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811B1 -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 Google Patents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811B1
KR102281811B1 KR1020210042891A KR20210042891A KR102281811B1 KR 102281811 B1 KR102281811 B1 KR 102281811B1 KR 1020210042891 A KR1020210042891 A KR 1020210042891A KR 20210042891 A KR20210042891 A KR 20210042891A KR 102281811 B1 KR102281811 B1 KR 102281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sk
safety
front cover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준
Original Assignee
(주)캠퍼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퍼스라인 filed Critical (주)캠퍼스라인
Priority to KR1020210042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37Folding tables whereby each pair of legs and modesty panel are swung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desk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에 관한 것으로서, 평시에는 책상 전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효과적으로 차폐하고, 재난시 쏟아지는 물체로부터 머리를 포함한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며, 재난상황을 주변에 빠르게 경보하고, 미처 피하지 못해 매몰된 상태에서도 실종자를 신속히 찾아내고, 생존확인시 응급조치가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매몰자 생존율도 획기적으로 높이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책상용 안전앞가림판{Disaster safe desk front cover}
본 발명은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에 관한 것으로서, 평시에는 책상 전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효과적으로 차폐하고, 재난시 쏟아지는 물체로부터 머리를 포함한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며, 재난상황을 주변에 빠르게 경보하고, 미처 피하지 못해 매몰된 상태에서도 실종자를 신속히 찾아내고, 생존확인시 응급조치가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매몰자 생존율도 획기적으로 높이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목재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도10a과 같이 수납함을 내장한 상판과, 상판 하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절곡되어 하부로 수직상태로 기립 설치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지고 상판은 지지다리에 의하여 바닥과 이격되며 고정되는 것이 공지의 기술로서, 구조 안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책상은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하부로 기립 설치되는 지지다리 사이에 횡방향 크로스바를 1개 이상 설치함으로써 지지다리가 더 안정되게 지지하고 횡방향 유동도 예방된다.
그러나 공지된 책상은 대부분 전면 가림판이 없고, 지지 다리(3, 3')와 크로스바가 단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석시 책상 전면이 그대로 노출되고 사용자 하체가 노출되므로 치마입는 여학생의 경우 대부분 차폐용 방석, 담요 등을 일상적으로 무릎 위에 덮어 사용하는 문제가 있고, 이 때문에 여름에 오랫동안 착석하기 어렵고 집중력도 크게 떨어지곤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3952호는 도 10b 도면과 같이, 상판의 양측 하부에 기립상태로 설치된 봉형 책상 다리를 포함하는 학생용 책상에 상판 하부 또는 지지 다리에 통기공을 갖는 가림판을 선택적으로 탈부착시킴으로써 부착시 책상 전방부를 효과적으로 차폐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하체노출 문제는 어느정도 해결하였으나, 가림판의 탈부착이 매우 단순하여 고정이 어려울뿐 아니라 단순 차폐 외에는 기능이 없어 지진 등 재난시 효과적인 인체보호수단으로 작용하기 어려웠다.
한편, 지구온난화 등 기상 이변은 전세계적으로 지진, 해일 등 자연재해를 증가시켰고, 특히 다중집합시설의 피해를 크게 확대해 왔는데, 우리나라 또한 예외가 아니고, 실제로 최근 포항지진 등으로 다수 학교의 학생들이 크게 다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하였으므로 다중집합시설에서의 재난대피용 보호수단의 지급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지진 등 재난시 다중집합시설 사용자가 머리를 포함한 자신의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대피하고, 대피과정, 매몰 생존시 이용할 수 있는 차폐 및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안전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865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395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926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1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1303호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시에는 책상 앞가림판으로 기능하지만, 지진 등으로 대피해야 하는 재난시 사용자 머리를 포함한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대피할 수 있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평시엔 책상에 단단히 부착되어 고정되지만, 재난시에는 적은 힘으로도 신속히 분리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시 대피과정에서 재난상황을 신속히 경보할 수 있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몰시 응급조치를 지원하여 사용자 생존율을 높이고, 자신의 생존을 외부에 신호할 수 있는 경보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의 언급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지지부;로 이루어진 책상 전면에 결합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에 있어서, 상기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은, 책상의 전면을 차폐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판;과, 