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090B1 -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 Google Patents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090B1
KR102280090B1 KR1020190153686A KR20190153686A KR102280090B1 KR 102280090 B1 KR102280090 B1 KR 102280090B1 KR 1020190153686 A KR1020190153686 A KR 1020190153686A KR 20190153686 A KR20190153686 A KR 20190153686A KR 102280090 B1 KR102280090 B1 KR 10228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notch
output terminal
input terminal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267A (ko
Inventor
류지만
김덕한
서현범
박건호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15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0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02Dielectric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7Manufacturing frequency-sele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03Networks using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706Duplex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블록, 수신 영역, 송신 영역, 출력 단자, 입력 단자, 안테나 단자,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출력 단자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노치 형성부; 및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입력 단자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노치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치 형성부와 상기 출력 단자가 서로 연결되거나, 제2 노치 형성부와 상기 입력 단자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Duplexer Dielectric Filter}
본 발명은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초고주파 대역의 전파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유선을 이용한 통신을 대체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요 또한 증가추세에 있으며 성능향상과 소형 경량화를 위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듀플렉서 필터(duplexer filter)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과 송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듀플렉서 필터는 수신단 필터와 송신단 필터로 이루어지고, 수신단 필터는 수신 주파수에 대해 통과 특성을 가지며 송신 주파수에 대해서는 저지 특성을 갖는 반면, 송신단 필터는 송신 주파수에 대해서는 통과 특성을, 수신 주파수에 대해서는 저지 특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특성을 만족하는 듀플렉서필터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기기에 응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소형화가 전제되어야 하는 데, 이러한 요구를 가장 잘 만족시키는 것이 바로 일체형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이다.
본 발명은 수신단 필터와 송신단 필터에서 저지 특성이 보다 향상된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는 서로 대향하는 제1, 2 면과 상기 제1, 2 면 사이에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과 측면에 도전 물질을 구비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제1, 2 면을 관통하는 공진홀과 상기 공진홀의 내부와 상기 공진홀 입구 주변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도전체 패턴을 포함하는 공진기가 구비되는 수신 영역; 상기 제1, 2 면을 관통하는 공진홀과 상기 공진홀의 내부와 상기 공진홀 입구 주변의 제1 면에 형성된 제2 도전체 패턴을 포함하는 공진기가 구비되는 송신 영역;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수신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출력 단자;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송신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입력 단자;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수신 영역과 상기 송신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안테나 단자;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출력 단자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2 면을 관통하는 제1 노치홀(notch hole)과 상기 제1 노치홀의 내부와 상기 제1 노치홀 입구 주변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노치 패턴을 구비하는 제1 노치 형성부; 및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입력 단자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2 면을 관통하는 제2 노치홀과 상기 제2 노치홀의 내부와 상기 제2 노치홀 입구 주변의 제1 면에 형성된 제2 노치 패턴을 구비하는 제2 노치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치 형성부의 상기 제1 노치 패턴과 상기 출력 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쇼트 패턴 또는 상기 제2 노치 형성부의 상기 제2 노치 패턴과 상기 입력 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쇼트 패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의 선폭은 상기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입력 단자의 선폭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의 선폭은 상기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입력 