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725B1 - 누설 선량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누설 선량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725B1
KR102279725B1 KR1020200024797A KR20200024797A KR102279725B1 KR 102279725 B1 KR102279725 B1 KR 102279725B1 KR 1020200024797 A KR1020200024797 A KR 1020200024797A KR 20200024797 A KR20200024797 A KR 20200024797A KR 102279725 B1 KR102279725 B1 KR 102279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leakage dose
rotating
leaka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훈
장주민
Original Assignee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02Dos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 선량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 선량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센서;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센서가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측정 센서를 이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중심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출력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출력장치 설치부를 포함하고, 다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설 선량 검사 장치{Leakage Dose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누설 선량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수의 측정센서를 통해 다방향에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여 측정된 방향 외 다른 방향에서도 측정이 가능함으로써, 누설 선량 검사의 정확도가 향상된 누설 선량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을 이용한 물질 분석 방법은 엑스선 반사 분석법(XRR), 소각 엑스선 산란법(SAXS) 및 엑스선 회절 분석법(XRD) 등으로 구분된다. 그밖에도 CT방식의 엑스선 검사는 진단, 수술중 실시간 이미징, 수술후 예후평가 등 다양한 임상분야는 물론 항공화물검색 목적 또는 마이크로구조물과 같은 산업체 생산품에 대한 비파괴검사(nondestructive inspection) 목적에도 응용되고 있다.
일례로 엑스선 회절 분석법(XRD)은 시료의 결정 구조를 연구하기 위한 기술로서, 시료는 단색의 엑스선으로 조사되고, 회절피크의 위차와 광도가 검출기에 의해 측정된다. 특징적인 산란각과 산란광의 광도는 연구 대상 시료의 격자면과 이러한 격자면을 차지하는 원자수에 좌우되는데, 소정이 파장(λ) 및 격자면의 간격(d)에 대하여, 엑스선이 브래그 조건(nλ=2dsinθ, n:산란차수)을 만족하는 각(θ)으로 격자면에 입사한다. 응력, 고용체 또는 기타 조건에 의한 격자면의 변형에 의해 관창 가능한 XRD스펙트럼의 변화가 일어나므로 시료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 사용되는 엑스선 발생장치에 있어서 방사선에 누출에 의한 피폭의 문제가 야기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생장치 전체를 소정의 차폐챔버 안에 구비하거나 일부에 소정의 차폐부재들을 배치하는 방식들이 제안되기도 한다.
그런데, 차폐챔버를 구성하는 경우 차폐를 완전하게 담보할 수 없고, 부식이나 용접불량 등의 원인으로 방사선 누설이 발생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장치의 부분들에 차폐부재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방사선을 완전히 차폐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인체나 장비에 피폭이 발생될 가능성이 상존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누설을 확인하기 위하여 누설 선량을 측정하는 장치가 이용되었으나, 위치 별로 일일이 측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누설이 측정될 시 누설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다수의 측정센서를 통해 다방향에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여 측정된 방향 외 다른 방향에서도 측정이 가능함으로써, 누설 선량 검사의 정확도가 향상된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는 누설 선량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센서;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센서가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측정 센서를 이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중심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출력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출력장치 설치부를 포함하고, 다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 센서는 상기 회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다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회전 측정센서 및 상기 출력장치 설치부에 설치되어 정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하는 중심 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지지하우징; 상기 지지하우징 하측에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부 및 상기 지지하우징 하측에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이동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가 연결되고, 상기 MINE 설치부가 설치될 수 있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회전하우징;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하우징 전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 측정센서가 설치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하우징은 정면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는 상기 회전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회전래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래크와 맞물려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장치 설치부는 출력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판; 상기 설치판 후측에 상측으로 수직되게 형성된 차폐막 및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판 정면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심 측정센서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누설 선량을 수신받아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장치 설치부가 설치될 수 있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어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바는 상기 회전 측정센서를 각각 상기 회전바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센서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이동부는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회전 측정센서가 설치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를 따라 왕복 이동하되, 타측이 절곡되어 상기 이동판에 연결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이동부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 후면에 연결되는 이동판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바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이동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설량 검사 장치는 다수의 측정센서를 통해 다방향에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여 측정된 방향 외 다른 방향에서도 측정이 가능함으로써, 누설 선량 검사의 정확도 및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고 누설 위치 파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피폭으로 인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회전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의 회전부를 회전시켜 회전 측정센서의 위치를 변경하며 누설 선량을 측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예시도.
