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084B1 -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084B1
KR102281084B1 KR1020190153000A KR20190153000A KR102281084B1 KR 102281084 B1 KR102281084 B1 KR 102281084B1 KR 1020190153000 A KR1020190153000 A KR 1020190153000A KR 20190153000 A KR20190153000 A KR 20190153000A KR 102281084 B1 KR102281084 B1 KR 102281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data
file
data
map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598A (ko
Inventor
김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오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오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오엑스
Priority to KR1020190153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0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16Details of conversion of file system types or forma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지 파일 및 도면 파일 형태의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 또는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을 복수의 슬라이드로 분류하여 세부적인 객체를 제공하는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하거나, 세부적인 특정 영역을 제공 가능한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지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CONVERTING MAP DATA AND THE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면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 또는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지도 데이터는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의 이미지 파일, 또는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도면 파일의 형식으로 사용되었으므로, 대용량 파일로 이미지를 확대하여 확인하거나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종래 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0450011호(지도데이터 변환 방법 및 시스템)는 SHP 파일을 다른 파일로 데이터 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다만, 종래 기술은 SHP, DXF, NGI 포맷의 지도 데이터를 SGD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해 파일의 섹션을 추출하며, 각 섹션 정보를 SGD 파일의 해당 섹션에 기술하여 SGD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므로, 시간적 및 물리적 리스크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은 지도 데이터의 파일 형식을 변환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변환하고자 하는 파일 형식에 따라 제공되는 지도 서비스 또한 변환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파일 및 도면 파일 형태의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 또는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을 복수의 슬라이드로 분류하여 세부적인 객체를 제공하는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하거나, 세부적인 특정 영역을 제공 가능한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은 도면 파일의 제1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속성에 따라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레이어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된 각 레이어 별로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포인트(point), 라인(line) 및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상기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의 제1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상기 PPT 파일 또는 상기 PDF 파일을 구성하는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에 배치하며, 상기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에 상기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상기 객체가 포함되도록 표시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은 이미지 파일의 제2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2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타일링(tiling)하여 상기 제2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축척별로 레벨을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일링되어 레벨이 부가된 제2 지도 데이터를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의 제2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장치는 이미지 파일 또는 도면 파일의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는 로딩부, 상기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하는 속성부, 상기 데이터 속성에 따라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레이어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된 각 레이어 별로 상기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포인트(point), 라인(line) 및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타일링(tiling)하여 축척별로 레벨을 부가하는 레벨 부가부 및 상기 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상기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이나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상기 PPT 파일 또는 상기 PDF 파일을 구성하는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에 배치하며, 상기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에 상기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상기 객체가 포함되도록 표시하여 변환하거나, 상기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타일링(tiling)하여 축척별로 레벨을 부가한 상기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파일 및 도면 파일 형태의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 또는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을 복수의 슬라이드로 분류하여 세부적인 객체를 제공하는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하거나, 세부적인 특정 영역을 제공 가능한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여 각 변환되는 파일의 장점을 활용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 또는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객체를 중심으로 슬라이드 별 또는 레벨 별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이며, 확대 시에도 이미지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명확한 지도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된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 또는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 또는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며, 통합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의 제1 기능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의 제2 기능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장치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지도 데이터를 PPT(PowerPoint; 파워포인트) 파일 또는 PDF(Portable Document Format; 이동가능 문서형식) 파일로 변환하거나,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는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을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기능은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도면 파일의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하는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도면 파일의 지도 데이터를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제2 기능은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의 이미지 파일의 지도 데이터를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때,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것은 축척별로 타일링된 지도 데이터 세트(set)로의 변환을 일컫는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의 제1 기능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10에서, 도면 파일의 제1 지도 데이터를 로딩한다.
단계 110은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도면 파일을 제1 지도 데이터로 로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도 데이터는 사용자가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하고자 하는 지도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 120에서,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한다.
단계 120은 로딩된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도면 파일에서,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토지 데이터 또는 건물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120은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과, 영역에 형성된 토지 또는 건물과 같은 데이터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20은 제1 지도 데이터에서 영역을 나타내는 토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토지 데이터에 형성된 복수의 건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130에서, 데이터 속성에 따라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기반하여 제1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레이어로 분리한다.
