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009B1 - 유체 분배기 - Google Patents

유체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009B1
KR102284009B1 KR1020190092356A KR20190092356A KR102284009B1 KR 102284009 B1 KR102284009 B1 KR 102284009B1 KR 1020190092356 A KR1020190092356 A KR 1020190092356A KR 20190092356 A KR20190092356 A KR 20190092356A KR 102284009 B1 KR102284009 B1 KR 10228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pipe connection
distribu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4794A (ko
Inventor
이종관
송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이종관
송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이종관, 송진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Priority to KR102019009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0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28Branched distribution condui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배기는, 유체가 유입되는 챔버 및 챔버와 연결되는 복수의 파이프 연결 개구를 갖는 분배기 몸체와,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 개구에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분배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연결기구를 포함한다. 파이프 연결기구는, 일단부가 분배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파이프 연결 개구에 삽입되고 내측에 연결 통로가 마련되는 파이프 연결 튜브와, 결합구멍과 체결관체 나사부 및 밀착면을 구비하며 결합구멍에 파이프 연결 튜브가 삽입되고 밀착면이 분배기 몸체의 외면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분배기 몸체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체결관체와,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에 고정 배치되는 그립 링과, 파이프 연결 튜브와 파이프 사이를 실링하도록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에 배치되는 실링부재와, 캡 관통구가 내측에 마련되는 캡 바디와 캡 바디의 내면에 구비되는 캡 나사부와 캡 바디에 연결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캡 나사부가 체결관체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관체에 결합되는 고정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분배기{FLUID DISTRIBUTOR}
본 발명은 유체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를 공급받아 복수의 유로로 분배할 수 있는 유체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분배기는 다양한 배관에 적용되어 유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복수의 사용부로 분배하는데 이용된다.
일예로, 난방 배관에 사용되는 유체 분배기는 보일러와 같은 가열기기로부터 공급된 난방수를 난방수가 사용되는 여러 구역으로 분배시키는데 사용된다. 이 밖에, 유체 분배기는 온수나 냉수 등의 유체를 사용부에 연결되는 파이프 쪽으로 분배하여 흐를 수 있게 한다. 유체 분배기에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복수의 밸브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체 분배기는 유체가 유입되는 챔버를 갖는 중공형 몸체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챔버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중공형 몸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부와, 챔버로 유입되는 유체를 복수의 사용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중공형 몸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부를 포함한다. 유입부와 배출부에는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가 구비된다.
종래에는 연결구에 파이프 또는 밸브의 일단에 형성된 파이프(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파이프'라 한다)를 결합하고, 그 결합 부위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유체 분배기에 파이프를 연결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결합 방식을 갖는 유체 분배기는 작업자들이 현장에서 정밀한 시공을 하기가 어렵고, 작업자들의 부주의 등에 의해 경화된 에폭시 수지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파이프의 고정력이 저하되고, 결합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0974004호 (2010. 08. 0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하고, 파이프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체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배기는, 유체를 공급받아 복수의 파이프로 분배하기 위한 유체 분배기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되는 챔버 및 상기 복수의 파이프가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복수의 파이프 연결 개구를 갖는 분배기 몸체; 및 상기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 연결 개구에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 몸체의 외측에 상기 파이프 연결 개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연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연결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분배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 개구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 통로가 마련되는 파이프 연결 튜브와, 내측에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외측에 체결관체 나사부가 구비되고, 일단부에 밀착면이 마련되며, 상기 결합구멍에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가 삽입되고 상기 밀착면이 상기 분배기 몸체의 외면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분배기 몸체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체결관체와,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압착되어 상기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에 고정 배치되는 그립 링과,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면 및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와 상기 파이프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에 배치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캡 관통구가 내측에 마련되는 캡 바디와, 상기 체결관체 나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캡 바디의 내면에 구비되는 캡 나사부와,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캡 바디에 연결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 나사부가 상기 체결관체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체결관체에 결합되는 고정 