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542B1 - 기저귀용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기저귀용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542B1
KR102284542B1 KR1020190100053A KR20190100053A KR102284542B1 KR 102284542 B1 KR102284542 B1 KR 102284542B1 KR 1020190100053 A KR1020190100053 A KR 1020190100053A KR 20190100053 A KR20190100053 A KR 20190100053A KR 102284542 B1 KR102284542 B1 KR 102284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d
sensing
diaper
dia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092A (ko
Inventor
이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to KR1020190100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54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092A/ko
Priority to PCT/KR2020/008443 priority patent/WO2021033911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542B1/ko
Priority to US17/474,600 priority patent/US202104016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8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7Sensors changing capacitance upon adsorption or absorption of fluid components, e.g. electrolyte-insulator-semiconductor sensors, MOS capac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8Circ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Abstract

기저귀용 감지 장치는, 제 1 보호층; 상기 제 1 보호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 상기 제 1 보호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몸체층; 및 상기 플렉서블 몸체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쉴드 플레이트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저귀용 감지 장치{SENSING APPARATUS FOR DIAPER}
본 발명은 기저귀용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저귀의 외측에 쉽게 부착하여 용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반복 사용 가능한 기저귀용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저귀는 영유아 뿐만 아니라 노년층에서의 착용률도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기저귀의 착용자가 의사 전달이 어렵거나 용변에 대한 수치심에 의해 의사 전달을 주저하는 경우, 기저귀 착용자는 장시간 기저귀를 착용한 비위생적인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저귀용 감지 장치가 연구되고 있지만, 착용자의 착용의 불편함, 기저귀에의 탈부착의 용이성 및 탈부착에 따른 내구성의 열화 문제에 대한 개선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성별에 따른 용변의 위치의 차이 등에도 대응하기 위하여, 기저귀용 감지 장치는 넓은 면적에 대해 용변을 감지할 필요가 있다.
- 국내등록특허 제10-1721084호 : 차폐 구조를 갖는 비접촉식 기저귀용 용변 감지 장치(2017년 03월 29일 공고). - 미국등록특허 제9,138,354호 : Attachment for a conductorless wetness detector for a absorbent article(2015년 09월 22일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기저귀의 외측에 장착 가능하여 착용감을 저하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저귀에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탈부착에 따른 내구성의 열화 문제도 개선된 기저귀용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넓은 면적에 대해 용변을 감지할 수 있어, 성별에 따른 용변의 위치의 차이 등에도 대응 가능한 기저귀용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는, 제 1 보호층; 상기 제 1 보호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 상기 제 1 보호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몸체층; 및 상기 플렉서블 몸체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쉴드 플레이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에서의 커패시턴스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용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는, 상기 쉴드 플레이트층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플렉서블 몸체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보호층; 상기 제 2 보호층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플렉서블 몸체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 기판층; 상기 인쇄회로 기판층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배터리; 상기 인쇄회로 기판층 및 상기 배터리를 감싸는 제 3 보호층; 및 상기 제 3 보호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한 버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은, 도전성 잉크를 인쇄하거나,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 각각은, 제 1 연결 패턴; 상기 제 1 연결 패턴과 평행한 제 2 연결 패턴; 상기 제 1 연결 패턴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결 패턴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 2 연결 패턴과는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 3 연결 패턴; 및 상기 제 2 연결 패턴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연결 패턴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 1 연결 패턴과는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 4 연결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 3 연결 패턴과 상기 제 4 연결 패턴은, 각각 하나씩 교차하며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는, 다수이되, 상기 기저귀용 감지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는, 제 1 패드; 제 2 패드; 및 제 3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패드과 상기 제 3 패드는, 상기 제 1 패드를 중심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2 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 중 제 1 센싱 패턴층과 연결되고, 상기 제 3 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 중 제 2 센싱 패턴층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는, 양면 테이프; 스프레이(Spray) 형태의 끈적임 성질을 갖는 물질; 또는, 잉크(Ink) 형태의 끈적임 성질을 갖는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저귀에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커패시턴스값의 변화를 측정할 경우, 해당 패드에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패드 및 상기 쉴드 플레이트층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쉴드 플레이트층을 이용하여 커패시턴스값의 변화를 측정할 경우, 모든 패드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쉴드 플레이트층에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에의 전원 전압의 인가 및 상기 쉴드 플레이트층에의 전원 전압의 인가는, 이시(異時)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에 따르면, 기저귀의 외측에 장착 가능하여 착용감을 저하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닿지 않아 피부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기저귀에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탈부착에 따른 내구성의 열화 문제도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넓은 면적에 대해 용변을 감지할 수 있어, 성별에 따른 용변의 위치의 차이 등에도 대응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감지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감지 장치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감지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패드 및 패드와 연결된 센싱 패턴층의 평면도.
