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430B1 -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활용한 발효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활용한 발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430B1
KR102280430B1 KR1020200093740A KR20200093740A KR102280430B1 KR 102280430 B1 KR102280430 B1 KR 102280430B1 KR 1020200093740 A KR1020200093740 A KR 1020200093740A KR 20200093740 A KR20200093740 A KR 20200093740A KR 102280430 B1 KR102280430 B1 KR 102280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fermentation
present
uni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욱
Original Assignee
문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욱 filed Critical 문현욱
Priority to KR102020009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발효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활용한 발효 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폐기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공급장치에 연결되며, 폐기물을 발효하는 발효장치와 발효장치에 형성되며, 발효된 퇴비를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활용한 발효 방법{Apparatus for Continuing Fermentation and Method of Ferment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발효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활용한 발효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켜 사료나 속성 퇴비로 만드는 발효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에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는 폐기물 투입장치;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내부로 소량 공기를 주입하는 소형 송풍장치; 상기 하우징 본체 내의 중심부에서 양쪽에 통로를 형성한 상태에서 세워지는 칸막이;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서 칸막이의 양쪽에 나란히 한 쌍으로 설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공기와 함께 순환시키면서 교반하는 교반장치; 상기 하우징 본체에 연결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 후 생성되는 사료 또는 퇴비를 배출하는 사료 배출장치; 및 상기 폐기물 투입장치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투입되는 슬러지를 발효할 수 있는 제1 슬러지 발효공간이 형성된 제1 발효조, 상기 제1 발효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슬러지 발효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하부 공기공급장치, 상기 제1 발효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슬러지 발효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상부 공기공급장치 및 상기 제1 발효조의 중심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중앙 공기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중앙 공기공급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슬러지 발효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투입되는 슬러지를 교반시키는 제1 교반장치를 포함하는 제1 발효장치; 및 상기 제1 발효장치를 거친 슬러지가 투입되어 발효될 수 있는 제2 슬러지 발효공간이 형성된 제2 발효조, 상기 제2 발효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슬러지 발효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 하부 공기공급장치 및 상기 제2 발효조의 중심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투입되는 슬러지를 교반시키는 제2 교반장치를 포함하는 제2 발효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발효조의 저벽부에 복수의 배수구가 천공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효조의 저벽부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는 침출수 여과층으로서의 천연 제오라이트 담체들이 소정의 두께로 적층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발효조 내의 침출수 여과층 위에는 다수의 구멍을 가진 다공판이 저판으로서 배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장방형 상자형의 발효조에 대하여, 음식 쓰레기 투입수단과, 발효조 내의 전 영역에 걸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급기관과, 발효조의 양측 하부에 퇴비화된 음식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한 쌍의 스크류가 배설된 탱크와, 상기 탱크의 외부에 구성되어 상기 탱크의 저부를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탱크 내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팀기 및 스팀 파이프와, 상기 탱크의 상부에 구성되는 환풍기와, 상기 탱크의 상부에 구성되는 사료 투입구와, 상기 탱크의 양 측 하단부에 각각 구성되어 실린더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사료 배출구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799893 B1 (2017년11월15일) KR 10-1803895 B1 (2017년11월27일) KR 10-2004-0056021 A (2004년06월30일) KR 20-2008-0003586 U (2008년08월27일)
본 발명은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발효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활용한 발효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폐기물(10)을 공급하는 공급장치(100);, 상기 공급장치(100)에 연결되며, 폐기물(10)을 발효하는 발효장치(200); 상기 발효장치(200)에 형성되며, 발효된 퇴비를 포장하는 포장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기스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공급장치(100);, 발효장치(200);, 포장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공급장치(10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을 절단하는 절단부(130); 상기 절단부(130)에 형성되며, 폐수가 유출되는 유출부(1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기스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공급장치(100);, 발효장치(200);, 포장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발효장치(20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이 저장되는 저장부(210); 상기 