도 5는 누설 선량 측정 시 정상, 제품 이상 및 센서 이상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측정결과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가 높이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가 센서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의 (a) 및 (b)는 도 9의 센서이동부에 의해 회전 측정센서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회전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의 회전부를 회전시켜 회전 측정센서의 위치를 변경하며 누설 선량을 측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며, 도 5는 누설 선량 측정 시 정상, 제품 이상 및 센서 이상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측정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1)는 차폐룸의 외부에서 하나 이상의 측정 센서를 통해 다방향에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여 측정된 방향 외 다른 방향에서도 측정이 가능함으로써, 누설 선량 검사의 정확도 및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고 누설 위치 파악 및 센서 이상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1)는 측정 센서(10), 지지부(20), 회전부(30), 출력장치 설치부(4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센서(10)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방사능의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한 누설 선량을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는데, 다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회전 측정센서(11a,b,c,d) 및 중심 측정센서(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측정센서(11a,b,c,d)는 회전부(30)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회전부(30)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다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측정센서(11a,b,c,d)가 하나가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다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도 있으나, 두개 이상이 설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측정센서(11a,b,c,d)는 두개 이상이 구비될 경우 회전부(30)의 회전바(32)의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회전에 의해 다른 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시 여러 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동일한 간격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측정센서(11a,b,c,d) 4개가 회전바(32)의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 하, 좌, 우 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회전 측정센서(11a,b,c,d)는 다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회전부(30)에 의해 일정 각도 이동되어 측정되지 않은 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한 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다른 회전 측정센서(11a,b,c,d)로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회전 측정센서(11a,b,c,d)는 고장 시 교체/수리가 용이하도록 회전바(32)에 탈착이 용이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중심 측정센서(12)는 출력장치 설치부(40)에 설치되어 정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의 측정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장치를 설치하는 방향에 따라 정방향은 후방향으로 바뀔 수 있다.
지지부(20)는 지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하우징(21), 이동부(22), 이동고정부(23) 및 지지프레임(2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하우징(21)은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하우징(21)에 지지프레임(24)이 형성되어 회전부(3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22)는 지지하우징(21) 하측에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두개 이상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고정부(23)는 지지하우징(21) 하측에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필요 시에만 지지하우징(21) 내부에서 하측으로 인출되어 지면에 접함으로써, 누설 선량 검사 장치(1)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프레임(24)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끝단이 지지하우징(21)에 수직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24)은 양측에 회전부(30)의 회전연결부재(310)가 각각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측에는 출력장치 설치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30)는 지지부(20)에 연결되고 측정 센서(10)가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측정 센서(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30)는 회전하우징(31), 회전바(32) 및 회전구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하우징(31)은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20)에 연결되고, 회전바(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하우징(31)은 회전연결부재(310) 및 회전가이드홈(31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연결부재(31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회전하우징(31)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프레임(2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가이드홈(311)은 회전하우징(31) 정면에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회전바(32)의 회전돌기(320)가 삽입되고, 회전돌기(320)가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바(32)가 회전하우징(31)에 설치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회전바(32)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하우징(31) 전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 측정센서(11a,b,c,d)가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회전 측정센서(11a,b,c,d)를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바(32)는 회전하우징(31)에 설치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돌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돌기(320)는 회전바(32) 후면에 형성되어 회전가이드홈(311)에 삽입되고, 회전가이드홈(3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돌기(320)는 회전바(32) 후면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회전바(32)의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바(32)는 회전래크(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래크(321)는 회전바(3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회전구동부(33)의 피니언기어(330)가 맞물릴 수 있다. 이에 피니언기어(3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바(32)가 회전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33)는 회전바(3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피니언기어(330) 및 회전모터(331)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330)는 회전바(32)의 회전래크(321)와 맞물려 회전에 의해 회전바(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모터(331)는 피니언기어(33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모터(331)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부(30)는 회전에 의해 회전 측정센서(11a,b,c,d)를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다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품 이상인지 센서 이상인지를 구분하여 정확하게 누설 선량을 검출할 수 있다.
도 4를 예시로 설명하자면, 중심 측정센서(12) 및 회전 측정센서(11a,b,c,d)를 통해 측정장치(410)에서 발생하는 정방향,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고(도 4의 (a)), 회전부(30)가 45도로 회전함으로써 정방향, 좌상방향, 좌하방향, 우하방향, 우상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도 4의 (b)), 회전부(30)가 45도 더 회전함으로써 정방향,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하되 다른 회전 측정센서(11a,b,c,d)로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이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도 4의 (c)).
