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234B1 -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234B1
KR102281234B1 KR1020200098102A KR20200098102A KR102281234B1 KR 102281234 B1 KR102281234 B1 KR 102281234B1 KR 1020200098102 A KR1020200098102 A KR 1020200098102A KR 20200098102 A KR20200098102 A KR 20200098102A KR 102281234 B1 KR102281234 B1 KR 102281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ar reactor
control group
controllability
core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기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8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234B1/ko
Priority to EP21854318.9A priority patent/EP4195221A4/en
Priority to US18/019,129 priority patent/US20230298774A1/en
Priority to JP2023507690A priority patent/JP7493096B2/ja
Priority to CN202180058841.6A priority patent/CN116057641A/zh
Priority to PCT/KR2021/010171 priority patent/WO20220309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21C17/104Measuring reactivity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1Computer implemented contro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0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by displacement of solid control elements, e.g. control rod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21C17/108Measuring reactor flu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노외계측기로서 핵분열함(fission chamber)을 이용하는 원자로에 대한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상기 원자로의 노심에 기준 제어군을 제1 깊이로 삽입하여 상기 원자로를 설정 출력을 가지는 임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기준 제어군을 상기 제1 깊이로부터 최대 허용 속도로 상기 원자로의 노심에 완전히 삽입하고 즉시 최대 허용 속도로 상기 원자로 노심으로부터 완전히 인출하고, 상기 기준 제어군의 삽입 전부터 상기 기준 제어군의 인출 후까지 상기 노외계측기의 제1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노외계측기의 상기 제1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원자로의 제1 정적 반응도에 상기 원자로의 잔여 제어능 측정값을 합산하여 상기 기준 제어군의 정적 제어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METHOD OF DYNAMIC CONTROL ROD REACTIVITY MEASUREMENT}
본 기재는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수로에서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한국등록특허 제10-0598037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604100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시험 전제 조건이 노외계측기에 입사한 중성자 수와 노외계측기 신호가 선형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이다.
비보상 이온 전리함(uncompensated ion chamber)이 노외계측기로 이용되는 경우, 노외계측기에서 생성되는 전류(혹은, 전압) 신호가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기 때문에, 측정할 제어봉을 원자로의 노심에 최대 속도로 삽입 및 인출하고 이때 얻어진 노외계측기 신호에서 기저 신호를 제거한 뒤, 노외계측시 신호를 이용하여 원자로의 동적 반응도를 얻고 여기에 동적 대 정적 변환 상수(Dynamic to Static Conversion Factor, DSCF)를 적용함으로써, 원자로의 최종 정적 반응도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최근 민감도가 낮은 핵분열함(fission chamber)이 노외계측기로 이용되는 경우, 시험 범위 이내의 낮은 출력에서 노외계측기에 입사한 중성자 수와 노외계측기 신호가 선형성을 유지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핵분열함은 원자로의 반응도에 대응하여 단위 시간당 펄스 개수를 나타내는 펄스 신호 및 연속적인 전압 신호 2가지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데, 펄스 신호는 시험 범위 이내의 원자로의 높은 출력에서 펄스들이 서로 중첩(2개 내지 3개의 펄스들이 1개의 펄스로 인식)되어 선형성을 잃고, 전압 신호는 원자로의 낮은 출력에서 섭동 및 노이즈로 인해 