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905B1 - 조명 기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기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905B1
KR102280905B1 KR1020180157273A KR20180157273A KR102280905B1 KR 102280905 B1 KR102280905 B1 KR 102280905B1 KR 1020180157273 A KR1020180157273 A KR 1020180157273A KR 20180157273 A KR20180157273 A KR 20180157273A KR 102280905 B1 KR102280905 B1 KR 102280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ember
disposed
fixing
lighting fixtur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9798A (ko
Inventor
허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102018015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9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 장치는, 조명기구를 천장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천장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공간부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과 상기 후크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재를 전방을 향해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기구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AN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 기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조명 기구를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조명기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 인테리어에 있어서, 조명기구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조명기구는 실내의 벽체 특히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실내 분위기의 전환이나, 유지 보수를 위해 조명기구는 손쉬운 탈착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기구는 설치과정에서 추가적인 보조 작업자가 조명기구가 떨어지지 않도록 잡아야 했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천장에 설치하는 조명기구의 경우, 조명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또는 지지구조물이 천장에 미리 설치될 수 있고, 조명기구를 브라켓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조명기구를 든 상태에서 고정장치의 조작을 필요로 하게 되어, 탈착이 용이하지 못하고,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020402호(2011.03.08)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프링 타입의 고정부재를 통해 별도의 조작없이 탈착이 용이한 조명기구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 장치는, 조명기구를 천장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천장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공간부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과 상기 후크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재를 전방을 향해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걸림부의 전단부는 아래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의 하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1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 홀을 따라 상기 후크부재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에는 상기 공간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바디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걸림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부분, 상기 제2부분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을 통해, 상기 후크부재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3부분을 통해 상기 후크부재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부분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관통홀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기구는, 내측에 발광 모듈이 배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내주면의 상기 고정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후크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조명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걸림부의 상면에는 위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대면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가이드 홀이 배치되고, 상기 제2걸림부는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 홀을 따라 상기 후크부재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스프링 타입의 고정부재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성과 안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명기구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도2의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조명기구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조명기구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장치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천장으로 향하는 방향을 “상방”, “상측”으로 설명할 수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하방”, “하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300)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전방” 또는 “외측”으로, 그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 또는 “내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300) 고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300) 고정장치는, 브라켓(200), 브라켓(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00) 및 조명기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명기구(300) 고정장치가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실내의 벽체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300) 고정장치는 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다. 천장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200)은 하나의 메인프레임(210)으로 구성되어 대체적으로 “I”자 형상(예: 도 1의 브라켓(2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메인프레임(210)을 포함하는 경우, 서로 평행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210)과 메인프레임(210)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200)은 대체적으로 “H”자 형상(예: 도 8의 브라켓(2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브라켓(200)이 대체로 “H”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메인프레임(210)을 포함하여 대체적으로 “I”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메인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부에는 고정부재(예: 도 2의 고정부재(100))가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0)은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200)은 안정기(2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안정기(250)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210) 사이에 배치되어, 보조프레임(2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프레임(210)의 각 끝단부에는 고정부재(1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공에는 고정부재(100)의 결합돌기(예: 도2의 결합돌기 125)가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공에는 고정부재(100)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볼트(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프레임(210)의 각 끝단부에는 고정부재(100)의 후크부재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예: 도4의 제2가이드 리브(554)를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200)은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00)는 플레이트가 조명기구(300)의 프레임부(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300) 고정장치는 고정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기구(300) 고정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00)는 브라켓(200)의 메인프레임(210) 이 조명기구(300)의 프레임부(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00)는 브라켓(200)의 메인프레임(210)의 길이 방향 적어도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조명기구(300)는 총 4개의 지점에서 고정부재(100)에 의해 브라켓(20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부재가 각 메인프레임(210)의 동일한 방향의 어느 일단에만 배치되고, 타단에는 더미 고정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장치는 조명기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기구(300)는 대체적으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고,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조명기구(300)는 상술한 고정부재(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천장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조명기구(300)는 확산판(미도시), 도광판(미도시), 반사시트(미도시) 및 LED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하여 빛을 발하는 광원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기구(300)는 광원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프레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320)의 내측부에는 브라켓(2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00)의 후크부재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지지부재(예: 도 8의 지지부재(35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350)는 프레임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에서와 같이 프레임부(320)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프레임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프레임부 자체의 형상에 의해 후크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350)가 돌출 형성된 경우에는 지지부재(350)는 메인프레임(210)에 배치되는 각각의 고정부재(1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350)는 내측에 후크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50)의 외측면이 후크부재의 가압부재와 접촉될 수 있다. 