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168B1 - 성인이 서서 복층을 이용할 수 있는 생활주택 - Google Patents

성인이 서서 복층을 이용할 수 있는 생활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168B1
KR102281168B1 KR1020210064006A KR20210064006A KR102281168B1 KR 102281168 B1 KR102281168 B1 KR 102281168B1 KR 1020210064006 A KR1020210064006 A KR 1020210064006A KR 20210064006 A KR20210064006 A KR 20210064006A KR 102281168 B1 KR102281168 B1 KR 102281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living
floor
ceil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동
배대훈
Original Assignee
배기동
배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동, 배대훈 filed Critical 배기동
Priority to KR1020210064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 위치한 중층(middle floor)에 의해 상층과 하층으로 실내공간이 구획되는 복층구조를 가지는 생활주택에 있어서, 상기 생활주택의 면적을 결정하는 하층 생활공간; 상기 하층 생활공간의 면적보다 더 좁은 면적을 가지는 상층 생활공간; 상기 하층 생활공간과 상기 상층 생활공간을 연결하는 계단; 상기 중층의 일부분에 위치하며 이용자가 상기 상층 생활공간 내에서 이동하기 위한 연결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상층 생활공간은 복수 개의 서로 구획되는 편의시설 공간들을 포함하며, 상기 편의시설 공간들은 상기 연결 통로를 기준으로 구획되며 서로 마주 보는 제1 편의시설 공간과 제2 편의시설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 생활공간은 상기 연결 통로의 상기 계단과의 연결 부분과 반대 부분에 위치하는 제3 편의시설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은 상기 생활주택의 공용 구역인 복도의 천장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통로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가 상기 제1 편의시설 공간과 상기 제2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주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성인이 서서 복층을 이용할 수 있는 생활주택{Living house including duplexes where adults can stand and use}
본 발명은 실내 복층구조를 가지는 생활주택과 이를 제조하기 위한 PC 슬래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층 실내공간과 하층 실내 공간을 가지는 복층구조의 생활주택에서 상층 실내공간으로의 진입과 상층 실내공간에서의 이동이 용이하고 상층 실내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한 생활주택과 상기 복층구조를 위한 PC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가구 주택의 증가로 인해 주거공간이 화되는 추세에 따라 아파트, 오피스텔, 원룸 등과 같은 각종 생활주택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주택은 실내공간(면적)이 크지 않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에 제한이 많았다.
이에 따라 1개의 층에 대한 층고를 높이고 실내공간을 상부와 하부 2개의 공간 즉, 복층으로 형성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높인 복층형 구조의 오피스텔, 원룸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도시형 생활주택이 점점 더 많이 건설되고 있는 것이 현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복층형 구조는 실내 공간에 중층(middle floor)을 형성하여 실내공간을 상층 실내공간과 하층 실내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이 때 하층 실내공간은 상기 중층의 하측에 형성된 실내공간으로서, 이용자가 서서 움직이기 편리한 정도의 높이가 충분하게 확보되기 때문에 사무를 보거나 생활을 보기 위한 공간 즉, 동적공간으로 이용된다.
반면 상층 실내공간은 상기 중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실내공간으로서, 건축법상 가중평균이 적용되어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다시 말하면 상층 실내공간의 높이)가 제한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층 실내공간의 높이는 천장을 기준으로 약 150㎝ 이하이어서 이용자가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층 실내공간의 높이는 이용자가 서서 움직이기에는 불편할 정도로 높이가 낮기 때문에 휴식 또는 취침을 취하기 위한 공간 즉, 정적공간으로 이용되며, 계단이나 사다리를 통해 오르거나 내려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록 복층형 구조가 공간의 효율성 측면에서 이점을 가진다 하더라도, 상층 실내공간의 낮은 높이로 인한 불편함은 복층형 구조의 치명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물론 전체 실내공간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상기 상층 실내공간의 높이를 높일 수도 있으나, 이는 시공비용의 막대한 증가와 함께 시공기간이 길어지는 문제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건축법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되어 준공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중층의 경우 종래에는 기초가 완료된 후에 중층을 추가로 시공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중층의 바닥 구조가 복잡한 경우, 여러 단계를 거쳐 거푸집과 콘크리트를 붓고 양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나아가 각각의 세대별/층별로 동일한 품질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용자가 서서 상층 실내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거나 이동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을 높인 생활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생활주택과 전체 실내공간 및 상층 실내공간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상층 실내공간으로 이용자가 서서 진입하거나 이동할 수 있는 공간 활용성이 우수한 생활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생활주택에서는 이용할 수 없었던 공간(데드 스페이스, dead space)까지도 상층 실내공간으로 활용 가능하면서도 상층 실내공간으로 이용자가 서서 진입하거나 이동할 수 있는 공간 활용성이 우수한 생활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중층 구조를 위해 생산성이 높고 균일한 품질로 시공할 수 있는 