단계 130은 데이터 속성에 따라, 제1 지도 데이터에서 토지 또는 영역, 지면 또는 건물, 및 건물을 구성하는 층을 구분하여 상기 복수의 레이어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30은 제1 지도 데이터에서 토지 데이터 및 건물 데이터를 분리하고, 건물 데이터에서 건물과 지면을 구분하여 분리하며, 건물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을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단계 130은 토지, 지면, 건물 및 층을 각기 따로 구분하여 레이어 별로 분류할 수 있다.
단계 140에서,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된 각 레이어 별로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포인트(point), 라인(line) 및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한다.
단계 140은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된 각 레이어 별로, 주요 지점을 나타내는 점 요소의 포인트(point), 이동 경로, 동선, 길 또는 하천을 나타내는 선 요소의 라인(line) 및 공간을 나타내는 면 요소의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40은 제1 지도 데이터의 레이어 별로 점 요소의 포인트, 선 요소의 라인 및 면 요소의 폴리곤을 추출할 수 있으며, 포인트 객체는 행정구역, 특정 건물(예를 들면, 공항, 기차역, 백화점, 전시/문화시설 등), 또는 건물 내의 편의시설, 출입구, 비상구와 같은 주요 지점을 나타내고, 점 요소의 객체는 이동 경로, 이동 동선, 길, 강, 하천 또는 지역 간의 경계를 나타내며, 면 요소의 객체는 실내 공간, 토지 면적, 건물 면적과 같은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단계 140은 객체와 연결된 의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미 데이터는 명칭 또는 통계값을 일컫을 수 있다.
단계 150에서, 객체에 기반하여,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객체를 포함하는 제1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한다. 이때, 단계 150은 각 레이어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을 구성하는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에 따라 배치하며,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에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객체가 포함되도록 표시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은 복수의 슬라이드 또는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다. 이에, 단계 150은 복수의 슬라이드 또는 복수의 페이지 마다 단계 130에서 분리된 복수의 레이어 각각을 배치하여 하나의 슬라이드 또는 페이지가 하나의 레이어를 나타내도록 변환할 수 있다. 더욱이, 단계 150은 각 레이어 별로 추출되는 서로 다른 객체들을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 마다 배치하여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변환되는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의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는 하나의 레이어 및 하나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로 형성된 레이어 각각은 벡터 방식으로 변환되므로, 확대 또는 축소 시에도 명확한 지도 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하며, 레이어 및 객체에 따른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단계 150은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의 상위 슬라이드(또는 상위 페이지)에 제1 지도 데이터의 폴리곤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비교적 넓은 범위를 표시하며, 상위 슬라이드에서 하위 슬라이드로 갈수록 제1 지도 데이터의 라인 및 포인트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비교적 좁은, 세부적인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의 제일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 슬라이드(예컨대, 1번 슬라이드)는 제1 지도 데이터의 전체 영역을 제시하거나, 제1 지도 데이터의 폴리곤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실내 공간, 토지 면적, 건물 면적과 같은 영역의 비교적 넓은 범위를 표시하여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위 슬라이드에서 하위 슬라이드로 갈수록 제1 지도 데이터의 라인 및 포인트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이동 경로, 이동 동선, 길, 강, 하천 또는 지역 간의 경계를 나타내거나, 행정구역, 특정 건물(예를 들면, 공항, 기차역, 백화점, 전시/문화시설 등), 또는 건물 내의 편의시설, 출입구, 비상구와 같은 주요 지점을 나타내는 비교적 좁은 영역인, 세부적인 범위를 표시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단계 150은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의 상위 슬라이드에서 하위 슬라이드로 갈수록 제1 지도 데이터의 확대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토지 - 지면 - 건물 - 층의 순서를 나타내는 레이어 및 면 요소 - 라인 요소 - 점 요소의 순서를 나타내는 객체의 세부적인 범위를 중점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최상위의 1번 슬라이드는 제1 지도 데이터의 모든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슬라이드가 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슬라이드들은 제1 지도 데이터의 각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의 제일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 슬라이드(예컨대, 1번 슬라이드)는 제1 지도 데이터에서 분류된 모든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위 슬라이드로 갈수록 서로 다른 레이어들이 각 슬라이드에 할당될 수 있다. 이때,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또는 페이지에 할당된 레이어들은 동일 범위 즉, 동일한 면적을 나타내며, 동일한 면적에서 서로 다른 레이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단계 150은 제1 지도 데이터를 축척별로 레벨을 구분하여 타일링(tiling)하여 레벨을 부가하는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지도 파일은 구글 지도, 다음 지도 또는 네이버 지도와 같이 거리뷰(로드뷰), 항공뷰 및 위성사진(스카이뷰)를 제공하고, 특정 영역의 확대 및 축소를 제공하여 지도 데이터의 용량을 효율화하는 온라인 지도 서비스 형식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의 제2 기능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이미지 파일의 제2 지도 데이터를 로딩한다.
