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094B1 - 공간활용이 증대된 접이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공간활용이 증대된 접이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094B1
KR102281094B1 KR1020190129682A KR20190129682A KR102281094B1 KR 102281094 B1 KR102281094 B1 KR 102281094B1 KR 1020190129682 A KR1020190129682 A KR 1020190129682A KR 20190129682 A KR20190129682 A KR 20190129682A KR 102281094 B1 KR102281094 B1 KR 10228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central connecting
plate mounting
spac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203A (ko
Inventor
윤미현
Original Assignee
윤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미현 filed Critical 윤미현
Priority to KR102019012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0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A47B5/04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4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lexible roll-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 A47B2003/145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with folding table top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형성된 제1공간(110)이 개방된 일측면(130)으로 연통된 형태의 제1상판장착대(100); 내측에 형성된 제2공간(210)이 개방된 일측면(230)으로 연통된 형태의 제2상판장착대(200); 일측면(310)이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을 통하여 상기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타측면(320)이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210)으로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중앙연결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과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은 서로 대면한 상태로 장착되는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간활용이 증대된 접이식 테이블{A foldable table with increased space-utilization}
본 발명은 공간활용이 증대된 접이식 테이블이 관한 것으로서, 좁은 생활공간에서 펼쳐서 식탁, 책상 기타 용도의 테이블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은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펼쳐진 상태에서도 일정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나아가 접힌 상태에서는 보관을 위해 최소한의 공간만이 필요하도록 구성되며, 펼치거나 접는 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용이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된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은 사람이 앉은 상태에서 휴식, 식사, 작업 등 여러 가지 활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테이블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접히는 기능이 추가된 테이블을 사용하였다. 테이블을 접게 되면 테이블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즉시 테이블을 펼쳐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테이블을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87642호를 살펴본다.
종래기술은 테이블 상판과 다리부분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다리의 구조도 개선하여 접었을 때 차지하게 되는 용적을 크게 줄여 전체적으로 접어서 운반 또는 보관하는 경우 종래보다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고 펼쳐서 사용하는 경우엔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중간의 지지봉부재를 중심으로 상부엔 상판받침부재를 결합 구성하고, 중간의 지지봉부재를 중심으로 하부엔 다리부재를 결합 구성하며, 상기 상판받침부재의 상부엔 테이블 상판을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테이블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은 그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펼치거나 접는 과정이 복잡하고, 나아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 그 수리가 상식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은 펼쳐진 상태에서는 지지중심이 지지봉부재를 중심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바, 테이블 상판의 외곽부분에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그 지지중심이 지지봉부재를 벗어나게 되어 결국 테이블이 흔들리거나 한쪽 방향으로 쏠리면서 넘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펼치거나 접는 과정이 용이하면서 일정한 하중에도 그리고 어느 방향에서의 하중에도 지지할 수 있는 공간활용성이 증대된 접이식 테이블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10-2018-0087642 A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우선적으로 공간활용성이 증대된 테이블을 제공하되, 펼치거나 접는 과정이 단순하면서, 나아가 어느 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에도 지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은, 내측에 형성된 제1공간(110)이 개방된 일측면(130)으로 연통된 형태의 제1상판장착대(100); 내측에 형성된 제2공간(210)이 개방된 일측면(230)으로 연통된 형태의 제2상판장착대(200); 일측면(310)이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을 통하여 상기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타측면(320)이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210)으로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중앙연결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과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은 서로 대면한 상태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공간(110)에서 좌우이동되는 제1이동제어대(120); 상기 제2공간(210)에서 좌우이동되는 제2이동제어대(220); 일단이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 부근에 위치된 일측회동부(312)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125); 및 일단이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00) 부근에 위치된 타측회동부(322)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22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가 상기 제1공간(110)에서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가 상기 제2공간(210)에서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공간(110)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상기 제2공간(210)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과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이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의 지지체(10)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상판장착대(100)의 타측면(150) 부근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타측면(150)이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고정장착대(180); 상기 제2상판장착대(200)의 타측면(250) 부근에 결합되되, 상기 제2상판착대의 타측면(250)이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고정장착대(280); 및 상기 제2고정장착대(280)에 결합되는 받침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장착대(180)가 상기 지지체(10)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고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상기 제2공간(210)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과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이 접하고, 상기 받침대(400)가 아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상판장착대(100)와 상기 제2상판장착대(200)가 수평한 상태로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 및 타측면(320)은 라운드진 형상이며,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공간(110)에서 벗어나고,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상기 제2공간(210)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중앙연결대(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결합부(125)의 타단이 상기 일측회동부(312)에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2결합부(225)의 타단이 상기 타측회동부(322)에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1상판장착대(100)의 상부면과 상기 제2상판장착대(200)의 상부면이 서로 대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상판장착대(100)의 측면에는 수평으로 일정한 길이의 제1가이드홀(1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상판장착대(200)의 측면에는 수평으로 일정한 길이의 제2가이드홀(2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의 측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홀(140)을 관통하는 제1이동제어핀(122)이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의 측면에는 상기 제2가이드홀(240)을 관통하는 제2이동제어핀(222)이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상판장착대(100)의 측면에는 제1결합홀(1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상판장착대(200)의 측면에는 제2결합홀(2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 부근에 제1볼(314)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볼(314)이 상기 제1결합홀(160)에 관통된 상태에서는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00) 부근에 제2볼(324)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00)이 상기 제2공간(210)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볼(324)이 상기 제2결합홀(260)에 관통된 상태에서는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00)의 이동이 제한된다.
