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590B1 - Threat assessment apparatus using approach angle,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threat assessment method using approach angle - Google Patents

Threat assessment apparatus using approach angle,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threat assessment method using approach ang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590B1
KR102279590B1 KR1020210028004A KR20210028004A KR102279590B1 KR 102279590 B1 KR102279590 B1 KR 102279590B1 KR 1020210028004 A KR1020210028004 A KR 1020210028004A KR 20210028004 A KR20210028004 A KR 20210028004A KR 102279590 B1 KR102279590 B1 KR 102279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t
target
targets
angl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기태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5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5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3/00Other 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at assessment device provided on a ship, comprising: a position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direction information of a target; a calculator capable of calculating an approach angle of the target by u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and a threat assessment unit capable of quantifying a threat level of the target according to the angle of entry.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calculate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

Description

진입각을 이용하는 위협평가장치, 이를 구비하는 함정전투체계, 및 진입각을 이용한 위협평가방법{THREAT ASSESSMENT APPARATUS USING APPROACH ANGLE,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THREAT ASSESSMENT METHOD USING APPROACH ANGLE}A threat assessment device using an approach angle, a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threat assessment method using the approach angle

본 발명은 진입각을 이용하는 위협평가장치, 이를 구비하는 함정전투체계, 및 진입각을 이용한 위협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적의 위협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진입각을 이용하는 위협평가장치, 이를 구비하는 함정전투체계, 및 지입각을 이용한 위협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at assessment device using an angle of entry, a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threat assessment method using the angle of ent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at using an angle of entry capable of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threat level of a target. It relates to an evaluation device, a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threat evaluation method using an angle of arrival.

일반적으로, 복수의 표적에 대해 다수의 무장자산을 운용하는 환경에서는 신속하게 사격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해야 한다. 사격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표적들의 위협도를 판단하고, 높은 위협도를 가지는 표적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In general, in an environment where multiple weapons are operated against multiple targets, it is necessary to quickly establish and execute a shooting plan. In order to establish a shooting plan, it is essential to determine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s and to give priority to the targets with high threat level.

이때, 함정은 수상 표적 및 수중 표적뿐만 아니라 표적으로부터도 위협을 받는다. 따라서, 함정의 경우 많은 표적들 중에서 자함에게 위협이 되는 표적을 판별하고, 판별된 표적들 중 위협도가 높은 표적에 우선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At this time, the ship is threatened not only from surface targets and underwater targets, but also from targets. Therefore, in the case of a ship, it is important to identify a target that is a threat to the ship from among many targets, and to respond preferentially to a target with a high level of threat among the determined targets.

그러나 함정은 전투기나 미사일과 같은 대공 표적에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대공 표적은 기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위협 순위를 설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대공 표적의 위협도까지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ships are difficult to cope with anti-aircraft targets such as fighters and missiles. In other words, since anti-aircraft targets have excellent maneuverability,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threat rank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can quantitatively calculate the threat level of an anti-aircraft target.

KRUS 10-201246610-2012466 BB

본 발명은 표적들의 위협을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진입각을 이용하는 위협평가장치, 이를 구비하는 함정전투체계, 및 진입각을 이용한 위협평가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at assessment device using an angle of entry capable of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threat of targets, a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threat assessment method using the angle of entry.

본 발명은 표적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진입각을 이용하는 위협평가장치, 이를 구비하는 함정전투체계, 및 진입각을 이용한 위협평가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at assessment device using an approach angle capable of effectively coping with targets, a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threat assessment method using the entry angle.

본 발명은 함정에 구비되는 위협평가장치로서, 표적의 방향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측정부; 상기 표적의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의 진입각을 산출할 수 있는 산출부; 및 상기 진입각에 따른 상기 표적의 위협도를 수치화할 수 있는 위협평가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at assessment device provided on a ship, comprising: a position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direction information of a target; a calculator capable of calculating an approach angle of the target by u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and a threat assessment unit capable of quantifying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 according to the angle of entry.