후크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부재(350)의 내측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가압부재가 지지부재(350)의 외측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조명기구(300)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의 고정부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100)는, 바디(120), 후크부재(150) 및 탄성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00)는 브라켓(200)의 각 단부에 결합되어, 탄성 지지되는 후크부재(150)를 통해, 조명기구(300)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100)는, 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20)는 대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디(120)는 내측에 후크부재(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공간부는 바디(120)의 전방 및 상방으로 향해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간부의 내측에는 후크부재(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용될 수 있고, 후크부재(150)의 후면과 공간부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80)를 통해, 후크부재(150)가 전방을 향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바디(120)의 하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 홀(12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 홀(127)의 내측에는 후크부재(15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 리브(157)가 배치될 수 있고, 제1가이드 리브(157)가 제1가이드 홀(127)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후크부재(150)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 리브(157)가 제1가이드 홀(127)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후크부재(150)의 전방으로의 이동범위가 규제될 수 있다. 바디(120)의 상면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편(126)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편(126)에 의해, 메인프레임(210)에 대한 안착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바디(12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2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25)가 메인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부재(100)가 브라켓(200)의 메인프레임(2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100)는, 후크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재(150)는 바디(120)의 공간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재(150)와 바디(12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80)를 통해 후크부재(150)가 전방을 향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후크부재(150)의 전방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조명기구(300)의 프레임부(320)의 지지부재(350) 내측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후크부재(150)의 전단부에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명기구(30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조명기구(300)의 프레임부(320)의 지지부재(350)가 경사부(15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후크부재(150)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 리브(157)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재(150)는 상면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압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명기구(300)의 지지부재(350)의 외측면이 가압부재(153)와 접촉된 상태에서, 조명기구(300)에 외력을 제공하여 가압부재(153)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100)는, 탄성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8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80)의 후단부는 바디(1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후방돌기에 고정되고, 전단부는 후크부재(15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전방돌기에 고정됨으로써, 후크부재(150)를 전방을 향해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조명기구(300)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5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고정부재(5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의 고정부재(500)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2 또는 도 3의 고정부재(100)와 동일 내지는 유사하므로, 도 2 또는 도3의 고정부재(100)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되거나 차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500)의 바디는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528)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528)의 단면은 사각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의 하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가이드 홀(527)이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 홀(527)은 관통홀(528)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 홀(527)의 내측에 후크부재(55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가이드 리브(557)가 배치될 수 있고, 제1가이드 리브(557)가 제1가이드 홀(527)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후크부재(55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재(550)는 전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지지부재(350)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는 제1걸림부(5501)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바디의 관통홀(528)을 통해 바디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는 제2걸림부(5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걸림부(5502)는 제1걸림부(550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부분(5502a), 제1부분(5502a)의 후단부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제2부분(5502b) 및 제2부분(5502b)의 하단부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부분(550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걸림부(5502)는 단면이 “ㄷ”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부분(5502c)의 단면적은 바디의 관통홀(528)의 단면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후크부재(550)를 바디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3부분(5502c)이 관통홀(528)을 관통할 수 있다. 후크부재(550)가 바디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부분(5502b)은 관통홀(528)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분(5502b)의 단면적은 관통홀(528)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부분(5502b)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제2부분(5502b)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부재(55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이동 범위가 규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부분(5502b)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바디의 하면의 폭과 대응될 수 있고, 후크부재(55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3부분(5502c)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재(550)의 하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가이드 리브(557)가 아래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리브(557)의 길이는 바디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 홀(527)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재(550)의 상면 일측에는 제2가이드 리브(55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리브(554)는 브라켓(예: 도 1의 브라켓(200))의 메인프레임(예: 도1의 메인 프레인(210))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후크부재(550)의 전단부에는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55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부(552)는 전방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조명기구(300)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7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고정부재(7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의 고정부재(700)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2 또는 도 3의 고정부재(100) 내지는 도 4 또는 도 5의 고정부재(500)과 동일 내지는 유사하므로, 앞선 실시예의 고정부재(100,500)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되거나 차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700)의 후크부재(750)와 바디(720)의 공간부 내측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780)가 배치될 수 있다. 후크부재(750)의 후단부 일측에는 탄성부재(780)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759)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759)은 탄성부재(780)의 일부 영역을 수용하여, 외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조명기구 조립장치를 통해 실내의 천장에 조명기구(예: 도1의 조명기구(30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되는 방법은, 사용자가 조명기구(300)의 프레임부(예: 도1의 프레임부(3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재(350) 중 일부에, 메인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일단에 배치되는 고정부재(예: 도2의 고정부재(100)의 후크부재(예: 도2의 후크부재(150))가 삽입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프레임(210)의 일단에 배치되는 후크부재(150)가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3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명기구(300)를 메인프레임(210)의 길이방향 타단을 향해 가압하면, 지지부재(350)의 외측면이 후크부재(150)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가압하여 후크부재(150)가 지지부재(35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부재에 후크부재(예: 도 6의 후크부재(750)) 가 지지부재에 삽입되고, 후크부재(750)의 전단부 모서리가 지지부재의 내측면에 가압됨으로써 후크부재(750)가 지지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메인프레임(210)의 길이방향 타단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00)의 후크부재(150)가, 조명기구(300)의 대응되는 지지부재(350)의 내측 공간에 삽입됨으써, 설치가 완성될 수 있다. 탈거시에는 이와 역순으로 가압함으로써 손쉽게 조명기구(300)를 탈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메인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00)중 어느 한 쪽의 고정부재만이 이동 가능한 후크부재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고정부재의 후크부재는 바디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동 가능한 후크부재를 먼저 조명기구(300)의 지지부재(350)에 끼운 상태에서 가압함으로써,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끼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 장치는 사용자가 고정장치의 별다른 조작 없이도, 조명기구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동작 만으로 설치 또는 탈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500: 고정부재
120,520: 바디
150,550: 후크부재
200: 브라켓
210: 메인 프레임
220: 보조 프레임
250: 안정기
300: 조명기구
310: 광원부
320: 프레임부
350: 지지부재