단자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이 접속되는 부분의 선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의 선폭은 상기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입력 단자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이 접속되는 부분의 선폭의 1/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노치 패턴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과 접속되는 쪽은 라운드(roun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또는 제2 노치 패턴에서 라운드 형상을 갖는 부분의 외곽 라인은 상기 제1 또는 제2 노치홀의 중심과 동일한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의 연장 선상에 상기 제1 또는 제2 노치홀의 중심점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수신 영역에 형성된 공진기의 제1 도전체 패턴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송신 영역에 형성된 공진기의 제2 도전체 패턴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의 길이는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도전체 패턴 사이의 이격 간격 또는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제2 도전체 패턴 사이의 이격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은 상기 제1 또는 제2 노치 패턴이 상기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입력 단자와 최단 거리로 이격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는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외측에 제1, 2 노치 형성부를 구비하고, 제1 또는 제2 노치 형성부가 입력 단자 또는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1, 2 쇼트 패턴을 구비하여, 주파수 저지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제1, 2 노치 형성부(600, 700)와 제1, 2 쇼트 패턴(600P, 700P)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2 쇼트 패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하에서 어떤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공정 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어떤 제1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다른 제2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와 비교하여, 10%의 오차 범위에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블록(10), 수신 영역(100), 송신 영역(200), 입력 단자(400), 출력 단자(300), 안테나 단자(500), 제1 노치 형성부(600) 및 제2 노치 형성부(700)를 포함한다.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는 육면체의 유전체 블록(10)의 표면에 복수의 공진홀과 다양한 도전체 패턴이 형성되어, 다양한 공진 커패시턴스를 형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듀플렉스 유전체 필터는 외부로부터 안테나 단자(500)를 통하여 입사되는 신호를 유전체 블록(10)에 형성된 수신 영역(100)을 통하여 통과 대역을 필터링하여 출력 단자(300)를 통하여 수신하거나, 입력 단자(4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송신 영역(200)을 통하여 통과 대역을 필터링하여 안테나 단자(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전체 블록(10)은 육면체 형상을 갖는 유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z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2 면과 제1, 2 면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면은 도 1에서 상면일 수 있으며, 제2 면은 도 1에서 하면일 수 있다. 유전체 블록(10)은 제1, 2 면 사이에서 x, y 방향으로 측면 방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전체 블록(10)의 제2 면과 측면에는 도전 물질(11)이 코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전 물질(11)은 유전체 필터의 접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영역(100)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 공진기(110)가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 단자(50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될 때, 수신단 공진기(110)는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수신단 공진기(110)는 공진홀(111)과 제1 도전체 패턴(113)을 구비할 수 있다.
송신 영역(200)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단 공진기(210)가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 단자(500)를 통하여 외부로 신호를 송신할 때, 송신단 공진기(210)는 송신하는 신호에 대한 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송신단 공진기(210)는 공진홀(211)과 제2 도전체 패턴(21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영역(100) 또는 송신 영역(200) 각각에 구비된 수신단 공진기(110) 또는 송신단 공진기(210)의 각 공진홀(111, 211)은 제1 면과 제2 면을 z 방향으로 관통하고, 공진홀(111, 211)의 내부와 제1 면 상에서 공진홀(111, 211)의 입구 주변에는 제1 도전체 패턴(113) 또는 제2 도전체 패턴(2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신 영역(100) 또는 송신 영역(200) 각각은 수신단 공진기(110) 또는 송신단 공진기(21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 영역(100) 또는 송신 영역(200) 각각에 포함되는 공진홀(111, 211)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공진홀(111 또는 211)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공진홀(111 또는 211) 사이의 간격 및 제1 또는 제2 도전체 패턴(113, 