일정한 길이의 상기 제1결합부(125)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와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분리된 상태로 위치되며,
일정한 길이의 상기 제2결합부(225)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와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분리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공간(110)에서 벗어나고,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상기 제2공간(210)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125)의 타단이 상기 일측회동부(312)에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2결합부(225)의 타단이 상기 타측회동부(322)에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대(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와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분리된 상태로 그리고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와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분리된 상태로 상기 중앙연결대(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공간(110)에서 벗어나고,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상기 제2공간(210)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125)의 타단이 상기 일측회동부(312)에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2결합부(225)의 타단이 상기 타측회동부(322)에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대(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가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을 벗어나지 않고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가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을 벗어나지 않으며,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가 상기 제1공간(110)에서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과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 사이에 상기 일측회동부(312)가 위치되어,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가 상기 제2공간(210)에서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기 제2공간(210)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과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 사이에 상기 타측회동부(322)가 위치되어,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2공간(210)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단순히 중앙연결대를 제1상판장착대와 제2상판장착대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제1상판장착대와 제2상판장착대를 연결시켜 다용도의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고, 보관시에는 중앙연결대를 제1상판장착대와 제2상판장착대의 내측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중앙연결대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상판장착대와 제2상판장착대가 겹쳐진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중앙연결대가 제1상판장착대와 제2상판장착대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제1상판장착대와 제2상판장착대를 연결된 상태에서, 제1상판장착대 및 제2상판장착대의 내측에는 제1이동제어대, 제2이동제어대 및 중앙연결대가 위치됨에 따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제1상판장착대 및 제2상판장착대의 하중 지지력에 더하여 제1이동제어대, 제2이동제어대 및 중앙연결대의 지지력이 더해져,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더욱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에서 중앙연결대가 제1상판장착대의 내측와 제2상판장착대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1상판장착대와 제2상판장착대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에서, 테이블을 접기 위하여 중앙연결대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이 접혀진 상태에서 보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은 제1상판장착대(100), 제2상판장착대(200), 중앙연결대(300) 및 받침대(400)를 포함한다.
제1상판장착대(100) 및 제2상판장착대(200)에 상판이 장착된다. 이러한 제1상판장착대(100) 및 제2상판장착대(200)의 폭은 상판의 폭보다 좁다. 따라서, 상판이 이러한 제1상판장착대(100) 및 제2상판장착대(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기 위해서는 제1상판장착대(100)의 상부면에는 폭이 넓은 제1상판결합대(101)가 고정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제2상판장착대(100)의 상부면에는 폭이 넓은 제2상판결합대(201)가 고정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제1상판장착대(100)의 내측에는 일정한 공간인 제1공간(110)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제1공간(110)은 제1상판장착대(100)의 개방된 일측면(130)으로 연통된다. 즉, 개방된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이 제1공간(110)으로 연통되어, 중앙연결대(300)의 일측면(310)이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을 통하여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거나 제1공간(110)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제2상판장착대(200)의 내측에는 일정한 공간인 제2공간(210)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제2공간(210)은 제2상판장착대(200)의 개방된 일측면(230)으로 연통된다. 즉, 개방된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이 제2공간(210)으로 연통되어, 중앙연결대(300)의 타측면(320)이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을 통하여 제2공간(210)으로 이동되거나 제2공간(210)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과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은 서로 대면한다. 이에 따라,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개방된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을 통하여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고,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개방된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을 통하여 제2공간(210)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과 제2상판장착대의 타측면(230)이 접하게 되면서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 상태가 된다.