선형성을 잃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핵분열함의 전압 신호는 펄스 전류 분포와 평균 전류 값과의 분산을 이용하여 얻기 때문에, 낮은 출력에서 수학적으로 선형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또한, 핵분열함의 펄스 신호와 전압 신호를 연동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으나, 선형성을 유지하는 영역을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 평가 결과가 달라지고, 전압 신호 후처리 방법에서 수학적 배경이 동반되지 못한 상태이므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핵분열함을 노외계측기로서 이용하는 원자로의 경우, 핵분열함에 입사하는 중성자 수와 단위 시간당 펄스 개수가 선형성을 보장하는 범위 이내에서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9803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04100호
일 실시예는, 핵분열함을 노외계측기로서 이용하는 원자로에서 안전하게 제어봉의 정적 제어능을 측정할 수 있는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노외계측기로서 핵분열함(fission chamber)을 이용하는 원자로에 대한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의 노심에 기준 제어군을 제1 깊이로 삽입하여 상기 원자로를 설정 출력을 가지는 임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기준 제어군을 상기 제1 깊이로부터 최대 허용 속도로 상기 원자로의 노심에 완전히 삽입하고 즉시 최대 허용 속도로 상기 원자로 노심으로부터 완전히 인출하고, 상기 기준 제어군의 삽입 전부터 상기 기준 제어군의 인출 후까지 상기 노외계측기의 제1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노외계측기의 상기 제1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원자로의 제1 정적 반응도에 상기 원자로의 잔여 제어능 측정값을 합산하여 상기 기준 제어군의 정적 제어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원자로가 상기 설정 출력을 가지면, 상기 원자로의 노심에 시험 제어군을 제2 깊이로 삽입하여 상기 원자로를 상기 설정 출력을 가지는 임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시험 제어군을 상기 제2 깊이로부터 최대 허용 속도로 상기 원자로의 노심에 완전히 삽입하고 즉시 최대 허용 속도로 상기 원자로 노심으로부터 완전히 인출하고, 상기 시험 제어군의 삽입 전부터 상기 시험 제어군의 인출 후까지 상기 노외계측기의 제2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노외계측기의 상기 제2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원자로의 제2 정적 반응도에 상기 원자로의 잔여 제어능 측정값을 합산하여 상기 시험 제어군의 정적 제어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깊이는 상기 제1 깊이 대비 더 깊을 수 있다.
상기 원자로의 상기 설정 출력은 상기 노외계측기가 측정한 상기 제1 신호의 펄스들이 비중첩하는 출력일 수 있다.
상기 원자로의 상기 설정 출력은 105cps일 수 있다.
상기 원자로의 상기 잔여 제어능 측정값은 60pc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핵분열함을 노외계측기로서 이용하는 원자로에서 안전하게 제어봉의 정적 제어능을 측정할 수 있는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원자로는 노심에 핵연료를 장전한 후 원자로 안전해석에 사용된 핵설계 보고서가 적절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반드시 제어봉의 제어능을 측정하게 된다. 원자로의 노심(reactor core)에는 열 출력이나 축 방향 출력 분포의 조정, 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노심 내 핵반응을 완전 종결시켜야 할 때, 이를 수행하는 복수의 제어봉(control rod)들이 설치된다. 복수의 제어봉들은 낱개로 동작하지 않고, 원자로의 크기에 따라 6개 또는 10개 등의 복수의 제어군(control bank)들로 관리된다. 하나의 제어군은 4개 또는 8개의 제어봉 집합체(control rod assembly)들을 포함하며, 하나의 제어봉 집합체는 4개 또는 12개의 개별 제어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개별 제어봉의 제어능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군의 제어능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노외계측기로서 핵분열함(fission chamber)을 이용하는 원자로에 대한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 도 2의 (a), (b), (c) 각각의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도 2의 (a)의 y축은 노심에 삽입된 제어군의 깊이인 제어봉 위치를 나타내며, 도 2의 (b)의 y축은 원자로의 출력인 cps를 나타내며, 도 2의 (c)의 y축은 원자로의 동적 반응도인 pcm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원자로의 노심에 기준 제어군(Bank A5)을 제1 깊이로 삽입하여 원자로를 설정 출력을 가지는 임계 상태로 유지한다(S100).