이와 같이 측정된 누설 선량은 제어부를 통해 관리 단말(미도시)로 전송되어 기록될 수 있으며, 관리 단말을 통해 결과값이 도출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측정되어 관리 단말로 전송되면 도 5와 같이 기록되고 결과값이 나올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측정센서(11a,b,c,d)를 좌측에 있는 회전 측정센서부터 시계방향으로 #1(11a), #2(11b), #3(11c), #4(11d)라고 지칭하며, 중심 측정센서(12)를 #5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도 5의 (a)와 같이 측정된 누설 선량이 0.1mA이 이하일 경우, 결과값은 정상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1차 측정 시 #1에서 0.1mA 초과의 0.12mA가 측정되고, 3차 측정 시 같은 위치인 #4에서 0.1mA 초과의 0.12mA가 측정되면, 결과값은 제품 이상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좌방향에서 누설 선량이 측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의 (c)와 같이 1차, 2차, 3차 측정 시 모두 #4에서 0.1mA 초과의 0.15mA, 0.16mA, 0.14mA가 측정되면, 결과값은 센서 이상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위치가 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4에서 계속 0.1mA 초과 값이 측정되고 있기 때문에 #4가 고장 났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설명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장치 설치부(40)는 회전부(30)의 중심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출력장치(4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출력장치 설치부(40)는 회전부(30)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지지프레임(24)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출력장치(410)는 방사선을 출력하는 장치로써, 방사선이 누설되는지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에 해당한다.
또한, 출력장치 설치부(40)는 설치판(41), 차폐막(42) 및 센서설치바(43)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판(41)은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출력장치(4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설치판(41)은 출력장치(410)가 회전부(3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지지프레임(24)에 설치되거나 회전부(30)의 회전하우징(31)에 연결될 수 있다.
차폐막(42)은 설치판(41) 후측에 상측으로 수직되게 형성되어 출력장치(410)의 후측을 차폐하는 것으로, 출력장치(410)에서 방사선이 출력되는 부분만을 차폐시켜 누설 선량 검사가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막(42)은 납으로 형성되어 4~6T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5T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설치바(43)는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판(41) 정면측으로 수직되게 연결되고, 중심 측정센서(1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설치바(43)는 중심 측정센서(12)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측정 센서(10)로부터 측정된 누설 선량을 수신받아 관리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고,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가 높이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가 센서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의 (a) 및 (b)는 도 9의 센서이동부에 의해 회전 측정센서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1)의 지지부(20)는 지지하우징(21), 이동부(22), 이동고정부(23), 지지프레임(24) 및 높이조절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24), 높이조절부(25)와 이에 따른 회전부(30)의 회전연결부재(310)의 형태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지지프레임(24), 높이조절부(25), 회전연결부재(3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프레임(24)은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하단이 지지하우징(21)에 수직되게 연결되고, 양측에 회전부(30)의 회전연결부재(3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회전연결부재(310)가 지지프레임(24)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25)는 지지하우징(21)에 설치되고 상단이 회전부(30)의 회전연결부재(310)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부(3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부(25)는 회전부(30)의 후측에 설치되어 회전연결부재(310)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높이조절부(25)는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부(30)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적용될 수 있다.
회전부(30)의 회전연결부재(310)는 지지프레임(24)에 연결되어 지지프레임(24)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타단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측정장치 설치부(40)에 설치되어 누설 선량이 측정되는 측정장치(410)의 크기에 따라 회전부(30)의 높이를 도 8과 같이 조절하여 측정 센서(10)의 위치, 즉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측정장치(410)가 회전부(3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1)의 회전바(32)는 센서이동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센서이동부(322)는 회전 측정센서(11a,b,c,d)를 각각 회전바(32)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동판(3220), 실린더(3221) 및 피스톤(322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동판 고정부재(3223) 및 이동가이드홈(3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판(3220)은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회전 측정센서(11a,b,c,d)가 설치될 수 잇다. 이때 이동판(3220)은 회전 측정센서(11a,b,c,d)의 개수에 상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바(32)의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3221)는 회전바(32) 정면에서 각 이동판(32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3222)은 타측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일단이 실린더(32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판(3220) 연결되며, 실린더(3221)를 따라 왕복 이동함으로써 이동판(32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판 고정부재(3223)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이동판(3220)의 후면에 연결되고, 이동가이드홈(3224)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이동판 고정부재(3223)는 이동판(3220)이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고, 다시 원위치로 복구되면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홈(3224)은 회전바(32) 정면에 형성되어 이동판 고정부재(3223)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센서이동부(322)를 통해 회전 측정센서를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시하였으나, 내측뿐만 아니라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측정장치 설치부(40)에 설치되어 누설 선량이 측정되는 측정장치(410)의 크기에 따라 회전 측정센서(11a,b,c,d)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0.1mA 초과의 누설 선량이 감지된 회전 측정센서(11a,b,c,d)를 개별적으로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누설 방향으로 근접시켜 재측정하도록 하여 누설을 좀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 선량 검사 장치를 제1 및 제2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누설 선량 검사 장치