캡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관체는, 내측에 제1 분할홈이 형성되고, 외측에 제1 나사부가 구비되며, 일단부에 제1 접면이 마련되는 제1 분할체와, 상기 제1 분할홈과 함께 상기 결합구멍을 형성하도록 내측에 제2 분할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부와 함께 상기 체결관체 나사부를 형성하도록 외측에 제2 나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접면과 함께 상기 밀착면을 형성하도록 일단부에 제2 접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분할체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제2 분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할체와 상기 제2 분할체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홈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 몸체는 원통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면 및 상기 제2 접면은 상기 분배기 몸체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배기 몸체에는 상기 파이프 연결 개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관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관체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구멍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관 삽입홈과, 상기 연결관의 끝단이 접하는 관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분할체의 내측에는 제1 삽입홈과 제1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분할체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삽입홈과 함께 상기 관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2 삽입홈과, 상기 제1 걸림턱과 함께 상기 관 걸림턱을 형성하는 제2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분할체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분할체의 타단부가 접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확장된 튜브 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연결기구는, 상기 그립 링의 가장자리 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 링과, 상기 그립 링의 가장자리 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정 링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 캡의 가압부와 상기 고정 링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고정 링은 상기 실링부재를 통해 상기 가압부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그립 링을 상기 지지 링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분배기 몸체에는 외면에 배관부재 나사부가 구비되는 배관부재의 유로가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배관부재 연결 개구가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배기는, 상기 배관부재를 상기 배관부재 연결 개구에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 몸체의 외측에 상기 배관부재 연결 개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배관부재 연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부재 연결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분배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배관부재 연결 개구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배관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튜브 관통구가 마련되며, 일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튜브 림이 구비되는 배관부재 연결 튜브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 림의 일면에 접하는 제1 패킹부재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 림의 타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1 패킹부재보다 상기 분배기 몸체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2 패킹부재와, 내측에 상기 배관부재의 배관부재 나사부에 대응하는 너트 나사부가 구비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2 패킹부재와 마주하는 가압부가 마련되며, 상기 배관부재 연결 튜브의 일단부와 상기 제1 패킹부재 및 상기 제2 패킹부재를 내측에 수용하면서 상기 배관부재 연결튜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부재가 상기 연결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배관부재가 상기 배관부재 연결 튜브에 결합되되, 상기 배관부재 나사부와 상기 너트 나사부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너트가 조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배관부재의 끝단이 상기 제1 패킹부재에 접하여 상기 제1 패킹부재를 상기 튜브 림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2 패킹부재에 접하여 상기 제2 패킹부재를 상기 튜브 림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배기는 파이프를 분배기 몸체에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기구가 간단한 조립 방식으로 분배기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와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배기는 종래와 같이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시킬 필요가 없이 파이프가 원터치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하고, 파이프의 연결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으며, 파이프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배기는 파이프 연결기구가 필요에 따라 어렵지 않게 분배기 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연결기구의 분리 후, 보수 작업이나 파이프 등의 부품을 교체하는 교체 작업 등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에 복수의 파이프 및 배관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의 파이프 연결기구가 분배기 몸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의 체결관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의 체결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의 파이프 연결기구에 파이프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의 배관부재 연결기구가 분배기 몸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의 배관부재 연결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의 배관부재 연결기구에 배관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100)는 분배기 몸체(110)와, 분배기 몸체(110)에 파이프(10)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파이프 연결기구(120)와, 분배기 몸체(110)에 배관부재(20)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부재 연결기구(180)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체 분배기(100)는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복수의 유로로 분배할 수 있다.
