 측의 외주면에는, 일단 측으로 가면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단부(4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 통 부재(4)의 타단 측의 외주면에는, 단사 형태로 움푹 들어가면서 타단 개구의 주연을 따라 연장된 환형 체결면부(4b)가 형성되고, 해당 환형 체결면부(4b)의 표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통 부재(4)의 중도부 내주면에는, 통 중심축(C1) 둘레로 연장된 환형의 제 2 오목형 홈부(40)가 형성되고, 해당 제 2 오목형 홈부(40)는, 홈의 폭이 넓으며, 또한, 바닥이 얕은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제 2 오목형 홈부(40)는, 통 중심축(C1) 둘레에 환형으로 연장된 띠모양 저면(40a)과, 상기 띠모양 저면(40a)의 한쪽 모서리로부터 상기 통 중심축(C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환형면(40b)과, 해당 띠모양 저면(40a)의 다른 쪽 모서리로부터 상기 통 중심축(C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환형면(40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통 부재(4)의 중도부에는, 상기 제 2 오목형 홈부(40)의 띠모양 저면(40a)에 개구된 압축 공기 도입 구멍(40d)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해당 압축 공기 도입 구멍(40d)에는, L자 배관(6)(도 1 참조)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 2 통 부재(4)의 일단 측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4c)가 상기 제 2 오목형 홈부(40)에 연결하여 설치되어 있고, 해당 암나사부(4c)에 상기 수나사부(3b)가 나사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통 부재(4)의 일단 측의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4c)에 연결하는 부분에는, 상기 환형 돌출부(3c)에 대응하는 환형 플랜지부(4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 통 부재(4)의 타단 측의 내주면에는, 타단 개구 주변에서 상기 제 2 통 부재(4)의 안쪽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태의 공기 흡입면(4e)과, 해당 공기 흡입면(4e)에 연결하여 설치되고, 제 2 통 부재(4)의 통 중심선을 따라 해당 제 2 통 부재(4)의 일단 측에 직선-연장되는 흡입측 공기 안내면(4f)이 형성되고, 해당 흡입측 공기 안내면(4f)의 제 2 통 부재(4)의 일단 측에는, 상기 제 2 오목형 홈부(40)의 개구 주변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 단차면부(4g)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 부재(3)의 일단 측을 상기 제 2 통 부재(4)의 내부로 그 타단 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환형 돌출부(3c)가 상기 환형 프렌지부(4d)에 결합하기까지 상기 제 1 통 부재(3)의 수나사부(3b)를 상기 제 2 통 부재(4)의 암나사부(4c)에 나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통체(2)가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통 부재(3) 및 제 2 통 부재(4)를 조립하면, 상기 제 1 오목형 홈부(3a)와 상기 제 2 오목형 홈부(40)가 대향하도록 되어 있고, 해당 제 1 오목형 홈부(3a)와 상기 제 2 오목형 홈부(40)로 둘러싸인 부분이 본 발명의 압축 공기 도입부(5)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 부재(3) 및 제 2 통 부재(4)를 조립한 상태로, 상기 제 1 통 부재(3)의 일단면이 상기 제 1 환형면(40b)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1 통 부재(3)의 일단면과 상기 제 1 환형면(40b)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가 본 발명의 압축 공기 출구부(5a)를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5a)는, 통 중심축(C1) 둘레로 연장된 환형으로서, 또한, 통체(2)의 직경 방향으로 직선-연장되고 공기 통로(2a)에 개구된 슬릿 형태를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환형 돌출면부(30)는, 압축 공기 출구부(5a)의 공기 흡입구(2b) 