도 5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와 쉴드 플레이트층에의 전압 인가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의 기저귀에의 부착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감지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의 평면도, 저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에서 일부 세부 구성은 생략되어 도시되었다. 아울러, 도 2는 제 1 보호층(10)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는, 제 1 보호층(10), 패드(15_1, 15_2, 15_3), 센싱 패턴층(20_1, 20_2), 플렉서블 몸체층(25), 쉴드 플레이트층(30), 제 2 보호층(35), 인쇄회로 기판층(40), 배터리(45), 제 3 보호층(50) 및 버튼층(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보호층(10)과 제 2 보호층(35)은, 패드(15_1, 15_2, 15_3), 센싱 패턴층(20_1, 20_2), 플렉서블 몸체층(25) 및 쉴드 플레이트층(3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적어도 하나의 패드(15_1, 15_2, 15_3)는, 제 1 보호층(10)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 1 보호층(10)은, 본 발명이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의 하면의 전체에 대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패드(15_1, 15_2, 15_3)는, 다수이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의 길이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의 길이 방향으로 패드(15_1, 15_2, 15_3)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넓은 면적에 대해 용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는, 패드(15_1, 15_2, 15_3)로서, 제 1 패드(15_1), 제 2 패드(15_2) 및 제 3 패드(15_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패드(15_2)과 제 3 패드(15_3)는, 제 1 패드(15_1)를 중심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20_1, 20_2) 각각은, 제 1 보호층(10)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패드(15_1, 15_2, 15_3)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센싱 패턴층(20_1, 20_2)의 일단은, 적어도 하나의 패드(15_1, 15_2, 15_3)와 플렉서블 몸체층(25)의 사이에 위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패드(15_1, 15_2, 15_3)와의 물리적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20_1, 20_2)은 도전성 재질로서, 도전성 잉크를 인쇄하거나,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20_1, 20_2)은, 패드(15_1, 15_2, 15_3) 보다는 두께가 얇은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패드(15_1, 15_2, 15_3) 및 패드(15_1, 15_2, 15_3)와 연결된 센싱 패턴층(20_1, 20_2)의 평면도이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20_1, 20_2) 각각은, 서로 교차하는 핑거(Finger)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20_1, 20_2) 각각은, 제 1 연결 패턴(P1); 제 1 연결 패턴(P1)과 평행한 제 2 연결 패턴(P2); 제 1 연결 패턴(P1)과 연결되며, 제 1 연결 패턴(P1)과 직각을 이루며 제 2 연결 패턴(P2)과는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 3 연결 패턴(P3); 및 제 2 연결 패턴(P2)과 연결되며, 제 2 연결 패턴(P2)과 직각을 이루며 제 1 연결 패턴(P1)과는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 4 연결 패턴(P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3 연결 패턴(P3)과 제 4 연결 패턴(P4)은, 각각 하나씩 교차하며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20_1, 20_2)에 의해,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는, 패드(15_1, 15_2, 15_3) 영역 뿐만 아니라, 센싱 패턴층(20_1, 20_2) 영역에서도 용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센싱 패턴층(20_1, 20_2)의 제 3 연결 패턴(P3) 및 제 4 연결 패턴(P4)의 폭이 좁고, 패턴 사이가 촘촘할수록, 용변 여부를 더욱 감도 높게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는, 제한된 개수의 패드(15_1, 15_2, 15_3)에도 불구하고, 센싱 패턴층(20_1, 20_2)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넓은 영역에 대해 용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패드(15_2)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20_1, 20_2) 중 제 1 센싱 패턴층(20_1)과 연결된다. 아울러, 제 3 패드(15_3)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20_1, 20_2) 중 제 2 센싱 패턴층(20_2)과 연결된다. 