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287B1 -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287B1
KR102282287B1 KR1020210023420A KR20210023420A KR102282287B1 KR 102282287 B1 KR102282287 B1 KR 102282287B1 KR 1020210023420 A KR1020210023420 A KR 1020210023420A KR 20210023420 A KR20210023420 A KR 20210023420A KR 102282287 B1 KR102282287 B1 KR 102282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establishment
unit
businesses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티미드링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미드링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미드링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3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재 상용화된 업소 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반으로 특정 기기를 대여 받은 다양한 업종의 업소에 대하여 상호 간에 업소 광고 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지역 내 업소 간 홍보 활동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지역 소상공인들의 발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특정 기기의 대여에 대한 프로모션 활동을 활성화시켜 보다 많은 기기 대여 고객을 유치하는데 있다.
일례로, 기기를 대여 받은 업소의 업종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업소 간을 매칭하는 업소 매칭부; 상기 업소 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업소 간에 각 업소 광고 콘텐츠가 서로 교환되도록 서로 매칭된 업소로 해당 업소 광고 콘텐츠를 각각 송출하는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 및 기기를 대여 받은 업소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로부터 업소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를 포함하는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HARING SERVICE BETWEEN BUSINESSES PROVIDED DEVICE RENTAL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상점, 특히, 소상인들이 운영하는 상점들의 주된 고객들은 주로 상점 주변에서 거주(또는 일)하거나 상점 주변을 지나가는 사람들이거나, 그 상점들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만족하여 지속적으로 찾아오는 단골손님들이 대부분이다.
소규모의 오프라인 상점들도 할인 행사나 사은품 행사 등을 자주 열어, 재고도 줄이면서 고객에게 홍보도 하는 이벤트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식품점이나 음식점, 유행에 민감한 패션 상점 등 재고관리가 필요한 상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벤트를 통한 마케팅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벤트를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은 효과적이지만, 그 이벤트를 고객에게 알리는 방법은 매우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상점의 광고를 실은 광고 전단지를 상점 주변에서 지나가는 행인들에게 나누어주거나, 지역 광고지에 광고 또는 이벤트를 게재하는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벤트는 일정한 기간 내에 치르기 때문에, 신속성이 떨어지는 광고 전단지나 지역 광고지 등의 광고 방식은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최근 통신망의 발달 및 보급이 확대되면서 인터넷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지역 광고도 발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오프라인 상점주가 자신만의 전용 웹사이트를 직접 개설하여 홍보하거나, 포털 사이트 등의 지역정보 서비스에 자신의 상점을 등록하여 홍보하고 있다. 전자는 상점주가 자신만의 광고나 이벤트를 원하는 대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그 구축비용이 많이 들고 방문자가 적어 효과가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후자는 포털 사이트의 방문자들에게 홍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자신만의 광고나 이벤트를 적극적으로 제공하기에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 위치기반 기술이 발달하고 키오스크나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업소 내에서 직접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이 어느 때보다 잘 갖추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업소 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지역에 기반을 둔 오프라인 상점에 적합한 광고 기술 개발이 절실하며, 특히, 대기업의 할인매장이나 체인점 등에 의해 위축되고 있는 소상인의 오프라인 상점에게는 이러한 오프라인 상점에 적합한 광고 또는 이벤트 홍보 기술이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1277호(공개일자: 2013년12월26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7078호(공개일자: 2009년02월18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재 상용화된 업소 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반으로 특정 기기를 대여 받은 다양한 업종의 업소에 대하여 상호 간에 업소 광고 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지역 내 업소 간 홍보 활동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지역 소상공인들의 발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특정 기기의 대여에 대한 프로모션 활동을 활성화시켜 보다 많은 기기 대여 고객을 유치할 수 있는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 간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기기를 대여 받은 업소의 업종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업소 간을 매칭하는 업소 매칭부; 상기 업소 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업소 간에 각 업소 광고 콘텐츠가 서로 교환되도록 서로 매칭된 업소로 해당 업소 광고 콘텐츠를 각각 