단계 210은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의 이미지 파일을 제2 지도 데이터로 로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도 데이터는 사용자가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고자 하는 지도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제2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한다.
단계 220은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의 이미지 파일에서, 제2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토지 데이터 또는 건물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220은 제2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과, 영역에 형성된 토지 또는 건물과 같은 데이터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220은 제2 지도 데이터에서 영역을 나타내는 토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토지 데이터에 형성된 복수의 건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제2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포인트(point), 라인(line) 및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한다.
단계 230은 데이터 속성에 따라, 주요 지점을 나타내는 점 요소의 포인트(point), 이동 경로, 동선, 길 또는 하천을 나타내는 선 요소의 라인(line) 및 공간을 나타내는 면 요소의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230은 제2 지도 데이터의 점 요소의 포인트, 선 요소의 라인 및 면 요소의 폴리곤을 추출할 수 있으며, 포인트 객체는 행정구역, 특정 건물(예를 들면, 공항, 기차역, 백화점, 전시/문화시설 등), 또는 건물 내의 편의시설, 출입구, 비상구와 같은 주요 지점을 나타내고, 점 요소의 객체는 이동 경로, 이동 동선, 길, 강, 하천 또는 지역 간의 경계를 나타내며, 면 요소의 객체는 실내 공간, 토지 면적, 건물 면적과 같은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단계 230은 객체와 연결된 의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미 데이터는 명칭 또는 통계값을 일컫을 수 있다.
단계 240에서, 객체에 기반하여, 제2 지도 데이터를 축척별로 레벨을 구분하여 타일링(tiling)하여 제2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레벨을 부가한다.
단계 240은 객체에 기반하여, 제2 지도 데이터를 세부적인 복수의 영역으로 타일링하며, 제2 지도 데이터의 폴리곤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비교적 넓은 범위를 제1 레벨로 부가하고, 라인 및 포인트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비교적 좁은, 세부적인 범위를 제2 레벨 및 제3 레벨로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240은 폴리곤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실내 공간, 토지 면적, 건물 면적과 같은 영역의 비교적 넓은 범위를 제1 레벨로 구성하고, 라인 및 포인트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이동 경로, 이동 동선, 길, 강, 하천 또는 지역 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범위를 제2 레벨로 구성하며, 라인 및 포인트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이동 경로, 이동 동선, 길, 강, 하천 또는 지역 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범위를 제3 레벨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단계 240은 제1 레벨에서 제3 레벨로 갈수록 제2 지도 데이터의 확대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토지 - 지면 - 건물 - 층의 순서 및 면 요소 - 라인 요소 - 점 요소의 순서를 나타내는 세부적인 범위를 중점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단계 240은 제2 지도 데이터를 단계별 즉, 레벨 별로 구성함으로써,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제공할 시,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여 작은 영역/부분을 디테일하고 세부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단계 250에서, 타일링되어 레벨이 부가된 제2 지도 데이터를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한다.
단계 25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 지도 데이터의 특정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제1 레벨, 제2 레벨 및 제3 레벨로 구성된 제2 지도 데이터를 클라우드 지도로 변환할 수 있다.
클라우드 지도 파일은 구글 지도, 다음 지도 또는 네이버 지도와 같이 거리뷰(로드뷰), 항공뷰 및 위성사진(스카이뷰)를 제공하고, 특정 영역의 확대 및 축소를 제공하여 지도 데이터의 용량을 효율화하는 온라인 지도 서비스 형식일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지도 파일은 웹 기반으로 출력 가능한 형태이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영역 또는 특정 영역의 확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온라인 상의 웹은 효율적인 데이터 제공이 가능하다.