저장부(210)에 형성되며, 연속으로 적층되는 폐기물(10)을 발효시키는 발효부(2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기스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공급장치(100);, 발효장치(200);, 포장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발효부(22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이 적층되는 적층장치(3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기스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공급장치(100);, 발효장치(200);, 포장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폐기물(10)을 연속으로 공급하는 공급단계(S1100);, 상기 공급단계(S1100) 후, 폐기물(10)을 발효하는 발효단계(S1200); 상기 발효단계(S1200) 후, 폐기물(10)을 연속으로 적층하는 적층단계(S1300); 상기 적층단계(S1300) 후, 발효된 퇴비를 포장하는 포장단계(S1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폐기물을 연속으로 적층하여 대량의 퇴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기물이 연속으로 적층되어 발효됨에 따라 발효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물 사채를 분해하여 발효함에 따라 발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염병이 걸린 동물을 도살함에 따라 전염병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전에 적층된 폐기물이 발효된 후 연속적으로 폐기물이 적층됨에 따라저장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폐기물을 혼합하여 발효 효율을 높이며, 블레이드에 의하여 폐기물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 발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발효장치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적층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를 활용한 발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연속 발효장치에 있어서, 폐기물(10)을 공급하는 공급장치(100);, 상기 공급장치(100)에 연결되며, 폐기물(10)을 발효하는 발효장치(200); 상기 발효장치(200)에 형성되며, 발효된 퇴비를 포장하는 포장장치(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10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을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110);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10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발효장치(200)는 폐기물(10)을 연속 적층하여 발효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포장장치(400)는 상기 발효장치(200)에 연결되며, 정량으로 배출되는 퇴비가 포장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속 발효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폐기물(10)을 연속으로 적층하여 발효시킴에 따라 퇴비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속 발효장치는 1차로 폐기물(10)을 공급하여 발효시키고 연속적으로 다시 폐기물(10)을 2차로 공급하여 발효시킨다. 이와 같은 단계를 6 ~ 7개월 반복하여 발효시킴에 따라 퇴비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식물 쓰레기, 동물의 사채 등으로 형성되는 폐기물(10)을 발효시켜 퇴비로 생성하기 위하여 약 일주일 동안 발효시킨다. 이때, 폐기물(10)은 발효과정에서 부피가 작아져 발효가 된 후 퇴비의 양이 적게 형성된다. 그럼에 따라 퇴비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폐기물(10)을 발효하여 부피가 작아지면 새로운 폐기물(10)을 연속으로 공급하여 발효시킴에 따라 퇴비의 양을 늘리며, 발효된 퇴비의 상부에 폐기물(10)이 적층되어 발효 시간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속 발효장치는 폐기물(10)을 공급하는 공급장치(100)가 형성되며, 공급장치(100)는 정량공급장치(110)에 의하여 폐기물(10)을 정량으로 공급하여 발효장치(200)에서 적정 용량으로 발효 효율을 높이도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폐기물(10)의 수분이 너무 많을 경우 발효 시간이 늦어질 수 있으므로 일정하게 건조하도록 건조장치(1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급장치(100)는 발효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최적의 조건으로 폐기물(10)을 공급한다. 그리고 폐기물(10)이 공급되어 발효장치(200)에서 발효된 후 정량으로 배출되어 포장하는 포장장치(400)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폐기물(10)을 연속으로 공급하여 발효시키는 것으로 발효된 퇴비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연속 발효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10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을 절단하는 절단부(130); 상기 절단부(130)에 형성되며, 폐수가 유출되는 유출부(14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30)에 형성되며, 전염병이 걸린 동물을 도살하는 도살장치(131);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30)에 형성되며, 도살된 사채 및 크기가 큰 폐기물(10)을 분리하는 절단날(132);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140)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장치(100)의 압력을 높여 폐기물(10)의 폐수를 유출시키는 압력조절장치(1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급장치(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전염병이 걸린 동물의 도살, 동물의 사채,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 등을 절단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급장치(100)는 발효장치(200)에서 폐기물(10)을 원활하게 발효시키기 위하여 폐기물(10)의 부피를 줄이는 절단부(130)가 형성되며,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10)의 폐수를 유출하는 유출부(140)가 형성된다. 절단부(130)에 형성되는 도살장치(131)는 콜레라, 조류 독감 등의 전염병에 걸린 동물을 도살하는 것이다. 도살장치(131)는 동물이 고통을 느끼지 않게 도살하는 도살부가 형성되며, 도살부는 동물을 가스에 의하여 잠들게 하여 도살하거나 단시간에 도살하도록 칼, 약물 등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살된 동물 및 차량에 치여 죽은 사채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피를 제거해야 한다. 이때, 동물 사채의 피는 공급장치(100) 내부의 압력을 높여 동물의 피를 제거한다. 그리고 절단부(130)는 피가 제거된 동물의 사채 및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날(132)에 의하여 절단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10)의 폐수는 외부로 유출되어 폐수저장장치로 공급된다.