송출하는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 및 기기를 대여 받은 업소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로부터 업소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업소로부터 기기 대여 서비스를 신청 받고, 기기 대여 서비스를 신청한 업소로부터 업종 정보, 위치 정보 및 업소 광고 콘텐츠를 각각 등록 받는 기기 대여 신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소 매칭부는, 업소의 업종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 업종의 업소 정보를 추출하고 분류하여 그룹화하는 업소 그룹 분류부; 및 상기 업소 그룹 분류부를 통해 서로 다른 업종의 그룹으로 분류된 업소 간을 업주의 선택에 의한 수동 매칭 또는 자동 매칭하며, 자동 매칭 시, 업소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업소 간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미리 설정된 수의 업소를 선정하여 매칭하는 업소 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소 선정부는, 어느 하나의 업소와 매칭 가능한 타 업종의 업소 수를 초기 설정 값에 따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을 업소에게 판매하고,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을 구매한 업소에 대하여 매칭 가능한 타 업소의 수를 추가하는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 판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는, 상기 업소 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업소 정보를 기반으로 각 업소에 설치된 상기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의 IP주소에 대하여 업소 광고 콘텐츠를 각각 지정하는 업소 광고 콘텐츠 지정부; 및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지정부를 통해 지정된 상기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의 IP주소로 업소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는 업소 광고 콘텐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소 선정부는, 어느 업소에 대하여 가까운 거리 순으로 선정된 타 업소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업소 수를 초과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업종 간 마케팅 상호 영향도에 따라 부여된 점수를 기반으로 해당 점수가 높은 업종의 업소를 선정하여 미리 설정된 업소의 수로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종 간 마케팅 상호 영향도는, 업종은 상이하되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가 동일한 경우 제1 점수가 부여되고,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2 점수보다 낮은 제2 점수가 부여되고, 상기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는 식품, 재화, 서비스 상품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상용화된 업소 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반으로 특정 기기를 대여 받은 다양한 업종의 업소에 대하여 상호 간에 업소 광고 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지역 내 업소 간 홍보 활동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지역 소상공인들의 발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특정 기기의 대여에 대한 프로모션 활동을 활성화시켜 보다 많은 기기 대여 고객을 유치할 수 있는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 매칭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 그룹 분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 업종의 업소 지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 매칭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 그룹 분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 업종의 업소 지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기기 대여 신청부(100), 업소 매칭부(200),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 판매부(300),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400) 및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에서 기기 대여 신청부(100), 업소 매칭부(200),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 판매부(300) 및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400)는 관리 서버(10)와 사용자 통신단말(미도시)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통신단말(미도시)은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사용자 통신단말(미도시)과 관리 서버(10) 간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네트워크의 유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무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1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동작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기 대여 신청부(100)는, 각종 업소로부터 기기 대여 서비스를 신청 받고, 기기 대여 서비스를 신청한 업소로부터 업종 정보, 위치 정보 및 업소 광고 콘텐츠를 각각 등록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기 대여 서비스는 다양한 기기의 렌탈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배터리 기기의 대여 서비스인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기 대여 신청부(100)는 사용자 통신단말(미도시)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웹 사이트(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업소의 사업주가 보조배터리 기기의 대여 서비스를 신청하면서 해당 업소의 업종 정보(사업자등록증 업종코드 등), 위치정보(주소, 사용자 통신단말의 GPS정보 등)와 해당 업소에서 준비한 업소 광고 콘텐츠(동영상, 이미지 등) 또는 프랜차이즈 업소인 경우 본사에서 제공하는 광고 콘텐츠(동영상, 이미지 등)를 등록 받을 수 있다. 물론, 사업주의 개인정보, 보조배터리 기기의 대여와 관련된 전반적인 계약, 결제금액 등에 대한 정보도 등록 받을 수 있다.
