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254B1 -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 Google Patents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254B1
KR102280254B1 KR1020140090350A KR20140090350A KR102280254B1 KR 102280254 B1 KR102280254 B1 KR 102280254B1 KR 1020140090350 A KR1020140090350 A KR 1020140090350A KR 20140090350 A KR20140090350 A KR 20140090350A KR 102280254 B1 KR102280254 B1 KR 102280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urnace
steelmaking dust
composition
forming
briqu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882A (ko
Inventor
김태홍
최낙운
김태헌
Original Assignee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254B1/ko
Priority to AU2014400928A priority patent/AU2014400928B2/en
Priority to PCT/KR2014/012998 priority patent/WO2016010212A1/ko
Priority to CN201480080691.9A priority patent/CN106661475B/zh
Priority to BR112017000857A priority patent/BR112017000857A2/pt
Publication of KR20160009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8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industrial residues and was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은 전기로 제강분진 및 바인더로서 4,000~80,000cps의 점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Composition for forming electric arc furnace dust briquette and electric arc furnace dust briquette}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인더로서 특정 점도 범위를 갖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이 개시된다.
제철공정은 철광석 및/또는 고철을 석탄과 함께 고로에 장입하여 용선(molten iron)을 제조하는 제선공정(iron making process), 상기 용선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용강(molten steel)을 제조하는 제강공정(steel making process), 액상의 용강으로부터 고상의 슬래브(slab) 등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주조공정(casting process), 및 상기 슬래브 등의 반제품을 가공하여 최종 철강 제품을 제조하는 압연공정(rolling process)으로 구분된다.
일관제철공정(integrated iron & steel making process)에서는 철광석 90~100wt% 및 환원철(scrap) 또는 고철 0~10wt%를 원료로 사용하여 용선을 생산하고 있으며, 전기로 제철공정(electric arc furnace steel making process)에서는 고철 90wt% 내지 95wt% 및 철광석 5wt% 내지 10wt%를 원료로 사용하여 용선을 생산하고 있다.
전기로 제철공정에서는 고철 및 철광석의 용해시, 최종적으로 생산된 용강 100wt%에 대하여 1.2wt% 내지 1.5wt%의 분진, 즉 전기로 제강분진(EAFD: electric arc furnace dust)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전기로 제강분진은 철 성분이 25~35wt%로 가장 높고, 주요 재활용 대상 물질인 아연 및 납의 함량은 각각 18~28wt% 및 2~5wt%이다.
제강분진에 함유된 유가금속을 재활용하는 방법으로는 킬른로(kiln furnace)를 이용하는 Waelz법 및 ZIA법(zinc iron availability method)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최근에는 전기로 제강분진을 조개탄(briquette)으로 제조하여 소성로에서 유가금속을 환원시켜 회수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전기로 제강분진은 평균 입경이 약 1㎛인 극미분 입자들이며, 이러한 극미분 입자들을 조개탄으로 성형하기(briquetting)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바인더를 사용하여야 한다. 게다가, 고강도(압축강도)를 갖는 조개탄을 얻기 위해, 조개탄 제조공정은 약 140℃ 내지 약 150℃ 온도에서의 건조공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때 당밀이 주요 바인더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당밀이 바인더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먼저, 당밀은 최근 바이오 에탄올 산업의 성장에 따른 공급 부족 및 이에 따른 가격 상승에 직면해 있다.
다음으로, 작업 중 당밀로부터 유래하는 악취가 발생한다.
또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의 제조공정 중 건조과정에서 가해지는 열로 인해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내에 잠열이 축적되어 1차적으로 당밀이 연소되고, 이로 인해 2차적으로 환원제인 석탄도 연소되어 화재가 발생하게 될 위험이 있다.