분배기 몸체(110)는 복수의 파이프(10) 및 배관부재(20)와 연결됨으로써 유체가 공급되는 배관부재(20)와 복수의 파이프(10)를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한다. 분배기 몸체(110)는 내측에 챔버(111)가 마련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챔버(111)에는 배관부재(2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유입된다. 분배기 몸체(110)의 외면에는 복수의 파이프(10)가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챔버(111)와 연결되는 복수의 파이프 연결 개구(112)가 마련된다. 그리고 분배기 몸체(110)의 일단에는 배관부재(20)가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챔버(111)와 연결되는 배관부재 연결 개구(113)가 형성된다. 또한, 분배기 몸체(110)에는 복수의 파이프 연결 개구(112)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연결관(114)이 구비된다. 연결관(114)은 파이프 연결 개구(112)를 둘러싸는 형태로 분배기 몸체(11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분배기 몸체(110)는 도시된 것과 같은 원통 형상 이외에, 내측에 챔버가 마련되고, 챔버와 연결되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분배기 몸체에 구비되는 개구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기구(120)는 파이프(10)를 파이프 연결 개구(112)에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분배기 몸체(110)의 외측에 파이프 연결 개구(112)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파이프 연결기구(120)는 파이프 연결 개구(112)에 삽입되는 파이프 연결 튜브(121)와, 파이프 연결 튜브(121)와 결합되는 체결관체(140)와, 체결관체(140)에 결합되는 고정 캡(170)을 포함한다.
파이프 연결 튜브(121)는 일단부가 분배기 몸체(110)로부터 돌출되도록 파이프 연결 개구(112)에 삽입되는 튜브 바디(122)를 포함한다. 튜브 바디(122)의 내측에는 파이프(10)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 통로(123)가 마련된다. 파이프 연결 튜브(121)의 일단부에는 튜브 림(124)이 구비된다. 튜브 림(124)은 튜브 바디(122)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링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즉, 튜브 림(124)은 튜브 바디(122)의 일단부로부터 파이프 연결 튜브(121)를 통한 유체 이동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파이프 연결 튜브(121)는 연결관(114)을 통하여 파이프 연결 개구(112)에 삽입된다. 이때 파이프 연결 튜브(121)의 튜브 바디(122)의 외주면과 연결관(114)의 내주면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 튜브(121)와 연결관(114)은 상술한 용접 이외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 튜브(121)의 타단부에는 튜브 바디(122)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절곡부(125)가 구비되며, 상기 절곡부(125)에 지지 링(12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25)는 튜브 림(124)의 형태와 유사하게 링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이프 연결 튜브(121)의 내측, 구체적으로 절곡부(125)에는 지지 링(126)과, 그립 링(128)과, 고정 링(132) 및 실링부재(134)가 배치된다.
지지 링(126)은 파이프 연결 튜브(121)의 타단부 측으로 치우치도록 파이프 연결 튜브(121)내측의 절곡부(125)에 고정되어 그립 링(128)을 지지한다.
그립 링(128)은 지지 링(126)의 끝단에 그 일면이 접하는 링 형태의 링 바디(129)와, 링 바디(129)의 내측 둘레를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편(130)을 구비한다. 그립 링(128)은 복수의 걸림편(130)이 파이프 연결 튜브(12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면에 압착됨으로써 파이프(10)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링(132)은 링 바디(129)의 타면에 접하여 지지 링(126)과 함께 그립 링(128)을 고정한다. 즉, 그립 링(128)은 링 바디(129)가 지지 링(126) 및 고정 링(132) 사이에 끼임으로써 파이프 연결 튜브(121)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고정 링(132)에 접하여 고정 링(132)에 의해 지지되도록 파이프 연결 튜브(121)의 내측에 배치된다. 실링부재(134)는 파이프 연결 튜브(12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면과 파이프 연결 튜브(121)의 내면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파이프 연결 튜브(121)와 파이프(10) 사이를 실링한다. 실링부재(134)는 고정 캡(170)이 체결관체(140)에 결합될 때 고정 캡(170)에 의해 고정 링(132) 측으로 가압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체결관체(140)는 고정 캡(17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파이프 연결 튜브(121)에 결합된다. 체결관체(140)의 내측에는 파이프 연결 튜브(121)가 수용되는 결합구멍(141)이 형성되고, 체결관체(140)의 외측에는 체결관체 나사부(1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체결관체(140)의 일단부에는 분배기 몸체(110)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면(143)이 마련된다. 밀착면(143)은 원통 형상의 분배기 몸체(110) 외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분배기 몸체(110)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체결관체(140)의 내측에는 연결관(114)이 삽입되는 관 삽입홈(144)과, 연결관(114)의 끝단이 접하는 관 걸림턱(145)이 체결관체(140)의 일단부 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된다. 관 삽입홈(144)은 체결관체(140)의 일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되고, 결합구멍(141)보다 큰 폭으로 결합구멍(141)과 동축 배치된다.