상기 업소 매칭부(200)는, 기기를 대여 받은 업소의 업종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타 업종의 업소 간에 그들의 광고 콘텐츠를 서로 교환하여 해당 업소 내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기 대여를 신청한 해당 업소들 간을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업소 매칭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소 그룹 분류부(210) 및 업소 선정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소 그룹 분류부(210)는, 업소의 업종 정보(사업자등록증 업종코드 등)를 기반으로 동일 업종의 업소 정보를 추출하고 분류하여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1, D3, D2, A3, C3, D1, A1, C1, A2, C2, B2, B4, B3, D4, C4, A4"라는 보조배터리 기기 대여 신청 업소가 있다고 가정하면, 각각의 기기 대여 신청 업소를 해당 업종 정보에 따라 가령 카페, 식당, 통신사, 헬스장 등으로 분류할 경우 카페 업종에는 "A1, A2, A3, A4" 업소, 식당 업종에는 "B1, B2, B3, B4" 업소, 통신사 업종에는 "C1, C2, C3, C4", 헬스장 업종에는 "D1, D2, D3, D4" 업소로 나누어져 각각의 업종 그룹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업소 선정부(220)는, 업소 그룹 분류부(210)를 통해 서로 다른 업종의 그룹으로 분류된 업소 간을 매칭하되, 매칭 방식으로는 업주의 선택에 의한 수동 매칭(업주가 원하는 업소를 지정하여 지정된 업소에 해당 신청 업소의 광고가 송출되기 위한 방식으로, 동일 업종 간 업소 지정은 불가함) 또는 자동 매칭 방식이 있으며, 자동 매칭 시 업소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업소 간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미리 설정된 수의 업소를 선정하여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페 업종 그룹으로 분류된 A1 업소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A1 업소는 동일 업종 그룹 내에 존재하는 "A2, A3, A4" 업소와는 매칭이 불가하며, 다른 업종 그룹에 존재하는 업소들과의 매칭이 가능하다.
이때, 매칭 기준으로는 A1 업소를 기준으로 거리 상 가장 가까운 타 업종의 업소들을 선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페 업소에 대한 타 업소 선정 시 식당 업소(D1)와 헬스장 업소(D2) 중 카페 업소로부터 더 가까운 거리(D1<D2)에 있는 식당 업소(D1)를 광고 송출 대상으로서 선정할 수 있다.
다만, 업소 선정부(220)는, 가까운 거리에 있는 모든 타 업종의 업소를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업소가 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초기 설정 값이 "3"인 경우, A1 업소와 다른 업종의 업소 중 A1 업소와 가장 가까운 3개의 업소를 선정해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업소 선정부(220)는, 어느 하나의 업소와 매칭 가능한 타 업종의 업소 수를 초기 설정 값에 따라 제한할 수 있다. 즉, 어느 업소에 대하여 가까운 거리 순으로 선정된 타 업소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업소 수를 초과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업종 간 마케팅 상호 영향도에 따라 부여된 점수를 기반으로 해당 점수가 높은 업종의 업소를 선정하여 미리 설정된 업소의 수로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페 업소에 대하여 광고 송출 대상 업소로서 선정 또는 매칭 가능한 업소가 식당과 헬스장이 있고, 이들은 모드 카페로부터 거리가 동일(D1=D2)하며, 미리 설정된 업소 수를 초과하여 1개의 업소만을 선정 또는 매칭해야 하는 상황인 경우에는, 카페를 기준으로 식당 업소와 헬스장 업소와의 마케팅 상호 영향도에 기반한 점수를 이용해 식당 또는 헬스장을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업종 간 마케팅 상호 영향도는, 업종은 상이하되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가 동일한 경우 제1 점수가 부여되고,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2 점수보다 낮은 제2 점수가 부여될 수 있으며, 여기서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는 식품, 재화, 서비스 상품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카페는 커피, 케이크 등 디저트 '식품'을 판매하는 업종이고, 식당 또한 다양한 메뉴의 '음식'을 판매하는 업종으로 상호 연관관계가 있으므로, '식사 후 커피'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케팅적으로 상호 영향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반면, 헬스장은 식품과 관련 없는 서비스 업종의 업소이므로 마케팅적으로 상호 영향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페를 기준으로 식당은 업종 간 마케팅 상호 영향도가 헬스장보다 높기 때문에, 업종 간 마케팅 상호 영향도에 따라 식당에는 제1 점수가 부여되고, 헬스장에는 제1 점수보다 낮은 제2 점수가 부여됨으로써, 식당이 광고 송출 대상 업소로서 선정될 수 있다. 이때, 식당을 기준으로 거리가 동일한 카페와 헬스장이 후보가 되는 경우에도 식당과 카페는 업종 간 마케팅 상호 영향도가 높기 때문에 카페가 선정될 수 있다.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 판매부(300)는,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을 업소에게 판매하고,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을 구매한 업소에 대하여 매칭 가능한 타 업소의 수를 추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광고 송출 대상 업소 수에 대하여 초기 설정 값에 따라 일정 개수로 제한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업소가 추가 요금을 결제하고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을 구매하면, 초기 설정 값에 따른 업소 수보다 많은 업소로 광고 콘텐츠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동일 업종의 업소 간 광고 송출은 금지된다.