따라서, 공급장치(100)는 전염병이 걸린 동물을 도살하여 발생하는 사채와 음식물쓰레기는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분해하여 발효장치(200)로 공급하는 것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연속 발효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발효장치(20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이 저장되는 저장부(210); 상기 저장부(210)에 형성되며, 연속으로 적층되는 폐기물(10)을 발효시키는 발효부(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21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이 저장되는 케이스(211); 상기 케이스(211)에 형성되며, 저장되는 폐기물(10)의 용량을 확인하는 확인장치(212);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1)에 외측에 형성되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는 단열재(213);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210)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1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214); 상기 케이스(211)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장치(215);를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210)에 형성되며, 상기 발효부(220)에서 발생하는 폐기가스를 여과하는 여과장치(216);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216)에 형성되며, 폐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장치(217);를 포함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발효부(22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의 발효를 촉진시키는 첨가제가 공급되는 첨가제공급장치(2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발효장치(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발효장치(200)는 폐기물(10)이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발효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발효장치(200)는 폐기물(10)이 저장되는 저장부(210)가 형성되며, 저장부(210)의 내부에는 폐기물(10)이 적층되어 발효시키는 발효부(220)가 형성된다. 이때, 저장부(210)는 폐기물(10)이 저장되는 케이스(211)가 형성되며, 케이스(211)는 외부에서 폐기물(10)의 용량을 확인하는 확인장치(212)가 형성된다. 확인장치(212)는 창으로 형성되어 케이스(211)에 적층되는 폐기물(10)의 양을 확인하거나 적외선 등에 의하여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211)는 외측에 단열재(213)가 형성되어 케이스(211)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저장부(210)는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도록 온도조절장치(214)와 습도조절장치(215)가 형성된다. 이는 폐기물(10)을 최적의 조건에서 발효시키기 위하여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211)는 폐기물(10)이 발효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가스를 여과하여 배출하기 위한 여과장치(216)가 형성된다. 여과장치(216)는 폐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 2차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하는 것으로 다양한 필터로 형성된다. 그리고 여과장치(216)는 폐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풍장치(217)가 형성되며, 환풍장치(217)는 내부 공기를 배출함과 동시에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케이스(211) 내부의 폐기물(10)이 적정 환경에서 발효되도록 산소를 공급한다. 또한, 케이스(211)는 폐기물(10)의 발효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왕겨 및 계분 등의 첨가제가 공급되는 첨가제공급장치(2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왕겨는 폐기물(10)과 혼합되어 공극이 발생하도록 유도하며, 계분은 발효를 촉진시킨다. 그리고 왕겨 및 계분 외에 발효촉진제가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가제공급장치(221)는 첨가제를 폐기물(10) 양에 따라 정량 공급하여 발효부(220)에서 폐기물(10)의 발효를 촉진시킨다.
(실시예 3-8)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발효부(220)에 형성되며, 연속으로 적층된 폐기물(10)을 혼합하는 혼합장치(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9)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3-8에 있어서, 상기 혼합장치(230)에 형성되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231); 상기 회전축(231)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을 혼합하는 블레이드(2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혼합장치(2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혼합장치(230)는 폐기물(10)이 발효된 후 연속으로 적층된 폐기물(10)의 발효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폐기물(10)을 혼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혼합장치(230)는 1차로 발효된 폐기물(10)의 상부에 적층된 폐기물(10)을 서로 혼합하여 2차로 발효되는 폐기물(10)의 발효를 촉진하는 것이다. 혼합장치(230)는 회전축(231)이 형성되며, 회전축(231)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231)에 형성되는 블레이드(232)를 회전시켜 폐기물(10)을 혼합한다. 