측의 흡입측 공기 안내면(4f) 보다도 통체(2)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환형 단차면부(4g)는, 압축 공기 출구부(5a)의 공기 흡입구(2b) 측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 공기 도입부(5)는, 압축 공기 출구부(5a)로부터 공기 통로(2a)로 압축 공기를 도입하도록 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압축 공기는, 압축 공기 출구부(5a)로부터 통체(2) 내부의 공기 통로(2a)로 통체(2)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 곧바로 흐르게끔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 공기 출구부(5a)의 공기 취출구(2c) 측에는 환형 돌출면부(30)가 있는 한편, 압축 공기 출구부(5a)의 공기 흡입구(2b) 측에는 벽이 없기 때문에, 압축 공기 출구부(5a)로부터 공기 통로(2a)로 도입되는 압축 공기는, 도 3의 화살표 X1에 나타낸 것처럼, 코안다 효과에 의해 환형 돌출면부(30)의 돌출면(30a)을 따라 공기 취출구(2c) 측으로 향하여 원활히 흐른다. 이처럼, 압축 공기는, 결과적으로 공기 통로로 그 공기 취출구 측을 향하도록 도입되므로, 공기 통로(2a)에 공기 흐름이 발생한다. 이때, 압축 공기 출구부(5a)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통체(2)의 내주면의 압축 공기 출구부(5a)를 형성하는 공기 흡입구(2b) 측의 단면 형상이 90°보다 작은 각도(예각)로 되어 있지 않으며, 압축 공기 출구부(5a)로부터 공기 통로(2a)로 도입되는 압축 공기의 일부가 공기 흡입구(2b) 측으로 흐르는 현상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압축 공기 출구부(5a) 둘레에서의 에너지 손실의 발생이 적어지고, 공기 통로(2a)의 공기 체적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압축 공기 출구부(5a)를 넓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압축 공기 도입부(5)에 의해 공기 통로(2a)로 도입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이 떨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통체(2) 내주면에 있어서, 압축 공기 출구부(5a)의 공기 흡입구(2b) 측이 공기 취출구(2c) 측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공기 흡입구(2b)의 직경을 크게 설계해서 공기 흡입구(2b)에 있어서의 공기의 흡입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만약 반대로, 압축 공기 출구부(5a)로부터 공기 통로(2a)로 도입되는 압축 공기의 일부가 공기 흡입구(2b) 측으로 흐른다고 하여도, 그 흐름이 도 3의 화살표 Y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환형 단차면부(4g)에 대응하는 곳에 머물기 때문에 공기 통로(2a)에서의 공기 흐름(도 3의 화살표 Z1)을 방해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압축 공기 출구부(5a) 둘레에서의 에너지 손실의 발생이 더욱 적어지고, 공기 통로(2a)의 공기 체적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조립된 공기 흡입 취출 공구(1)의 중도부에 있어서, 제 1 통 부재(3) 및 제 2 통 부재(4)의 각각의 둘레의 벽이 서로 겹쳐지도록 되기 때문에, 강성이 높은 공기 흡입 취출 공구(1)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 흡입 취출 공구(1)를 구성하는 부품이 2개 밖에 없기 때문에,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조립 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그와 더불어, 제 1 통 부재(3) 및 제 2 통 부재(4)를 조립할 때에 제 1 통 부재(3) 및 제 2 통 부재(4)의 사이에 있어서 형성된 틈새가 압축 공기 도입부(5)의 압축 공기 출구부(5a)로 되기 때문에, 제 1 통 부재(3) 및 제 2 통 부재(4)에 압축 공기 출구부(5a)로 되는 구멍이나 홈의 가공을 미리 해둘 필요가 없으며, 가공 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통 형태로 된 공구 내부로 압축 공기를 도입하여, 공구 내부로 통 중심축을 따라 대용량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켜 흡입 작업 또는 취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 흡입 취출 공구에 적합하다.