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400)는, 업소 매칭부(200)를 통해 매칭된 업소 간에 각 업소 광고 콘텐츠가 서로 교환되도록 서로 매칭된 업소로 해당 업소 광고 콘텐츠를 각각 송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소 광고 콘텐츠 지정부(410) 및 업소 광고 콘텐츠 전송부(4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지정부(410)는, 업소 매칭부(200)를 통해 매칭된 업소 정보를 기반으로 각 업소에 설치된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500)의 IP주소에 대하여 업소 광고 콘텐츠를 각각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전송부(420)는, 업소 광고 콘텐츠 지정부(410)를 통해 지정된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500)의 IP주소로 업소 광고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당과 카페 업소가 서로 매칭되었다면, 식당 관련 광고 콘텐츠를 카페로 전송하여 카페에서 식당 관련 광고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고, 카페 관련 광고 콘텐츠를 식당으로 전송하여 식당에서 카페 관련 광고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500)는, 기기를 대여 받은 업소에 각각 설치되고,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400)로부터 업소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근처에 있는 타 업종의 업소 간에 광고를 공유함으로써 지역 내 업소 간 마케팅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500)는 키오스크, 디지털 사이니지, TV 모니터, 컴퓨터 모니터, 태블릿 PC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 또는/및 무선의 통신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50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빔 프로젝트, 회전식 디스플레이(홀로그램 장치)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기기 대여 신청부
200: 업소 매칭부
210: 업소 그룹 분류부
220: 업소 선정부
300: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 판매부
400: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
410: 업소 광고 콘텐츠 지정부
420: 업소 광고 콘텐츠 전송부
500: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
10: 관리 서버

Claims (6)

  1. 기기를 대여 받은 업소의 업종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업소 간을 매칭하는 업소 매칭부;
    상기 업소 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업소 간에 각 업소 광고 콘텐츠가 서로 교환되도록 서로 매칭된 업소로 해당 업소 광고 콘텐츠를 각각 송출하는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 및
    기기를 대여 받은 업소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로부터 업소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상기 업소 매칭부는,
    업소의 업종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 업종의 업소 정보를 추출하고 분류하여 그룹화하는 업소 그룹 분류부; 및
    상기 업소 그룹 분류부를 통해 서로 다른 업종의 그룹으로 분류된 업소 간을 업주의 선택에 의한 수동 매칭 또는 자동 매칭하며, 자동 매칭 시 업소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업소 간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미리 설정된 수의 업소를 선정하여 매칭하는 업소 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업소 선정부는, 어느 업소에 대하여 가까운 거리 순으로 선정된 타 업소들의 수가 미리 설정된 업소 수를 초과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업종 간 마케팅 상호 영향도에 따라 부여된 점수를 기반으로 해당 점수가 높은 업종의 업소를 선정하여 미리 설정된 업소의 수로 매칭하고,
    상기 업종 간 마케팅 상호 영향도는, 업종은 상이하되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가 동일한 경우 제1 점수가 부여되고,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점수보다 낮은 제2 점수가 부여되고,
    상기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는 식품, 재화, 서비스 상품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업소로부터 기기 대여 서비스를 신청 받고, 기기 대여 서비스를 신청한 업소로부터 업종 정보, 위치 정보 및 업소 광고 콘텐츠를 각각 등록 받는 기기 대여 신청부를 더 포함하는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선정부는,
    어느 하나의 업소와 매칭 가능한 타 업종의 업소 수를 초기 설정 값에 따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을 업소에게 판매하고,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을 구매한 업소에 대하여 매칭 가능한 타 업소의 수를 추가하는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권 판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송출부는,
    상기 업소 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업소 정보를 기반으로 각 업소에 설치된 상기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의 IP주소에 대하여 업소 광고 콘텐츠를 각각 지정하는 업소 광고 콘텐츠 지정부; 및