본 발명은 함정에 구비되는 위협평가장치로서, 표적과 상기 함정 사이의 거리정보, 상기 표적의 속도정보, 및 상기 표적의 방향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측정부; 상기 거리정보와 상기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이 함정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시간예측부; 상기 표적의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의 진입각을 산출할 수 있는 산출부; 및 상기 도달시간과 상기 진입각에 따라 상기 표적의 위협도를 수치화할 수 있는 위협평가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at assessment device provided in a ship, comprising: a location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 target and the ship, speed information of the target,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a time predictor capable of predicting an arrival time required for the target to reach the ship by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a calculator capable of calculating an approach angle of the target by u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and a threat evaluation unit capable of quantifying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and the angle of entry.

상기 시간예측부는 하기의 식(1)을 이용하여 상기 도달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The time predictor may predict the arrival time using Equation (1) below.

식(1): T = D / VEquation (1): T = D / V

(여기서, T는 도달시간, D는 상기 표적과 상기 함정 사이의 거리값, V는 상기 표적의 속도값임)(Where T is the arrival time, D is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target and the ship, and V is the speed value of the target)

상기 위협평가부는, 상기 도달시간에 따른 위협도를 나타내는 제1 위협지수를 연산할 수 있는 제1 연산기; 상기 진입각에 따른 위협도를 나타내는 제2 위협지수를 연산할 수 있는 제2 연산기; 및 상기 제1 위협지수와 상기 제2 위협지수를 합산하여 최종 위협지수를 판단할 수 있는 합산기;를 포함한다.The threat assessment unit may include: a first calculator capable of calculating a first threat index indicating a degree of threat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a second calculator capable of calculating a second threat index representing the degree of threat according to the angle of entry; and a summator capable of determining a final threat index by summing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상기 제1 연산기는 하기의 식(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협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first calculator may calculate the first threat index by using Equation (2) below.

식(2): 제1 위협지수 = 999 - (T × C) + WEquation (2): 1st threat index = 999 - (T × C) + W

(여기서, T는 도달시간, C는 교전 상수, W는 가중치임)(where T is the arrival time, C is the engagement constant, and W is the weight)

상기 제2 연산기는 하기의 식(3)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위협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second calculator may calculate the second threat index by using Equation (3) below.

식(3): 제2 위협지수는 = (999 - (T × C) + W) × (100 - 진입각)%Equation (3): The second threat index is = (999 - (T × C) + W) × (100 - angle of entry)%

(여기서, T는 도달시간, C는 교전 상수, W는 가중치임)(where T is the arrival time, C is the engagement constant, and W is the weight)

상기 산출부는, 상기 표적과 상기 함정 사이의 직선거리를 나타내는 조준선, 및 상기 표적의 침로를 나타내는 침로선 사이의 각도를 상기 진입각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 calculator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an angle between a line of sight indicating a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target and the ship and a course line indicating the course of the target as the entry angle.

상기 위치측정부는, 복수개의 표적의 위치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레이더를 포함한다.The position measuring unit includes a radar capable of simultaneously tracking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targets.

본 발명은 함정에 구비되는 함정전투체계로서, 표적으로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는 발사장치; 표적들의 위협도를 수치화하여 평가할 수 있는 위협평가장치; 및 상기 위협평가장치의 평가결과에 따라 표적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표적부터 발사체를 발사하도록 상기 발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사격계획수립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ship combat system provided in a ship, comprising: a launch device capable of firing a projectile to a target; a threat assessment device that can quantify and evaluate the threat level of targets; and a shooting plan establishment device capable of setting priorities of target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threat evaluation devi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unch device to fire a projectile from a target having a higher priority.

본 발명은 표적들을 감지하는 과정; 감지된 표적들 각각과 함정 사이의 거리정보, 상기 표적들 각각의 속도정보, 및 상기 표적들 각각의 방향정보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거리정보와 상기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들 각각이 함정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표적들 각각의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들 각각의 진입각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도달시간과 상기 진입각에 따라 상기 표적들 각각의 위협도를 수치화하여 평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detecting targets; measur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each of the detected targets and the ship, speed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rgets,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rgets; predicting an arrival time required for each of the targets to reach the ship by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n approach angle of each of the targets by u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rgets; and quantifying and evaluating the threat level of each of the targets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and the approach angle.