1 : 공기 흡입 취출 공구
2 : 통체
2a : 공기 통로
2b : 공기 흡입구
2c : 공기 취출구
3 : 제 1 통 부재
4 : 제 2 통 부재
4g : 환형 단차면부
5 : 압축 공기 도입부
5a : 압축 공기 출구부
30 : 환형 돌출면부
30a : 돌출면
40b : 제 1 환형면
C1 : 통 중심축
2 : 통체
2a : 공기 통로
2b : 공기 흡입구
2c : 공기 취출구
3 : 제 1 통 부재
4 : 제 2 통 부재
4g : 환형 단차면부
5 : 압축 공기 도입부
5a : 압축 공기 출구부
30 : 환형 돌출면부
30a : 돌출면
40b : 제 1 환형면
C1 : 통 중심축
Claims (4)
- 공기 흡입구를 일단으로, 공기 취출구를 타단으로 가지는 공기 통로가 통 중심축을 따라 설치된 통체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의 중도부에는, 상기 공기 통로로 압축 공기를 도입 가능한 압축 공기 도입부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 공기 도입부에 의해 압축 공기를 상기 공기 통로로 상기 공기 취출구 측을 향하도록 도입하고 상기 공기 통로의 공기 흡입구 측을 부압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기 통로에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고,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통로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취출구로부터 공기를 취출하도록 구성된 공기 흡입 취출 공구에 있어서,
상기 통체는, 각 양단이 개구된 제 1 통 부재 및 제 2 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 부재의 일단 측을 상기 제 2 통 부재의 내부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압축 공기 도입부는, 상기 통 중심축 둘레로 연장된 환형이며, 또한, 상기 통체의 직경 방향으로 직선-연장된 상기 공기 통로에 개구된 슬릿 형태의 압축 공기 출구부를 가지며,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는, 상기 통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 1 통 부재의 일단면과, 상기 제 2 통 부재의 중도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통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 1 통 부재의 일단면에 대향하는 환형면과의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통체의 상기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의 상기 공기 취출구 측에는, 상기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내주면의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의 상기 공기 흡입구 측보다도 상기 통체의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더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통 중심축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환형 돌출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 돌출면부의 돌출면은,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의 상기 공기 취출구 측의 둘레로부터 상기 통체의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면서 점차 상기 공기 취출구 측으로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통체의 상기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의 상기 공기 흡입구 측, 및, 상기 환형면의 상기 제 1 통 부재의 일단면에 대향하는 영역의 상기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내주면 측에는,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의 상기 공기 흡입구 측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단면 L자 형태로 움푹 들어간 환형 단차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취출 공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돌출면부는,
상기 압축 공기 출구부의 상기 공기 흡입구 측의 흡입측 공기 안내면 보다도 상기 통체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취출 공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는, 상기 제 1통 부재의 중도부 외주면에 상기 제 2 통 부재의 일단 측을 나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압축 공기 도입부는, 상기 제 1 통 부재의 일단 측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통 부재의 중도부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취출 공구.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231456 | 2016-11-29 | ||
JP2016231456A JP6762213B2 (ja) | 2016-11-29 | 2016-11-29 | エア吸込吹出ツール |
PCT/JP2017/034093 WO2018100851A1 (ja) | 2016-11-29 | 2017-09-21 | エア吸込吹出ツー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3361A KR20190083361A (ko) | 2019-07-11 |
KR102285268B1 true KR102285268B1 (ko) | 2021-08-02 |
Family
ID=6224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17940A KR102285268B1 (ko) | 2016-11-29 | 2017-09-21 | 공기 흡입 취출 공구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1491518B2 (ko) |
EP (1) | EP3550155B1 (ko) |
JP (1) | JP6762213B2 (ko) |
KR (1) | KR102285268B1 (ko) |
CN (1) | CN110088484B (ko) |
CA (1) | CA3044363C (ko) |