체결관체(140)는 결합구멍(141)에 파이프 연결 튜브(121)가 삽입되고 밀착면(143)이 분배기 몸체(110)의 외면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분배기 몸체(110)에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체결관체(140)가 분배기 몸체(110)에 결합될 때, 분배기 몸체(110)의 연결관(114)이 관 삽입홈(144)에 삽입되어 그 끝단이 관 걸림턱(145)에 접하고, 체결관체(140)의 관 걸림턱(145)이 형성된 반대 측이 파이프 연결 튜브(121)의 튜브 림(124)에 접함으로써, 체결관체(140)는 파이프 연결 튜브(121) 및 분배기 몸체(110)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관체(140)는 상호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제1 분할체(148)와, 제2 분할체(158)로 구성된다. 제1 분할체(148)와 제2 분할체(158)는 각각 대략적으로 중공형 관이 종 방향으로 수직 2등분된 모양을 갖는다.
제1 분할체(148)의 내측에는 결합구멍(141)을 구성하는 제1 분할홈(149)이 형성되고, 제1 분할체(148)의 외면에는 체결관체 나사부(142)를 구성하는 제1 나사부(150)과 마련되며, 제1 분할체(148)의 일단부에는 밀착면(143)을 구성하는 제1 접면(151)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1 분할체(148)의 내측에는 관 삽입홈(144)을 구성하는 제1 삽입홈(152)과, 관 걸림턱(145)을 구성하는 제1 걸림턱(153)이 구비된다. 또한, 제1 분할체(148)에는 제2 분할체(158)와 맞닿는 한 쌍의 제1 수직 접면(154)이 구비되고, 이들 제1 수직 접면(154) 각각에 끼움홈(155)이 마련된다.
제2 분할체(158)의 내측에는 제1 분할체(148)의 제1 분할홈(149)에 대응하는 제2 분할홈(159)이 형성되고, 제2 분할체(158)의 외면에는 제1 나사부(150)에 대응하는 제2 나사부(160)가 마련되며, 제2 분할체(158)의 일단부에는 제1 접면(151)에 대응하는 제2 접면(161)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2 분할체(158)의 내측에는 제1 삽입홈(152)에 대응하는 제2 삽입홈(162)과, 제1 걸림턱(153)에 대응하는 제2 걸림턱(163)이 구비된다. 또한, 제2 분할체(158)에는 한 쌍의 제1 수직 접면(154)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2 수직 접면(164)이 구비되고, 이들 제2 수직 접면(164) 각각에 끼움돌기(165)가 구비된다.