제1상판장착대(100)의 제1공간(110)에서 제1이동제어대(120)가 좌우로 이동되며, 제2상판장착대(100)의 제2공간(210)에서 제2이동제어대(220)가 좌우로 이동된다.
제1이동제어대(120)는 제1결합부(125)에 의해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 부근에 결합되며, 제2이동제어대(220)는 제2결합부(225)에 의해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 부근에 결합된다. 결국, 제1공간(110)에서의 제1이동제어대(120)의 이동과 제2공간(210)에서의 제2이동제어대(220)의 이동은 중앙연결대(300)의 이동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부(125)의 일단이 제1이동제어대(120)의 일측(124)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부(125)의 타단이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 부근에 위치된 일측회동부(312)에서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결합부(225)의 일단이 제2이동제어대(220)의 일측(224)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결합부(225)의 타단이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 부근에 위치된 타측회동부(322)에서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제1이동제어대(120)가 제1공간(110)에서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이동제어대(120)에 제1결합부(125)에 의해 결합된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제1공간(110)으로 이동된다.
제2상판장착대(200)의 경우, 제2상판장착대(200)가 중앙연결대(300)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이동제어대(220)가 제2공간(110)에서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상판장착대(200)의 이동으로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제2공간(210)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로써,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과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이 접하게 된다.
제1상판장착대(100)의 내측에서의 제1이동제어대(120)의 이동제한과 제2상판장착대(200)의 내측에서의 제2이동제어대(220)의 이동제한을 설명한다.
제1상판장착대(100)의 측면에는 수평으로 일정한 길이의 제1가이드홀(140)이 형성되어 있고, 제2상판장착대(200)의 측면에는 수평으로 일정한 길이의 제2가이드홀(240)이 형성되어 있다.
제1이동제어대(120)의 측면에는 제1가이드홀(140)을 관통하는 제1이동제어핀(122)이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2이동제어대(220)의 측면에는 제2가이드홀(240)을 관통하는 제2이동제어핀(222)이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가이드홀(140)에 관통된 제1이동제어핀(122)이 일정한 길이의 제1가이드홀(140)에서만 이동되는 바, 제1상판장착대(100)의 내측에서 제1이동제어대(120)의 이동은 이러한 일정한 길이의 제1가이드홀(140)의 길이만큼만 이동된다. 제1가이드홀(140)의 양단에 제1이동제어핀(122)이 걸리는 경우, 제1이동제어핀(122)과 한몸체인 제1이동제어대(120)가 더 이상 이동될 수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가이드홀(240)에 관통된 제2이동제어핀(222)이 일정한 길이의 제2가이드홀(240)에서만 이동되는 바, 제2상판장착대(200)의 내측에서 제2이동제어대(220)의 이동은 이러한 일정한 길이의 제2가이드홀(240)의 길이만큼만 이동된다. 제2가이드홀(240)의 양단에 제2이동제어핀(222)이 걸리는 경우, 제2이동제어핀(222)과 한몸체인 제2이동제어대(220)가 더 이상 이동될 수 없게 된다.