상기 표적들의 진입각을 산출하는 과정은, 표적과 상기 함정 사이의 직선거리를 나타내는 조준선, 및 표적의 침로를 나타내는 침로선 사이의 각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approach angles of the targets includes calculating an angle between the aiming line indicating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target and the ship and the course line indicating the course of the target.

상기 표적들의 위협도를 수치화하는 과정은, 상기 도달시간에 따른 위협도를 나타내는 제1 위협지수를 연산하는 과정; 상기 진입각에 따른 위협도를 나타내는 제2 위협지수를 연산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위협지수와 상기 제2 위협지수를 합산하여 최종 위협지수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of quantifying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s may include calculating a first threat index indicating the threat level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calculating a second threat index representing the threat level according to the angle of entry; and a process of determining a final threat index by adding up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상기 제1 위협지수와 상기 제2 위협지수를 합산하는 과정은, 하기의 식(4)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위협지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of summing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includes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final threat index using Equation (4) below.

식(4): (999 - (T × C) + W) + ((999 - (T × C) + W) × (100 - 진입각)%)Equation (4): (999 - (T × C) + W) + ((999 - (T × C) + W) × (100 - angle of entry)%)

(여기서, T는 도달시간, C는 교전 상수, W는 가중치임)(where T is the arrival time, C is the engagement constant, and W is the weigh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표적들의 위협을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에, 함정이 위협도가 높은 순으로 표적들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함정이 표적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함정의 생존력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calculate the threat of the targets. Accordingly, the ship can respond to the targets in the order of the highest threat. Therefore, the survivability of the ship can be improved because the ship can effectively counteract the targe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함정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함선의 위치를 기준으로 표적의 진입각을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협평가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n approach angle of a target based on the position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reat assess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pletely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detail,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lik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함정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함선의 위치를 기준으로 표적의 진입각을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함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approach angle of the targe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함정은 표적들과 전투할 수 있는 전투함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함정(1000)은 함정 본체(200), 및 함정전투체계(100)를 포함한다.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attleship capable of combating targets. Referring to FIG. 1 , the ship 1000 includes a ship body 200 , and a ship combat system 100 .

이때, 표적은 대공 표적, 수상 표적, 및 수중 표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대공 표적은 공중에서 나타나는 표적으로 적 전투기나 미사일 등일 수 있고, 수상 표적은 적 군함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target may be at least one of an anti-aircraft target, a water target, and an underwater target. The anti-air target is a target that appears in the air, and may be an enemy fighter or missile, and the surface target may be an enemy warship.

함정 본체(200)는 수상에 부유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함정 본체(200)는 프로펠러 등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 trap body 20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float on the water. The ship body 200 may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water using a propeller or the like.

함정전투체계(100)는 함정(1000)에 구비되는 장비나 장치들이 유선이나 무선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게 통신시켜주는 차세대 함정전투체계일 수 있다. 함정전투체계(100)는 발사장치(110), 위협평가장치(120), 및 사격계획수립장치(130)를 포함한다.The naval combat system 100 may be a next-generation naval combat system that communicates so that equipment or devices provided in the naval vessel 1000 can send and receive messages indicating information by wire or wirelessly. The warship combat system 100 includes a launch device 110 , a threat assessment device 120 , and a firing plan establishment device 130 .

발사장치(110)는 함정 본체(200)에 설치된다. 발사장치(110)는 함포나 미사일 발사대일 수 있다. 이에, 발사장치(110)는 표적으로 포탄이나 미사일과 같은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다.The launch device 110 is installed in the ship body 200 . The launch device 110 may be a gun or missile launcher. Accordingly, the launch device 110 may launch a projectile such as a shell or missile as a target.

또한, 발사장치(11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표적이 복수개가 나타나면, 발사장치(110)들이 서로 다른 공중 표적으로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공정 표적에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aunch devices 110 may be provided. 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targets appear, the launchers 110 may fire projectiles to different aerial target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a plurality of process targets.

