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823B1 -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823B1
KR102283823B1 KR1020190178548A KR20190178548A KR102283823B1 KR 102283823 B1 KR102283823 B1 KR 102283823B1 KR 1020190178548 A KR1020190178548 A KR 1020190178548A KR 20190178548 A KR20190178548 A KR 20190178548A KR 102283823 B1 KR102283823 B1 KR 102283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mood
haz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482A (ko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이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진 filed Critical 이재진
Priority to KR102019017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823B1/ko
Priority to PCT/KR2020/019381 priority patent/WO2021137614A1/ko
Publication of KR2021008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6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2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with colour-mixing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2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with colour-mixing effects
    • G09F19/205Special effects using different waveleng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헤이즈 마킹(haze marking)을 포함하고 헤이즈 마킹을 통해 내부광을 산란시키는 마킹판과, 산란된 내부광을 외부로 송출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하프미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MIRROR/MOOD LIGHT/ ADVERTISEMENT BOARD INTEGRATED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이즈 특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무드등 및 광고판과 거울을 일체화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기 공지된 스마트 미러(smart mirror)는 하프미러 소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내부에 장착되며 내부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광이 발광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제품 퀄리티가 높지만 단가가 높아 상용화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 공지된 거울액자(mirror frame)는 하프미러 소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이미지 및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가 내부에 장착되며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된 광이 이미지를 통해 반사되어 원하는 이미지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설계되나, 광의 반사를 통해 이미지를 구현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와 가까운 곳은 상대적으로 밝고, 먼 곳은 상대적으로 어두워짐으로써 이미지의 밝기의 균일도와 발광 효율이 많이 떨어지며, 광의 반사를 위한 여유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25262호, "거울 기능을 갖는 액자"
본 발명은 광의 발광이나 반사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외부로 송출하는 것이 아니라, 헤이즈 마킹을 통한 광의 산란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의 균일성 및 효율성이 높은 무드등 및 광고판 기능을 저가로 구현할 수 있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헤이즈 마킹(haze marking)을 포함하고, 헤이즈 마킹을 통해 내부광을 산란시키는 마킹판 및 산란된 내부광을 외부로 송출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하프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헤이즈 마킹은 투명 플라스틱 소재인 마킹판 상에 가해지는 물리적 또는 열적 스크래치로 인해 형성되는 불투명한 마킹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마킹판 및 하프미러 사이에 구비되어 산란된 내부광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휘도감소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하프미러는 휘도가 감소된 내부광을 외부로 송출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휘도감소 필름은 외부에서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가변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휘도감소 필름의 투과율은 하기 수학식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9135785238-pat00001
여기서, q는 상기 휘도감소 필름의 투과율, p는 하프미러의 투과율, x는 하프미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광, y는 외부광이 마킹판에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방출될 때의 밝기, z는 산란된 내부광이 외부로 송출될 때의 밝기, k는 마킹판에서의 산란된 내부광의 밝기를 나타내고,
Figure 112019135785238-pat00002
Figure 112019135785238-pat00003
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휘도감소 필름은 산란되는 내부광 및 하프미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광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의 휘도를 20% 내지 50% 감소 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마킹판, 휘도감소 필름 및 하프미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내부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발광부는 마킹판의 방향으로 제1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고, 휘도감소 필름의 방향으로 제1 밝기 보다 작은 제2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며, 하프미러의 방향으로 제2 밝기 보다 작은 제3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발광부에서 내부광이 조사되는 조사면 상에 형성되는 헤이즈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헤이즈 필름은 고분자 물질과 저분자의 액정(liquid crystal)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MSLC(micro-segregated liquid crystal) 헤이즈 필름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마킹판 하부에 형성되고, 마킹판 및 휘도감소 필름을 실장하기 위한 격벽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케이스는 레이저 용착,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사출 성형 및 워터젯 가공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가공되어 하프미러와 접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케이스는 격벽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을 통해 마킹판이 탈부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헤이즈 마킹(haze marking)을 포함하고, 헤이즈 마킹을 통해 내부광을 산란시키는 마킹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산란된 내부광을 외부로 송출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하프미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마킹판을 