또한, 제 1 센싱 패턴층(20_1)과 제 2 센싱 패턴층(20_2)은, 제 1 패드(15_1)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는, 패드(15_1, 15_2, 15_3) 또는 센싱 패턴층(20_1, 20_2)에서의 커패시턴스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용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패시턴스값은, 제 1 패드(15_1)를 포함하는 제 1 패드 그룹, 제 2 패드(15_2) 및 제 1 센싱 패턴층(20_1)을 포함하는 제 2 패드 그룹, 그리고, 제 3 패드(15_3) 및 제 2 센싱 패턴층(20_2)을 포함하는 제 3 패드 그룹에서, 각각 그룹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아울러, 커패시턴스값은, 하나의 그룹과 다른 그룹 사이에서도 측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그룹에 전원 및 접지의 연결을 달리할 필요가 있는 데, 이는 커패시티브 센서에 있어 커패시턴스값의 측정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패드(15_1, 15_2, 15_3)와 센싱 패턴층(20_1, 20_2)은 한 예만 설명하였고, 다양한 센싱 패드와 센싱 패턴층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플렉서블 몸체층(25)은, 적어도 하나의 패드(15_1, 15_2, 15_3)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20_1, 20_2)의 상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몸체층(25)은, 실리콘 러버(Silicon Rubber) 또는 플레서블 기판(Flexible Substrate)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20_1, 20_2)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과 연결된 플렉서블 몸체층(25) 및 제 2 보호층(35)에는, 홀(Hole, H)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 홀(H)의 도금 또는 홀(H)을 통한 배선의 연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20_1, 20_2)은, 인쇄회로 기판층(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아울러, 센싱 패턴층(20_1, 20_2)과 연결되지 않은 제 1 패드(15_1)와 연결된 플렉서블 몸체층(25) 및 제 2 보호층(35)에도 홀(H)이 형성되어, 제 1 패드(15_1)와 인쇄회로 기판층(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쉴드 플레이트층(30)은, 플렉서블 몸체층(25)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한다.
쉴드 플레이트층(30)은,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에 대한 사람에 의한 외부에서의 터치의 인식을 차단하는 것에 의해, 사람에 의한 외부에서의 터치를 용변으로 감지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패드(15_1, 15_2, 15_3)가 용변 여부를 감지 시, 쉴드 플레이트층(30)에 의해 사람에 의한 방해 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인쇄회로 기판층(6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패드(15_1, 15_2, 15_3)와 쉴드 플레이트층(30)에의 전압의 연결을 달리하여, 쉴드 플레이트층(30)을 이용하여 사람의 터치, 즉, 손가락에 의한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5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15_1, 15_2, 15_3)와 쉴드 플레이트층(30)에의 전압 인가의 예시도이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패드(15_1, 15_2, 15_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커패시턴스값의 변화를 측정할 경우, 해당 패드에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패드 및 쉴드 플레이트층(30)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된다. 아울러, 쉴드 플레이트층(30)을 이용하여 커패시턴스값의 변화를 측정할 경우, 모든 패드(15_1, 15_2, 15_3)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되고, 쉴드 플레이트층(30)에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하나의 패드(15_1, 15_2, 15_3)에의 전원 전압의 인가 및 쉴드 플레이트층(30)에의 전원 전압의 인가는, 이시(異時)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패드(15_1), 제 2 패드(15_2), 제 3 패드(15_3) 및 쉴드 플레이트층(30)에의 전원 전압의 인가는, 시분할(Time-shar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다. 즉, 제 1 패드(15_1), 제 2 패드(15_2), 제 3 패드(15_3) 및 쉴드 플레이트층(30) 중 하나에 전원 전압이 인가될 때, 나머지는 접지 전압이 인가되고, 제 1 패드(15_1), 제 2 패드(15_2), 제 3 패드(15_3) 및 쉴드 플레이트층(30) 중 전원 전압이 인가된 패드(15_1, 15_2, 15_3) 또는 쉴드 플레이트층(30)이 동작하여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패드(15_1, 15_2, 15_3)가 동작 시에는 용변 여부가 감지되고, 쉴드 플레이트층(30)이 동작 시에는 손가락에 의한 근접 여부가 감지되게 된다.