구체적으로, 동적 반응도가 60pcm인 미임계 상태의 원자로의 노심에 기준 제어군(Bank A5)을 350cm의 제어봉 위치에 도달하도록 약 20cm 내지 40cm의 제1 깊이로 삽입하여 원자로를 105cps의 설정 출력을 가지는 임계 상태로 유지한다. 여기서, 원자로의 설정 출력인 105cps는 핵분열함인 노외계측기의 펄스 신호에서 펄스 중첩이 발생하지 않는 최대 출력이다. 즉, 원자로의 설정 출력은 노외계측기의 펄스 신호에서 펄스들이 비중첩하는 최대 출력인 105cps이다.
다음, 기준 제어군(Bank A5)을 제1 깊이로부터 최대 허용 속도로 원자로의 노심에 완전히 삽입하고 즉시 최대 허용 속도로 원자로 노심으로부터 완전히 인출하고, 기준 제어군(Bank A5)의 삽입 전부터 기준 제어군(Bank A5)의 인출 후까지 노외계측기의 제1 신호를 측정한다(S200).
구체적으로, 기준 제어군(Bank A5)을 제1 깊이로부터 인출하지 않고, 최초 삽입된 제1 깊이인 350cm의 제어봉 위치로부터 최대 허용 속도로 원자로의 노심에 완전히 삽입하고 즉시 최대 허용 속도로 원자로 노심으로부터 375cm 제어봉 위치까지 완전히 인출한다. 이때, 기준 제어군(Bank A5)의 삽입 1분 전부터 기준 제어군(Bank A5)의 인출 1분 후까지 노외계측기의 펄스 신호인 제1 신호를 측정한다.
한편,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0598037호는 제어군을 제1 깊이로부터 완전히 인출한 후, 다시 제어군을 최대 허용 속도로 원자로 노심에 완전히 삽입 및 인출함으로써, 원자로 노심의 출력이 변동되는 중에 제어군의 삽입 및 인출이 수행된다.
다음, 노외계측기의 제1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된 원자로의 제1 정적 반응도에 원자로의 잔여 제어능 측정값을 합산하여 기준 제어군(Bank A5)의 정적 제어능으로 결정한다(S300).
구체적으로, 기준 제어군(Bank A5)의 삽입 높이인 제어봉 위치로부터 완전 삽입 시까지의 제어봉 위치를 RAST-K 코드에 입력하여 중성자 수밀도 대 계측기 반응 변환 상수(Density to Response Conversion Factor, DRCF) 및 동적 대 정적 변환 상수(Dynamic to Static Conversion Factor, DSCF)를 생산한다. 생산된 DSCF, DRCF, 측정된 노외계측기의 제1 신호, 기준 제어군(Bank A5)의 삽입 높이인 제어봉 위치를 설정된 전산 코드에 입력하여 원자로의 제1 정적 반응도를 계산한다.
한편,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0598037호는 DSCF 및 DRCF를 미리 계산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원자로의 임계 상태를 유지하는 반응도인 60pcm 에 해당하는 제어봉 높이가 현장에서 매 제어군마다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DSCF 및 DRCF를 매번 생산한다. 또한, 핵분열함인 노외계측기는 중성자 수와 우라늄 반응에 따른 펄스 신호만 선별 사용하므로, 기저 신호 보상 알고리즘은 필요 없으며, 설정된 전산 코드에서는 이를 적용하지 않도록 개선될 수 있다.
설정된 전산 코드에서 계산된 원자로의 제1 정적 반응도에 원자로의 잔여 제어능 측정값(도 2의 (c)의 (A)구간 제어능 측정값)인 60pcm을 합산하여 기준 제어군(Bank A5)의 최종 정적 제어능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기준 제어군(Bank A5)의 최종 정적 제어능을 핵 설계 보고서의 기준 제어군의 정적 제어능과 비교한다.
한편,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0598037호는 설정된 전산 코드에서 제어군의 최종 정적 제어능이 계산되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설정된 전산 코드에서 계산된 제1 정적 반응도인 정적 제어능에 잔여 제어능 측정값인 60pcm을 합산하여 최종 정적 제어능이 결정된다.