또한, 당밀은 끈적이는 액상의 형태를 가지며, 온도가 저하될수록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저장, 운반 및 분무시 저장 탱크, 배관 및 노즐에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 및 방지하기 위한 설비(예를 들어, 고압 펌프 및 가열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당밀을 바인더로 사용할 경우에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의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당밀은 천연물질에서 유래되기 때문에, 공급원, 공급자 및 공급 시점에 따라 점도가 일정하지 않아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당밀은 액상이고 밀도가 낮아 다량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대용량의 저장설비를 필요로 하고, 물동량 및 이에 따른 운반비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바인더로서 특정 점도 범위를 갖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기로 제강분진; 및
바인더로서 4,000~80,000cps의 점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은 0.3~1.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포함하지않을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은 메틸셀룰로오스(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HEMC) 및 메틸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MEHE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틸셀룰로오스(MC)는 18~32wt%의 메틸기 치환도를 가지며, 상기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는 20~80wt%의 히드록시에틸기 치환도를 가지며, 상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는 20~80wt%의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를 가지며,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는 18~32wt%의 메틸기 치환도 및 2~14wt%의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를 가지며, 상기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HEMC)는 18~32wt%의 메틸기 치환도 및 2~14wt%의 히드록시에틸기 치환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5.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추가 바인더 0 초과 내지 15.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바인더는 당밀, 에폭시 수지, 글리세롤, 구아검, 아카시아 검, 리그노설포네이트, 니트로페놀, 유기실리콘,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알코올, 전분, 전호화분 전분(pregelatinized starch), 전분 에테르 및 술(liqu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0 초과 내지 10.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을 제공한다.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은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되,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은 바인더로서 고상의 분말 형태를 가지며 무색 및 무취이고 특정 점도 범위를 갖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악취가 발생하지 않아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바인더의 총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당밀 100% 사용시 당밀 사용량의 1/10 수준까지), 이에 따라 화재 위험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당밀 대비 안정적인 수급 및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 고강도의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은 전기로 제강분진(EAFD: electric arc furnace dust), 및 바인더로서 4,000~80,000cps(centipoises) 또는 mPa·s의 점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로 제강분진」이란 전기로 제철공정에 있어서, 제강공정 동안에 생성되는 분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의 점도」란 Brookfield사의 DV-Ⅱ+Pro(spindle HA)를 사용하여 측정된 점도로서, 20±0.1℃에서 2중량%의 농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 수용액의 점도를 의미한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의 점도가 4,000cps 미만이면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예를 들어, 수용액)의 점도가 너무 낮아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의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에 대한 결합력이 떨어지고, 80,000cps를 초과하면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의 분자량이 높아 수용해성이 떨어지고,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에 대한 결합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의 점도는, 예를 들어 5,000~70,000cps, 예를들어 6,000~60,000cps, 예를 들어 7,000~50,000cps, 예를 들어 8,000~40,000cps, 예를 들어 9,000~30,000cps, 예를 들어 10,000~20,000cps일 수 있다.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은 0.3~1.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은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의 입자들을 서로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은 물에 잘 용해될 뿐만 아니라, 수용액 상태로 노즐을 통해 분사될 경우 노즐의 내표면에 석출되지 않아 노즐 구멍을 막지 않는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전기로 제강분진과 혼합되어 고상의 분말 형태로 저장 및 운반되고, 최종 사용 단계에서 물과 혼합되기 때문에, 저장설비의 소형화 및 단순화와, 운반설비의 단순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은 당밀 보다 적은 양으로도 동일한 바인딩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화재 위험도 적을 뿐만 아니라 당밀 보다 단가도 낮기 때문에, 재료비의 절감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은 당밀에 비해 수급 및 가격도 안정적인 이점이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포함하지않을 수 있다. 만일,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포함하게 되면,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은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은 메틸셀룰로오스(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HEMC) 및 메틸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MEHE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틸셀룰로오스(MC)는 18~32wt%의 메틸기 치환도를 가지며, 상기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는 20~80wt%의 히드록시에틸기 치환도를 가지며, 상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는 20~80wt%의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를 가지며,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는 18~32wt%의 메틸기 치환도 및 2~14wt%의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를 가지며, 상기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HEMC)는 18~32wt%의 메틸기 치환도 및 2~14wt%의 히드록시에틸기 치환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5.