형성하는 단계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마킹판을 형성하고, 마킹판 상에 기계적 또는 열적 스크래치를 가하여 불투명한 마킹인 헤이즈 마킹을 형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산란된 내부광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휘도감소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하프미러는 휘도가 감소된 내부광을 외부로 송출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휘도감소 필름은 외부에서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가변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마킹판, 휘도감소 필름 및 하프미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내부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발광부에서 내부광이 조사되는 조사면 상에 헤이즈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헤이즈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고분자 물질과 저분자의 액정(liquid crystal) 물질을 혼합하여 MSLC(micro-segregated liquid crystal) 헤이즈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마킹판 및 휘도감소 필름을 실장하기 위한 격벽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광의 발광이나 반사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외부로 송출하는 것이 아니라, 헤이즈 마킹을 통한 광의 산란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광의 균일성 및 효율성이 높은 무드등 기능 및 광고판 기능을 저가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무드등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발광부에 관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헤이즈 필름의 산란 거리에 관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헤이즈 필름을 구현하는 물질의 비율에 관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에서 발광 다이오드를 배치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케이스에 관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b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광의 발광이나 반사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외부로 송출하는 것이 아니라, 헤이즈 마킹을 통한 광의 산란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광의 산란을 이용하여 이미지가 외부에 비춰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광이 퍼저나가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광의 균일성 및 효율성이 높은 무드등 및 광고판 기능을 저가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케이스(110), 마킹판(120), 휘도감소 필름(130), 하프미러(140), 발광부(150) 및 헤이즈 필름(1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케이스(110), 마킹판(120), 휘도감소 필름(130) 및 하프미러(140)가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고, 마킹판(120), 휘도감소 필름(130) 및 하프미러(140)의 일측면 상에 발광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케이스(110), 마킹판(120), 하프미러(140), 발광부(150) 및 헤이즈 필름(160)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휘도감소 필름(130) 없이 마킹판(120) 및 하프미러(140)만으로 이미지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 광의 밝기가 밝을수록 하프미러(140)의 투과율은 감소해야하며, 반대로 하프미러(140)의 반사율은 매우 높아질 수 있다. 즉, 실내에서는 어느 정도 하프미러(140)의 특징이 구현될 수 있지만, 하프미러(140)의 반사율이 높게 고정되어 실외에서는 사실상 거울로서의 기능만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휘도감소 필름(130)이 구비된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10)는 마킹판(120) 하부에 형성되고, 마킹판(120) 및 휘도감소 필름(130)을 실장하기 위한 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10)는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불투명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의 하부 및 측면에서 외부 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하나의 판에 소정의 홈을 가공하는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3T 두께의 판에 1T 두께로 홈을 형성하여 마킹판(120) 및 휘도감소 필름(130)을 실장하는 케이스(1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ㅁ'자형 판과 'ㄷ'자형 판을 별도로 형성하고, 형성된 두 개의 판을 레이저 용착을 통해 접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일측에 따르면, 케이스(110)는 하부 케이스, 중간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케이스는 'ㅁ'자 형상의 판 일 수 있고, 중간 케이스는 'ㄷ' 자 형상의 판일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는 액자 형상의 판 또는 투명한 'ㅁ'자 형상의 판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케이스(110)는 레이저 용착,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사출 성형 및 워터젯 가공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가공되어 하프미러(140)와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110)는 레이저 용착을 통해 하프미러(140)와 접합될 수 있으며, 격벽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을 통해 마킹판(120)이 탈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킹판(120) 및 휘도감소 필름(130)을 실장한 케이스(110) 상부에 하프미러(140)를 겹쳐놓은 상태에서 소정의 파워와 속도로 레이저 커팅 가공을 하게 되면, 레이저 열에 의해 아크릴(케이스(110) 및 하프미러(140)의 소재)이 녹으면서 자연스럽게 두 장의 아크릴이 접합될 수 있다. 즉,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아크릴 접착제, UV 레진 등의 추가적인 접착공정 없이 구현될 수 있으며 후 가공처리 없이 깔끔한 테두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4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격벽이 형성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하프미러(140)와 접합된 케이스(110)는 격벽이 형성되지 않은 면을 통해 마킹판(120)이 교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다양한 이미지를 쉽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판(120)은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헤이즈 마킹(haze marking)을 포함하고, 헤이즈 마킹을 통해 내부광을 산란 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헤이즈 마킹은 투명 플라스틱 소재인 마킹판(120) 상에 가해지는 물리적 또는 열적 스크래치로 인해 형성되는 불투명한 마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마킹판(120)은 투명한 아크릴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헤이즈 마킹은 펜 또는 별도의 기계를 이용한 물리적 스크래치를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적 스크래치를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감소 필름(130)은 마킹판(120) 및 하프미러(140) 사이에 구비되어 헤이즈 마킹을 통해 산란된 내부광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휘도감소 