이때, 혼합장치(230)는 발효부(220)의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발효된 퇴비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발효된 퇴비를 배출할 때 배출구가 개방되면 혼합장치(230)의 블레이드(232)가 회전함에 따라 퇴비가 배출구를 통하여 원활히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혼합장치(230)는 연속으로 적층된 폐기물(10)을 혼합하여 새로 적층된 폐기물(10)의 발효 효율을 높이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연속 발효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발효부(22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이 적층되는 적층장치(30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적층장치(300)를 상기 저장부(210)의 내부에서 승하강시키는 이동장치(310);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적층장치(30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이 적층되는 적층판(320); 상기 적층판(320)의 하단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의 발효과정 중 발생하는 발효수를 배출하는 배출판(330);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적층장치(300)에 형성되며, 배출판(330)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340);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340)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판(33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힌지(341);를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340)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판(330)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발효부(2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발효부(220)는 폐기물(10)이 적층되는 적층장치(300)가 형성되며, 연속으로 적층되는 폐기물(10)을 발효된 퇴비의 상부에 적층하는 것이다. 이러한 적층장치(300)는 폐기물(10)이 공급되는 적층판(320)이 형성되며, 적층판(320)은 메쉬로 형성되어 폐기물(10)의 폐수가 배출판(33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출판(330)은 개폐장치(340)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으로 폐수가 외부로 배출된 후 적층판(320)에 적층된 폐기물(10)은 하부로 전달된다. 이때, 적층판(320)은 개폐장치(340)에 의하여 배출판(330)과 함께 개폐될 수 있으며, 개폐장치(340)는 힌지(341) 및 실린더에 의하여 배출판(330) 및 적층판(320)을 회전시켜 개방하거나 좌우로 개방되어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적층판(320)은 진동장치(342)가 형성되어 폐수가 배출된 후 진동에 의하여 하부로 하강하는 것이다. 또한, 적층장치(300)는 이동장치(310)에 의하여 저장부(210)의 내부에 승하강하여 발효부(220)에 발효된 퇴비의 적층된 양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장치(310)는 저장부(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실린더, 체인 등에 의하여 적층장치(3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층장치(300)는 1차로 공급된 폐기물(10)이 발효된 후 2차로 공급된 폐기물(10)이 적층되어 연속적으로 발효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연속 발효장치를 활용한 발효 방법에 대한 것이며, 폐기물(10)을 연속으로 공급하는 공급단계(S1100);, 상기 공급단계(S1100) 후, 폐기물(10)을 발효하는 발효단계(S1200);, 상기 발효단계(S1200) 후, 폐기물(10)을 연속으로 적층하는 적층단계(S1300); 상기 적층단계(S1300) 후, 발효된 퇴비를 포장하는 포장단계(S1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계(S1100) 중, 폐기물(10)을 분해하는 분해단계(S1110); 상기 분해단계(S1110) 후, 폐기물(10)에 압력을 가하여 폐수를 유출하는 유출단계(S1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S1200) 전, 첨가제를 첨가하는 첨가단계(S1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적층단계(S1300)는 폐기물(10)이 발효된 후 연속으로 폐기물(10)을 적층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연속 발효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적층단계(S1300) 중, 연속으로 적층되어 발효되는 폐기물(10)을 혼합하는 혼합단계(S1310);를 포함한다.
10: 폐기물 100: 공급장치
110: 정량공급장치 120: 건조장치
130: 절단부 131: 도살장치
132: 절단날 133: 압력조절장치
140: 유출부 200: 발효장치
210: 저장부 211: 케이스
212: 확인장치 213: 단열재
214: 온도조절장치 215: 습도조절장치
216: 여과장치 217: 환풍장치
220: 발효부 221: 첨가제공급장치
230: 혼합장치 231: 회전축
232: 블레이드 300: 적층장치
310: 이동장치 320: 적층판
330: 배출판 340: 개폐장치
341: 힌지 342: 진동장치
400: 포장장치 S1100: 공급단계
S1110: 분해단계 S1120: 유출단계
S1130: 첨가단계 S1200: 발효단계
S1300: 적층단계 S1310: 혼합단계
S1400: 포장단계

Claims (5)

  1. 폐기물(10)을 공급하는 공급장치(100);,
    상기 공급장치(100)에 연결되며, 폐기물(10)을 발효하는 발효장치(200);
    상기 발효장치(200)에 형성되며, 발효된 퇴비를 포장하는 포장장치(400);
    상기 공급장치(10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을 절단하는 절단부(130);
    상기 절단부(130)에 형성되며, 폐수가 유출되는 유출부(140);
    상기 유출부(140)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장치(100)의 압력을 높여 폐기물(10)의 폐수를 유출시키는 압력조절장치(133);