제1 분할체(148)와 제2 분할체(158)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끼움돌기(165)가 끼움홈(155)에서 이탈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끼움돌기(165)가 끼움홈(155)에 삽입되어 제1 수직 접면(154)과 제2 수직 접면(164)이 상호 맞닿음으로써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 분할체(148)와 제2 분할체(158)가 결합될 때, 제1 분할홈(149)과 제2 분할홈(159)이 함께 결합구멍(141)을 형성하고, 제1 나사부(150)와 제2 나사부(160)가 함께 체결관체 나사부(142)를 형성하고, 제1 접면(151)과 제2 접면(161)이 함께 밀착면(143)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 삽입홈(152)과 제2 삽입홈(162)이 함께 관 삽입홈(144)을 형성하고, 제1 걸림턱(153)과 제2 걸림턱(163)이 함께 관 걸림턱(145)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관체(140)가 상호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분할체(148)와 제2 분할체(158)로 이루어짐으로써, 체결관체(140)는 파이프 연결 튜브(121) 및 분배기 몸체(110)에 더욱 쉽고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고, 파이프 연결 튜브(121) 및 분배기 몸체(110)에 더욱 쉽고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체결관체(14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체결관체(140)의 외관 형상이나, 체결관체 나사부(142)의 위치, 밀착면(143)과 관 삽입홈(144) 및 관 걸림턱(145) 각각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관 삽입홈(144)이나 관 걸림턱(145)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할체(148)와 제2 분할체(158) 각각의 구체적인 구조나, 이들의 결합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분할체에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가 구비되고, 제2 분할체에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마련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제1 분할체와 제2 분할체에 모두 하나 이상의 끼움홈 및 끼움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밖에, 제1 분할체(148)와 제2 분할체(158)는 끼움홈(155)에 끼움돌기(165)가 삽입되는 방식 이외의 다른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캡(170)은 캡 바디(171)와, 파이프(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캡 바디(171)를 관통하여 캡 바디(171)의 내측에 마련되는 캡 관통구(172)와, 체결관체 나사부(142)에 대응하도록 캡 바디(171)의 내면에 구비되는 캡 나사부(173)와, 캡 바디(17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캡 관통구(172) 속에 배치되는 가압부(174)를 포함한다. 가압부(174)는 실링부재(134)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고정 캡(170)은 캡 나사부(173)가 체결관체 나사부(142)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관체(140)에 결합된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정 캡(170)이 체결관체(140)에 나사 결합될 때, 가압부(174)가 실링부재(134)에 압착되어 실링부재(134)를 고정 링(132)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고정 링(132)은 실링부재(134)를 통해 가압부(174)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그립 링(128)을 지지 링(126)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그립 링(128)이 지지 링(126)과 고정 링(132) 사이에 끼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파이프 연결기구(120)는 구성 부품이 간단한 조립 방식으로 분배기 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연결기구(120)는 파이프(10)를 원터치식으로 분배기 몸체(110)에 연결할 수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파이프 연결기구(120)가 분배기 몸체(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이프(10)를 고정 캡(170)의 캡 관통구(172)를 통해 파이프 연결 튜브(121)의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그립 링(128)에 구비되는 복수의 걸림편(130)이 탄성 변형되면서 파이프(1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파이프(10)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실링부재(134)가 파이프 연결 튜브(121)와 파이프(10) 사이를 실링한다.
또한, 파이프 연결기구(120)는 필요에 따라 어렵지 않게 분배기 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수 작업이나 파이프(10) 등의 부품을 교체하는 교체 작업 등을 위해 파이프 연결기구(120)를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고정 캡(170)을 체결관체(140)로부터 풀어내고, 체결관체(140)의 제1 분할체(148) 및 제2 분할체(158)를 상호 분리하고, 파이프 연결기구(120)의 나머지 부품도 분배기 몸체(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 작업이나 부품 교체 작업이 더욱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배관부재 연결기구(180)는 분배기 몸체(110)의 외측에 배관부재 연결 개구(113)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배관부재(20)를 배관부재 연결 개구(113)에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한다. 배관부재 연결기구(180)는 배관부재 연결 개구(113)에 삽입되는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와,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패킹부재(186)와,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제2 패킹부재(188)와,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에 결합되는 연결 너트(190)를 포함한다.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는 일단부가 분배기 몸체(110)로부터 돌출되도록 배관부재 연결 개구(113)에 삽입되는 튜브 바디(182)를 포함한다. 튜브 바디(182)의 내측에는 배관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는 튜브 관통구(183)가 마련된다.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의 일단부에는 튜브 림(184)이 구비된다. 