PC 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활주택의 면적을 결정하는 하층 생활공간; 상기 하층 생활공간의 면적보다 더 좁은 면적을 가지는 상층 생활공간; 상기 하층 생활공간과 상기 상층 생활공간을 구획하는 중층; 상기 하층 생활공간과 상기 상층 생활공간을 연결하는 계단; 상기 중층의 일부분에 위치하며 이용자가 상기 상층 생활공간 내에서 이동하기 위한 연결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상층 생활공간은 복수 개의 서로 구획되는 편의시설 공간들을 포함하며, 상기 편의시설 공간들은 상기 연결 통로를 기준으로 구획되며 서로 마주 보는 제1 편의시설 공간과 제2 편의시설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통로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가 상기 제1 편의시설 공간과 상기 제2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주택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계단의 상기 하층 실내공간 방향의 시작 부분은 상기 하층 실내공간의 벽과 평행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통로의 폭과 상기 계단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제1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와 상기 제2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가 제2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가 제1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층 생활공간은 상기 연결 통로의 상기 계단의 연결 부분과 반대 부분에 위치하는 제3 편의시설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은 상기 생활주택의 공용 구역인 복도의 천장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1 편의시설 및 상기 제2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통로의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과 만나는 면에는 계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베이스 슬래브; 상기 제1 베이스 슬래브의 양단에 결합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한 쌍의 격벽; 상기 격벽들의 상기 제1 베이스 슬래브와 결합되는 단부의 타단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타단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베이스 슬래브;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격벽 내에는 복수 개의 수직 철근이 위치하고, 상기 제1 베이스 슬래브와 상기 한 쌍의 제2 베이스 슬래브 내에는 베이스 철근이 위치하며, 상기 격벽들 내의 상기 수직 철근의 절반은 제1 베이스 슬래브 내의 상기 베이스 철근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고, 나머지 수직철근은 제1 베이스 슬래브 내의 상기 베이스 철근의 일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베이스 철근 상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격벽들 내의 수직철근의 절반은 제2 베이스 슬래브 내의 상기 베이스 철근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고, 나머지 수직철근은 제2 베이스 슬래브 내의 상기 베이스 철근의 일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베이스 철근 상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중층 바닥용 PC 슬래브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베이스 슬래브 및 상기 제2 베이스 슬래브 내에는 형강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베이스 슬래브 및 상기 제2 베이스 슬래브 상에는 인양 고리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복층형 생활주택과 동일한 층고에서도 상층 실내공간으로 이용자가 선 상태로 접근(access), 진입 및 이동이 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종래에는 접근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이용이 저조한 상층 실내공간의 공간으로의 접근성이 향상되고 이를 통해 상층 실내공간의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 통로를 통해 이용자가 선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생활주택의 상층 실내공간의 전후좌우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층 실내공간 가운데 이용자가 거주하는 부분의 높이를 줄이지 않고도 연결 통로를 통해 이용자가 선 상태로 상층 실내공간으로의 접근, 진입 및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법상 가중평균이 적용되는 상측 실내공간의 높이를 높이지 않으면서도 이용자가 선 상태로 상층 실내공간으로의 접근, 진입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집단 생활주택에서는 이용할 수 없었던 복도 천장까지도 상층 실내공간으로 활용 가능하고 나아가 복도 천장까지 이용자가 선 상태로 접근, 진입 및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중층 구조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생산성이 높고 균일한 품질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상층 실내공간의 바닥면의 높이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상층 실내공간에 다양한 편의시설을 설치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하층 실내공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상층 실내공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에서의 중층의 PC 슬래브의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에서의 중층의 PC 슬래브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아파트, 오피스텔, 원룸 등과 같은 생활주택에 적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원주택 등과 같은 단독형 생활주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 중층을 형성하여 실내공간을 상층과 하층으로 구획되는 복층구조를 구성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줄 수 있는 복층형 구조의 아파트, 오피스텔, 원룸을 포함하는 생활주택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복층형 구조의 생활주택에 적용될 수 있는 중층을 위한 PC 슬래브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생활주택(1)은 하층 생활공간(10)과 상층 생활공간(20)을 구획하는 중층(middle floor)(100)을 포함한다.