필름(130)은 플라스틱 소재(일례로, 아크릴)이거나, 반투명 다크 그레이 시트지 또는 반투명 다크 그레이 코팅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투명 다크 그레이 시트지는 마킹판(120) 및 하프미러(140)의 알루미늄 증착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반투명 다크 그레이 코팅막은 하프미러의 알루미늄 증착면에 증착/코팅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휘도감소 필름(130)은 산란되는 내부광 및 하프미러(14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광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의 휘도를 20% 내지 50% 감소 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휘도감소 필름(130)은 적어도 하나의 광의 휘도를 50%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스마트 미러(smart mirror)나 거울액자(mirror frame)의 경우 외부 광에 의해 내부 이미지가 반사되는 효과를 방지하고 오로지 내부 광으로만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편광필름 및 리타더 또는 외부 광 차단필름 등이 추가로 결합되어야 한다. 그러나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별도의 추가 수단의 구비 없이 휘도감소 필름(130)만을 이용하여 보다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휘도감소 필름(130)이 광의 휘도를 50% 감소시키는 필름인 경우,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하프미러(14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광의 휘도를 100이라 가정하면, 외부광의 휘도는 하프미러(140) 및 휘도감소 필름(130)을 통과하면서 25로 감소하고, 감소된 외부 광이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방출될 때 다시 휘도감소 필름(130) 및 하프미러(140)를 통과하여 6의 휘도로 송출될 수 있다.
또한, 휘도감소 필름(130)이 광의 휘도를 50% 감소시키는 필름인 경우,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내부광의 휘도를 100이라 가정하면, 내부광의 휘도는 휘도감소 필름(130) 및 하프미러(140)를 통과하면서 25의 휘도로 송출될 수 있다.
즉,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휘도감소 필름(130) 및 하프미러(140)만을 이용하여, 외부광의 휘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는 수준까지 감소시키고, 내부광의 휘도를 최대 효율로 송출함으로써 보다 적은 비용으로 보다 효율적인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휘도감소 필름(130)은 외부에서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가변될 수 있다. 일례로, 휘도감소 필름(130)은 편광필름 및 액정 조합물로 형성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액정의 배열을 통해 투과율을 가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휘도감소 필름(130)의 투과율을 가변하기 위한 제어기(controller)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휘도감소 필름(130)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 신호는 전기적 신호, 온도, 물리적인 힘 및 기타 외부자극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즉,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휘도감소 필름(130)의 투과율을 제어하여 장치 전반에 대한 반사율 및 투과율을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주위가 밝은 낮에도 광고판의 기능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휘도감소 필름(130)의 투과율은 하기 수학식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9135785238-pat00004
상술한 수학식에서, q는 휘도감소 필름의 투과율, p는 하프미러의 투과율, x는 하프미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광, y는 외부광이 마킹판에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방출될 때의 밝기, z는 산란된 내부광이 외부로 송출될 때의 밝기, k는 마킹판에서의 산란된 내부광의 밝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광의 투과율은 1을 넘을 수 없고 사람들은 통상적으로 10 lx 이하의 밝기의 광을 인지하기 어려우므로
Figure 112019135785238-pat00005
Figure 112019135785238-pat00006
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한 수학식을 통해 산출된 투과율로 휘도감소 필름(130)의 투과율이 가변되거나 고정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술한 수학식에서 x = 1,000으로 가정하였을 때 p = 0.7(반사율이 30%, 투과율이 70%)인 경우,
Figure 112019135785238-pat00007
이어야 하므로, q는 1/7보다 같거나 작아야 한다. 즉, p = 0.7일 때
Figure 112019135785238-pat00008
(밝기 감소가 86%, 투과율이 14%)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수학식에서 x = 1,000으로 가정하였을 때 p = 0.5(반사율이 50%, 투과율이 50%)인 경우,
Figure 112019135785238-pat00009
이어야 하므로, q는 1/5보다 같거나 작아야 한다. 즉, p = 0.5일 때
Figure 112019135785238-pat00010
(밝기 감소가 80%, 투과율이 20%)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수학식에서 x = 1,000으로 가정하였을 때 p = 0.1(반사율이 90%, 투과율이 10%)인 경우,
Figure 112019135785238-pat00011
이어야 하므로, q는 1보다 같거나 작아야 한다. 즉, p = 0.1일 때
Figure 112019135785238-pat00012
(밝기 감소가 0%, 투과율이 100%)로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하프미러(140)는 마킹판(120)을 통해 산란된 내부광을 외부로 송출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프미러(140)는 휘도감소 필름(130)을 통해 휘도가 감소된 내부광을 외부로 송출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100)는 반투명 안개 칼라시트지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비된 반투명 안개 칼라시트지를 이용하여 칼라 이미지에 대한 광의 산란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반투명 안개 칼라시트지는 마킹판(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발광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마킹판(120), 휘도감소 필름(130) 및 하프미러(140)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내부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50)는 마킹판의 방향으로 제1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고, 휘도감소 필름의 방향으로 제1 밝기 보다 작은 제2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며, 하프미러의 방향으로 제2 밝기 보다 작은 제3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발광부(150)는 마킹판 방향으로 기설정된 강한 크기의 밝기인 제1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고, 휘도감소 필름의 방향으로 기설정된 중간 크기의 밝기인 제2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며, 하프미러의 방향으로 기설정된 약한 크기의 밝기인 제3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설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헤이즈 필름(160)은 발광부(150)에서 내부광이 조사되는 조사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헤이즈 필름(160)은 고분자 물질(polymer)과 저분자의 액정(liquid crystal)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MSLC(micro-segregated liquid crystal) 헤이즈 필름일 수 있다.