여기서, 클라우드 지도 파일은 각 레벨로 타일링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레벨로 타일링된 지도 데이터, 제2 레벨로 타일링된 지도 데이터 및 제3 레벨로 타일링된 지도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타일링된 지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은 축척별로 타일링된 지도 데이터 세트(set)로의 변환을 일컫는다.
일례로, 제2 지도 데이터는 하나의 이미지 지도 파일(또는 도면 파일)일 수 있다. 제1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지도 파일을 A개로 분할한 것들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고, 제2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지도 파일을 B개로 분할한 것들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고, 제3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지도 파일을 C개로 분할한 것들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C>B>A). 타일링은 상기와 같은 이미지 지도 파일을 분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한 것과는 달리 레벨은 4개 이상일 수 있다. A가 1인 경우 제1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지도 파일 전체를 나타낼 수 있다.
변환된 클라우드 지도 데이터는 복수의 레벨의 각각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레벨은 이미지 지도 파일이 변환된 클라우드 지도 파일에 있어서, 사용자가 클라우드 지도 파일에 대응하는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각각의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지도를 최대한으로 축소하는 경우 제1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사용자(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최대로 축소된 지도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지도를 최대한으로 확대하는 경우 제3 레벨(또는 복수의 레벨 중 최대의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사용자(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최대로 확대된 지도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는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도면 파일의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하는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도면 파일의 지도 데이터를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할 수도 있는 제1 기능과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의 이미지 파일의 지도 데이터를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제2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는 제1 기능에서,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도면 파일(310)을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하며, 복수의 영역으로 타일링(tiling)하여 축척별로 레벨을 부가하는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는 제2 기능에서,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의 도면 파일(320)을 복수의 영역으로 타일링(tiling)하여 축척별로 레벨을 부가하는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는 플러그인(plug-in) 또는 독립된 프로그램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장치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장치는 도면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 또는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장치(400)는 로딩부(410), 속성부(420), 분리부(430), 추출부(440), 레벨 부가부(450) 및 변환부(4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변환 장치(400)는 제1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로딩부(410), 속성부(420), 분리부(430), 추출부(440) 및 변환부(460)를 사용하며, 제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로딩부(410), 속성부(420), 추출부(440), 레벨 부가부(450) 및 변환부(460)를 사용할 수 있다.
로딩부(410)는 이미지 파일 또는 도면 파일의 지도 데이터를 로딩한다.
로딩부(410)는 제1 기능을 위해,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도면 파일을 제1 지도 데이터로 로딩할 수 있으며, 제2 기능을 위해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의 이미지 파일을 제2 지도 데이터로 로딩할 수 있다.
속성부(420)는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한다.
속성부(420)는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도면 파일, 또는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의 이미지 파일에서, 제1 지도 데이터 또는 제2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토지 데이터 또는 건물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속성부(420)는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과, 영역에 형성된 토지 또는 건물과 같은 데이터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속성부(420)는 지도 데이터에서 영역을 나타내는 토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토지 데이터에 형성된 복수의 건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분리부(430)는 데이터 속성에 따라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기반하여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레이어로 분리한다.
분리부(430)는 제1 기능에서 수행되며, 데이터 속성에 따라,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도면 파일의 제1 지도 데이터에서 토지 또는 영역, 지면 또는 건물, 및 건물을 구성하는 층을 구분하여 상기 복수의 레이어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부(430)는 제1 지도 데이터에서 토지 데이터 및 건물 데이터를 분리하고, 건물 데이터에서 건물과 지면을 구분하여 분리하며, 건물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을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분리부(430)는 토지, 지면, 건물 및 층을 각기 따로 구분하여 레이어 별로 분류할 수 있다.
추출부(440)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된 각 레이어 별로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포인트(point), 라인(line) 및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한다.
추출부(440)는 주요 지점을 나타내는 점 요소의 포인트(point), 이동 경로, 동선, 길 또는 하천을 나타내는 선 요소의 라인(line) 및 공간을 나타내는 면 요소의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출부(440)는 지도 데이터의 레이어 별로 점 요소의 포인트, 선 요소의 라인 및 면 요소의 폴리곤을 추출할 수 있으며, 포인트 객체는 행정구역, 특정 건물(예를 들면, 공항, 기차역, 백화점, 전시/문화시설 등), 또는 건물 내의 편의시설, 출입구, 비상구와 같은 주요 지점을 나타내고, 점 요소의 객체는 이동 경로, 이동 동선, 길, 강, 하천 또는 지역 간의 경계를 나타내며, 면 요소의 객체는 실내 공간, 토지 면적, 건물 면적과 같은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추출부(440)는 객체와 연결된 의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미 데이터는 명칭 또는 통계값을 일컫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추출부(440)는 제1 기능 시에는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도면 파일의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 별로 객체를 추출하며, 제2 기능 시에는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의 이미지 파일의 제2 지도 데이터에서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레벨 부가부(450)는 객체에 기반하여, 지도 데이터를 축척별로 레벨을 구분하여 타일링(tiling)하여 레벨을 부가한다.