상기 전면판 또는, 좌측 및 우측의 측면판에 설치되는 한쌍의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의 이면에는 어깨 보호용 어깨견착대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앞가림판에는 상판부 또는 수직지지부에 착탈가능한 안전앞가림판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면판의 이면에는 머리보호구 및/또는 경보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책상 상판부에는 체결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가 상기 체결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거나,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상판부의 전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설치되는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의 양단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되는 잠금레버로 이루어지고 안전앞가림판 결합부에는 레일홈에 끼움가능한 끼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레일홈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결브라켓은 상판부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결합홀이 있는 결합몸체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는 안전앞가림판의 이면 상단에 'ㄱ'형 끼움고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결브라켓은 상판부 좌측 및 우측면 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ㄷ’형 레일홈을 제공하고, 상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는 상기 레일홈에 대응하여 끼움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전앞가림판의 전면판 상부는 책상 상판부의 위로 밀착하여 연장되는 연장부와 그 표면에 수납부를 더 구비하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는 안전앞가림판의 좌측과 우측 측면판의 상단에 끼움홈부로 제공됨으로써 책상 상판부의 전면에서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은 사용자의 책상 전면에 부착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하체를 효과적으로 차폐하는 가림판 기능을 기본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시 책상으로부터 빠르게 분리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피난 및 매몰시 안전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시 쏟아지는 물체로부터 대피과정에서 머리를 포함한 신체를 효과적으로 차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대피용 안전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피중 위험을 신속히 주변에 경보할 수 있는 경보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몰자 생존율을 크게 높이고 자신의 생존도 알려주는 머리 보호구 및 경보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몰 상태 확인시 수분과 영양성분 등 생존용 응급조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아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효과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를 이용하여 책상의 수직지지부(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안전앞가림판(100)의 이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면판의 이면 중앙에는 머리보호구(111)를 설치하고 그 아래에 경보 수단(113)인 호루라기를 보관함에 보관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체결브라켓(15)을 적용한 책상용 안전앞가림판(100) 설치예로서, 책상의 상판부의 전면 하부에 T형레일홈(15a)이 구비된 체결브라켓(15)에, T형끼움돌기(131)가 적용된 책상용 안전앞가림판(100)을 끼운후 잠금레버를 잠근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상판부 좌측 및 우측 하부에 짧은‘ㄷ’형 레일홈이 구비된 체결브라켓(15)에 안전앞가림판(100)의 좌측 및 우측 측면판 상단에 끼움돌기(131)를 형성하여 레일홈에 체결하고, 재난시 안전앞가림판을 발로 강하게 차 내면 신속히 분리되는 기술로서, 끼움돌기와 레일홈이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레버(16)를 사용하면 더 효과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3실시예로서, 상판부 전면 하부에 설치되는 체결브라켓(15)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결합몸체가 구비되고, 안전앞가림판 이면의 상단에는 ‘ㄱ’형 끼움고리가 이에 대응되게 구비하여, 상기 끼움고리를 상기 결합몸체에 밀어 넣은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 고정하거나, 체결브라켓(15)은 책상 상판부(11)의 전면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각각 결합홀(15c)이 있는 결합몸체(15b)를 복수개 구비하여 상판부 하부에 설치되어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가 안전앞가림판 전면판(110) 상부에 대응 형성되어 결합몸체(15b) 사이의 결합홀(15c)에 'ㄱ'형 끼움고리(133)를 이용해 결합하며 잠금레버를 이용하여 결합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기술을 예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체결방식은 체결브라켓(15)에 끼움고리가 결합하는 것이나, 제3실시예의 상판부 전면부에 길게 설치된 브라켓과 달리 상판부의 좌측 및 우측 하부에 설치된 짧은 체결브라켓(15)과, 안전앞가림판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된 적은 수의 끼움고리를 밀어넣어 고정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제3실시예에 비해 재난시 더욱 신속하게 안전앞가림판을 분리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 제5실시예로서, 책상용 안전앞가림판(100)의 상단이 책상 상판부의 전면에 직접 착탈하는 방식을 예시한 것으로, 안전앞가림판(100) 좌우측 끼움홈부(135)를 책상 상판부 전면 양측의 모서리에 밀어넣어 결합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 제6실시예로서, 상판부의 좌우측 하부에는 한쌍의 제1끼움홀 및 제2끼움홀을 구비한 수평지지바를 제공하되, 제1끼움홀에는 안전앞가림판 상단에 형성된 끼움핀(137)을 밀어넣어 체결하고, 안전핀(138)을 부가하여 결합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한다.