다음, 원자로가 설정 출력을 가지면, 원자로의 노심에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을 제2 깊이로 삽입하여 원자로를 설정 출력을 가지는 임계 상태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기준 제어군(Bank A5)을 원자로 노심으로부터 완전히 인출하였으므로 원자로 노심에는 60pcm의 정반응도가 부가되어 원자로 출력인 cps가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한다. 원자로가 설정 출력인 105cps에 도달하면, 원자로의 노심에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을 340cm 제어봉 위치에 도달하도록 기준 제어군(Bank A5)의 제1 깊이 대비 더 깊은 제2 깊이로 삽입하여 원자로를 105cps의 설정 출력을 가지는 임계 상태로 약 100초간 유지한다. 원자로 임계 유지 시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의 삽입 위치인 제어봉 위치는 60pcm을 보상한 위치이며, 100초간 유지하면 원자로의 지발중성자군이 충분히 변동을 멈춘다. 또한, 원자로가 노외계측기의 펄스 신호에서 펄스들이 비중첩되는 설정 출력인 105cps를 유지하는 상태이므로, 노외계측기에서 측정된 펄스 신호에 선형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을 제2 깊이로부터 최대 허용 속도로 원자로의 노심에 완전히 삽입하고 즉시 최대 허용 속도로 원자로 노심으로부터 완전히 인출하고,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의 삽입 전으로부터 제1 시험 제어군의 인출 후까지 노외계측기의 제2 신호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을 제2 깊이로부터 인출하지 않고, 최초 삽입된 제2 깊이인 340cm의 제어봉 위치로부터 최대 허용 속도로 원자로의 노심에 완전히 삽입하고 즉시 최대 허용 속도로 원자로 노심으로부터 375cm 제어봉 위치까지 완전히 인출한다. 이때,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의 삽입 1분 전부터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의 인출 1분 후까지 노외계측기의 펄스 신호인 제2 신호를 측정한다.
다음, 노외계측기의 제2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된 원자로의 제2 정적 반응도에 원자로의 잔여 제어능 측정값을 합산하여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의 정적 제어능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의 삽입 높이인 제어봉 위치로부터 완전 삽입 시까지의 제어봉 위치를 RAST-K 코드에 입력하여 중성자 수밀도 대 계측기 반응 변환 상수(DRCF) 및 동적 대 정적 변환 상수(DSCF)를 생산한다. 생산된 DSCF, DRCF, 측정된 노외계측기의 제2 신호,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의 삽입 높이인 제어봉 위치를 설정된 전산 코드에 입력하여 원자로의 제2 정적 반응도를 계산한다.
설정된 전산 코드에서 계산된 원자로의 제2 정적 반응도에 원자로의 잔여 제어능 측정값(도 2의 (c)의 (A)구간 제어능 측정값)인 60pcm을 합산하여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의 최종 정적 제어능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의 최종 정적 제어능을 핵 설계 보고서의 제1 시험 제어군의 정적 제어능과 비교한다.
다음, 제2 시험 제어군(Bank R2)에 대해 상술한 제1 시험 제어군(Bank R1)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2 시험 제어군(Bank R2)의 최종 정적 제어능을 결정하고 핵 설계 보고서의 제2 시험 제어군의 정적 제어능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원자로가 설정 출력인 105cps에 도달하면, 원자로의 노심에 제2 시험 제어군(Bank R2)을 320cm 제어봉 위치에 도달하도록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의 제2 깊이 대비 더 깊은 제3 깊이로 삽입하여 원자로를 105cps의 설정 출력을 가지는 임계 상태로 유지한 후 상술한 제1 시험 제어군(Bank R1)과 같은 방법으로 제2 시험 제어군(Bank R2)의 완전한 삽입 및 인출을 수행하여 제2 시험 제어군(Bank R2)의 최종 정적 제어능을 결정하고 핵 설계 보고서의 제2 시험 제어군의 정적 제어능과 비교한다.