레벨 부가부(450)는 제2 기능에서 수행되며, 객체에 기반하여, JPG, PNG를 포함한 이미지 포맷의 이미지 파일의 제2 지도 데이터를 세부적인 복수의 영역으로 타일링하며, 제2 지도 데이터의 폴리곤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비교적 넓은 범위를 제1 레벨로 부가하고, 라인 및 포인트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비교적 좁은, 세부적인 범위를 제2 레벨 및 제3 레벨로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벨 부가부(450)는 폴리곤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실내 공간, 토지 면적, 건물 면적과 같은 영역의 비교적 넓은 범위를 제1 레벨로 구성하고, 라인 및 포인트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이동 경로, 이동 동선, 길, 강, 하천 또는 지역 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범위를 제2 레벨로 구성하며, 라인 및 포인트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이동 경로, 이동 동선, 길, 강, 하천 또는 지역 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범위를 제3 레벨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레벨 부가부(450)는 제1 레벨에서 제3 레벨로 갈수록 제2 지도 데이터의 확대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토지 - 지면 - 건물 - 층의 순서 및 면 요소 - 라인 요소 - 점 요소의 순서를 나타내는 세부적인 범위를 중점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벨 부가부(450)는 제2 지도 데이터를 단계별 즉, 레벨 별로 구성함으로써,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제공할 시,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여 작은 영역/부분을 디테일하고 세부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변환부(460)는 객체에 기반하여,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객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이나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한다. 이때, 변환부(460)는 각 레이어를 각 슬라이드에 따라 배치하며, 각 슬라이드에 각 레이어 별로 지도 데이터의 서로 다른 객체가 포함되도록 표시하여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하거나,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타일링(tiling)하여 축척별로 레벨을 부가한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은 복수의 슬라이드 또는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다. 이에, 변환부(460)는 제1 기능에서, 복수의 슬라이드 또는 복수의 페이지 마다 분리된 복수의 레이어 각각을 배치하여 하나의 슬라이드 또는 페이지가 하나의 레이어를 나타내도록 변환할 수 있다. 더욱이, 변환부(460)는 각 레이어 별로 추출되는 서로 다른 객체들을 각 슬라이드 또는 페이지 마다 배치하여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변환되는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의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는 하나의 레이어 및 하나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로 형성된 레이어 각각은 벡터 방식으로 변환되므로, 확대 또는 축소 시에도 명확한 지도 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하며, 레이어 및 객체에 따른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변환부(460)는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의 상위 슬라이드(또는 상위 페이지)에 제1 지도 데이터의 폴리곤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비교적 넓은 범위를 표시하며, 상위 슬라이드에서 하위 슬라이드로 갈수록 제1 지도 데이터의 라인 및 포인트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비교적 좁은, 세부적인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의 제일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 슬라이드는 제1 지도 데이터의 전체 영역을 제시하거나, 제1 지도 데이터의 폴리곤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실내 공간, 토지 면적, 건물 면적과 같은 영역의 비교적 넓은 범위를 표시하여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위 슬라이드에서 하위 슬라이드로 갈수록 제1 지도 데이터의 라인 및 포인트의 객체를 중점적으로 한 이동 경로, 이동 동선, 길, 강, 하천 또는 지역 간의 경계를 나타내거나, 행정구역, 특정 건물(예를 들면, 공항, 기차역, 백화점, 전시/문화시설 등), 또는 건물 내의 편의시설, 출입구, 비상구와 같은 주요 지점을 나타내는 비교적 좁은 영역인, 세부적인 범위를 표시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변환부(460)는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의 상위 슬라이드에서 하위 슬라이드로 갈수록 제1 지도 데이터의 확대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토지 - 지면 - 건물 - 층의 순서를 나타내는 레이어 및 면 요소 - 라인 요소 - 점 요소의 순서를 나타내는 객체의 세부적인 범위를 중점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최상위의 1번 슬라이드는 제1 지도 데이터의 모든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슬라이드가 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슬라이드들은 제1 지도 데이터의 각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의 제일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 슬라이드(예컨대, 1번 슬라이드)는 제1 지도 데이터에서 분류된 모든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위 슬라이드로 갈수록 서로 다른 레이어들이 각 슬라이드에 할당될 수 있다. 이때,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또는 페이지에 할당된 레이어들은 동일 범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레이어에 따라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변환부(460)는 제2 기능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 지도 데이터의 특정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제1 레벨, 제2 레벨 및 제3 레벨로 구성된 제2 지도 데이터를 클라우드 지도로 변환할 수 있다.