사격계획수립장치(130)는 위협평가장치(120)가 표적들의 위협도를 평가한 평가결과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사격계획수립장치(130)는 위협평가장치(120)의 평가결과에 따라 표적들의 대응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사격계획수립장치(130)는 대응 우선순위가 높은 표적부터 발사체를 발사하도록, 발사장치(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shooting plan establishment device 130 may receive an evaluation result obtained by evaluating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s by the threat evaluation device 120 . Accordingly, the shooting plan establishment device 130 may set the priority of the target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threat evaluation device 120 . The firing plan establishing device 1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ing device 110 so as to fire a projectile from a target having a high corresponding priority.

위협평가장치는 함정에 구비되어 표적들의 위협도를 수치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협평가장치는, 표적의 방향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측정부, 표적의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표적의 진입각을 산출할 수 있는 산출부, 및 산출된 진입각에 따른 표적의 위협도를 수치화할 수 있는 위협평가부를 포함한다. 이에, 표적의 진입각에 따라 표적의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The threat assessment device is provided on the ship and can be evaluated by quantifying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s. For example, the threat assessment apparatus may include a position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a calculating unit capable of calculating the entry angle of the target u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and the targe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entrance angle. It includes a threat assessment unit that can quantify the threat leve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 of danger of the target according to the approach angle of the target.

또는, 도 1과 같이 위협평가장치(120)는 위치측정부(121), 시간예측부(122), 산출부(123), 및 위협평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의 도달시간과 진입각을 함께 분석하여 표적의 위험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실시 예들 사이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 , the threat evaluation device 120 may include a location measurement unit 121 , a time prediction unit 122 , a calculation unit 123 , and a threat evaluation unit 124 .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target by analyzing the arrival time and the approach angle of the target together. In this case, various combinations are possible between the embodiments.

위치측정부(121)는 함정 본체(200)에 설치되어 외부의 표적을 감지할 수 있다. 위치측정부(121)는 감지한 표적과 함정 본체(200) 사이의 거리정보, 표적의 속도정보, 및 표적의 방향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121 may be installed on the ship body 200 to detect an external target.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21 may measur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detected target and the ship body 200, speed information of the target,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예를 들어, 위치측정부(121)는 복수개의 표적의 위치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레이더일 수 있다. 따라서, 위치측정부(121)를 이용하여 표적들을 감지하고, 표적들의 위치정보(거리, 속도, 방위 등)를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21 may be a radar capable of simultaneously tracking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target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targets using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21 and measure the position information (distance, speed, direction, etc.) of the targets.

또한, 복수개의 위치측정부(121)를 구비하여 함정 본체(200) 상에서 서로 다른 영역을 감지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더 넓은 영역에서 표적들을 감지하고 표적들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installed to detect different areas on the ship body 200 by providing a plurality of position measuring units (121).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targets in a wider area and measu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s.

이때, 표적의 방향정보는 위치측정부(121)가 현재 측정한 표적의 위치정보와, 이전에 측정한 표적의 위치정보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측정부(121)로 표적이 이동하는 방향도 예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currently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21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previously measured. According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rget moves can also be predict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21 .

시간예측부(122)는 위치측정부(121)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된다. 이에, 시간예측부(122)는 위치측정부(121)가 측정한 표적과 함정 본체(200) 사이의 거리정보, 및 표적의 속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시간예측부(122)는 전달받은 거리정보와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표적이 함정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시간예측부(122)는 하기의 식(1)을 이용하여 상기 도달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The time prediction unit 122 is connected to send and receive a signal to and from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121 . Accordingly, the time prediction unit 122 may receiv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target and the ship body 200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121 ,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target. Accordingly, the time prediction unit 122 may predict the arrival time required for the target to reach the ship by using the received distance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The time predictor 122 may predict the arrival time using Equation (1) below.