제 2 보호층(35)은, 쉴드 플레이트층(30)의 적어도 일부 및 플렉서블 몸체층(25)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한다. 아울러, 제 2 보호층(35)은, 쉴드 플레이트층(30) 및 쉴드 플레이트층(30)이 덮혀 있지 않은 플렉서블 몸체층(25)의 상면 전부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회로 기판층(40)은, 제 2 보호층(35)의 적어도 일부 또는 플렉서블 몸체층(25)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한다. 인쇄회로 기판층(40)은, 제 2 보호층(35) 없이 플렉서블 몸체층(25)의 상부에 탑재될 수 있다. 즉, 전자 부품이 탑재되며, 플렉서블한 FPCB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인쇄회로 기판층(40)은, 제 1 패드(15_1), 제 1 센싱 패턴층(20_1), 제 2 센싱 패턴층(20_2) 및 쉴드 플레이트층(3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패시턴스값을 측정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는 전자부품이 커패시턴스값을 측정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생체신호 측정과 물리적인 특성(움직임, 기울기 등), 음성 신호등의 기능들을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그 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무선으로 외부에 전달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배터리(45)는 인쇄회로 기판층(40)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회로 기판층(40)과 배터리(45)를 나란히 배열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배터리(45)는 인쇄회로 기판층(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 3 보호층(50)은, 인쇄회로 기판층(40) 및 배터리(45)를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 3 보호층(50)은, 인쇄회로 기판층(40) 및 배터리(45)의 상부 뿐만 아니라 측면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경우에 따라서는, 제 3 보호층(50)은, 인쇄회로 기판층(40) 및 배터리(45)의 하부도 감쌀 수 있다.
또, 도 2와 도 3에서는 제 1 패드(15_1)와 제 3 보호층(50)이 중간 지역에 배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어느 위치로도 변경할 수 있다.
버튼층(55)은, 제 3 보호층(50)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한다. 즉, 버튼층(55)은 사용자의 사용을 위해 그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층(5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이용하여, 인쇄회로 기판층(40)으로 배터리(45)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 또는, 인쇄회로 기판층(40)의 리셋 동작; 또는, 버튼을 누르는 시간 간격과 횟수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제 3 보호층(50)으로 설명하였지만, 리지드 형태(rigid type)의 외형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는 버튼층(55)으로 간단히 설명하였으나, 터치 형태로 다수 개의 입력 신호로 만들 수 있음도 당연하다.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는, 제 1 보호층(10), 제 2 보호층(35) 및 제 3 보호층(50) 등에 의해 내부의 도전성을 나타내는 구성을 모두 감쌀 수 있어 강한 내구성을 갖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는, 두께는 4mm 정도, 길이 150mm 정도의 세장방형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의 기저귀에의 부착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는, 플렉서블한 재질에 의해 구부릴 수 있고, 제 1 보호층(10)에 양면 테이프(T)의 일면을 부착하고, 양면 테이프(T)의 타면을 기저귀에 부착하여 사용 가능하다. 다만, 양면 테이프(T)뿐만 아니라, 스프레이(Spray) 형태의 끈적임 성질을 갖는 물질; 또는, 잉크(Ink) 형태의 끈적임 성질을 갖는 물질도,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를 기저귀에 부착하는 것에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끈적임 성질을 갖는 물질은 접착성을 구비한 물질을 말한다.