213)에 따라 수신 영역(100) 또는 송신 영역(200)에 위치하는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전체 블록(10)의 제1 면상에서 공진홀(111, 211)의 입구 주변에 형성된 제1 또는 제2 도전체 패턴(113 또는 213)은 공진홀(111, 211)의 내부에 형성된 제1 또는 제2 도전체 패턴(113 또는 213)과 접속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10)의 제2 면 및 측면에 위치한 도전 물질(11)과의 사이에 부하 커패시턴스(loading capacitance, Cr, Ct)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공진기와의 사이에 결합 커패시턴스 (coupling capacitance, Cm)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커패시턴스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공진기를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각 공진홀(111, 211) 내부에 형성된 제1 또는 제2 도전체 패턴(113 또는 213)은 한쪽 끝단이 유전체 블록(10)의 제2 면에 형성된 도전 물질(11)과 단락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선로(R)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공진홀(111, 211)의 제1 면에 위치한 제1 또는 제2 도전체 패턴(113 또는 213)은 유전체 블록(10)의 측면에 위치한 도전 물질(11)과의 사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 캐패시턴스(Cr, Ct)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공진기는 전송 선로(R)과 부하 캐패시턴스(Cr, Ct)에 의해 공진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는 통과 대역의 통과 특성과 저지 대역의 감쇄 특성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는데, 통과 대역에서의 통과 특성은 전송선로와 부하 캐패시턴스(Cr, Ct)에 의해 결정되는 공진기의 공진주파수와 공진홀(111, 211) 사이의 결합 캐패시턴스(Cm) 및 전자기적인 결합 값(M)에 의해 결정되는 커플링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저지 대역의 감쇄특성은 커플링에 의해 결정되되, 결합 캐패시턴스(Cm)와 자기적 결합값의 조합에 의해 감쇄 특성과 감쇄극의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에서는 송신영역의 고주파대역이 수신단의 고주파대역 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영역(100)의 공진홀(111, 211) 사이에는 전계(electric field)효과가 우세한 반면에 송신 영역(200)의 공진홀(111, 211) 사이에는 자계(magnetic field)효과가 우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 영역(100)의 공진기는 캐패시턴스 결합(capacitance coupling)을 이루는 반면에 송신 영역(200)의 공진기는 인덕턴스결합(inductance coupling)을 이룰 수 있다.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에 있어서 공진주파수의 결정이나 공진기 사이의 결합은 제1 면에 형성된 제1 또는 제2 도전체 패턴(113 또는 213)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1 또는 제2 도전체패턴과 유전체 블록(10)의 측면에 위치한 도전물질 사이의 간격 및 제1 또는 제2 도전체 패턴(113 또는 213) 사이의 간격의 정도에 따라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출력 단자(300)는 유전체 블록(10)의 제1 면 상에서 수신 영역(100)의 외측에 위치하되, 수신 영역(100)에 형성된 공진기(110)의 제1 도전체 패턴(113)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출력 단자(300)는 외부로부터 안테나 단자(500)를 통하여 수신되고, 수신 영역(100)에서 통과 대역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 단자(400)는 유전체 블록(10)의 제1 면 상에서 송신 영역(200)의 외측에 위치하되, 송신 영역(200)에 형성된 공진기(210)의 제2 도전체 패턴(213)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 단자(400)는 안테나 단자(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할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안테나 단자(500)는 유전체 블록(10)의 제1 면 상에서 수신 영역(100)과 송신 영역(200) 사이에 위치하여, 수신 영역(100)의 제1 도전체 패턴(113) 및 송신 영역(200)의 제2 도전체 패턴(213)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출력 단자(300), 입력 단자(400) 및 안테나 단자(500) 중 적어도 하나는 유전체 블록(10)의 제1 면으로부터 측면 일부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전체 블록(10)의 측면 일부 영역까지 연장되는 출력 단자(300), 입력 단자(400) 및 안테나 단자(500) 중 적어도 하나는 유전체 블록(10)의 측면에 구비된 도전 물질(11)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단자(300), 입력 단자(400) 및 안테나 단자(500)는 유전체 블록(10)의 제1 면으로부터 측면 일부 영역까지 밴딩되어 연장될 수 있으며, 유전체 블록(10)의 측면에 구비된 도전 물질(11)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노치 형성부(6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10)의 제1 면 상에서 출력 단자(300)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 노치 형성부(700)는 유전체 블록(10)의 제1 면 상에서 입력 단자(40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노치 형성부(600)와 출력 단자(300)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쇼트 패턴(600P)을 더 구비하거나 제2 노치 형성부(700)와 입력 단자(400)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쇼트 패턴(700P)을 더 구비하여, 제1, 2 노치 형성부(600, 700)에 의한 저지 대역의 감쇄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2 노치 형성부(600, 7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에서 제1, 2 노치 형성부(600, 700)와 제1, 2 쇼트 패턴(600P, 700P)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3의 (a)는 도 1에서 