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이내이면, 당밀에 비해 적은 첨가량으로도 고강도의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추가 바인더 0 초과 내지 15.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바인더의 함량이 상기 범위 이내이면,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의 사용량을 줄여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의 건조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추가 바인더는 당밀, 에폭시 수지, 글리세롤, 구아검, 아카시아 검, 리그노설포네이트, 니트로페놀, 유기실리콘,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알코올, 전분, 전호화분 전분(pregelatinized starch), 전분 에테르 및 술(liqu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0 초과 내지 10.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이내이면, 취급이 용이하고 균일한 조성을 갖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며, 조개탄 성형공정에서 상기 조성물 중의 일부 성분이 성형기의 표면에 들러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이 글리세린을 포함하게 되면,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의 건조속도가 느려지고 열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을 제공한다.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즉,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을 몰드에 투입하고, 미리 결정된 압력으로 가압한 후, 건조하여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을 제조한다.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은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되,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9 및 비교예 1~2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국내 전기로 제강회사에서 입수한 전기로 제강분진(평균 입경: 0.3㎛),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선택적으로 당밀(케이시산업환경㈜, 고형분: 77.2wt%, 총 당량: 49.3wt%)을 혼합하여 제1 조성물을 얻었다. 이후, 상기 제1 조성물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사용된 성분들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의 제조)
상기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을 Briquette machine (㈜ 제일산기, JCB250T)을 사용하여 약 205bar의 하중으로 압착성형하여 50개의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을 제조한 다음, 처음과 나중에 제조된 20개의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을 제외한 30개를 선별하였다. 상기 선별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을 약 145℃의 오븐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은 1개당 무게가 10~20g이었다.
비교예 3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1) 대신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ASHILAND社, AQUALONTM, 점도: 6,000cps)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3에서 사용된 성분들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국내 전기로 제강회사에서 입수한 전기로 제강분진(평균 입경: 0.3㎛) 및 당밀(케이시산업환경㈜, 고형분: 77.2wt%, 총 당량: 49.3wt%)을 혼합하여 제1 조성물을 얻었다. 이후, 상기 제1 조성물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비교예 4에서 사용된 성분들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대신에 상기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2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은 1개당 무게가 10~20g이었다.
배합비(중량부)
전기로 제강분진 당밀 증류수 HPMC CMC
1 2 3 4 5
실시예 1 100 0 6.5 0.5 0 0 0 0 0
실시예 2 100 0 7.0 0.8 0 0 0 0 0
실시예 3 100 0 7.5 1.0 0 0 0 0 0
실시예 4 100 0 8.0 1.5 0 0 0 0 0
실시예 5 100 0.5 6.0 0.8 0 0 0 0 0
실시예 6 100 1.0 5.5 0.8 0 0 0 0 0
실시예 7 100 1.5 5.0 0.8 0 0 0 0 0
실시예 8 100 0 6.5 0 0.5 0 0 0 0
실시예 9 100 0 6.5 0 0 0.5 0 0 0
비교예 1 100 0 6.5 0 0 0 0.5 0 0
비교예 2 100 0 6.5 0 0 0 0 0.5 0
비교예 3 100 0 6.5 0 0 0 0 0 0.5
비교예 4 100 12 2.5 0 0 0 0 0 0
HPMC1: 삼성정밀화학㈜, 메셀로스®HPMC (PMC-60U), 점도: 60,000 cps, 메틸기 치환도: 23.2wt%,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 8.8wt%
HPMC2: 삼성정밀화학㈜, 메셀로스®HPMC (PMB-40H), 점도: 4,000cps, 메틸기 치환도: 28.6wt%,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 6.1wt%
HPMC3: 삼성정밀화학㈜, HPMC, 점도: 80,000cps, 메틸기 치환도: 22.8wt%,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 9.1wt%
HPMC4: 삼성정밀화학㈜, HPMC, 점도: 3,000cps, 메틸기 치환도: 26.4wt%,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 8.2wt%
HPMC5: 삼성정밀화학㈜, HPMC, 점도: 85,000cps, 메틸기 치환도: 22.6wt%,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 9.2wt%
평가예
평가예 1
상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의 낙하강도 및 압축강도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낙하강도 평가)
상기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20개를 165cm의 높이에서 10회 낙하시켰다. 이후,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들의 잔존하는 파편 중 5㎛ 이상의 파편들의 총 무게를, 낙하전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들의 무게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어, 그 값을 낙하강도로 평가하였다. 이때, 얻어진 값이 클수록 낙하강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상기 낙하강도는 상기 각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이 켄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될 경우, 수회 낙하되어 유실되는 비율을 판정하는 기준이다.