기저귀는 방수층 내측에 흡수층을 구비하며, 착용자의 용변 시 이 흡수층의 변화가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에 의해 커패시턴스값의 변화로서 측정된다.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는, 기저귀의 외측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착용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양면 테이프(T); 스프레이(Spray) 형태의 끈적임 성질을 갖는 물질; 또는, 잉크(Ink) 형태의 끈적임 성질을 갖는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므로, 기저귀에의 탈부착의 용이성 및 탈부착에 따른 내구성의 열화 문제도 개선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는, 다수의 패드(15_1, 15_2, 15_3) 및 센싱 패턴층(20_1, 20_2)에 의해 넓은 면적에 대해 용변을 감지할 수 있어, 성별에 따른 용변의 위치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용변 여부를 감도 높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는, 다수의 패드(15_1, 15_2, 15_3) 및 센싱 패턴층(20_1, 20_2)은 커패시티브 센서로서 동작하여, 측정된 커패시턴스값을 이용하여 용변의 양을 측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는, 쉴드 플레이트층(30)을 이용하여 기저귀용 감지 장치(100)에 대한 손가락의 근접 여부도 감지할 수 있다.
100 : 기저귀용 감지 장치
10 : 제 1 보호층 15_1, 15_2, 15_3 : 패드
20_1, 20_2 : 센싱 패턴층 25 : 플렉서블 몸체층
30 : 쉴드 플레이트층 35 : 제 2 보호층
40 : 인쇄회로 기판층 45 : 배터리
50 : 제 3 보호층 55 : 버튼층
P1 : 제 1 연결 패턴 P2 : 제 2 연결 패턴
P3 : 제 3 연결 패턴 P4 : 제 4 연결 패턴

Claims (14)

  1. 기저귀용 감지 장치에 있어서,
    제 1 보호층;
    상기 제 1 보호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
    상기 제 1 보호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몸체층; 및
    상기 플렉서블 몸체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쉴드 플레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커패시턴스값의 변화를 측정할 경우, 해당 패드에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패드 및 상기 쉴드 플레이트층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쉴드 플레이트층을 이용하여 커패시턴스값의 변화를 측정할 경우, 모든 패드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쉴드 플레이트층에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감지 장치.
  2. 기저귀용 감지 장치에 있어서,
    제 1 보호층;
    상기 제 1 보호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
    상기 제 1 보호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몸체층; 및
    상기 플렉서블 몸체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쉴드 플레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에의 전원 전압의 인가 및 상기 쉴드 플레이트층에의 전원 전압의 인가는, 이시(異時)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감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용 감지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에서의 커패시턴스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용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용 감지 장치는,
    상기 쉴드 플레이트층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플렉서블 몸체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보호층; 및
    상기 제 2 보호층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플렉서블 몸체층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 기판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용 감지 장치는,
    상기 인쇄회로 기판층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감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용 감지 장치는,
    상기 인쇄회로 기판층 및 상기 배터리를 감싸는 제 3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감지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은,
    도전성 잉크를 인쇄하거나,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감지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 각각은,
    제 1 연결 패턴;
    상기 제 1 연결 패턴과 평행한 제 2 연결 패턴;
    상기 제 1 연결 패턴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결 패턴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 2 연결 패턴과는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 3 연결 패턴; 및
    상기 제 2 연결 패턴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연결 패턴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 1 연결 패턴과는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 4 연결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 3 연결 패턴과 상기 제 4 연결 패턴은,
    각각 하나씩 교차하며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감지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는, 다수이되,
    상기 기저귀용 감지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감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는,
    제 1 패드;
    제 2 패드; 및
    제 3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패드과 상기 제 3 패드는,
    상기 제 1 패드를 중심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감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 중 제 1 센싱 패턴층과 연결되고,