    상기 발효장치(20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이 저장되는 저장부(210);
    상기 저장부(210)에 형성되며, 연속으로 적층되는 폐기물(10)을 발효시키는 발효부(220);
    상기 저장부(210)에 형성되며, 상기 발효부(220)에서 발생하는 폐기가스를 여과하는 여과장치(216);
    상기 발효부(22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이 적층되는 적층장치(300);
    상기 적층장치(300)를 상기 저장부(210)의 내부에서 승하강시키는 이동장치(310);
    상기 적층장치(300)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이 적층되는 적층판(320);
    상기 적층판(320)의 하단에 형성되며, 폐기물(10)의 발효과정 중 발생하는 발효수를 배출하는 배출판(330);
    상기 배출판(330)을 슬라이딩 또는 회전하여 개폐시키는 개폐장치(340);를 포함하는 연속 발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93740A 2020-07-28 2020-07-28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활용한 발효 방법 KR102280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740A KR102280430B1 (ko) 2020-07-28 2020-07-28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활용한 발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740A KR102280430B1 (ko) 2020-07-28 2020-07-28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활용한 발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430B1 true KR102280430B1 (ko) 2021-07-21

Family

ID=7714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740A KR102280430B1 (ko) 2020-07-28 2020-07-28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활용한 발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43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021A (ko) 2002-12-23 2004-06-30 박인식 음식 쓰레기나 축산 분뇨 발효장치
KR20080003586U (ko) 2007-02-23 2008-08-27 (유)대도 가축사료 발효장치
KR20110059945A (ko) * 2009-11-30 2011-06-08 주식회사 동해환경 퇴비화를 위한 발효장치
KR101796725B1 (ko) * 2017-04-20 2017-11-10 김석이 축인분을 이용한 비료제조장치
KR101799893B1 (ko) 2017-01-25 2017-11-22 정유미 속효성 유기물 발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방법
KR20170133555A (ko) * 2016-05-25 2017-12-06 정은희 사축 잔류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KR101803895B1 (ko) 2016-09-08 2017-12-28 토방토건(주) 슬러지 발효장치
KR101968185B1 (ko) * 2018-05-24 2019-04-11 주식회사 지지바이오텍 폐사축 퇴비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021A (ko) 2002-12-23 2004-06-30 박인식 음식 쓰레기나 축산 분뇨 발효장치
KR20080003586U (ko) 2007-02-23 2008-08-27 (유)대도 가축사료 발효장치
KR20110059945A (ko) * 2009-11-30 2011-06-08 주식회사 동해환경 퇴비화를 위한 발효장치
KR20170133555A (ko) * 2016-05-25 2017-12-06 정은희 사축 잔류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KR101803895B1 (ko) 2016-09-08 2017-12-28 토방토건(주) 슬러지 발효장치
KR101799893B1 (ko) 2017-01-25 2017-11-22 정유미 속효성 유기물 발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방법
KR101796725B1 (ko) * 2017-04-20 2017-11-10 김석이 축인분을 이용한 비료제조장치
KR101968185B1 (ko) * 2018-05-24 2019-04-11 주식회사 지지바이오텍 폐사축 퇴비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9407B2 (en) Composting machine
US2929688A (en) Composting apparatus
CN204824639U (zh) 一种病死动物无害化处理系统
CN108456012A (zh) 一种畜禽废弃物异位发酵机
KR102280430B1 (ko) 연속 발효장치 및 이를 활용한 발효 방법
CN108191189A (zh) 多层污泥好氧发酵装置及方法
DK2142001T3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stunning of poultry with gas
JP4302308B2 (ja) 有機物の発酵飼料化装置
CN105834193A (zh) 有机垃圾微生物处理装置
WO2008014369A2 (en) Vertical composter with leachate retention system
CN212348695U (zh) 一种处理动物尸体的湿式氧化装置
CN217459276U (zh) 一种加速有机质发酵腐熟的装置
JP2000354897A (ja) 有機固形廃棄物の好気発酵方法とその装置
CN108575914B (zh) 一种昆虫转化农业有机废弃物的装置及其使用方法
JP2001232330A (ja) 生ごみ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WO2000037393A1 (en) Animal body composting
KR102356310B1 (ko) 축분을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EP15517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ting waste with recirculation of air and gaseous materials and collection of liquid
JP4033800B2 (ja) 堆肥化処理装置
JP3211152B2 (ja) 縦型循環式生ゴミ処理装置
JPH04330979A (ja) 有機性廃棄物の発酵処理装置
JPH08117725A (ja) 生ゴミ等処理器
CN110668851A (zh) 有机垃圾的分类处理方法及装置
KR20020083396A (ko) 축산분뇨 및 축산오폐수 처리장치
CN216236754U (zh) 一种竖向双料仓双轴搅拌微生物分步处理餐厨垃圾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