상기 중층(100)은 하층 생활공간(10)과 상층 생활공간(20)을 물리적으로 구획하며, 비한정적이고 구체적인 예로써 상기 중층(100)은 계단(21)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계단(21)은 하층 생활공간(10)과 상층 생활공간(20)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통로로써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상기 계단(21)을 통해 하층 생활공간(10)과 상층 생활공간(20)을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생활주택(1)의 바닥면의 면적(다시 말하면 하층 생활공간(10)의 바닥면의 면적)은 중층(100)의 바닥면의 면적(다시 말하면 상층 생활공간(20)의 바닥면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생활주택(1)의 바닥면의 면적이 중층(100)의 바닥면의 면적과 동일하면, 이는 복층이 아닌 2층 구조가 되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중층(100)의 바닥 일부에는 상기 계단(21)과 연결되는 연결통로(100a)가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이용자는 상기 중층(100)의 연결통로(100a)를 통해 상층 생활공간(20) 내에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통로(100a)의 바닥의 높이(h1)는 중층(100)의 다른 지역의 바닥면의 높이(h2)보다 낮다. 다시 말하면, 천장으로부터 상기 연결통로(100a)까지의 높이(h1)는 천장으로부터 상기 증층(100)의 다른 지역까지의 높이(h2)보다 높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통로(100a)의 바닥의 높이는 이용자(이용자)이 고개를 숙이지 않고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상층 생활공간(20) 내에서 서있는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층 생활공간(20)의 접근이 용이해질 수 있고 나아가 상층 생활공간(20)의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통로(100a)의 폭은 상기 계단(21)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통로(100a)는 상기 계단(21)의 계단참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통로(100a)는 상기 중층(100) 내에 위치하는 상기 계단(21)의 계단참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통로(100a)의 바로 아래의 하층 생활공간(10)에는 화장실과 같은 편의시설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하층 생활공간(10)은 주로 동적공간으로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층 생활공간(10)은 이용자가 주로 사무나 생활을 보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만일 상기 연결통로(100a) 바로 아래의 하층 생활공간(10)에 부엌이나 통로, 또는 거실 등이 배치되면, 하층 생활공간(10)의 층고를 실질적으로 낮추어서 하층 생활공간(10)의 사용 및/또는 시야(전망)를 제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상기 연결통로(100a) 바로 아래의 하층 생활공간(10)에 화장실이 배치되면, 사용자의 시야에는 하층 생활공간(10)의 층고가 상기 연결통로(100a)가 없는 경우와 동일하여 하층 생활공간(10)의 이용에 불편함을 실질적으로 초래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연결통로(100a)의 좌/우 양방향에는 상기 상층 생활공간(20)을 구성하는 제1 편의시설 공간(110)과 제2 편의시설 공간(12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편의시설 공간(110)과 제2 편의시설 공간(120)에는 다양한 생활편의 설비가 위치할 수 있다.
비한정적이고 구체적인 예로써, 상기 제2 편의시설 공간(120)에는 침대 등의 수면을 위한 설비가 위치할 수 있고, 제1 편의시설 공간(110)에는 TV, 장식장, 옷장 등의 생활편이 설비가 위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와는 달리 상기 제1 편의시설 공간(110)에는 침대 등의 수면을 위한 설비가 위치할 수 있고, 제2 편의시설 공간(120)에는 TV, 장식장, 옷장 등의 생활편이 설비가 위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상층 실내공간의 바닥면의 높이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 1 및 2에서는 연결통로(100a)의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2)가 중층(100)의 다른 전체 지역의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보다 낮은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도 1 및 2와는 달리, 도 3에서는 상기 중층(100)에 의해 구획되는 상층 생활공간(20)내에서 상기 연결통로(100a)를 제외한 바닥의 높이(h1)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다.
비한정적이고 구체적인 예로써,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생활공간(10)의 제1 편의시설 공간(110)과 제2 편의시설 공간(120)의 바닥면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써,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의시설 공간(11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보다 제2 편의시설 공간(12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가 더 낮을 수 있다. 도 3a는 도 1 및 2의 실시예와는 달리 제2 편의시설 공간(12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를 더 낮춘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연결통로(100a)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청장까지의 높이(h2)는 제1 편의시설 공간(11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 및 제2 편의시설 공간(12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보다 높아야 한다.