도 9는 지진발생 등 재난시 사용자가 본 발명 책상용 안전앞가림판(100)을 양손으로 단단히 파지하고 대피하는 예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다중집합시설에 설치된 책상과 그 전면부를 차폐하는 공지의 가림판 기술이다.
도 11은 안전앞가림판(100)의 전면판 중앙부가 소정각도(135°내지90°)로 절곡된 상태로 고정되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재난시에 외부충격으로부터 머리보호구와 절곡된 전면판을 이용 효과적으로 차폐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례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로 인한 발명 보호범위의 한정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지지부;로 이루어진 책상 전면에 결합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에 있어서, 상기 안전앞가림판에는 상판부 또는 수직지지부에 착탈가능한 안전앞가림판 결합부를 더 구비한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은, 책상의 전면을 차폐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판;과, 상기 전면판 또는, 좌측 및 우측의 측면판에 설치되는 한쌍의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전면판의 이면에는 머리보호구, 경보 수단 및/또는 어깨 보호용 어깨견착대를 더 구비한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책상 상판부에는 체결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가 상기 체결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체결브라켓은 상기 상판부의 전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설치되는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의 양단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되는 잠금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에는 레일홈에 끼움가능한 끼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레일홈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판부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결합홀이 있는 결합몸체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는 안전앞가림판의 이면 상단에 'ㄱ'형 끼움고리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판부 좌측 및 우측면 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ㄷ'형 레일홈을 제공하고 상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는 상기 레일홈에 대응하여 끼움돌기로 이루어지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앞가림판의 전면판 상부는 책상 상판부의 위로 밀착하여 연장되는 연장부와 그 표면에 수납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는 안전앞가림판의 좌측과 우측 측면판의 상단에 끼움홈부로 제공함으로써 책상 상판부의 전면에서 끼움 결합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기술을 제공한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1로 예시되며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기술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 책상용 안전앞가림판(100)은 상판부(11)와 수직지지부(13)로 이루어진 책상의 전면에 결합되며, 이를 위해 안전앞가림판(100)에는 책상 상판부 또는 수직지지부(13)에 결합하도록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책상용 안전앞가림판(100)의 결합과 분리를 위해 책상 상판부에 지지브라켓이 추가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안전앞가림판 결합부가 대응하여 착탈 체결가능하게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안전앞가림판(100)은 평시에는 책상 전면에 체결, 고정되어 사용자의 하체가 노출되지 않게 차폐기능을 제공하지만, 재난시에는 어린이나 노약자 등도 책상으로부터 신속히 분리되게 지원하며 특히 머리 및 어깨를 포함한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며 경보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안전앞가림판(100)은 전면판(110)과, 상기 전면판(110)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된 한 쌍의 측면판(120)과, 전면판 또는 측면판에 한쌍이 형성되는 손잡이(121)와, 책상 상판부 또는 수직지지부(13)에 탈착하기 위한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 책상용 안전앞가림판(100)은 여학생이나 노약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하고, 대피중에는 물체가 쉽게 튕겨져 나가거나 미끌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안전앞가림판(100)은 외형상 전면판으로부터 후면으로 중앙부를 고점으로 일정 곡률의 곡면을 이루게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안전앞가림판(100) 소재는 외부 이물질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탄성과 미끄럼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 안전앞가림판(100)은 가볍고 충격에 강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 비닐(PVC) 등의 플라스틱 소재가 바람직하며, 본발명 안전앞가림판(100)은 낙하물에 대한 내구성과 성형성 고려시 비교적 저렴한 PC(Polycarbon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MPPO(Modified Polyphenylene Oxide) 고강도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한 탄성과 형상기억성이 뛰어난 탄소섬유나 고탄성 금속, 또는 이들 결합 소재는 생산비가 다소 높지만 효과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 안전앞가림판(100)은 전면판(110)의 이면, 즉 책상에 결합한 상태에서 책상 상판부의 하부에 위치한 곳에 머리보호용 머리보호구(1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머리보호구는 전면판 이면의 정중앙에 설치하되 도11과 같이 한국인 표준두상에 대응한 반구형이나 도2와 같이 머리보호에 더 효과적인 소정 두께의 타원형 고리 형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머리보호구(111)의 소재는 강력한 충격을 흡수하고 탄성으로 빠르게 복원되는 경량탄성체 소재가 바람직하며, 저온에서의 내충격성과 내스트레스 크래킹성이 