K1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b)는 도 1에서 K2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노치 형성부(600, 700) 각각은 제1 또는 제2 노치홀(610 또는 710)과, 제1 또는 제2 노치 패턴(620 또는 72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노치 형성부(6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10)의 제1 면 상에서 출력 단자(300)의 외측에 위치하여, 제1 노치홀(610, notch hole)과 제1 노치 패턴(6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노치 형성부(70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10)의 제1 면 상에서 입력 단자(400)의 외측에 위치하여, 제2 노치홀(710)과 제2 노치 패턴(72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노치홀(610)은 제1, 2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도전체인 제1 노치 패턴(620)은 제1 노치홀(610)의 내부와 제1 노치홀(610) 입구 주변의 제1 면에 형성되고, 출력 단자(300)와 이격될 수 있으며, 제2 노치홀(710)은 제1, 2 면을 관통하고, 도전체인 제2 노치 패턴(720)은 제2 노치홀(710)의 내부와 제2 노치홀(710) 입구 주변의 제1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노치 형성부(600, 700)에 의한 저지 대역의 감쇄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쇼트 패턴(600P)은 제1 노치 형성부(600)의 제1 노치 패턴(620)과 출력 단자(300)를 서로 연결하고, 제2 쇼트 패턴(700P)은 제2 노치 형성부(700)의 제2 노치 패턴(720)과 입력 단자(4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600P 또는 700P)의 선폭은 출력 단자(300) 또는 입력 단자(400)에서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600P 또는 700P)이 접속되는 부분의 선폭(W300 또는 W400)보다 작을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600P 또는 700P)의 선폭은 출력 단자(300) 또는 입력 단자(400)에서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600P 또는 700P)이 접속되는 부분의 선폭의 1/2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3과 다르게, 경우에 따라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600P 또는 700P)의 선폭이 출력 단자(300) 또는 입력 단자(400)의 선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 쇼트 패턴(600P)과 출력 단자(300) 사이 또는 제2 쇼트 패턴(700P)과 출력 단자(300)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턴스와 함께 쇼트 라인(600P, 700P)이 병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노치 패턴(620 또는 720)에서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600P 또는 700P)과 접속되는 쪽은 라운드(roun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노치 패턴(620)에서 제1 쇼트 패턴(600P)이 형성되는 쪽의 패턴 형상은 곡선을 포함하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노치 패턴(620)에서 제1 쇼트 패턴(600P)이 형성되지 않는 반대쪽의 패턴 형상은 곡선이 아닌 직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2 노치 패턴(720)에서 제2 쇼트 패턴(700P)이 형성되는 쪽의 패턴 형상은 곡선을 포함하고, 반대쪽은 직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또는 제2 노치 패턴(600P 또는 700P)에서 라운드 형상을 갖는 부분의 외곽 라인은 제1 또는 제2 노치홀(610 또는 710)의 중심과 동일한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또는 제2 노치 패턴(600P 또는 700P)에서 라운드 형상을 갖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외곽 라인은 제1 또는 제2 노치홀(610 또는 710)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600P 또는 700P)은 연장 선상에 제1 또는 제2 노치홀의 중심점(C600P 또는 C700P)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600P 또는 700P)은 제1 또는 제2 노치 패턴(620 또는 720)이 출력 단자 또는 입력 단자와 최단 거리로 이격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 노치 패턴(620 또는 720)이 출력 단자 또는 입력 단자와 가장 가까이 인접한 부분에서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600P 또는 700P)과 접속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의 길이(L600P 또는 L700P)는 출력 단자(300)와 제1 도전체 패턴(113) 사이의 이격 간격(D1) 또는 입력 단자(400)와 제2 도전체 패턴(213) 사이의 이격 간격(D2)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와 같이, 제1 노치 패턴(620)과 출력 단자(300) 사이에 형성된 제1 쇼트 패턴의 길이(L600P)는 출력 단자(300)와 수신 영역(100)의 제1 도전체 패턴(113) 사이의 이격 간격(D1)보다 클 수 있으며, 도 3의 (b)와 같이, 제2 노치 패턴(720)과 입력 단자(400) 사이에 형성된 제2 쇼트 패턴의 길이(L700P)는 입력 단자(400)와 송신 영역(200)의 제2 도전체 패턴(213) 사이의 간격(D1)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600P 또는 700P)의 길이는 유전체 블록(10)의 측면에 위치한 출력 단자(300)와 도전 물질(11) 사이의 간격(D300) 또는 출력 단자(400)와 도전 물질(11) 사이의 간격(D400)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600P 또는 700P)은 제1 또는 제2 노치 형성부(600 또는 700)에 의해 형성되는 저지 대역의 감쇄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2 쇼트 패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쇼트 패턴(600P)에 따른 주파수 감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안테나 단자(500)로 어떠한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출력 단자(300)로 출력되는 신호의 감쇄값을 시뮬레이션한 그래프이다.