한편 상기 도 3a와는 달리 도 3b에서와 같이, 제1 편의시설 공간(11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보다 제2 편의시설 공간(12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가 더 낮을 수 있다. 도 3b는 도 1 및 2의 실시예와는 달리 제1 편의시설 공간(12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를 더 높인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연결통로(100a)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청장까지의 높이(h2)는 제1 편의시설 공간(11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 및 제2 편의시설 공간(12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보다 높아야 한다.
이와는 달리 도 3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의시설 공간(11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가 제2 편의시설 공간(12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도 3c는 도 1 및 2의 실시예와는 달리 제1 편의시설 공간(11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를 더 낮춘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연결통로(100a)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청장까지의 높이(h2)는 제1 편의시설 공간(11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 및 제2 편의시설 공간(120)의 중층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h1)보다 높아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상층 실내공간(10)에 다양한 편의시설을 설치한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층 실내공간(10)을 구성하는 제1 편의시설 공간(110)에는 침대를 그리고 제2 편의시설 공간(120)에는 화장대를 비롯한 각종 편의시설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층(100)에는 연결통로(100a)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통로(100a)는 이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중층의 다른 부분보다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를 확보함으로써 상기 편의시설 공간들(110, 120)로의 이동이 매우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하층 실내공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의 상층 실내공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같이 중층을 포함하는 아파트, 오피스텔과 같은 생활주택의 경우, 각각의 세대들은 복도를 공용공간으로 이용하여 각 세대의 현관까지 접근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중층을 포함하는 아파트, 오피스텔과 같은 생활주택은 층고가 높다.
따라서 중층을 포함하는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의 공용공간인 복도(30)는 실내 천장과 콘크리트를 포함한 골조 사이의 빈 공간, 다시 말하면 복도 천장(31)이 더 크다.
일반적으로 상기 복도(30)의 상기 복도 천장(31)에는 각종 배관이나 전선 등의 설비들이 설치된다.
그러나 중층을 포함하는 생활주택의 높은 층고를 감안하면, 상기와 같은 각종 설비들이 상기 복도 천장(31)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복도에는 여전히 사용하지 않는 빈 공간이 크게 차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 대비 상층 실내공간(10)에 추가적인 제3 편의시설 공간(1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은 상층 실내공간(10) 내에 상기 각 세대의 공용공간인 복도 천장(41)을 제3 편의시설 공간(130)으로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130)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상기 중층(100)에 구비되는 연결통로(100a)를 통해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 편의시설 공간(110) 및 제2 편의시설 공간(120)과 동일하게 서 있는 상태에서 제3 편의시설 공간(130)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130)의 폭은 상기 중층(100)의 폭 이내에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130)의 폭은 상기 중층(100)의 폭 이하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다.
만일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130)의 폭이 중층(100)의 폭보다 좁은 경우, 상기 복도 천장(31)의 공간 중 제3 편의시설 공간(130)으로 사용되지 않는 공간은 상기 복도(30)를 기준으로 마주하는 세대가 사용할 수 있는 제3 편의시설 공간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130)의 폭이 중층(100)의 폭보다 좁은 경우, 상기 복도(30)를 기준으로 마주하는 세대는 각각의 세대 별 제3 편의시설 공간(130)을 포함하게 된다. 이 경우 각 세대가 복도 천장(31)을 고르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130)의 폭이 중층(100)의 폭과 동일한 경우, 상기 복도 천장(31)의 공간은 복도(30)를 기준으로 어느 일면에 위치하는 세대의 전용 제3 편의시설 공간(13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위의 복도 천장(32)의 공간을 공유하는 경우와는 달리,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130)을 구획하는 벽체가 가벽이 아닌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 또는 이와 균등한 고정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각 세대의 사생활이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될 뿐만 아니라 소음 등으로부터 보다 자유로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복도 천장(31)에는 배관 등의 다양한 설비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도 천장(31)의 바닥면의 높이는 상기 중층(100)의 바닥면의 높이보다 높을 수도 있다. 