    상기 업소 광고 콘텐츠 지정부를 통해 지정된 상기 업소 프로모션 장치부의 IP주소로 업소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는 업소 광고 콘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23420A 2021-02-22 2021-02-22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82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420A KR102282287B1 (ko) 2021-02-22 2021-02-22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420A KR102282287B1 (ko) 2021-02-22 2021-02-22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287B1 true KR102282287B1 (ko) 2021-07-27

Family

ID=7712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420A KR102282287B1 (ko) 2021-02-22 2021-02-22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2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057A (ko) * 2003-12-02 2005-06-08 김주원 오프라인상의 광고 공간에 대한 분양 사이트의 운영 방법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90017078A (ko) 2007-08-14 2009-02-18 양재욱 웹 기반의 pos 서비스를 통한 타상점 간의 이벤트 공유제공 방법
KR20130141277A (ko) 2012-06-15 2013-12-26 김민석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KR101753745B1 (ko) * 2017-01-16 2017-07-11 오지웅 다중 광고 영역의 재임대가 가능한 다중 광고 시스템
KR20190138141A (ko) * 2018-06-04 2019-12-12 임동근 공유경제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광고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057A (ko) * 2003-12-02 2005-06-08 김주원 오프라인상의 광고 공간에 대한 분양 사이트의 운영 방법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90017078A (ko) 2007-08-14 2009-02-18 양재욱 웹 기반의 pos 서비스를 통한 타상점 간의 이벤트 공유제공 방법
KR20130141277A (ko) 2012-06-15 2013-12-26 김민석 가맹점 상호간 홍보 연계 시스템
KR101753745B1 (ko) * 2017-01-16 2017-07-11 오지웅 다중 광고 영역의 재임대가 가능한 다중 광고 시스템
KR20190138141A (ko) * 2018-06-04 2019-12-12 임동근 공유경제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광고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ndal et al. Understanding digital marketing strategy
US202301796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presenting content using an interface for setting conditional network destinations
Sparkes et al. The use of the Internet as a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marketing of Welsh agri‐food SM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US9892449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201903330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p address traffic based detection of fraud
Turban et al. Marketing and advertising in e-commerce
Frederick et al. SWOC Analysis of Zomato-A Case of Online Food Delivery Services
EP3016056A1 (en) Method, digital signage serv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mobile media content associated to a digital signage display unit
WO2015075703A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2106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aur et al. Internet Marketing: The New Era of Innovation In E-Commerce
JP2020038694A (ja) 広告ウェブサイトを利用したオンライン広告方法
USRE49889E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or modifying electronic shopping lists from digital advertisements
KR102282287B1 (ko)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소 간의 광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8719101B1 (en) System and method of on-line advertising
Sawmy et al. Wholesale and retail e-commerce in Mauritius: Views of customers and employees
KR20220031463A (ko) 상호협력 기반 홍보물 배포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40089093A1 (en) Contextual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512896B1 (ko) 상품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AU2011101398B4 (en) Electronic Promotional System
NL20258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brand protection based on the search results
Brakenhoff et al. Consumer Engagement Characteristics in Mobile Advertising.
KR101522379B1 (ko) 사용자 중심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59102B1 (ko) 웹 페이지의 검색 기록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Miklosik Improving positions in search engines as the centre of consumeroriented marketing campa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