이상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제어봉의 완전 인출 시점이 시작점이 아니라 측정하려는 제어봉이 일부 노심에 삽입된 시점이 측정 시작점이 된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0598037호에 개시된 기존방법론과 절차는 원자로의 출력이 변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봉이 삽입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인 신규 절차는 항상 원자로 임계 시점에서 시작한다.
제어봉의 완전 인출 시점에서 임계 시점까지의 제어능은 잔여 제어능으로 간주되는데, 노외계측기의 펄스 신호로 계산한 반응도는 엄밀히 동적 반응도이나, 약 120pcm 이내의 노심 반응도는 동적 대 정적 반응도 값에 있어 1% 이내의 편차를 보이기 때문에, 반응도 계산기가 20pcm 내지 70pcm의 반응도를 산출한다면, 이는 동적 반응도임에도 정적 반응도로 간주된다. 따라서, 제어군이 노심에 일부 삽입된 위치까지의 반응도는 잔여 제어능과 동일하다(도 2의 (c)의 (A)구간에서 매번 확인됨).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이 수행될 원자로 현장에서 시험 제어군의 실제 삽입 위치는 설계 상 계산된 삽입 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원자로의 임계붕소농도도 다르고 기준 제어군이 가질 제어능이 60pcm 내지 70pcm 사이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기준 제어군의 제어능이 60pcm, 65pcm, 70pcm 등으로 달라지면, 시험 제어군이 가질 삽입 위치도 계산값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특히, 시험 제어군의 제어능이 설계값과 차이가 있다면 그만큼 삽입 위치도 변동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원자로 현장에서 제어군의 삽입 위치부터 완전 삽입까지의 각종 과도 해석을 수행하고, DSCF 및 DRCF를 생산한 뒤, 이를 측정 자료에 대입하여 제어군의 정적 제어능을 평가한다.
DSCF, DRCF를 생산하는 기본적인 절차는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0598037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나, 선행문헌은 원자로 출력이 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군이 완전 인출된 상태가 분석 기점이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제어군이 노심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원자로 임계를 이루고 있는 상태가 분석 기점이된다.
따라서,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0598037호는 최대속도로 제어군을 삽입하기 전 1분간의 노외계측기 신호 증가 자료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DSCF 및 DRCF를 생산할 때 기준 제어군, 제1 시험 제어군, 제2 시험 제어군 등을 모두 연속적 및 순차적으로 움직이는 시뮬레이션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원자로 임계 시점에서 시험하므로 기준 제어군(Bank A5), 제1 시험 제어군(Bank R1), 제2 시험 제어군(Bank R2)의 DSCF 및 DRCF를 독립적으로 한번씩만 시뮬레이션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원자로 현장에서 제1 시험 제어군(Bank R1)의 정적 제어능을 측정하든 제2 시험 제어군(Bank R2)의 정적 제어능을 측정하든 각 제어군에 대해 DSCF 및 DRCF를 주어진 삽입 위치에 대응하여 즉시 생산할 수 있고 다른 제어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원자로 현장에서 시험 상황에 대응하여 DSCF 및 DRCF를 즉시 생산하고 활용해야 하므로, RAST-K 및 설정된 전산 코드인 INVERSE 2.0 코드가 순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단, 이 전체 작업은 자동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선 기존의 설정된 전산 코드인 INVERSE 1.0 코드 하나만 시행하던 것과 표면적으로 다를 바 없으나, 내부적인 프로세싱은 현장에서 설계와 분석이 진행되어 계산 흐름에 차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노외계측기로서 핵분열함을 이용하는 원자로에 대한 동적 제어봉 제어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원자로의 임계 상태에서 원자로의 출력 변동 없이 제어군의 완전한 삽입 및 인출을 수행함으로써, 원자로의 출력이 변동되는 선행문헌 대비 안전하게 제어봉의 정적 제어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원자로의 임계 상태에서 원자로의 설정 출력이 핵분열함인 노외계측기의 펄스 신호의 펄스들이 비중첩하여 항상 선형성을 유지하는 최대 출력 조건인 105cps에서 제어군의 완전한 삽입 및 인출을 수행함으로써, 섭동진입구간 기회를 최소화하여 평가결과의 우수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은 노외계측기의 펄스신호의 선형성을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동적 제어봉 제어능 기법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붕소 희석법 및 제어봉 교환법 대비 7시간 정도 시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핵분열함을 사용하는 6개 호기에 적용되면 기술 수명 5개 주기 동안 발전량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기준 제어군(Bank A5), 제1 시험 제어군(Bank R1), 제2 시험 제어군(Bank R2)

Claims (6)