그 결과 중층(100)의 바닥면에 의해 결정되는 제1 편의시설 공간(110) 및 제2 편의시설 공간(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보다 제3 편의시설 공간(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가 더 낮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 편의시설 공간(130)으로 사용자의 용이한 접근을 위해, 상기 중층(100)의 연결통로(100a)에서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130) 단부에는 추가적인 계단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생활주택의 하층 실내공간(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생활주택의 하층 실내공간(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생활주택의 하층 실내공간(20)은 종래의 생활주택의 하층 실내공간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의 생활주택의 하층 실내공간(20)에서 상층 실내공간(10)으로 연결되는 계단(21)의 하층 실내공간(20) 방향의 시작 부분은 하층 실내공간(20)의 벽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생활주택의 경우 전체 주택의 면적을 결정하는 하층 실내공간(20)의 면적은 협소하다. 이와 같은 협소한 하층 실내공간(20) 내에 상층 실내공간(10)으로 통하는 계단(21)을 형성하려면, 생활주택의 경우 계단의 설치공간의 협소함과 함께 계단의 경사로 인해 계단의 중간 부분에는 방향이 전환되는 계단참을 포함하게 된다. 만일 계단(21)의 하층 실내공간(20) 방향의 시작 부분은 하층 실내공간(20)의 벽과 평행하게 되면, 상기 계단참의 회전 방향을 180°가 아닌 90°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계단(21)의 상기 중층(100)과 만나는 끝단부의 위치를 상기 중층(100)의 대략 중간 부분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중층(100)에 의해 구획되는 상층 실내공간(10) 중에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거나 구부려서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크게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에서의 중층의 PC 슬래브의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활주택에서의 중층용 PC 슬래브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활주택의 중층용 PC 슬래브(200)는 먼저 상기 연결통로(100a)에 해당하는 제1 베이스 슬래브(200-1) 상에 일정 간격을 이루는 베이스 철근(210)이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철근(210) 사이에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H빔과 같은 형강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철근(210) 및/또는 형강이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PC 슬래브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강 상부에는 PC 슬래브(100)를 인양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인양고리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PC 슬래브(200)는 상기 제1 베이스 슬래브 (200-1)의 양단에 한 쌍의 격벽(200-2)들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생활주택의 중층(100)의 연결통로(100a)가 상기 중층(100)의 제1 편의시설 공간(110) 및 제2 편의시설 공간(120) 대비 바닥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PC 슬래브(200)의 바닥면에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차에 해당되는 높이만큼 상기 한 쌍의 격벽(200-2)들이 위치한다.
상기 격벽들 내에는 필요에 따라 철근 등을 포함하는 보강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과 상기 제1 베이스 슬래브(200-1) 및 후술할 제2 베이스 슬래브들(200-3)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수직철근(220)이 위치한다.
비한정적이고 구체적인 예로써, 상기 수직철근(220)의 절반은 제1 베이스 슬래브(200-1) 내의 상기 베이스 철근(210)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고, 나머지 수직철근(240)은 제1 베이스 슬래브(200-1) 내의 상기 베이스 철근(21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베이스 철근(210) 상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생활주택의 중층용 PC 슬래브(200)는 상기 제1 편의시설 공간(110) 및 제2 편의시설 공간(120)에 해당하는 한 쌍의 제2 베이스 슬래브(200-3)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2 베이스 슬래브(200-3)의 기본 구조는 상기 제1 베이스 슬래브(200-1)와 크기 및 상기 격벽(200-2)과의 위치 관계만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2 베이스 슬래브(200-3)는 상기 제1 베이스 슬래브(200-1)와 동일하게 내부에 일정 간격을 이루는 베이스 철근(210)이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철근(210) 사이에는 형강이 위치할 수 있다.
비한정적이고 구체적인 예로써, 상기 격벽들 내의 수직철근(220)의 절반은 제2 베이스 슬래브(200-3) 내의 상기 베이스 철근(210)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고, 나머지 수직철근(240)은 제2 베이스 슬래브(200-3) 내의 상기 베이스 철근(21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베이스 철근(210) 상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상층 생활공간 20: 하층 생활공간
21: 계단 30: 복도
31: 복도 천장 100: 중층
101a: 연결통로 110: 제1 편의시설 공간
120: 제2 편의시설 공간 130: 제3 편의시설 공간
200: 중층용 PC 슬래브 200-1: 제1 베이스 슬래브
200-2: 격벽들 200-3: 제2 베이스 슬래브
210: 베이스 철근 220: 수직 철근

Claims (8)

  1. 실내공간에 위치한 중층(middle floor)에 의해 상층과 하층으로 실내공간이 구획되는 복층구조를 가지는 생활주택에 있어서,
    상기 생활주택의 면적을 결정하는 하층 생활공간;
    상기 하층 생활공간의 면적보다 더 좁은 면적을 가지는 상층 생활공간;
    상기 하층 생활공간과 상기 상층 생활공간을 연결하는 계단;
    상기 중층의 일부분에 위치하며 이용자가 상기 상층 생활공간 내에서 이동하기 위한 연결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상층 생활공간은 복수 개의 서로 구획되는 편의시설 공간들을 포함하며,
    상기 편의시설 공간들은 상기 연결 통로를 기준으로 구획되며 서로 마주 보는 제1 편의시설 공간과 제2 편의시설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 생활공간은 상기 연결 통로의 상기 계단과의 연결 부분과 반대 부분에 위치하는 제3 편의시설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은 상기 생활주택의 공용 구역인 복도의 천장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통로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가 상기 제1 편의시설 공간과 상기 제2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주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의 상기 하층 실내공간 방향의 시작 부분은 상기 하층 실내공간의 벽과 평행한 방향에 위치하는 생활주택.