클라우드 지도 파일은 구글 지도, 다음 지도 또는 네이버 지도와 같이 거리뷰(로드뷰), 항공뷰 및 위성사진(스카이뷰)를 제공하고, 특정 영역의 확대 및 축소를 제공하여 지도 데이터의 용량을 효율화하는 온라인 지도 서비스 형식일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지도 파일은 웹 기반으로 출력 가능한 형태이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영역 또는 특정 영역의 확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온라인 상의 웹은 효율적인 데이터 제공이 가능하다.
여기서, 클라우드 지도 파일은 각 레벨로 타일링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레벨로 타일링된 지도 데이터, 제2 레벨로 타일링된 지도 데이터 및 제3 레벨로 타일링된 지도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타일링된 지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4에서 설명하지 않았지만, 도 4의 장치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에 대한 동작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도면 파일의 제1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속성에 따라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레이어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된 각 레이어 별로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포인트(point), 라인(line) 및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상기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의 제1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상기 PPT 파일 또는 상기 PDF 파일을 구성하는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에 배치하며, 상기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에 상기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상기 객체가 포함되도록 표시하여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는
    SHP 포맷 혹은 DXF 포맷의 상기 도면 파일에서,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토지 데이터 또는 건물 데이터를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 속성을 획득하며,
    상기 복수의 레이어로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지도 데이터에서 토지 또는 영역, 지면 또는 건물, 및 건물을 구성하는 층을 구분하여 상기 복수의 레이어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된 상기 각 레이어 별로, 주요 지점을 나타내는 점 요소의 포인트(point), 이동 경로, 동선, 길 또는 하천을 나타내는 선 요소의 라인(line) 및 공간을 나타내는 면 요소의 폴리곤(polygon)의 상기 객체와 상기 객체에 연결된 의미 데이터를 추출하는,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4. 도면 파일의 제1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속성에 따라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레이어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된 각 레이어 별로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포인트(point), 라인(line) 및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상기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의 제1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상기 PPT 파일 또는 상기 PDF 파일을 구성하는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에 배치하며, 상기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에 상기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상기 객체가 포함되도록 표시하여 변환하고,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PPT 파일 또는 상기 PDF 파일의 최상위의 슬라이드 또는 페이지가 상기 제1 지도 데이터의 모든 레이어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5. 도면 파일의 제1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속성에 따라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레이어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된 각 레이어 별로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포인트(point), 라인(line) 및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타일링(tiling)하여 축척별로 레벨을 부가하는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6.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의 제2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2 지도 데이터를 축척별로 레벨을 구분하여 타일링(tiling)하여 상기 제2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레벨을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일링되어 레벨이 부가된 제2 지도 데이터를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은,
    상기 제2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포인트(point), 라인(line) 및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는
    소정의 이미지 포맷의 상기 이미지 파일에서, 상기 제2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토지 데이터 또는 건물 데이터를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 속성을 획득하며,
    상기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속성에 따라, 주요 지점을 나타내는 점 요소의 포인트(point), 이동 경로, 동선, 길 또는 하천을 나타내는 선 요소의 라인(line) 및 공간을 나타내는 면 요소의 폴리곤(polygon)의 상기 객체를 추출하는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링하여 레벨을 부가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지도 데이터를 세부적인 복수의 영역으로 타일링하며, 상기 제2 지도 데이터의 더 넓은 범위를 제1 레벨로 부가하고, 더 좁은 세부적인 범위를 제2 레벨로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9.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의 제2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2 지도 데이터를 축척별로 레벨을 구분하여 타일링(tiling)하여 상기 제2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레벨을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일링되어 레벨이 부가된 제2 지도 데이터를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레벨의 상기 제2 지도 데이터의 특정 영역이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레벨로 구성된 클라우드 지도로 변환하는,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10. 이미지 파일 또는 도면 파일의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는 로딩부;
    상기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속성을 획득하는 속성부;
    상기 데이터 속성에 따라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레이어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된 각 레이어 별로 상기 지도 데이터를 구성하는 포인트(point), 라인(line) 및 폴리곤(polygon)의 객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를 축척별로 레벨을 구분하여 타일링(tiling)하여 레벨을 부가하는 레벨 부가부; 및
    상기 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상기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지도 데이터를 PPT 파일 또는 PDF 파일이나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상기 PPT 파일 또는 상기 PDF 파일을 구성하는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에 배치하며, 상기 각 슬라이드 또는 각 페이지에 상기 각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상기 객체가 포함되도록 표시하여 변환하거나, 상기 지도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타일링(tiling)하여 축척별로 레벨을 부가한 상기 클라우드 지도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변환 장치.