10: 측정 센서
11a,b,c,d: 회전 측정센서
12: 메인 측정센서
20: 지지부
21: 지지하우징
22: 이동부
23: 이동고정부
24: 지지프레임
25: 높이조절부
30: 회전부
31: 회전하우징
310: 회전연결부재
311: 회전가이드홈
32: 회전바
320: 회전돌기
321: 회전래크
322: 센서이동부
3220: 이동판
3221: 실린더
3222: 피스톤
3223: 이동판 고정부재
3224: 이동가이드홈
33: 회전구동부
330: 피니언기어
331: 회전모터
40: 출력장치 설치부
41: 설치판
410: 출력장치
42: 차폐막
43: 센서설치바

Claims (12)

  1. 누설 선량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센서;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센서가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측정 센서를 이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중심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출력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출력장치 설치부를 포함하고,
    다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센서는,
    상기 회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다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회전 측정센서 및
    상기 출력장치 설치부에 설치되어 정방향에 대한 누설 선량을 측정하는 중심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지하우징;
    상기 지지하우징 하측에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부 및
    상기 지지하우징 하측에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이동고정부를 포함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회전하우징;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하우징 전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 측정센서가 설치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우징은,
    정면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는,
    상기 회전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회전래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래크와 맞물려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 설치부는,
    출력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판;
    상기 설치판 후측에 상측으로 수직되게 형성된 차폐막 및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판 정면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심 측정센서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바를 포함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는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장치 설치부가 설치될 수 있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어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는,
    상기 회전 측정센서를 각각 상기 회전바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센서이동부를 포함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이동부는,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회전 측정센서가 설치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를 따라 왕복 이동하되, 타측이 절곡되어 상기 이동판에 연결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이동부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 후면에 연결되는 이동판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바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이동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누설 선량을 수신받아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누설 선량 검사 장치.
KR1020200024797A 2020-02-28 2020-02-28 누설 선량 검사 장치 KR102279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797A KR102279725B1 (ko) 2020-02-28 2020-02-28 누설 선량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797A KR102279725B1 (ko) 2020-02-28 2020-02-28 누설 선량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725B1 true KR102279725B1 (ko) 2021-07-20

Family

ID=7712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797A KR102279725B1 (ko) 2020-02-28 2020-02-28 누설 선량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8787A (zh) * 2022-09-02 2022-11-08 麦默真空技术无锡有限公司 一种轨道式x射线管检测辐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7123B2 (en) * 2008-11-13 2012-08-0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preventing damage to retractor in rotating imaging system
KR20190130097A (ko) * 2018-05-11 2019-11-21 테크밸리 주식회사 누설 선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7123B2 (en) * 2008-11-13 2012-08-0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preventing damage to retractor in rotating imaging system
KR20190130097A (ko) * 2018-05-11 2019-11-21 테크밸리 주식회사 누설 선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8787A (zh) * 2022-09-02 2022-11-08 麦默真空技术无锡有限公司 一种轨道式x射线管检测辐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4905B2 (en)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 object
US9702833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nondestructive testing of tires by tomography
US8767912B1 (en) System for inspection and imaging of insulated pipes and vessels using backscattered radiation and X-ray fluorescence
CN104849295B (zh) X射线分析装置
CN104122278B (zh) X射线出射装置
KR102279725B1 (ko) 누설 선량 검사 장치
US3936638A (en) Radiology
CN117405707A (zh) 核废物包装体双模同步扫描检测装置
CN110940684A (zh) 一种医用放射影像模体计量标准装置及模体检测方法
KR20140059012A (ko) 비파괴 검사 장치
KR100726341B1 (ko) 평행 주사형 산업공정 진단용 감마선 단층 촬영장치
GB2453633A (en) An x-ray diffraction measuring system incorporating a debye-scherrer optical system
KR20090088759A (ko) 감마선원을 이용한 산업용 단층촬영장치
CA1286425C (en) Cable insulation eccentricity and diameter monitor
KR101165987B1 (ko) X선을 이용한 분석 기구
KR101997409B1 (ko) 방사선 차폐 성능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KR102295157B1 (ko) 방사선 관전압 및 관전류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사선 제품 검사 방법
KR101492810B1 (ko) 웜기어를 이용한 정밀구동장치를 구비하는 x선 회절분석장치
CN219625713U (zh) 一种x射线管组件漏射线测试装置
KR101351810B1 (ko) 차폐부를 구비하는 x선 분석기구
US10983074B2 (en) Visual light calibrator for an x-ray backscattering imaging system
KR20190043051A (ko) 방사선 조사장치
KR100531258B1 (ko) 방사선 계측기 교정 및 검수장치
CN218382370U (zh) 光谱仪
KR101468103B1 (ko) 웜기어를 포함하는 xrd장치의 구동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