우수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나 폴리우레탄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머리보호구(111)는 사용중 이탈되지 않아야 신체 보호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시 머리가 미끌어지지 않게 머리보호구(111) 표면에 마찰력 증가 조성물을 코팅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고무 또는 실리콘 조성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매몰시 생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머리보호구(111)의 전부 또는 일부를 탄성스폰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매몰자의 생존이 외부에서 확인되거나 생존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외부 구조팀으로부터 영양액상체나 물이 충분히 공급되는 경우, 스며드는 액상체나 물이 머리보호구(111) 탄성스폰지에 빠르게 흡수되고 사용자는 수분과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머리보호구(111)가 설치된 안전앞가림판(100) 전면판(110) 의 이면부 표면에는 액상체 이동을 지원하도록 머리보호구 방향으로 방사상 홈을 다수 설치하여 지원하고, 홈의 내면에 발수 코팅을 처리하여 액상체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앞가림판(100)은 특별히 어린이나 노약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어깨견착대를 추가로 더 부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면판(110) 및 측면판(120)으로 충격을 보호함과 동시에, 어깨견착대를 통해 신체에 가해지는 강한 외부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어깨견착대는 머리보호구(111)와 손잡이의 사이에 돌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재난시 어린이나 노약자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성적 행동이 매우 어렵고, 특히 쏟아지는 물체가 충격시 충격량은 온전히 머리로 전달되어 생존성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머리보호구와 함께 어깨위치에 대응한 어깨견착대를 지원함으로써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 사용자 생존성을 더 높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 어깨견착대는 팔을 넣을수 있는 고리형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 팔을 어깨견착대 고리에 넣고 손잡이를 파지하면 안전앞가림판(100)을 더 단단하게 잡을 수 있고, 외부 충격도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머리보호구(111) 및/또는 어깨견착대의 소재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하는 펠트, 메모리폼 또는 스펀지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안전앞가림판(100)은 전면판(110) 및/또는 측면판(120)의 이면에 경보 수단을 더 부가할 수 있다. 호루라기 등 음성으로 위험을 알리는 경보 수단은 대피 과정에서 주위에 재난상태를 빠르게 전파할 수 있을뿐 아니라, 매몰시에는 자기 위치를 외부에 빠르고 정확히 알릴 수 있고, 음성 외에도 빛, 발광도료, 향기 또는 전파를 이용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보 수단의 일예로서 발광도료는 형광(fluorescence) 또는 인광(phosphorescence) 물질을 이용하여 코팅하여 제공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원이 제공되지 않아도 어두운 환경에서 빛을 발산하여 위치를 쉽게 탐지할 수 있게 지원하며, 향기 경보수단인 경우 조난구조견 훈련시 사용하는 향기를 사용하여 안전앞가림판(100)에 코팅시 평소에는 소취효과를 제공하고, 재난시에는 구조견이 빠르게 확인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신속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전앞가림판(100)은 형태상 측면판(120)을 전면판(110) 양쪽에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면판(110)뿐 아니라 좌우측에서 낙하하는 물체로부터 머리와 어깨 구조에 대응하도록 설계하여 외부 충격을 더 효과적으로 피하고 충격량을 분산시켜 생존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안전앞가림판(100)의 전면판에는 1이상의 위치에 소정각도로 절곡하여 각도가 고정되게 지원하는 절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매몰시 적절한 보호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대피 과정에서도 충격하는 물체로부터 신체를 더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즉 도11과 같이 안전앞가림판(100)의 전면판 중앙부를 약 135°내지 90°로 절곡한 상태로 중심부가 절곡되고 소정 각도로 고정된채 사용하는 상태도로서 이를 통해 평시엔 평면 책상 앞가림판으로 사용하지만 재난시에는 좌우로 전면판을 소정각도 구부린 "∧" 형태로 변형할 수 있게 지원한다. 또한 도 11과 같이 상기 절곡부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게도록 경첩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121)는 전면판(110) 또는 측면판(120)의 이면, 즉 책상 상판부의 하부위치인 안전앞가림판(100) 내측에 좌측과 우측에 한쌍으로 설치할 수 있다. 손잡이(121)가 전면판(110)에 설치되는 경우 낙하물이 전면판 외부에 떨어질 때 가해지는 충격이 손잡이를 통해 손에 크게 전달되어 놓칠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는 측면판(120)에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안전앞가림판(100) 측면판(120)을 전면판(110) 양쪽에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경우 양팔의 관절구조상 측면판 이면의 어깨에 접한 부분에 손잡이를 형성하는 것이 파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 안전앞가림판(100)은 책상(10)의 상판부에 체결브라켓(15)을 이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제1실시예로서 책상 상판부 전면에 체결브라켓(15)이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체결브라켓(15)은 'T'형 레일홈(15a)이 구비되며, 이에 대응하여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에는 'T'형 끼움돌기(131)가 구비하여 서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체결 후에는 체결브라켓(15) 양단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된 잠금레버를 이용하여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잠금하도록 지원한다.