(압축강도 평가)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을 재료만능시험기(신강정밀공업, AD-만능재료시험기-kN)에서 5㎛/min의 속도로 압축하였을 때의 최대 강도를 측정하여, 이를 압축강도로 기록하였다. 상기 압축강도는 상기 각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이 저장탱크에 보관될 경우, 자체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비율을 판정하는 기준이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 2 3 4
낙하
강도
(%)
85.4 86.1 87.8 91.2 86.2 87.2 87.4 85.7 86.0 75.5 74.9 72.1 83.2
압축
강도
(MPa)
27.0 27.3 27.9 29.1 27.1 27.6 28.5 27.1 27.0 21.2 22.9 20.0 25.3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9에서 제조된 각각의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은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에 비해 낙하강도 및 압축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전기로 제강분진; 및
    바인더로서 4,000~80,000cps의 점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를 포함하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포함하지 않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은 0.3~1.0㎛의 평균 입경을 갖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은 메틸셀룰로오스(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HEMC) 및 메틸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MEHE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셀룰로오스(MC)는 18~32wt%의 메틸기 치환도를 가지며, 상기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는 20~80wt%의 히드록시에틸기 치환도를 가지며, 상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는 20~80wt%의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를 가지며,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는 18~32wt%의 메틸기 치환도 및 2~14wt%의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를 가지며, 상기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HEMC)는 18~32wt%의 메틸기 치환도 및 2~14wt%의 히드록시에틸기 치환도를 갖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5.0중량부인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추가 바인더 0 초과 내지 15.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바인더는 당밀, 에폭시 수지, 글리세롤, 구아검, 아카시아 검, 리그노설포네이트, 니트로페놀, 유기실리콘,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알코올, 전분, 전호화분 전분(pregelatinized starch), 전분 에테르 및 술(liqu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0 초과 내지 10.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11.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은 셀룰로오스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되,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는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KR1020140090350A 2014-07-17 2014-07-17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KR102280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50A KR102280254B1 (ko) 2014-07-17 2014-07-17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AU2014400928A AU2014400928B2 (en) 2014-07-17 2014-12-29 Composition for forming electric arc furnace dust briquette, and electric arc furnace dust briquette
PCT/KR2014/012998 WO2016010212A1 (ko) 2014-07-17 2014-12-29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CN201480080691.9A CN106661475B (zh) 2014-07-17 2014-12-29 用于形成电弧炉炼钢粉尘块的组合物和电弧炉炼钢粉尘块
BR112017000857A BR112017000857A2 (pt) 2014-07-17 2014-12-29 composição para formar um briquete de pó de forno elétrico a arco, e briquete de pó de forno elétrico a arc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50A KR102280254B1 (ko) 2014-07-17 2014-07-17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882A KR20160009882A (ko) 2016-01-27
KR102280254B1 true KR102280254B1 (ko) 2021-07-21

Family