튜브 림(184)은 튜브 바디(182)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링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즉, 튜브 림(184)은 튜브 바디(182)의 일단부로부터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를 통한 유체 이동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제1 패킹부재(186)는 튜브 림(184)의 일면에 접하도록 튜브 림(184)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패킹부재(186)는 배관부재(20)가 연결 너트(190)에 결합될 때 배관부재(20)에 의해 튜브 림(184)의 일면에 압착됨으로써 배관부재(20)와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제2 패킹부재(188)는 튜브 바디(182)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패킹부재(188)는 튜브 림(184)을 사이에 두고 제1 패킹부재(186)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2 패킹부재(188)는 배관부재(20)가 연결 너트(190)에 결합될 때 연결 너트(190)에 의해 튜브 림(184)의 타면에 압착됨으로써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와 연결 너트(19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연결 너트(190)는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의 일단부와 제1 패킹부재(186) 및 제2 패킹부재(188)를 둘러싸면서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 너트(190)의 내측에는 배관부재(20)가 삽입되는 너트 관통구(191)가 연결 너트(190)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연결 너트(190)의 내면에는 배관부재(20)의 배관부재 나사부(22)에 대응하는 너트 나사부(192)가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 너트(190)의 타단부에는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 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193)가 구비된다. 가압부(193)는 제2 패킹부재(188)와 마주하도록 제2 패킹부재(188)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관부재 연결기구(180)는 너트 나사부(192)가 배관부재(20)의 배관부재 나사부(22)와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배관부재(20)와 결합됨으로써 배관부재(20)를 분배기 몸체(110)에 연결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관부재 나사부(22)와 너트 나사부(192)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 너트(190)가 조임 방향으로 회전하면, 배관부재(20)의 끝단이 제1 패킹부재(186)에 접하여 제1 패킹부재(186)를 튜브 림(184) 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가압부(193)가 제2 패킹부재(188)에 접하여 제2 패킹부재(188)를 튜브 림(184)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제1 패킹부재(186)가 배관부재(20)와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 사이를 실링하고, 제2 패킹부재(188)가 배관부재 연결 튜브(181)와 연결 너트(190) 사이를 실링함으로써, 배관부재(20)가 배관부재 연결기구(180)를 통해 분배기 몸체(110)와 안정적으로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100)는 파이프(10)를 분배기 몸체(110)에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기구(120)가 간단한 조립 방식으로 분배기 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와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100)는 종래와 같이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시킬 필요가 없이 파이프(10)가 원터치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 파이프(10)의 연결이 용이하고, 파이프(10)의 연결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100)는 파이프 연결기구(120)가 필요에 따라 어렵지 않게 분배기 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연결기구(120)의 분리 후, 보수 작업이나 파이프(10) 등의 부품을 교체하는 교체 작업 등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분배기 몸체(110)나 파이프 연결기구(120), 배관부재 연결기구(180) 각각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분배기 몸체(110)에 결합되는 파이프 연결기구(120)나 배관부재 연결기구(180)의 개수나 설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앞서서는 배관부재 연결기구(180)에 유체 공급을 위한 배관부재(20)가 연결되고, 복수의 파이프 연결기구(120)에 유체가 분배 공급되는 복수의 파이프(10)가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유체 공급을 위한 파이프가 파이프 연결기구(120)에 의해 분배기 몸체(110)에 연결될 수 있고, 유체를 공급받는 파이프가 배관부재 연결기구(180)에 의해 분배기 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관부재 연결기구(180)와 파이프 연결기구(120)를 통해 밸브 등 다른 배관부재가 분배기 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유체 분배기 110 : 분배기 몸체
111 : 챔버 112 : 파이프 연결 개구
113 : 배관부재 연결 개구 114 : 연결관
120 : 파이프 연결기구 121 : 파이프 연결 튜브
122 : 튜브 바디 123 : 연결 통로
124 : 튜브 림 126 : 지지 링
128 : 그립 링 132 : 고정 링
134 : 실링부재 140 : 체결관체
141 : 결합구멍 142 : 체결관체 나사부
143 : 밀착면 144 : 관 삽입홈
145 : 관 걸림턱 148 : 제1 분할체
149 : 제1 분할홈 150 : 제1 나사부
151 : 제1 접면 152 : 제1 삽입홈
153 : 제1 걸림턱 154 : 제1 수직 접면
155 : 끼움홈 158 : 제2 분할체
159 : 제2 분할홈 160 : 제2 나사부
161 : 제2 접면 162 : 제2 삽입홈
163 : 제2 걸림턱 164 : 제2 수직 접면
165 : 끼움돌기 170 : 고정 캡
171 : 캡 바디 173 : 캡 나사부
180 : 배관부재 연결기구 181 : 배관부재 연결 튜브
186 : 제1 패킹부재 188 : 제2 패킹부재
190 : 연결 너트

Claims (8)

  1. 유체를 공급받아 복수의 파이프로 분배하기 위한 유체 분배기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되는 챔버 및 상기 복수의 파이프가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복수의 파이프 연결 개구를 갖는 분배기 몸체; 및