중앙연결대(300)가 제1상판장착대(100)의 내측과 제2상판장착대(200)의 내측으로 이동됨에 있어서,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과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이 접한 상태에서 중앙연결대(300)가 내측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즉 중앙연결대(300)에 연결된 제1이동제어대(120)와 제2이동제어대(220)가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제1이동제어대(120)가 이동되다가 개방된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에 다다르면, 제1이동제어핀(122)이 제1가이드홀(140)의 끝단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다. 즉, 제1이동제어대(120)가 개방된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을 통하여 외부로 이동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2이동제어대(220)가 이동되다가 개방된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에 다다르면, 제2이동제어핀(222)이 제2가이드홀(240)의 끝단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다. 즉, 제2이동제어대(220)가 개방된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을 통하여 외부로 이동되지 않는다.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 및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이 접하고, 중앙연결대(300)가 제1상판장착대(100) 및 제2상판장착대(20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정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중앙연결대(300)가 제1상판장착대(100) 및 제2상판장착대(200)의 내측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제1상판장착대(100)의 측면에는 제1결합홀(160)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 부근에 제1볼(314)이 장착되어 있어,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어 제1볼(314)이 제1결합홀(160)에 관통된 상태에서는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제1볼(314)이 제1결합홀(160)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일정한 힘이 가해져야 한다.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제1상판장착대(100)의 내측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제한한다.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 부근에 제1볼(314)의 장착은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 부근에 제1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제1결합홈(미도시)의 내측에 제1탄성부재(미도시)이 위치되고 제1탄성부재(미도시)에 제1볼(314)이 접한 상태에서 제1볼(314)의 일부분이 제1결합홈(미도시)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는 과정 중, 제1상판장착대(100)의 내측면에 제1볼(314)이 접촉되면서 제1볼(314)이 제1결합홈(미도시)의 내측으로 밀린 상태로 이동되고, 제1결합홀(160)에 이르렀을 때 제1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으로 제1볼(314)이 제1결합홈(미도시)로부터 돌출되어 제1결합홀(160)로 관통된 상태가 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제2상판장착대(200)의 측면에는 제2결합홀(260)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00) 부근에 제2볼(324)이 장착되어 있어,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00)이 제2공간(210)으로 이동되면서 제2볼(324)이 상기 제2결합홀(260)에 관통된 상태에서는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00)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제2볼(324)이 제2결합홀(260)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일정한 힘이 가해져야 한다.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20)이 제2상판장착대(200)의 내측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제한한다.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 부근에 제2볼(324)의 장착은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 부근에 제2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제2결합홈(미도시)의 내측에 제2탄성부재(미도시)이 위치되고 제2탄성부재(미도시)에 제2볼(324)이 접한 상태에서 제2볼(324)의 일부분이 제2결합홈(미도시)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제2공간(210)으로 이동되는 과정 중, 제2상판장착대(200)의 내측면에 제2볼(324)이 접촉되면서 제2볼(324)이 제2결합홈(미도시)의 내측으로 밀린 상태로 이동되고, 제2결합홀(260)에 이르렀을 때 제2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으로 제2볼(324)이 제2결합홈(미도시)로부터 돌출되어 제2결합홀(260)로 관통된 상태가 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제1상판장착대(100)의 타측면(150) 부근에 제1고정장착대(180)가 결합되는데, 제1고정장착대(180)에서 제1상판장착대의 타측면(150) 부근이 회동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제1고정장착대(180)는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의 지지체(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체(10)는 벽일 수 있거나, 또는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로 이동되지 않은 책상이나 가구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접이식 테이블의 한쪽을 고정시키기 위한 어떠한 지지체(10)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접는 경우, 중앙연결대(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상판장착대(100)가 제1고정장착대(180)에 결합된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상판장착대의 타측면(150)의 부근이 이러한 제1고정장착대(180)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야 한다.
제2상판장착대(100)의 타측면(250)의 부근에 제2고정장착대(280)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제2고정장착대(280)에 받침대(400)가 결합된다.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과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이 접하고, 제1상판장착대의 타측면(150) 부근이 제1고정장착대(280)에 결합되어 지지체(10)에 의해 지지되고, 제2상판장착대의 타측면(250)은 제2고정장착대(280)에 결합되어 아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의 받침대(400)에 의해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접는 경우, 중앙연결대(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상판장착대(200)가 제2고정장착대(280)에 결합된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상판장착대의 타측면(250) 부근이 이러한 제2고정장착대(280)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야 한다.
제2상판장착대(200)의 타측면(250) 부근이 제2고정장착대(280)에 회동되도록 결합됨에 따라,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져 사용되는 상태에서 제2고정장착대(280)에 결합된 받침대(400)가 회동되어 제2상판장착대(200)가 지지되지 못하고 기울어질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져 사용되는 상태에서는 받침대(40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지 않은 이상 회동이 제한되도록, 제2고정장착대(280)의 하부(282)와 제2상판장착대(200)의 타측면(250)의 다른 부근이 완충장치(284)로 연결된다. 이러한 완충장치(284)는 가스 스프링, 스프링, 고무 등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지든 완충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라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가스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고정장착대(180)가 지지체(10)에 고정결합되고,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고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제2공간(210)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과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이 접하고, 받침대(400)가 아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제1상판장착대(100)와 제2상판장착대(200)가 수평한 상태로 서로 연결된다.