MX (1) | MX2019006110A (ko) |
WO (1) | WO201810085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7246A (ko) | 2019-07-10 | 2021-01-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의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
CN110605277B (zh) * | 2019-09-27 | 2024-05-03 | 重庆方正高密电子有限公司 | 除屑装置及铆钉机 |
KR102514648B1 (ko) * | 2021-04-22 | 2023-03-29 | 고영추 | 진공 발생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68472A (en) * | 1967-09-15 | 1969-09-23 | Global Systems | Flow augmented nozzle |
US3664768A (en) * | 1970-03-10 | 1972-05-23 | William T Mays | Fluid transformer |
US3795367A (en) * | 1973-04-05 | 1974-03-05 | Src Lab | Fluid device using coanda effect |
GB1431810A (en) * | 1973-06-18 | 1976-04-14 | Src Lab | Coanda nozzles |
GB2077356B (en) * | 1980-06-06 | 1984-01-11 | Beck O N & Co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creating a gaseous flow |
DE19849639C1 (de) * | 1998-10-28 | 2000-02-10 | Intensiv Filter Gmbh | Coanda-Injektor und Druckgasleitung zum Anschluß eines solchen |
US7354029B1 (en) * | 2004-05-28 | 2008-04-08 | Alex Rutstei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process fluids |
KR100803721B1 (ko) * | 2006-11-01 | 2008-02-15 | 조광섭 | 공기증폭기를 이용한 압축공기 분사장치 |
JP6340819B2 (ja) | 2014-02-21 | 2018-06-13 | 株式会社デンソー | 送風装置 |
WO2016088154A1 (ja) * | 2014-12-04 | 2016-06-09 | 株式会社キョクトー | エア吸込吹出ツール |
-
2016
- 2016-11-29 JP JP2016231456A patent/JP6762213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9-21 WO PCT/JP2017/034093 patent/WO2018100851A1/ja unknown
- 2017-09-21 EP EP17877218.2A patent/EP3550155B1/en active Active
- 2017-09-21 CN CN201780072065.9A patent/CN110088484B/zh active Active
- 2017-09-21 KR KR1020197017940A patent/KR1022852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9-21 CA CA3044363A patent/CA3044363C/en active Active
- 2017-09-21 MX MX2019006110A patent/MX2019006110A/es unknown
-
2019
- 2019-05-28 US US16/424,017 patent/US11491518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275567A1 (en) | 2019-09-12 |
KR20190083361A (ko) | 2019-07-11 |
JP2018087537A (ja) | 2018-06-07 |
CN110088484A (zh) | 2019-08-02 |
EP3550155B1 (en) | 2020-11-04 |
CA3044363A1 (en) | 2018-06-07 |
CA3044363C (en) | 2021-06-22 |
EP3550155A1 (en) | 2019-10-09 |
CN110088484B (zh) | 2020-11-24 |
EP3550155A4 (en) | 2019-11-20 |
WO2018100851A1 (ja) | 2018-06-07 |
JP6762213B2 (ja) | 2020-09-30 |
MX2019006110A (es) | 2019-08-21 |
US11491518B2 (en) | 2022-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5268B1 (ko) | 공기 흡입 취출 공구 | |
CN109420384B (zh) | 压缩机系统分离器罐挡板和用于压缩机系统的分离装置 | |
US11919014B2 (en) | Nozzle assembly | |
US10907743B2 (en) | Check valve and reciprocating body for check valve | |
KR100955442B1 (ko) | 밸브 유지 부재 | |
US11090593B2 (en) | Compressed air fluid separator with vortex baffle | |
JP6102170B2 (ja) | スプレーノズル用ノズルフィルタ及びスプレーノズル | |
CN211501648U (zh) | 截止阀及其阀体 | |
US11415258B2 (en) | Pipeline plug | |
WO2016088154A1 (ja) | エア吸込吹出ツール | |
JP5611028B2 (ja) | デリバリパイプの製造方法 | |
US10995766B2 (en) | Centrifugal blower | |
KR101491264B1 (ko) | 엔진오일의 역류방지장치 | |
CN112005024A (zh) | 过滤组件、过滤组件的安装结构及进液管组件 | |
KR102025172B1 (ko) | U자형 블로잉 튜브를 구비한 에어 크리닝 건 | |
JP5983374B2 (ja) | エアクリーナ | |
US11090663B2 (en) | Head of blow gun that blows a large amount of air | |
EP3015753A1 (en) | Rotary fluid coupling | |
CN220934011U (zh) | 一种应用于spams质谱仪的气透镜装置 | |
US10533310B2 (en) | Flushometer valve to outlet tube coupling | |
CN212480172U (zh) | 一体化阀门阀芯 | |
CN211259799U (zh) | 一种高连接密封性的调节阀 | |
CN209050434U (zh) | 一种防卡铝屑的活塞内径定位治具 | |
JP2010065546A (ja) | 内燃機関におけるオイルストレーナ | |
CN114076202A (zh) | 电子膨胀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