즉, 헤이즈 필름(160)은 마이크로 미터 수준의 액정(liquid crystal) 물질의 액적(droplet)이 자발적으로 고분자 매트릭스에서 상 분리되어 분산되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헤이즈 필름(160)을 통해 발광부(150)에서 조사되는 내부광의 확산시켜 내부광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MSLC 헤이즈 필름(16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때 마킹판(120)에 내부광을 고르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매우 얇은 두께로 구현되기 때문에 실리콘 커버를 이용한 산란 방법보다 광의 투과율이 높으며, 액적 사이즈가 작고 균일하여 광을 불규칙적으로 산란시키는 것이 아니라 고르게 산란(확장)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무드등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하단에 구비된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내부광이 휘도감소 필름으로 입력되고, 입력된 내부광이 마킹판 표면에 형성된 헤이즈 마킹에서 산란됨으로써, 광의 산란 현상을 통해 헤이즈 마킹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하프 미러의 외부 표면으로 비춰지게 되어 이미지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케이스, 마킹판, 휘도감소 필름 및 하프미러는 아크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되는 아크릴 소재는 공기중보다 밀하므로(굴절률이 크므로), 광이 진행할 때 전반사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아크릴 소재로 형성되어 산란된 내부광을 전반사함으로써, 산란된 내부광의 세기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a)는 휘도감소 필름을 구비하지 않은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거울 모드를 나타내며, 도 3의 (c)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무드등 모드를 나타낸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감소 필름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거울 모드에서 하프미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광으로 인해 헤이즈 마킹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는 시인성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도 3의 (b)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감소 필름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시인성 문제를 개선하고 광의 균일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휘도감소 필름이 광의 휘도를 50% 감소시키는 필름인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하프미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광의 휘도를 100이라 가정하면, 외부광의 휘도는 하프미러 및 휘도감소 필름을 통과하면서 25로 감소하고, 감소된 외부 광이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방출될 때 다시 휘도감소 필름 및 하프미러를 통과하여 6의 휘도로 송출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휘도감소 필름 및 하프 미러를 통해 외부광의 휘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는 수준까지 감소시킴으로써 시인성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휘도감소 필름이 광의 휘도를 50% 감소시키는 필름인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내부광의 휘도를 100이라 가정하면, 내부광의 휘도는 휘도감소 필름 및 하프미러를 통과하면서 25의 휘도로 송출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휘도감소 필름 및 하프 미러를 통해 사용자의 시인성을 보장하면서 내부광을 최대 효율로 송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발광부에 관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400a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전면 이미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400b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측면 이미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400a 내지 400b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는 내부광을 휘도감소 필름 방향으로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41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410)는 동일한 칼라로 구현 되거나 다른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410)는 실리콘 물질과 같은 플렉서블한 물질에 실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는 온/오프(on/off) 스위치(420) 및 C타입의 전원단자(430)를 더 포함하여, 거울 모드 및 무드등 모드 간의 모드 스위칭과, 전력 공급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헤이즈 필름의 산란 거리에 관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는 일실시예에 따른 헤이즈 필름(haze layer)의 산란 거리(d)를 나타내고, 도 5의 (b) 내지 (e) 각각은 일실시예에 따른 헤이즈 필름의 산란 거리가 0cm, 1cm, 4cm 및 10cm인 상태(contact)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발광부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각각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광의 균일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내부광의 세기가 매우 강한 경우에는 이러한 균일성 문제를 무시할 수 있으나, 무드등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발명의 특성상 광의 세기를 일정 세기 이상으로 강하게 할 수 없으므로, 균일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추가적인 수단이 필요하다.