ID=5507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350A KR102280254B1 (ko) 2014-07-17 2014-07-17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2280254B1 (ko)
CN (1) CN106661475B (ko)
AU (1) AU2014400928B2 (ko)
BR (1) BR112017000857A2 (ko)
WO (1) WO2016010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097A (ko) * 2016-11-08 2018-05-16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제강분진 성형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강분진 성형탄
KR102074362B1 (ko) * 2017-10-20 2020-02-06 주식회사 포스코 브리켓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
KR102207266B1 (ko) * 2018-12-13 2021-01-25 대상 주식회사 성형탄용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성형탄 및 이를 이용한 성형탄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082B1 (ko) 2006-03-08 2006-11-13 최일완 산업폐기물 재활용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성형물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3512A (en) * 1987-06-29 1989-09-05 Aqualon Company Binder for metal-containing ores
JP3929544B2 (ja) * 1997-03-19 2007-06-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野積み石炭の表面被覆方法
CA2222190A1 (en) * 1998-02-02 1999-08-02 Billy J. Major New synergistic binder composition
KR100507667B1 (ko) * 2000-12-22 2005-08-10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 더스트의 재활용 방법
JP2006104528A (ja) * 2004-10-06 2006-04-20 Ntn Corp 製鋼ダスト固形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28305A (ko) * 2007-09-14 2009-03-18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제강용 쇼트분진 브리켓 및 그 제조방법
CN101736148A (zh) * 2008-11-21 2010-06-16 刘贵堂 烧结球团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00061430A (ko) * 2010-05-17 2010-06-07 최문규 철 분진 성형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철 분진 성형물의 제조방법
CN103146913B (zh) * 2013-04-02 2014-06-18 北京科技大学 一种冲天炉处理钢铁厂含铁粉尘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082B1 (ko) 2006-03-08 2006-11-13 최일완 산업폐기물 재활용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성형물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61475A (zh) 2017-05-10
KR20160009882A (ko) 2016-01-27
WO2016010212A1 (ko) 2016-01-21
AU2014400928A1 (en) 2017-02-02
CN106661475B (zh) 2020-04-21
BR112017000857A2 (pt) 2017-12-05
AU2014400928B2 (en)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9996B1 (ko) 성형탄용 바인더
KR102280254B1 (ko)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전기로 제강분진 조개탄
KR20180051097A (ko) 제강분진 성형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강분진 성형탄
KR102280253B1 (ko) 흑피 조개탄 형성용 조성물 및 흑피 조개탄
WO2018124445A1 (ko) 브리켓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브리켓 및 브리켓의 제조방법
KR101739859B1 (ko) 성형탄, 그 제조 방법 및 용철 제조 방법
CN101491831B (zh) 一种硅铁合金粉的成型方法
KR102155601B1 (ko) 제강분진 조개탄 코팅용 조성물 및 제강분진 조개탄
KR101198619B1 (ko) 석탄 및 미분탄을 이용한 성형탄 및 그 제조방법
CN102391835A (zh) 一种中铝研磨球及制备方法
WO2016010310A1 (ko) 성형탄용 바인더
KR20180121151A (ko) 성형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탄
CN104058766B (zh) 一种2500m3高炉炮泥
KR101766855B1 (ko) 성형탄, 그 제조 방법 및 용철 제조 방법
CN102030546B (zh) 一种含特殊锆英石颗粒的锆英石制品
CN105154667A (zh) 一种高炉烧结方法
CN105219952A (zh) 一种利用低热值煤气的高炉烧结方法
CN104192876A (zh) 一种适用于电熔镁砂冶炼的菱镁矿制团工艺
KR101881506B1 (ko) 성형탄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2731099A (zh) 一种陶瓷辊棒胚料的喷雾造粒加工工艺
KR20150126521A (ko) 강도가 우수한 산화몰리브덴 브리켓트 및 그 제조방법
CN107216857A (zh) 一种工业粉尘减排固化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031174A (zh) 一种环保型焦的加工方法
KR20190044354A (ko) 브리켓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
KR20170076974A (ko) 제강 분진 브리켓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