Claims (10)

  1. 조명기구를 천장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천장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하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공간부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과 상기 후크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재를 전방을 향해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걸림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바디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걸림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부분, 상기 제2부분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을 통해, 상기 후크부재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3부분을 통해 상기 후크부재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조명기구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의 전단부는 아래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1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 홀을 따라 상기 후크부재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조명기구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조명기구 고정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관통홀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조명기구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내측에 발광 모듈이 배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내주면의 상기 고정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후크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조명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배치되는 조명기구 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의 상면에는 위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대면되게 배치되는 조명기구 고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가이드 홀이 배치되고, 상기 제2걸림부는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 홀을 따라 상기 후크부재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구 고정 장치.

KR1020180157273A 2018-12-07 2018-12-07 조명 기구 고정 장치 KR102280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73A KR102280905B1 (ko) 2018-12-07 2018-12-07 조명 기구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73A KR102280905B1 (ko) 2018-12-07 2018-12-07 조명 기구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798A KR20200069798A (ko) 2020-06-17
KR102280905B1 true KR102280905B1 (ko) 2021-07-23

Family

ID=7140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273A KR102280905B1 (ko) 2018-12-07 2018-12-07 조명 기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593B1 (ko) * 2022-09-16 2023-07-06 (주)에이엠테크 등기구용 원터치 설치 브래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197B1 (ko) * 2020-11-20 2023-07-17 주식회사 보승일렉트릭 조명등 고정장치
KR102562738B1 (ko) * 2022-05-09 2023-08-02 유한회사 유텍 고정물 탈장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961B1 (ko) * 2013-04-05 2014-06-20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전등 커버 결합구
KR101862992B1 (ko) * 2017-05-15 2018-05-30 이윤황 벽면 및 천장형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580Y1 (ko) * 1996-11-14 1999-09-01 최영실 전등용 커버의 고정장치
KR101020402B1 (ko) 2010-04-20 2011-03-08 주식회사 기림 매립형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961B1 (ko) * 2013-04-05 2014-06-20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전등 커버 결합구
KR101862992B1 (ko) * 2017-05-15 2018-05-30 이윤황 벽면 및 천장형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593B1 (ko) * 2022-09-16 2023-07-06 (주)에이엠테크 등기구용 원터치 설치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798A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05B1 (ko) 조명 기구 고정 장치
JP6027634B2 (ja) 照明設備、ランプ、照明設備における支持部、ランプにおける支持要素、ホルダ及び口金
KR101533918B1 (ko) Led 평판조명기구
KR101658856B1 (ko) 조명등 장착장치
KR101674649B1 (ko) 조명등기구의 천장 결합장치
KR20160067002A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KR101751189B1 (ko) 신속 장착이 가능한 엣지형 led 조명등 설비
KR101995398B1 (ko) 간편 탈부착구조가 적용된 천정등
KR101520224B1 (ko) 조명등의 투광판홀더 장착장치
KR101879996B1 (ko) 조명등의 투광판 장착장치
KR20160138721A (ko) 착탈이 용이한 조명장치용 브래킷 및 이를 갖는 조명기구
CN105987299B (zh) 一种照明装置
CN205332107U (zh) 电源盒结构及由其构成的灯具
KR101807563B1 (ko) 엘이디 면조명기구
CN210462911U (zh) 一种发光角度可调的灯具
KR102203611B1 (ko) 탈착이 용이한 조명기구
KR101992412B1 (ko) 엘이디 등기구
JP2005139805A (ja) 共有空間構造体におけるパネル体取付構造
KR20200090386A (ko) 천장 수직 탈부착이 용이한 천장 led 장치
JP2019149294A (ja) 照明器具
KR101270430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2615975B1 (ko) 엣지형 조명등 장착장치
KR102245361B1 (ko) 조명등 커버 고정장치
KR20200142746A (ko) 조명등 장착장치
KR101520225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선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