이에,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광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발광부와 휘도감소 필름 사이에 헤이즈 필름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헤이즈 필름은 고분자 물질(polymer)과 저분자의 액정(liquid crystal)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MSLC(micro-segregated liquid crystal) 헤이즈 필름일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e)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헤이즈 필름은 이미지로부터 거리(산란 거리)가 멀어질수록 광이 산란되어 이미지를 인지할 수 없는 수준까지 다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산란 거리가 10cm인 경우에 광이 매우 큰 범위까지 확산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헤이즈 효과(산란 효과)가 있는 헤이즈 필름을 휘도감소 필름과 발광부 사이에 배치하여, 발광부를 통해 휘도감소 필름으로 조사되는 내부 광을 산란시킴으로써, 광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헤이즈 필름을 구현하는 물질의 비율에 관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는 서로 다른 비율로 형성되는 헤이즈 필름(MSLC-0, MSLC-30, MSLC-50)의 파장(wavelength)에 따른 총 투과율(TT)을 나타내고, 도 6의 (b)는 서로 다른 비율로 형성되는 헤이즈 필름(MSLC-0, MSLC-30, MSLC-50)의 파장(wavelength)에 따른 확산 투과율(DT)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의 (c)는 헤이즈 필름(MSLC-0, MSLC-30, MSLC-50)의 파장(wavelength)에 따른 헤이즈 특성(산란 특성)을 나타내고, 도 6의 (d) 및 (e)는 MSLC-30 헤이즈 필름 및 MSLC-50의 액적의 사이즈(diameter size)에 따른 액적의 수(numbers of druplets)를 나타낸다.
한편, MSLC-0 헤이즈 필름(도 6의 (a) 내지 (c)의
Figure 112019135785238-pat00013
)은 저분자 액정물질 0wt%, 고분자 물질 100wt%로 형성된 필름이고, MSLC-30 헤이즈 필름(도 6의 (a) 내지 (c)의
Figure 112019135785238-pat00014
)은 저분자 액정물질 30wt%, 고분자 물질 70wt%로 형성된 필름이며, MSLC-50 헤이즈 필름(도 6의 (a) 내지 (c)의
Figure 112019135785238-pat00015
)은 저분자 액정물질 50wt%, 고분자 물질 50wt%로 형성된 필름이다.
또한, 헤이즈 특성(optical haze)은 '확산 투과율(DT) / 총 투과율(TT) x 100'의 연산을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총 투과율(TT)은 확산 투과율(DT)과 평행 투과율(PT)의 합산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e)에 따르면, MSLC-50 헤이즈 필름이 MSLC-30 헤이즈 필름 보다 헤이즈 특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분산된 액정의 액적 사이즈와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 MSLC-30 헤이즈 필름의 액적의 평균 사이즈는 1.6um이지만, MSLC-50 헤이즈 필름의 액적 평균 사이즈는 21.5um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MSLC-30 헤이즈 필름은 550nm의 파장에서 헤이즈 값이 97%를 나타낼 만큼 헤이즈 특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MSLC-50 헤이즈 필름의 경우에는 MSLC-30 헤이즈 필름의 50% 수준에 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실시예에 따른 헤이즈 필름은 액적 사이즈에 따라 헤이즈 특성이 제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에서 발광 다이오드를 배치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a) 및 (b)는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내부광이 마킹판에 중점적으로 조사될 때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측면 이미지와 정면 이미지를 나타내고, 도 7의 (b) 및 (c)는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내부광이 휘도감소 필름에 중점적으로 조사될 때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측면 이미지와 정면 이미지를 나타내며, 도 7의 (d) 및 (e)는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내부광이 하프미러에 중점적으로 조사될 때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측면 이미지와 정면 이미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 및 (b)에 따르면, 발광부는 마킹판 방향으로 기설정된 강한 크기의 밝기인 제1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고, 휘도감소 필름의 방향으로 기설정된 중간 크기의 밝기인 제2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며, 하프미러의 방향으로 기설정된 약한 크기의 밝기인 제3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설계)될 수 있다.