KR1020190153000A 2019-11-26 2019-11-26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KR102281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00A KR102281084B1 (ko) 2019-11-26 2019-11-26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00A KR102281084B1 (ko) 2019-11-26 2019-11-26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598A KR20210064598A (ko) 2021-06-03
KR102281084B1 true KR102281084B1 (ko) 2021-07-23

Family

ID=7639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000A KR102281084B1 (ko) 2019-11-26 2019-11-26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0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921A (ko) * 2022-06-22 2023-12-29 주식회사 케이티 실내 공간 모델을 생성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751A (ja) * 2002-09-11 2004-04-02 Megumi Shimokawa 3dデータ生成システム
US20060005126A1 (en) 2002-10-07 2006-01-05 Shaul Shapiro Method for manipulation of objects within electronic graphic documents
JP2017191979A (ja) 2016-04-12 2017-10-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986B1 (ko) * 2004-10-29 2007-01-22 한국전력공사 모바일 데이터 단말기용 콤팩트형 지리정보시스템 엔진과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751A (ja) * 2002-09-11 2004-04-02 Megumi Shimokawa 3dデータ生成システム
US20060005126A1 (en) 2002-10-07 2006-01-05 Shaul Shapiro Method for manipulation of objects within electronic graphic documents
JP2017191979A (ja) 2016-04-12 2017-10-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서정민 외 4인, DXF 포맷을 이용한 개체 기반 수치지도 관리 시스템의 구현,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3(2), 2000.6, 125-145페이지.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598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0543B2 (en) Distributed and self-validating computer vision for dense object detection in digital images
US20160132495A1 (en) Conversion of documents of different types to a uniform and an editable or a searchable format
US8245131B2 (en) Constraining layout variations for accommodating variable content in electronic documents
JP5797419B2 (ja) 地図情報処理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372031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generating digital wayfinding maps
KR102281084B1 (ko) 지도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EP4181400A1 (en) Tool to facilitate customer generated chart databases for use with a certified avionics system
US20200143400A1 (en) Verification method for division of administrative region, server and storage medium
Valeriano et al. Monitoring tropical forest from space: the PRODES digital project
KR102018046B1 (ko) 이미지 특징 추출 장치 및 방법
US8650473B2 (en) Document managing apparatus, document mana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220518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213312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WO2009153862A1 (ja) データ作成装置、情報処理装置、データ作成方法、情報処理方法、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361719B1 (en) Label placement on a digital map
US20220180116A1 (en) Selective Extraction of Color Attributes from Digital Images
US20230298373A1 (en) Detecting graphical elements in charts using predicted heatmaps
Barborič et al. ISTER: Connecting Historical Danube Regions Roman Routes with a GIS-based Territorial Atlas and an Online Interactive Tool
US20220357161A1 (en) Indoor navigational mapping through pixel color matching
US201900050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documents based on high-level features clustering
Lenssen-Erz et al. Digital management of rock art: the African archaeology archive cologne (AAArC)
KR101667784B1 (ko) 개인정보 자동 검색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JP5467829B2 (ja) 空中写真検索システム
KR101934629B1 (ko) 유사 이미지 검색 기반 지명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458155B1 (ko) 편집 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