제1상판장착대(100)와 제2상판장착대(200)가 수평한 상태로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2상판장착대의 타측면(250)이 받침대(400)에 지지되되, 일정한 힘이 가해지지 않은 이상, 완충장치(284)에 의해 받침대(400)가 제2상판장착대의 타측면(250)을 지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후,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제1공간(1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제2공간(210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과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이 접한 상태이고, 제1상판장착대의 타측면(150)이 지지체(10)에 의해 지지되고, 제2상판장착대의 타측면(250)이 받침대(400)에 지지된 상태이다. 제2상판장착대의 타측면(250) 부근과 제2고정장착대의 하부(282)가 완충장치(284)에 의해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접이식 테이블을 사용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상판장착대(100)의 내측에는 중앙연결대(300)의 일부분과 제1이동제어대(120)가 위치됨에 따라, 그리고 제2상판장착대(200)의 내측에는 중앙연결대(300)의 나머지 부분과 제2이동제어대(220)가 위치됨에 따라, 제1상판장착대(100) 및 제2상판장착대(200)에서 하중을 견디는 힘이 증대된다.
도 3은 접이식 테이블을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제1공간(110)에서 벗어나고,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제2공간(210)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중앙연결대(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결합부(125)의 타단이 일측회동부(312)에서 회동됨과 동시에 제2결합부(225)의 타단이 타측회동부(322)에서 회동됨에 따라, 제1상판장착대(100) 및 제2상판장착대(200)가 기울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중앙연결대(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일측회동부(312)에 회동되도록 결합된 제1결합부(125)에 결합된 제1이동제어대(120)에 의해, 중앙연결대(300)에 연결된 제1상판장착대(100)가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에 따라,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이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을 따라 이동되는 바, 그 이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은 라운드진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중앙연결대(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타측회동부(322)에 회동되도록 결합된 제2결합부(225)에 결합된 제2이동제어대(220)에 의해, 중앙연결대(300)에 연결된 제2상판장착대(200)가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에 따라,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이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을 따라 이동되는 바, 그 이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은 라운드진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중앙연결대(300)가 최대한 아래 방향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제1상판장착대(100)의 상부면과 제2상판장착대(200)의 상부면이 서로 대면하여 접이식 테이블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이다. 받침대(400)가 제2상판장착대(200)의 하부면에 접하면서, 완충장치(284) 또한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의 길이보다 제2상판장착대(200)가 접히면서 그 길이가 줄어든 상태이다. 보관상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는 바, 생활공간의 활용성이 증대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상판장착대
110: 제1공간 120: 제1이동제어대
122: 제1이동제어핀 125: 제1결합부 130: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
140: 제1가이드홀 150: 제1상판장착대의 타측면 160: 제1결합홀
180: 제1고정장착대
200: 제2상판장착대
210: 제2공간 220: 제2이동제어대
222: 제2이동제어핀 225: 제2결합부 230: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
240: 제2가이드홀 250: 제2상판장착대의 타측면 260: 제2결합홀
280: 제1고정장착대 282: 제1고정장착대의 하부 284: 완충장치
300: 중앙연결대
310: 중앙연결대의 일측면 312: 일측회동부 314: 제1볼
320: 중앙연결대의 타측면 322: 타측회동부 324: 제2볼
400: 받침대

Claims (5)

  1. 내측에 형성된 제1공간(110)이 개방된 일측면(130)으로 연통된 형태의 제1상판장착대(100);
    내측에 형성된 제2공간(210)이 개방된 일측면(230)으로 연통된 형태의 제2상판장착대(200);
    일측면(310)이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을 통하여 상기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타측면(320)이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210)으로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중앙연결대(300);
    상기 제1공간(110)에서 좌우이동되는 제1이동제어대(120);
    상기 제2공간(210)에서 좌우이동되는 제2이동제어대(220);
    일단이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에 위치된 일측회동부(312)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125); 및
    일단이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에 위치된 타측회동부(322)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225)를 포함하며,
    일정한 길이의 상기 제1결합부(125)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와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분리된 상태로 위치되며,