이때 마킹판 측의 밝기가 휘도감소 필름 또는 하프미러 측보다 더 밝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로 표시되는 이미지가 매우 선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b) 및 (c)에 따르면, 발광부는 마킹판 방향으로 제2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고, 휘도감소 필름의 방향으로 제1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며, 하프미러의 방향으로 제2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설계)될 수 있다.
이때 마킹판, 휘도감소 필름 및 하프미러 측 모두의 밝기가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로 표시되는 이미지가 균형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d) 및 (e)에 따르면, 발광부는 마킹판 방향으로 제3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고, 휘도감소 필름의 방향으로 제2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며, 하프미러의 방향으로 제1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설계)될 수 있다.
이때, 하프미러 측의 밝기가 마킹판 또는 휘도감소 필름 보다 더 밝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로 표시되는 이미지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종합해보면,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마킹판 방향으로 제1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고, 휘도감소 필름의 방향으로 제2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며, 하프미러의 방향으로 제3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될 때 가장 효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케이스에 관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a)는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 및 중간 케이스만으로 구현되는 예시를 나타내고, 도 8의 (b)는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 중간 케이스 및 투명한 'ㅁ'자 형태의 상부 케이스로 구현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또한, 도 8의 (c)는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 중간 케이스 및 액자 형태의 상부 케이스로 구현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ㅁ'자 형태의 하부 케이스(811) 상에 'ㄷ'자 형태의 중간 케이스(81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중간 케이스(812)의 테두리 내에 마킹판(820) 및 휘도감소 필름(830)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마킹판(820) 및 휘도감소 필름(830)이 실장된 중간 케이스(812) 상에 하프미러(840)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하프미러(840)는 마킹판(820) 및 휘도감소 필름(830)과 함께 중간 케이스(812)의 테두리 내에 실장될 수도 있다.
이때, 도 8의 (a)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 점등 시 내부 이미지만 빛이 나고 테두리는 빛이 나지 못하며, 거울 효과를 나타내는 하프미러(840)의 반사율 소재 증착면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휘도감소 필름(830)의 인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b)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도 8의 (a)를 통해 설명한 구조에서 투명한 'ㅁ'자 형태의 상부 케이스(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부 케이스(850)는 투명 아크릴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투명한 'ㅁ'자 형태의 상부 케이스(85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테두리에서도 발광이 되는 효과를 나타내어 장치의 전반적인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휘도감소 필름(830)이 없이 구현되는 경우, 하프미러(840)에서 거울 효과를 나타내는 반사율 소재의 증착면은 외부와 인접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프미러(840)는 헤이즈 마킹을 구비하여 마킹판(820)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하프미러(840)의 하나의 소재에서 반사와 헤이즈 마킹을 둘 다 구현하여 마킹판(820)을 배재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하부 케이스(811), 중간 케이스(812), 하프미러(840) 및 상부 케이스(850)로 구현되거나, 하부 케이스(811), 중간 케이스(812), 휘도감소 필름(830), 하프미러(840) 및 상부 케이스(850)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의 (c)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하부 케이스(811), 중간 케이스(812), 마킹판(820), 휘도감소 필름(830), 하프미러(840) 및 상부 케이스(813)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상부 케이스(813)는 액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는 상부 케이스(813)의 네개의 면 중 어느하나의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8의 (c)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테두리를 좀 더 넓은 상부 케이스(813)로 끼움으로써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시 말해, 도 9a 내지 도 9e는 도 1a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도면으로, 이후 도 9a 내지 도 9e를 통해 설명하는 내용 중 도 1a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는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e를 참조하면, 9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케이스(915)를 형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케이스(915)는 격벽을 포함하는 불투명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하부 및 측면에서 외부 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9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케이스(915) 상에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헤이즈 마킹(haze marking)을 포함하고, 헤이즈 마킹을 통해 내부광을 산란시키는 마킹판(925)을 형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9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마킹판(925)을 형성하고, 마킹판 상에 기계적 또는 열적 스크래치를 가하여 불투명한 마킹인 헤이즈 마킹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9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마킹판(925)을 투명한 아크릴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아크릴 소재의 마킹판(925) 상에 펜 및 별도의 기계를 통해 형성되는 물리적 스크래치 또는 소정의 온도의 열을 가하여 형성되는 열적 스크래치를 통해 불투명한 헤이즈 마킹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9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마킹판(925) 상에 산란된 내부광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휘도감소 필름(935)을 형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휘도감소 필름(935)은 산란되는 내부광 및 외부광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의 휘도를 20% 내지 50% 감소시키는 필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휘도감소 필름(835)은 적어도 하나의 광의 휘도를 50% 감소시키는 필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휘도감소 필름(935)이 광의 휘도를 50% 감소시키는 필름인 경우,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하프미러(94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광의 휘도를 100이라 가정하면, 외부광의 휘도는 하프미러(945) 및 휘도감소 필름(935)을 통과하면서 25로 감소하고, 감소된 외부 광이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방출될 때 다시 휘도감소 필름(935) 및 하프미러(945)를 통과하여 6의 휘도로 송출될 수 있다.