    상기 제 3 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턴층 중 제 2 센싱 패턴층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감지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용 감지 장치는,
    양면 테이프; 또는,
    스프레이(Spray) 형태의 끈적임 성질을 갖는 물질; 또는,
    잉크(Ink) 형태의 끈적임 성질을 갖는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저귀에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감지 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100053A 2019-08-16 2019-08-16 기저귀용 감지 장치 KR10228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53A KR102284542B1 (ko) 2019-08-16 2019-08-16 기저귀용 감지 장치
PCT/KR2020/008443 WO2021033911A2 (ko) 2019-08-16 2020-06-29 기저귀용 감지 장치
US17/474,600 US20210401636A1 (en) 2019-08-16 2021-09-14 Sensor device for dia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53A KR102284542B1 (ko) 2019-08-16 2019-08-16 기저귀용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092A KR20190103092A (ko) 2019-09-04
KR102284542B1 true KR102284542B1 (ko) 2021-08-02

Family

ID=6795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053A KR102284542B1 (ko) 2019-08-16 2019-08-16 기저귀용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401636A1 (ko)
KR (1) KR102284542B1 (ko)
WO (1) WO202103391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277A1 (ko) * 2021-09-10 2023-03-16 주식회사 에스디센스 용변 감지 센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4757A4 (en) * 2020-01-03 2023-11-15 Smardii, Inc. PORTABL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067A (ja) 1998-10-13 2000-07-04 Denso Corp 排泄監視装置、報知装置付おむつ、および排泄監視システム
US20040207530A1 (en) * 2001-06-11 2004-10-21 Nielsen Wyn Y. Elimination - absorber monitoring system
JP2016524161A (ja) 2013-07-12 2016-08-12 スマ ケア エーピーエスSuma Care Aps おむつ内の尿の量を測定し、存在する大便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997B1 (ko) * 2010-03-25 2013-05-29 (주)아이티헬스 다수의 전극을 가진 정전용량형 대소변 감지기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장치
US9138354B2 (en) * 2012-12-27 2015-09-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ttachment for a conductorless wetness detector for an absorbent article
KR101721084B1 (ko) 2015-11-06 2017-03-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폐 구조를 갖는 비접촉식 기저귀용 배변 감지 장치
KR101912749B1 (ko) * 2016-02-24 2018-10-29 (주)크레이더스 스마트 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067A (ja) 1998-10-13 2000-07-04 Denso Corp 排泄監視装置、報知装置付おむつ、および排泄監視システム
US20040207530A1 (en) * 2001-06-11 2004-10-21 Nielsen Wyn Y. Elimination - absorber monitoring system
JP2016524161A (ja) 2013-07-12 2016-08-12 スマ ケア エーピーエスSuma Care Aps おむつ内の尿の量を測定し、存在する大便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277A1 (ko) * 2021-09-10 2023-03-16 주식회사 에스디센스 용변 감지 센서 장치
KR20230037947A (ko) *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에스디센스 용변 감지 센서 장치
KR102630932B1 (ko) * 2021-09-10 2024-01-31 주식회사 에스디센스 용변 감지 센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33911A3 (ko) 2021-05-20
KR20190103092A (ko) 2019-09-04
WO2021033911A2 (ko) 2021-02-25
US20210401636A1 (en)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7261T3 (es) Sensores de impedancia para detectar y supervisar humedad en artículos absorbentes
KR101586618B1 (ko) 흡수 용품용 무전도체 젖음 검출기의 부착
KR102587532B1 (ko) 흡수 용품 누설 평가 시스템
JP6180939B2 (ja) 吸収体における液体排泄物データを分析するためのツール、液体排泄物データを収集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吸収体、および液体排泄物データを収集するため吸収体と相互作用する制御ユニット
US20190350553A1 (en) System for monitoring incontinence
KR102284542B1 (ko) 기저귀용 감지 장치
US10624795B2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CN106510960A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US11806219B2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US11464681B2 (en) Wearable device
KR20140121059A (ko) 센서모듈 및 센서모듈 시스템
US11617689B2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US10709372B2 (en) System for monitoring incontinence
JP2002022687A (ja) 排泄検知センサ
TWM528733U (zh) 尿布濕度感測裝置及監測系統
US10888467B2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KR20190089607A (ko) 인체 감지 매트
AU2018229541B2 (en) System For Monitoring Incontinence
US20220211551A1 (en) Hygiene monitoring device with narrow data logging unit
TW202303134A (zh) 用於濕度檢測的可撓式感測器裝置
JP2022175107A (ja) 吸収性物品の濡れ報知システム、電極付き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濡れ報知装置
JP2019072499A (ja) 失禁を監視する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