도 4에서 점선은 제1 쇼트 패턴(600P)이 구비되지 않았을 때의 주파수 감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실선은 본 발명에 딸라 제1 쇼트 패턴(600P)이 구비되었을 때의 주파수 감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서, P1(1.80 GHz), P2(1.79 GHz), P3(1.81 GHz)는 통과 대역에서의 감쇄값을 나타내고, P4(2.10 GHz), P5(2.30 GHz), P6(1.30 GHz)은 저지 대역에서의 감쇄값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비교예를 비교하였을 때, 통과 대역에 위치한 P1(1.80 GHz), P2(1.79 GHz), P3(1.81 GHz)에서는 본 발명과 비교예 사이에 특별한 차이점이 관찰되지 않고, 감쇄값이 -1[dB] 미만으로, 감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통과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값을 갖는 저지 대역에 위치한 P4(2.10 GHz)와 P5(2.30 GHz) 지점 사이에서는 감쇄값이 대략 10[dB] 정도, 본 발명이 더 낮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통과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값을 갖는 저지 대역에 위치한 P6(1.30 GHz) 지점에서는 최대 30[dB]까지 감쇄값이 벌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는 제1 또는 제2 노치 형성부(600, 700)를 구비하되, 제1 또는 제2 노치 형성부(600 또는 700)와 연결되는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600P 또는 700P)을 구비함으로써, 저지 대역의 감쇄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유전체 블록 11: 도전 물질
100: 수신 영역 200: 송신 영역
400: 입력 단자 300: 출력 단자
500: 안테나 단자 600: 제1 노치 형성부
700: 제2 노치 형성부 600P: 제1 쇼트 패턴
700P 제2 쇼트 패턴

Claims (9)

  1. 서로 대향하는 제1, 2 면과 상기 제1, 2 면 사이에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과 측면에 도전 물질을 구비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제1, 2 면을 관통하는 공진홀과 상기 공진홀의 내부와 상기 공진홀 입구 주변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도전체 패턴을 포함하는 공진기가 구비되는 수신 영역;
    상기 제1, 2 면을 관통하는 공진홀과 상기 공진홀의 내부와 상기 공진홀 입구 주변의 제1 면에 형성된 제2 도전체 패턴을 포함하는 공진기가 구비되는 송신 영역;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수신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출력 단자;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송신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입력 단자;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수신 영역과 상기 송신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안테나 단자;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출력 단자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2 면을 관통하는 제1 노치홀(notch hole)과 상기 제1 노치홀의 내부와 상기 제1 노치홀 입구 주변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노치 패턴을 구비하는 제1 노치 형성부; 및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1 면 상에서 상기 입력 단자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2 면을 관통하는 제2 노치홀과 상기 제2 노치홀의 내부와 상기 제2 노치홀 입구 주변의 제1 면에 형성된 제2 노치 패턴을 구비하는 제2 노치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치 형성부의 상기 제1 노치 패턴과 상기 출력 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쇼트 패턴 또는 상기 제2 노치 형성부의 상기 제2 노치 패턴과 상기 입력 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쇼트 패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쇼트 패턴은 상기 제1 노치 패턴과 상기 출력 단자가 서로 마주보는 지점에서 직선으로 상기 제1 노치 패턴과 상기 출력 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쇼트 패턴은 상기 제2 노치 패턴과 상기 입력 단자가 서로 마주보는 지점에서 직선으로 상기 제2 노치 패턴과 상기 입력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의 선폭은 상기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입력 단자의 선폭보다 작은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의 선폭은 상기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입력 단자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이 접속되는 부분의 선폭보다 작은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의 선폭은 상기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입력 단자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이 접속되는 부분의 