또한, 휘도감소 필름(945)이 광의 휘도를 50% 감소시키는 필름인 경우,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내부광의 휘도를 100이라 가정하면, 내부광의 휘도는 휘도감소 필름(935) 및 하프미러(945)를 통과하면서 25의 휘도로 송출될 수 있다.
즉,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휘도감소 필름(935) 및 하프미러(945)만을 이용하여, 외부광의 휘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는 수준까지 감소시키고, 내부광의 휘도를 최대 효율로 송출함으로써 보다 적은 비용으로 보다 효율적인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휘도감소 필름은 외부에서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가변될 수 있다.
다음으로, 94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마킹판을 통해 산란된 내부광을 외부로 송출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하프미러(945)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94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휘도감소 필름을 통해 휘도가 감소된 내부광을 외부로 송출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94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레이저 용착을 통해 케이스(915)와 하프미러(945)를 접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95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마킹판(925), 휘도감소 필름(935) 및 하프미러(945)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내부광을 조사하는 발광부(955)를 형성하고, 형성된 발광부(955)에서 내부광이 조사되는 조사면 상에 헤이즈 필름(965)을 형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95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고분자 물질과 저분자의 액정(liquid crystal) 물질을 혼합하여 MSLC(micro-segregated liquid crystal) 헤이즈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95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은 저분자 액정물질 30wt%, 고분자 물질 70wt%을 혼합하여 MSLC 헤이즈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는 나노 상 분리 헤이즈 필름(haze film)과 헤이즈 마킹(haze marking)이 조화되어 광의 산란을 적극 활용하는 장치로서, 스마트 미러와 같은 발광장치 보다는 저가로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고 거울액자와 같은 반사장치보다는 균일성과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소재에 하나의 장비로 공정을 끝낼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접착 공정 및 결합 가공의 소요를 감소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장치,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110: 케이스
120: 마킹판 130: 휘도감소 필름
140: 하프미러 150: 발광부
160: 헤이즈 필름

Claims (20)

  1.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헤이즈 마킹(haze marking)을 포함하고, 상기 헤이즈 마킹을 통해 내부광을 산란시키는 마킹판;
    상기 산란된 내부광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휘도감소 필름 및
    상기 휘도가 감소된 내부광을 외부로 송출하여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하프미러
    를 포함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이즈 마킹은,
    투명 플라스틱 소재인 상기 마킹판에 가해지는 물리적 또는 열적 스크래치로 인해 형성되는 불투명한 마킹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감소 필름은,
    외부에서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가변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감소 필름의 투과율은,
    하기 수학식을 통해 결정되는
    [수학식]
    Figure 112020141215572-pat00016

    여기서, q는 상기 휘도감소 필름의 투과율, p는 상기 하프미러의 투과율, x는 상기 하프미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광, y는 상기 외부광이 상기 마킹판에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방출될 때의 밝기, z는 상기 산란된 내부광이 외부로 송출될 때의 밝기, k는 상기 마킹판에서의 상기 산란된 내부광의 밝기를 나타내고,
    Figure 112020141215572-pat00017
    Figure 112020141215572-pat00018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감소 필름은,
    상기 산란되는 내부광 및 상기 하프미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광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의 휘도를 20% 내지 50% 감소 시키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마킹판, 상기 휘도감소 필름 및 상기 하프미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내부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를 더 포함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마킹판의 방향으로 제1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고, 상기 휘도감소 필름의 방향으로 상기 제1 밝기 보다 작은 제2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며, 상기 하프미러의 방향으로 상기 제2 밝기 보다 작은 제3 밝기의 내부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내부광이 조사되는 조사면 상에 형성되는 헤이즈 필름
    을 더 포함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헤이즈 필름은,
    고분자 물질과 저분자의 액정(liquid crystal)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MSLC(micro-segregated liquid crystal) 헤이즈 필름인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판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킹판 및 상기 휘도감소 필름을 실장하기 위한 격벽을 구비하는 케이스