식(1): T = D / VEquation (1): T = D / V

여기서, T(Time to goal)는 도달시간이고, D는 표적과 함정(1000) 사이의 거리값이고, V는 표적의 속도값이다. 따라서, 식(1)을 이용하여 위치측정부(121)가 표적을 감지했을 때, 표적이 함정(1000)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Here, T (Time to goal) is the arrival time, D is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target and the trap 1000, V is the speed value of the target. Therefore, when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21 detects the target using Equation (1),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time it takes for the target to reach the ship 1000 .

이때, V 값으로 표적의 속도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속도값 중 더 큰 값을 선택할 수도 있다. 설정속도값은 0보다 큰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위치측정부(121)가 측정할 수 있는 속도범위보다 표적의 속도가 낮아 표적의 속도값이 0으로 측정되면, V 값으로 0 대신 설정속도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도달시간을 산출할 때 V 값이 0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달시간을 안정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a larger value among the target speed value and the preset speed value may be selected as the V value. The set speed value may be a value greater than 0. Therefore, when the target speed value is 0 because the target speed is lower than the speed range that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21 can measure, the set speed value may be used as the V value instead of 0. Accordingly, the arrival time can be stably calculated by preventing the V value from being 0 when calculating the arrival time.

또한, 시간예측부(122)는 서로 다른 표적들의 도달시간들을 동시에 예측할 수 있다. 이에, 표적들이 동시에 나타나더라도, 시간예측부(122)가 표적들 각각의 도달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Also, the time prediction unit 122 may simultaneously predict arrival times of different targets. Accordingly, even if the targets appear at the same time, the time prediction unit 122 may predict the arrival time of each of the targets.

산출부(123)는 위치측정부(121)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된다. 이에, 산출부(123)는 위치측정부(121)가 측정한 표적의 방향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산출부(123)는 전달받은 표적의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표적의 진입각을 산출할 수 있다.The calculator 123 is connected to send and receive a signal to and from the position measurer 121 . Accordingly, the calculation unit 123 may receiv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121 . Accordingly, the calculator 123 may calculate the approach angle of the target by using the receive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예를 들어, 산출부(123)는 표적과 함정 사이의 직선거리를 나타내는 조준선을 가상으로 그리고, 표적의 방향정보를 통해 표적의 침로(또는, 표적이 나아갈 방향)를 나타내는 침로선(또는, 이동방향선)을 가상으로 그릴 수 있다. 따라서, 산출부(123)는 가상으로 그린 조준선과 침로선 사이의 각도인 진입각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lculation unit 123 virtually draws a line of sight indicating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target and the ship, and a course line (or movement) indicating the course of the target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rget will move) through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direction line) can be drawn virtually. Accordingly, the calculator 123 may calculate the magnitude of the approach angle, which is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aim line and the course line.

또한, 산출부(123)는 서로 다른 표적들의 진입각들을 동시에 산출할 수 있다. 이에, 표적들이 동시에 나타나더라도, 산출부(123)가 표적들 각각의 진입각을 산출할 수 있다.Also, the calculator 123 may simultaneously calculate the approach angles of different targets. Accordingly, even if the targets appear at the same time, the calculator 123 may calculate the approach angle of each of the targets.

위협평가부(124)는 시간예측부(122) 및 산출부(123)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된다. 이에, 위협평가부(124)는 전달받은 도달시간과 진입각에 따라 표적의 위협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위협평가부(124)는 제1 연산기(124a), 제2 연산기(124b), 및 합산기(124c)를 포함한다.The threat assessment unit 124 is connected to send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time prediction unit 122 and the calculation unit 123 . Accordingly, the threat evaluation unit 124 may quantify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 according to the received arrival time and entry angle. The threat assessment unit 124 includes a first operator 124a, a second operator 124b, and a summer 124c.

제1 연산기(124a)는 시간예측부(122)에서 예측된 도달시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제1 연산기(124a)는 도달시간에 따른 위협도를 나타내는 제1 위협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제1 연산기(124a)는 하기의 식(2)를 이용하여 제1 위협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first operator 124a may receive arrival time information predicted by the time prediction unit 122 . Accordingly, the first calculator 124a may calculate the first threat index indicating the threat level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The first operator 124a may calculate the first threat index by using Equation (2) below.