선폭의 1/2보다 작은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노치 패턴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과 접속되는 쪽은 라운드(round) 형상을 갖는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노치 패턴에서 라운드 형상을 갖는 부분의 외곽 라인은 상기 제1 또는 제2 노치홀의 중심과 동일한 원호 형태를 갖는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의 연장 선상에 상기 제1 또는 제2 노치홀의 중심점이 위치하는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수신 영역에 형성된 공진기의 제1 도전체 패턴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송신 영역에 형성된 공진기의 제2 도전체 패턴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의 길이는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도전체 패턴 사이의 이격 간격 또는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제2 도전체 패턴 사이의 이격 간격보다 큰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쇼트 패턴은 상기 제1 또는 제2 노치 패턴이 상기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입력 단자와 최단 거리로 이격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KR1020190153686A 2019-11-26 2019-11-26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KR10228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86A KR102280090B1 (ko) 2019-11-26 2019-11-26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86A KR102280090B1 (ko) 2019-11-26 2019-11-26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267A KR20210065267A (ko) 2021-06-04
KR102280090B1 true KR102280090B1 (ko) 2021-07-22

Family

ID=7639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686A KR102280090B1 (ko) 2019-11-26 2019-11-26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09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2629B1 (en) * 1999-06-15 2002-10-08 Cts Corporation Ablative RF ceramic block filters
KR100456004B1 (ko) * 2001-12-17 2004-11-08 주식회사 케이이씨 듀플렉서의 송신대역 통과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267A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5202A (en) Dielectric fil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axial resonators of different lengths all having the same resonant frequency
US7777593B2 (en) High frequency filter with blocking circuit coupling
US8952767B2 (en) Layered bandpass filter
US8115569B2 (en) Monoblock dielectric multiplexer capable of processing multi-band signals
US9899716B1 (en) Waveguide E-plane filter
US9748641B2 (en) Antenna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same
US20040246071A1 (en) Radio-frequency filter,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duplex filter
KR102280090B1 (ko)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US6677836B2 (en) Dielectric filter device having conductive strip removed for improved filter characteristics
US20130321091A1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10454148B2 (en) Compact band pass filter
US7573355B2 (en) Integrated bandpass/bandstop coupled line filter
KR100449226B1 (ko) 유전체 듀플렉서
CN112599949B (zh) 介质滤波器及其滤波回路
US20210099159A1 (en) Multiplexer
KR102333921B1 (ko) 비대칭 커플링을 갖는 도파관 필터
EP3503390B1 (en) Multi-band filter
WO2024004396A1 (ja) フィルタ装置
WO2017203216A1 (en) Multi-band filt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CN219960547U (zh) 一种避免引入异常零点的电子器件及包括其的通信设备
KR100419237B1 (ko)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US20190372545A1 (en) Compact band pass filter with vias
JP2000151213A (ja) デュプレックスフィルタ
JP5480037B2 (ja) バンドパスフィルタ、これを備える無線通信モジュールおよび無線通信機器
KR20000033100A (ko) 유전체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