  3. 제1항에 있어서,
    제1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와 상기 제2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가 서로 다른 생활주택.
  4. 제3항에 있어서,
    제1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가 제2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보다 더 높은 생활주택.
  5. 제3항에 있어서,
    제2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가 제1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보다 더 높은 생활주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1 편의시설 및 상기 제2 편의시설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생활주택의 천장까지의 높이보다 낮은 생활주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의 상기 제3 편의시설 공간과 만나는 바닥 면에는 계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생활주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의 폭과 상기 계단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생활주택.
KR1020210064006A 2021-05-18 2021-05-18 성인이 서서 복층을 이용할 수 있는 생활주택 KR102281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006A KR102281168B1 (ko) 2021-05-18 2021-05-18 성인이 서서 복층을 이용할 수 있는 생활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006A KR102281168B1 (ko) 2021-05-18 2021-05-18 성인이 서서 복층을 이용할 수 있는 생활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168B1 true KR102281168B1 (ko) 2021-07-23

Family

ID=7715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006A KR102281168B1 (ko) 2021-05-18 2021-05-18 성인이 서서 복층을 이용할 수 있는 생활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54848A1 (ko) * 2023-01-20 2024-07-25 이영환 3차원 주거 건축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642A (ja) * 2000-07-25 2002-02-06 Shimizu Corp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723604Y (zh) * 2003-10-13 2005-09-07 大连东特房地产有限公司 复式小户型结构
JP2006299657A (ja) * 2005-04-21 2006-11-02 Shimizu Corp 複層構造物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642A (ja) * 2000-07-25 2002-02-06 Shimizu Corp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723604Y (zh) * 2003-10-13 2005-09-07 大连东特房地产有限公司 复式小户型结构
JP2006299657A (ja) * 2005-04-21 2006-11-02 Shimizu Corp 複層構造物の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54848A1 (ko) * 2023-01-20 2024-07-25 이영환 3차원 주거 건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2589B2 (ja) 集合住宅
US3656266A (en) Buildings
US7540120B2 (en) Multi-level apartment building
WO2007079655A1 (fr) Residence avec jardin
KR102281168B1 (ko) 성인이 서서 복층을 이용할 수 있는 생활주택
US6578330B1 (en) Vertically stacked condominium units
CN112031468A (zh) 一种带有斜向露台的多边住宅楼
WO2018209730A1 (zh) 别墅叠拼、复式住宅改良构造
JP3261404B2 (ja) 規格化集合住宅のスケルトン構造
JP2002303053A (ja) 高層集合住宅
JP3776293B2 (ja) 多層型収納付き建物
CN1032661C (zh) 独立单元侧跃层式住宅
KR20180111708A (ko)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JP3494372B2 (ja) 建 物
JP2003056188A (ja) 片廊下型集合住宅
JPH1171918A (ja) 建築物およびその建築方法
KR101080931B1 (ko) 무량판 구조 아파트
JP2535724B2 (ja) 多所帯型住宅
Petković et al. THE MIX-MESH CONCEPT OF LOW-RISE HIGH-DENSITY HOUSING–ADVANTAGES AND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IN LOCAL CONTEXT
JP2023008534A (ja) 共同住宅およびリフォーム方法
KR101281853B1 (ko)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RU2328581C2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двухуровневое здание
CN114837465A (zh) 一种新型多层叠落户建筑
JPH06323008A (ja) 多層階蔵型収納付き建物
CN114837464A (zh) 一种多层叠落户建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