  1. 노외계측기로서 핵분열함(fission chamber)을 이용하는 원자로에 대한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의 노심에 기준 제어군을 제1 깊이로 삽입하여 상기 원자로를 설정 출력을 가지는 임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기준 제어군을 상기 제1 깊이로부터 최대 허용 속도로 상기 원자로의 노심에 완전히 삽입하고 즉시 최대 허용 속도로 상기 원자로 노심으로부터 완전히 인출하고, 상기 기준 제어군의 삽입 전부터 상기 기준 제어군의 인출 후까지 상기 노외계측기의 제1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노외계측기의 상기 제1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원자로의 제1 정적 반응도에 상기 원자로의 잔여 제어능 측정값을 합산하여 상기 기준 제어군의 정적 제어능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원자로가 상기 설정 출력을 가지면, 상기 원자로의 노심에 시험 제어군을 제2 깊이로 삽입하여 상기 원자로를 상기 설정 출력을 가지는 임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시험 제어군을 상기 제2 깊이로부터 최대 허용 속도로 상기 원자로의 노심에 완전히 삽입하고 즉시 최대 허용 속도로 상기 원자로 노심으로부터 완전히 인출하고, 상기 시험 제어군의 삽입 전부터 상기 시험 제어군의 인출 후까지 상기 노외계측기의 제2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노외계측기의 상기 제2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원자로의 제2 정적 반응도에 상기 원자로의 잔여 제어능 측정값을 합산하여 상기 시험 제어군의 정적 제어능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제2 깊이는 상기 제1 깊이 대비 더 깊은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원자로의 상기 설정 출력은 상기 노외계측기가 측정한 상기 제1 신호의 펄스들이 비중첩하는 출력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원자로의 상기 설정 출력은 105cps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원자로의 상기 잔여 제어능 측정값은 60pcm인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KR1020200098102A 2020-08-05 2020-08-05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KR102281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102A KR102281234B1 (ko) 2020-08-05 2020-08-05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EP21854318.9A EP4195221A4 (en) 2020-08-05 2021-08-03 METHOD FOR MEASURING DYNAMIC CONTROL ROD REACTIVITY
US18/019,129 US20230298774A1 (en) 2020-08-05 2021-08-03 Method of dynamic control rod reactivity measurement
JP2023507690A JP7493096B2 (ja) 2020-08-05 2021-08-03 動的制御棒制御能測定方法
CN202180058841.6A CN116057641A (zh) 2020-08-05 2021-08-03 动态控制棒反应性测量方法
PCT/KR2021/010171 WO2022030966A1 (ko) 2020-08-05 2021-08-03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102A KR102281234B1 (ko) 2020-08-05 2020-08-05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234B1 true KR102281234B1 (ko) 2021-07-23

Family

ID=7715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102A KR102281234B1 (ko) 2020-08-05 2020-08-05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98774A1 (ko)
EP (1) EP4195221A4 (ko)
JP (1) JP7493096B2 (ko)
KR (1) KR102281234B1 (ko)
CN (1) CN116057641A (ko)
WO (1) WO20220309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966A1 (ko) * 2020-08-05 2022-02-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WO2024096262A1 (ko) * 2022-11-02 2024-05-10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사용후핵연료의 연소도 측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043A (ko) * 2004-11-08 2006-05-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방법
KR101604100B1 (ko) * 2015-01-08 2016-03-1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제어봉 낙하와 과도해석결과를 이용한 제어봉 제어능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2301A (ja) 2009-06-17 2011-01-06 Toshiba Corp 中性子計装システムおよび中性子計装方法
JP2015148524A (ja) 2014-02-07 2015-08-20 株式会社グローバル・ニュークリア・フュエル・ジャパン 原子炉の制御棒価値を求める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システム
US10706977B2 (en) 2016-01-15 2020-07-07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In-containment ex-core detector system