    일정한 길이의 상기 제2결합부(225)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와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분리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공간(110)에서 벗어나고,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상기 제2공간(210)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125)의 타단이 상기 일측회동부(312)에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2결합부(225)의 타단이 상기 타측회동부(322)에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대(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와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분리된 상태로 그리고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와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분리된 상태로 상기 중앙연결대(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공간(110)에서 벗어나고,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상기 제2공간(210)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125)의 타단이 상기 일측회동부(312)에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2결합부(225)의 타단이 상기 타측회동부(322)에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대(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가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을 벗어나지 않고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가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을 벗어나지 않으며,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가 상기 제1공간(110)에서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과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 사이에 상기 일측회동부(312)가 위치되어,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상판장착대의 일측면(13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가 상기 제2공간(210)에서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상기 제2공간(210)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과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 사이에 상기 타측회동부(322)가 위치되어,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20)이 상기 제2상판장착대의 일측면(23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2공간(210)으로 이동되는 접이식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판장착대(100)의 측면에는 수평으로 일정한 길이의 제1가이드홀(1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상판장착대(200)의 측면에는 수평으로 일정한 길이의 제2가이드홀(2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이동제어대(120)의 측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홀(140)을 관통하는 제1이동제어핀(122)이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이동제어대(220)의 측면에는 상기 제2가이드홀(240)을 관통하는 제2이동제어핀(222)이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상판장착대(100)의 측면에는 제1결합홀(1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상판장착대(200)의 측면에는 제2결합홀(2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에 제1볼(314)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이 상기 제1공간(110)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볼(314)이 상기 제1결합홀(160)에 관통된 상태에서는 상기 중앙연결대의 일측면(310)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00)에 제2볼(324)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00)이 상기 제2공간(210)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볼(324)이 상기 제2결합홀(260)에 관통된 상태에서는 상기 중앙연결대의 타측면(300)의 이동이 제한되는 접이식 테이블.
KR1020190129682A 2019-10-18 2019-10-18 공간활용이 증대된 접이식 테이블 KR102281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682A KR102281094B1 (ko) 2019-10-18 2019-10-18 공간활용이 증대된 접이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682A KR102281094B1 (ko) 2019-10-18 2019-10-18 공간활용이 증대된 접이식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203A KR20210046203A (ko) 2021-04-28
KR102281094B1 true KR102281094B1 (ko) 2021-07-22

Family

ID=7572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682A KR102281094B1 (ko) 2019-10-18 2019-10-18 공간활용이 증대된 접이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0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368B1 (ko) * 2018-05-21 2018-12-21 (주)대진아트와이어 인출입 가능한 보조수납장이 구비된 가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042B1 (ko) * 2001-09-28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선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368B1 (ko) * 2018-05-21 2018-12-21 (주)대진아트와이어 인출입 가능한 보조수납장이 구비된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203A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05243Y (zh) 折叠桌装置
US2791477A (en) Foldable table with hinged top
US6158361A (en) Foldable table frame
JPS62251785A (ja) 物品支持装置
KR101851556B1 (ko) 절첩식 책상
WO1999037183A1 (en) Table tennis table top with pivotal legs
US6003450A (en) Table lift apparatus
US7921785B1 (en) Furniture with foldable support
KR200468957Y1 (ko) 접이식 테이블
KR102281094B1 (ko) 공간활용이 증대된 접이식 테이블
KR100669365B1 (ko) 침대 겸용 책상
KR101987001B1 (ko) 가구
CN107594877A (zh) 一种便于收纳的桌子
US20120047650A1 (en) Bed that is Folded and Expanded Easily and Quickly
CN207821378U (zh) 一种简易折叠桌
US4483027A (en) Foldable bunk bed assembly
JP3133866U (ja) 折り畳み式デスク
KR200494455Y1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회동억제 장치
CN212650625U (zh) 可自动复位的双缓冲折叠凳
US20110094422A1 (en) Table
KR20140121999A (ko) 책상 겸용 월 베드
CN207784630U (zh) 一种折叠支腿的支撑结构
US20040211344A1 (en) Sofa table with adjustable height
KR102292618B1 (ko)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CN111473196A (zh) 3c产品支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