식(2): 제1 위협지수 = 999 - (T × C) + WEquation (2): 1st threat index = 999 - (T × C) + W

여기서, T는 도달시간이고, C는 교전 상수이고, W는 운용자의 판단에 의해 적용되는 운용자 가중치이다. 따라서, 제1 위협지수는 도달시간을 기준으로 0 내지 1000의 지수로 표시된다. 즉, 도달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으면 제1 위협지수의 값이 상대적으로 크고, 도달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면 제1 위협지수의 값이 상대적으로 작다. 이에, 도달시간이 짧은 표적일수록, 함정(1000)에 더 빠르게 도달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제1 위협지수로 나타나는 위협도가 높게 판단될 수 있다.Here, T is the arrival time, C is the engagement constant, and W is the operator weight applied by the operator's judgment. Therefore, the first threat index is expressed as an index of 0 to 1000 based on the arrival time. That is, when the arrival time is relatively short, the value of the first threat index is relatively large, and when the arrival time is relatively long, the value of the first threat index is relatively small. Accordingly, since it means that the shorter the arrival time, the faster the target arrives at the ship 1000 , the higher the threat indicated by the first threat index can be determined.

제2 연산기(124b)는 산출부(123)에서 산출된 진입각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제2 연산기(124b)는 진입각에 따른 위협도를 나타내는 제2 위협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제2 연산기(124b)는 하기의 식(3)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위협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second calculator 124b may receive the entry angl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alculator 123 . Accordingly, the second calculator 124b may calculate a second threat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threat according to the angle of entry. The second operator 124b may calculate the second threat index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3).

식(3): 제2 위협지수는 = (999 - (T × C) + W) × (100 - 진입각)%Equation (3): The second threat index is = (999 - (T × C) + W) × (100 - angle of entry)%

여기서, T는 도달시간, C는 교전 상수, W는 운용자의 판단에 의해 적용되는 운용자 가중치이다. 따라서, 제2 위협지수는 진입각을 기준으로 0 내지 1000의 지수로 표시된다. 즉, 진입각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제2 위협지수의 값이 상대적으로 크고, 진입각이 상대적으로 크면 제2 위협지수의 값이 상대적으로 작다. 이에, 진입각이 작은 표적일수록, 이동방향이 함정(1000)을 향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제2 위협지수로 나타나는 위협도가 높게 판단될 수 있다.Here, T is the arrival time, C is the engagement constant, and W is the operator's weight applied by the operator's judgment. Accordingly, the second threat index is expressed as an index of 0 to 1000 based on the angle of entry. That is, when the angle of entry is relatively small, the value of the second threat index is relatively large, and when the angle of entry is relatively large, the value of the second threat index is relatively small. Accordingly, the smaller the target angle of entry, the higher the level of threat indicated by the second threat index can be determined because it means that the moving direction is toward the ship 1000 .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이 미사일 표적(A)에 대한 조준선과 미사일 표적(A)의 침로선 사이의 각도인 진입각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미사일 표적(A)이 함정(1000)에 직접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진입각이 상대적으로 작게 산출되면 제2 위협지수의 값이 증가하여 표적이 상대적으로 위험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ngle of entry, which is the angle between the line of sight for the missile target (A) and the course line of the missile target (A), is relatively small as shown in (a) of FIG. 2, the missile target (A) is the ship (1000). ) is more likely to be reached directly. Therefore, when the angle of entry is calculated to be relatively small, the value of the second threat index increases, so that it can be easily confirmed that the target is relatively dangerous.

또는, 도 2의 (b)와 같이 전투기 표적(B)에 대한 조준선과 전투기 표적()의 침로선 사이의 각도인 진입각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전투기 표적(B)이 함정(1000)에 피해 지나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진입각이 상대적으로 크게 산출되면 제2 위협지수의 값이 감소하여 표적이 상대적으로 위험하지 않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Or, when the angle of entry, which is the angle between the line of sight and the course of the fighter target () for the fighter target (B), is relatively large, the fighter target (B) is damaged by the ship (1000) as shown in (b) of FIG. more likely to pass Accordingly, when the angle of entry is calculated relatively large, the value of the second threat index decreases, so that it can be easily confirmed that the target is not relatively dangerous.