KR102281234B1 (ko) * 2020-08-05 2021-07-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043A (ko) * 2004-11-08 2006-05-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방법
KR100598037B1 (ko) 2004-11-08 2006-07-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방법
KR101604100B1 (ko) * 2015-01-08 2016-03-1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제어봉 낙하와 과도해석결과를 이용한 제어봉 제어능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n-ki Lee a, Ho-chul Shin, Current Status and Future Works in Dynamic Control Rod Worth Measurement Method in KOREA, KNS Autumn Meeting, 2015 (2015.10.3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966A1 (ko) * 2020-08-05 2022-02-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WO2024096262A1 (ko) * 2022-11-02 2024-05-10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사용후핵연료의 연소도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5221A1 (en) 2023-06-14
US20230298774A1 (en) 2023-09-21
JP2023536939A (ja) 2023-08-30
CN116057641A (zh) 2023-05-02
WO2022030966A1 (ko) 2022-02-10
JP7493096B2 (ja) 2024-05-30
EP4195221A4 (en)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234B1 (ko) 동적 제어봉 제어능 측정 방법
EP2366185B1 (en) Subcritical reactivity measurement method
KR102639146B1 (ko) 미임계 코어 반응도 편향 반영 기술
RU2012103325A (ru)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работы активной зоны контрольно-измерительными приборами активной зоны
Leray et al. Methodology for core analyses with nuclear data uncertainty quantification and application to Swiss PWR operated cycles
Spriggs In-pile measurement of the decay constants and relative abundances of delayed neutrons
Merljak et al. Rod insertion method analysis–A methodology update and comparison to boron dilution method
Leconte et al. New delayed neutron group constants and covariances for LWR core applications, combining summation calculations and integral experiments
KR20010038820A (ko) 개선된 노외계측기 교정방법
KR20200011277A (ko) 원자로 크러드 분석 장치 및 방법
Billebaud et al. Prompt multiplication factor measurements in subcritical systems: From MUSE experiment to a demonstration ADS
JP7489408B2 (ja) 反応度を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Merljak et al. Control Rod Insertion Method Analysis–Dynamic vs. Static Reactivity
Roy et al. Pulsed neutron source measurements in the BRAHMMA accelerator-driven subcritical system
Naymushin et al. Modeling of operating history of the research nuclear reactor
Wanninger et al. Screening sensitivity analysis of a PWR fuel assembly FEM structural model
Rearden et al. Accuracy and Runtime Improvements with SCALE 6.2
Havlůj et al. ANDREA 2: Improved Version of Code for Reactor Core Analysis
Pinegin et al. Accounting for Spatial Effects of Reactivity in VVER Power Units by the SCRM Method
Gürdal et al. Two-group diffusion parameters for LWRs
Kalcheva et al. Automatic whole core depletion and criticality calculations by MCNPX 2.7. 0
Zuwak Calculation method based on CASMO/SIMULATE for isotopic concentrations of fuel samples irradiated in Ringhals PWR
Hursin et al. Pinpower uncertainty quantification of LWR-PROTEUS Phase III experiments
Hassan Sensitivity and Uncertainty Analysis of BEAVRS Benchmark
Petényi et al. Further development of the dynamic control assemblies worth measurement method for advanced reactivity compu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