    를 더 포함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레이저 용착,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사출 성형 및 워터젯 가공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가공되어 상기 하프미러와 접합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격벽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을 통해 상기 마킹판이 탈부착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14.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헤이즈 마킹(haze marking)을 포함하고, 상기 헤이즈 마킹을 통해 내부광을 산란시키는 마킹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산란된 내부광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휘도감소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휘도가 감소된 내부광을 외부로 송출하여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하프미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판을 형성하는 단계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상기 마킹판을 형성하고, 상기 마킹판 상에 기계적 또는 열적 스크래치를 가하여 불투명한 마킹인 상기 헤이즈 마킹을 형성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감소 필름은,
    외부에서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가변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마킹판, 상기 휘도감소 필름 및 상기 하프미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내부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내부광이 조사되는 조사면 상에 헤이즈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헤이즈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고분자 물질과 저분자의 액정(liquid crystal) 물질을 혼합하여 MSLC(micro-segregated liquid crystal) 헤이즈 필름을 형성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판 및 상기 휘도감소 필름을 실장하기 위한 격벽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90178548A 2019-12-30 2019-12-30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8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48A KR102283823B1 (ko) 2019-12-30 2019-12-30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CT/KR2020/019381 WO2021137614A1 (ko) 2019-12-30 2020-12-30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48A KR102283823B1 (ko) 2019-12-30 2019-12-30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482A KR20210085482A (ko) 2021-07-08
KR102283823B1 true KR102283823B1 (ko) 2021-07-30

Family

ID=7668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548A KR102283823B1 (ko) 2019-12-30 2019-12-30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3823B1 (ko)
WO (1) WO20211376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885A (ko) 2021-12-06 2023-06-13 윤정환 역사해석용 태양광 아크릴 패널 및 아크릴 패널의 그래픽 출력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166Y1 (ko) 2004-08-12 2004-11-17 윤종근 연예인 등 일정 대상 광고를 위한 다기능 광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1234A (ja) * 2006-02-13 2007-09-20 Hiroshi Nakazaw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10003225A (ko) * 2009-07-03 2011-01-11 김관형 3차원 입체 광고
KR101293991B1 (ko) * 2011-10-19 2013-08-07 (주)한국킹유전자 이미지 표시장치
KR101211648B1 (ko) * 2011-12-20 2012-12-12 (주)한국킹유전자 입체감을 표현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KR101367826B1 (ko) * 2013-08-26 2014-03-12 황재성 레이저광을 이용한 실사 이미지 표현 장치
KR20190025262A (ko) 2017-09-01 2019-03-11 이종민 거울 기능을 갖는 액자
KR102015003B1 (ko) * 2019-01-10 2019-08-27 방세현 터미널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166Y1 (ko) 2004-08-12 2004-11-17 윤종근 연예인 등 일정 대상 광고를 위한 다기능 광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885A (ko) 2021-12-06 2023-06-13 윤정환 역사해석용 태양광 아크릴 패널 및 아크릴 패널의 그래픽 출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614A1 (ko) 2021-07-08
KR20210085482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507B2 (en) Backlight module structure
JP5342016B2 (ja) 大面積光パネル及びスクリーン
US9881531B2 (en) Switchable lighting device and use thereof
JP6487606B2 (ja) 自由動作モード及び制限動作モード用のスクリーン
JP4174687B2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NL1030663C2 (nl) Achterverlichtingssysteem en vloeibaar kristaldisplay dat daarvan voorzien is.
JP5089960B2 (ja) 面光源装置とこれ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4468110B2 (ja) 発光用エレメント、これを備えた発光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160202512A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JP2007304553A (ja) プリズムシート、それ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EP2067065A2 (en) Illumination system, luminaire and display device
JP2014038845A (ja) 照明装置
WO2011152446A1 (ja) 導光板及び照明装置
US11320574B2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9039245B2 (en) Energy efficient sign
CN106597755A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H07199841A (ja) 光表出装置
JP4399483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50253492A1 (en) Ligh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KR102283823B1 (ko) 거울/무드등/광고판 일체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665108B2 (ja) 発光装置、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20110050127A1 (en) Lighting device
CN105324606A (zh) 叠层体、叠层体的制造方法、光源装置用导光体及光源装置
WO2017104058A1 (ja) 表示装置
JP2002323607A (ja) 光制御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