즉 체결브라켓(15)은 도3b와 같이 상판부(11)에 나사(12)로 고정설치되되, 상판부 전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되는 T형 레일홈(15a)과, 상기 레일홈(15a)의 좌우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곳 이상에 구비된 잠금레버(16)로 이루어지고, 예시된 도면에서는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가 상기 안전앞가림판(100)의 전면판(110) 상단에 레일홈(15a) 일측부터 끼워지는 'T'형 끼움돌기(131)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안전앞가림판(100)을 책상에 결합시 상기 끼움돌기(131)를 레일홈(15a)의 일측에서 끼워 밀어넣은후 잠금레버(16)를 회전시켜 끼움돌기(131)가 레일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한다. 끼움돌기를 분리할 경우에는 잠금레버(16)를 회전시켜 풀고, 끼움돌기(131)를 레일홈(15a)의 좌우측 어디에서도 쉽게 빼내 분리할 수 있다. 책상 상판부에 설치되는 체결브라켓(15)과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간 결합방식은 'T'형 홈과 끼움돌기 외에도 착탈 가능한 방식이면 적용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도4와 같이 상판부 측면에 체결브라켓(15)이 설치되는 제2실시예를 제공한다. 즉 안전앞가림판(100) 결합방식에서 제2실시예는 앞선 제1실시예와 달리, 체결브라켓(15)이 상판부(11)의 좌측과 우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체결브라켓(15) 체결부는 길이방향으로 짧은 'ㄷ'형 레일홈(15a)을 제공하고, 이에 대응한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는 좌측 및 우측의 측면판(120) 상단에 끼움돌기(131)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처럼 안전앞가림판(100)이 책상 상판부(11) 좌우측에 짧게 결합되면 재난시 책상에 앉거나, 또는 책상 아래에 들어가 안전한 상태에서 안전앞가림판(100)을 발로 강하게 차거나 밀치면 제1실시예에 비해 더욱 신속히 안전앞가림판(100)을 분리할 수 있어 신속한 대피를 지원할 수 있다.
안전앞가림판(100) 착탈 방식으로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체결브라켓(15)을 상판부 전면에 설치하되, 결합홀과 'ㄱ'형 끼움고리 형태의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를 제3실시예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체결브라켓(15)을 책상 상판부(11) 전면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결합홀(15c)이 있는 결합몸체(15b)를 복수개 구비하고,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에는 안전앞가림판 이면의 전면판(110) 상부에 상기 결합홀(15c)에 끼울수 있는 'ㄱ'형 끼움고리(133)를 대응되게 구비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끼움고리(133)들은 결합몸체(15b) 사이 공간에 밀어 넣은 후 안전앞가림판(1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 넣게되면 끼움고리(133)는 결합몸체(15b)에 형성된 결합홀(15c)에 끼움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결합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브라켓(15) 좌우측 잠금레버(16)를 잠그면 결합상태를 더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책상용 안전앞가림판(100)과 책상간 결합의 제4실시예로, 상기 제3실시예 동일하게 체결브라켓과 끼움고리를 이용하나,제3실시예가 상판부 전면에 길게 설치되는 것과 달리, 도6에서는 상판부 좌우측에 짧게 설치된 체결브라켓과,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에 형성된 적은 수의 'ㄱ'자형 끼움고리(133)를 이용한 점이 서로 다르다.