    상기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 연결 개구에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 몸체의 외측에 상기 파이프 연결 개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연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연결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분배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 개구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 통로가 마련되는 파이프 연결 튜브와,
    내측에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외측에 체결관체 나사부가 구비되고, 일단부에 밀착면이 마련되며, 상기 결합구멍에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가 삽입되고 상기 밀착면이 상기 분배기 몸체의 외면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분배기 몸체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체결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관체는,
    내측에 제1 분할홈이 형성되고, 외측에 제1 나사부가 구비되며, 일단부에 제1 접면이 마련되는 제1 분할체와,
    상기 제1 분할홈과 함께 상기 결합구멍을 형성하도록 내측에 제2 분할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부와 함께 상기 체결관체 나사부를 형성하도록 외측에 제2 나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접면과 함께 상기 밀착면을 형성하도록 일단부에 제2 접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분할체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제2 분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압착되어 상기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에 고정 배치되는 그립 링과,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면 및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와 상기 파이프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에 배치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캡 관통구가 내측에 마련되는 캡 바디와, 상기 체결관체 나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캡 바디의 내면에 구비되는 캡 나사부와,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캡 바디에 연결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 나사부가 상기 체결관체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체결관체에 결합되는 고정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체와 상기 제2 분할체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홈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몸체는 원통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면 및 상기 제2 접면은 상기 분배기 몸체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몸체에는 상기 파이프 연결 개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관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관체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구멍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관 삽입홈과, 상기 연결관의 끝단이 접하는 관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분할체의 내측에는 제1 삽입홈과 제1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분할체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삽입홈과 함께 상기 관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2 삽입홈과, 상기 제1 걸림턱과 함께 상기 관 걸림턱을 형성하는 제2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분할체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분할체의 타단부가 접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확장된 튜브 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기구는,
    상기 그립 링의 가장자리 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 링과,
    상기 그립 링의 가장자리 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정 링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 캡의 가압부와 상기 고정 링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고정 링은 상기 실링부재를 통해 상기 가압부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그립 링을 상기 지지 링 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8. 유체를 공급받아 복수의 파이프로 분배하기 위한 유체 분배기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되는 챔버 및 상기 복수의 파이프가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복수의 파이프 연결 개구를 갖는 분배기 몸체; 및
    상기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 연결 개구에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 몸체의 외측에 상기 파이프 연결 개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연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연결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분배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 개구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 통로가 마련되는 파이프 연결 튜브와,