즉 제4실시예는 체결브라켓(15)과 결합부(130)가 제3실시예와 달리 책상(10) 좌우측에 짧게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결합과 분리를 더 빠르게 지원할 수 있는데, 안전앞가림판(100) 결합시에는 각 끼움고리(133)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복수의 결합몸체(15b) 사이의 공간에 밀어 넣은 다음, 안전앞가림판(100)을 일측 방향으로 밀어 끼움고리(133)가 결합몸체 결합홀(15c)에 끼움하고, 분리는 그 반대로 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체결부위로 인해 실시예3에 비해 훨씬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의 책상용 안전앞가림판(100)과 책상간 결합의 제5실시예로서, 책상 상판부에 체결브라켓(15)이 없으며, 안전앞가림판(100)의 상단은 책상 상판부 전면과 직접 결합한 차이가 있다.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는 안전앞가림판(100)의 좌측과 우측 측면판(120)의 상단에 끼움홈부(135)로 제공하고 이를 책상 상판부(11) 전면에서 양쪽 모서리에 밀어 넣고 결합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끼움홈부의 상부 즉, 안전앞가림판(100)의 전면판(110) 상부는 책상 상판부(11)의 위로 밀착하여 연장되는 연장부와, 그 표면에 물체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50)를 더 구비함으로써 필기구 등 수납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실시예의 연장부와 수납부(150)는 대피과정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앞가림판(100)과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납 용도로 활용시엔 연장부와 수납부(150)에 모두 은나노 등 항균처리 및 미끄럼 방지용 실리콘을 코팅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8a 내지 도 8c는 안전앞가림판(100)과 책상간 결합의 제6실시예로서, 책상 상판부의 전면 하부 좌우측에 한쌍의 제1끼움홀을 구비하는데, 책상 상판부 바닥의 좌우측에는 수직지지부(13)와 결합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바(18)를 각각 설치하되, 각 수평지지바(18)의 전면에는 제1끼움홀(18a)을 형성하고, 수평지지바(18)의 측면에는 제2끼움홀(18b)을 형성하며, 이에 대응한 안전앞가림판 결합부(130)는 상기 전면판(110) 좌우측에 상기 제1끼움홀(18a)에 삽입되는 한 쌍의 끼움핀(137)과, 제2끼움홀(18b)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안전핀(138)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즉 안전앞가림판(100)을 책상(10)에 결합하기 위하여 도 8c와 같이 안전앞가림판(100) 전면판(110)의 끼움핀(137)을 수평지지바(18)에 마련된 끼움핀(137)에 삽입한 다음, 안전핀(138)을 안전앞가림판(100) 측면판(120)에 마련된 홀부(123)를 통해 제2끼움홀(18b)에 삽입하여 잠금처리 할 수 있고, 재난시에는 안전핀을 뽑아 제거한 상태에서 안전앞가림판(100)을 힘차게 차내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안전앞가림판 110 : 전면판
111 : 머리보호구 113 : 경보수단
120 : 측면판 121 : 손잡이
123 : 홀부 130 : 안전앞가림판 결합부
131 : 끼움돌기 133 : 끼움고리
135 : 끼움홈부 137 : 끼움핀
138 : 안전핀 150 : 수납부
10 : 책상 11 : 상판부
12 : 나사 13 : 수직지지부
15 : 체결브라켓 15a : 레일홈
15b : 결합몸체 15c : 결합홀
16 : 잠금레버 18 : 수평지지바
18a : 제1끼움홀 18b : 제2끼움홀

Claims (10)

  1.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지지부;로 이루어진 책상 전면에 결합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에 있어서,
    상기 책상용 안전앞가림판은,
    책상의 전면을 차폐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판;과,
    상기 전면판 또는, 좌측 및 우측의 측면판에 설치되는 한쌍의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의 이면에는 어깨 보호용 어깨견착대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앞가림판에는 상판부 또는 수직지지부에 착탈가능한 안전앞가림판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이면에는 머리보호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이면에는 경보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부에는 체결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가 상기 체결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상판부의 전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설치되는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의 양단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되는 잠금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에는 레일홈에 끼움가능한 끼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레일홈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판부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결합홀이 있는 결합몸체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는 안전앞가림판의 이면 상단에 'ㄱ'형 끼움고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판부 좌측 및 우측면 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ㄷ’형 레일홈을 제공하고,
    상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는 상기 레일홈에 대응하여 끼움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앞가림판의 전면판 상부는 책상 상판부의 위로 밀착하여 연장되는 연장부와 그 표면에 수납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안전앞가림판 결합부는 안전앞가림판의 좌측과 우측 측면판의 상단에 끼움홈부로 제공됨으로써 책상 상판부의 전면에서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42891A 2021-04-01 2021-04-01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KR102281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891A KR102281811B1 (ko) 2021-04-01 2021-04-01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891A KR102281811B1 (ko) 2021-04-01 2021-04-01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811B1 true KR102281811B1 (ko) 2021-07-26

Family

ID=7712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891A KR102281811B1 (ko) 2021-04-01 2021-04-01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81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952Y1 (ko) 2003-06-04 2003-08-21 피아산업 주식회사 착탈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KR200329261Y1 (ko) 2003-05-22 2003-10-08 신기현 앞가림막을 구비한 학생용 책상
KR200428652Y1 (ko) 2006-08-01 2006-10-16 김영기 치마가림판이 구비된 학생용 책상
KR101101303B1 (ko) 2010-05-20 2011-12-30 신상순 집중력 향상 및 신상보호를 위한 책상 가림구
KR20120066221A (ko) * 2010-12-14 2012-06-22 신상순 집중력 향상 및 신상보호를 위한 책상 가림구
KR20120077069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엘퍼스 책상
KR20130059468A (ko) * 2011-11-27 2013-06-07 김영우 지진지킴이
KR200471103Y1 (ko) 2013-07-12 2014-02-04 이승재 학원용 책상 가림막
KR20190001162U (ko) * 2018-06-04 2019-05-15 진재하 지진 대피 기능을 갖는 안전보호장치
KR20200137310A (ko)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클라스원 지진 대피시 안전 보호기능을 갖는 학생 책상용 가림막 패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261Y1 (ko) 2003-05-22 2003-10-08 신기현 앞가림막을 구비한 학생용 책상
KR200323952Y1 (ko) 2003-06-04 2003-08-21 피아산업 주식회사 착탈식 가림판을 갖는 학생용 책상
KR200428652Y1 (ko) 2006-08-01 2006-10-16 김영기 치마가림판이 구비된 학생용 책상
KR101101303B1 (ko) 2010-05-20 2011-12-30 신상순 집중력 향상 및 신상보호를 위한 책상 가림구
KR20120066221A (ko) * 2010-12-14 2012-06-22 신상순 집중력 향상 및 신상보호를 위한 책상 가림구
KR20120077069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엘퍼스 책상
KR20130059468A (ko) * 2011-11-27 2013-06-07 김영우 지진지킴이
KR200471103Y1 (ko) 2013-07-12 2014-02-04 이승재 학원용 책상 가림막
KR20190001162U (ko) * 2018-06-04 2019-05-15 진재하 지진 대피 기능을 갖는 안전보호장치
KR20200137310A (ko)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클라스원 지진 대피시 안전 보호기능을 갖는 학생 책상용 가림막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3425B2 (ja) 浴室のセキュリティ装置
KR101498099B1 (ko) 소화기 받침대
KR102281811B1 (ko) 책상용 안전앞가림판
CN101288793A (zh) 半球形多功能防震床房
GB2268399A (en) Safety mats with replaceable absorbent upper member
CA2262428A1 (en) Brace support members and braces using the same
CN101288530A (zh) 多功能防地震台桌
US2632163A (en) Protective outfit
JP5552629B2 (ja) 安全防護装置
JP3187204U (ja) 避難用シェルター
JP5354550B2 (ja) ベッドの柵に装着するための保護カバー装置
CA3057081A1 (en) Attachable pad device
KR200493565Y1 (ko) 비상탈출 장비보관용 기능성 가방
JP6960208B2 (ja) 避難用ボート
US57332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shioning athletic equipment
CN216222247U (zh) 一种卡扣式尸体隔离带
CN211186982U (zh) 一种老年病科护理用站立洗浴保护架
CN203669457U (zh) 一种地震避难逃生装置
KR200493557Y1 (ko) 지진 대처 용품
US20220232979A1 (en) SPA Cushion
CN201379312Y (zh) 一种防灾坐垫
US20170051511A1 (en) Outdoor wall padding apparatus having integrated drainage and methods for forming and using the same
JP2011224155A (ja) 防災テーブル
TWI440435B (zh) Seat and protection frame installation construction
JPH08257154A (ja) 災害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