    내측에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외측에 체결관체 나사부가 구비되고, 일단부에 밀착면이 마련되며, 상기 결합구멍에 상기 파이프 연결 튜브가 삽입되고 상기 밀착면이 상기 분배기 몸체의 외면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분배기 몸체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체결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 몸체에는 외면에 배관부재 나사부가 구비되는 배관부재의 유로가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배관부재 연결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관부재를 상기 배관부재 연결 개구에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 몸체의 외측에 상기 배관부재 연결 개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배관부재 연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부재 연결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분배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배관부재 연결 개구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배관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튜브 관통구가 마련되며, 일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튜브 림이 구비되는 배관부재 연결 튜브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 림의 일면에 접하는 제1 패킹부재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 림의 타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1 패킹부재보다 상기 분배기 몸체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2 패킹부재와,
    내측에 상기 배관부재의 배관부재 나사부에 대응하는 너트 나사부가 구비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2 패킹부재와 마주하는 가압부가 마련되며, 상기 배관부재 연결 튜브의 일단부와 상기 제1 패킹부재 및 상기 제2 패킹부재를 내측에 수용하면서 상기 배관부재 연결튜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부재가 상기 연결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배관부재가 상기 배관부재 연결 튜브에 결합되되, 상기 배관부재 나사부와 상기 너트 나사부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너트가 조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배관부재의 끝단이 상기 제1 패킹부재에 접하여 상기 제1 패킹부재를 상기 튜브 림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2 패킹부재에 접하여 상기 제2 패킹부재를 상기 튜브 림 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KR1020190092356A 2019-07-30 2019-07-30 유체 분배기 KR102284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356A KR102284009B1 (ko) 2019-07-30 2019-07-30 유체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356A KR102284009B1 (ko) 2019-07-30 2019-07-30 유체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794A KR20210014794A (ko) 2021-02-10
KR102284009B1 true KR102284009B1 (ko) 2021-08-02

Family

ID=7456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356A KR102284009B1 (ko) 2019-07-30 2019-07-30 유체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0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118B1 (ko) 2007-03-02 2007-11-01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분기관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62Y1 (ko) * 2007-07-03 2009-07-03 문영달 냉온수 난방용 분배기
KR100974004B1 (ko) 2007-10-24 2010-08-05 박강훈 유체 분배기
KR20120025144A (ko) * 2010-09-07 2012-03-15 김인구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KR200491002Y1 (ko) * 2019-02-01 2020-02-06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냉온수 분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118B1 (ko) 2007-03-02 2007-11-01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분기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794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7170B1 (en) Couplings for fluid controllers
US9499960B2 (en) Fluid delivery system for use with water discharge fixture
US11654452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using high pressure dual check valve
CN106439346B (zh) 一种气源分配器
KR101901387B1 (ko) 배관용 커플링
KR102284009B1 (ko) 유체 분배기
KR102286155B1 (ko) 유체 분배기와 이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 조립체 및 유체 분배기의 제조방법
KR20230001770U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KR20180088246A (ko) 에어컨용 냉매 배관 이음장치
WO2022131672A1 (ko) 원 홀 수전 조립체의 씰링구조
KR200463683Y1 (ko) 냉온수 분배기
JP4437553B2 (ja) マニホールド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バルブユニット
KR200491556Y1 (ko) 펌프 설치용 배관 연결구
RU2701360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ая прокладка, имеющая сквозную полость с поперечным сечением уменьшающегося размера, сопло, которое может быть соединено с указанной прокладкой, и распыляющий конец, содержащий указанное сопло, соединенное с указанной прокладкой
JP5631518B1 (ja) 水栓蛇口
KR101819993B1 (ko) 지지홀더가 구비된 유체 커플링용 가스켓
JP2011117471A (ja) 流体装置
KR200352795Y1 (ko) 온수분배기 유량조절밸브의 경질관의 관접 소켓
KR200494258Y1 (ko) 온수 분배기의 밸브 체결구조
KR102286156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170004410U (ko)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용 어댑터
KR200204311Y1 (ko) 온수분배기용 급수제어 밸브
JP6809990B2 (ja) マニホールド型流体制御装置
EP3971461A1 (en) A connection apparatus
KR100505937B1 (ko) 수도계량기용 연결관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