이때, 진입각이 100도를 초과 내지 180 이하인 경우, 표적의 진행방향은 함정(1000)과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진입각이 100도를 초과하면 제2 위협지수를 산출할 때 진입각의 값을 100으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angle of entry exceeds 100 degrees and is less than or equal to 180 degre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arget may be a direction away from the ship 1000 . Therefore, if the angle of entry exceeds 100 degrees, the value of the angle of entry may be set to 100 when calculating the second threat index.

합산기(124c)는 제1 연산기(124a) 및 제2 연산기(124b)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된다. 이에, 합산기(124c)는 제1 연산기(124a)에서 연산된 제1 위협지수와, 제2 연산기(124b)에서 연산된 제2 위협지수를 합산하여 최종 위협지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위협지수와 제2 위협지수를 합하여 최종 위협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위협지수는 제1 위협지수와 제2 위협지수가 합쳐진 0 내지 2000의 지수로 표시된다.The summer 124c is connected to send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first operator 124a and the second operator 124b. Accordingly, the summer 124c may determine the final threat index by summing the first threat index calculated by the first operator 124a and the second threat index calculated by the second operator 124b. That is, the final threat index can be calculated by adding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Therefore, the final threat index is expressed as an index of 0 to 2000, which is the sum of the first and second threat indexes.

이때, 진입각만으로 표적의 위협지수를 판단하는 경우, 표적이 지그재그로 이동할 때의 위협을 판단하기 어렵다. 즉, 표적의 침로가 계속 변경되기 때문에, 진입각도 계속 변하므로 위협지수도 계속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진입각에 따른 위협지수에 도달시간에 따른 위협지수를 더하여 보완하면, 표적이 지그재그로 접근하더라도 위협도를 올바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지그재그로 접근하는 표적도 대비하기 위하여, 합산기(124c)에서 제1 위협지수와 제2 위협지수를 합산하여 최종 위협지수를 판단한다.At this time, if the threat index of the target is determined only by the angle of entry,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threat when the target moves in a zigzag manner. In other words, since the target's course continues to change, the approach angle continues to change, so the threat index continues to change. Therefore, if the threat index according to the angle of entry is added to the threat index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the threat level can be correctly determined even if the target approaches in a zigzag manner. Accordingly, in order to prepare for a target approaching in a zigzag manner, a final threat index is determined by adding up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in the summer 124c.

한편, 위협평가장치(120)의 운용자는 제1 위협지수와 제2 위협지수의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진입각보다 도달시간이 표적의 위협도를 높인다고 판단하는 운용자는 제1 위협지수를 산출할 때 가중치에 비교적 큰 값을 설정하고, 제2 위협지수를 산출할 때 가중치에 비교적 작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달시간보다 진입각이 표적의 위협도를 높인다고 판단하는 운용자는 제1 위협지수를 산출할 때 가중치에 비교적 작은 값을 설정하고, 제2 위협지수를 산출할 때 가중치에 비교적 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운용자는 전투상황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표적들의 위협도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or of the threat evaluation device 120 may set the weights of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differently. An operator who determines that the arrival time rather than the entry angle increases the threat of the target may set a relatively large value for the weight when calculating the first threat index, and set a relatively small value for the weight when calculating the second threat index. . An operator who judges that the entry angle increases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 than the arrival time can set a relatively small value for the weight when calculating the first threat index, and set a relatively large value for the weight when calculating the second threat index. .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determine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s more accurately by setting different weights according to the battle situation.

또한, 합산기(124c)는 표적들을 최종 위협지수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다. 합산기(124c)는 작성한 데이터를 사격계획수립장치(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사격계획수립장치(130)는 데이터에서 위에 있는 순서대로 표적들에 대응하도록 발사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mmer 124c may align the targets in the order of the highest final threat index and form data. The summer 124c may transmit the created data to the shooting planning apparatus 130 . Accordingly, the firing plan establishment device 130 may control the firing device 110 to correspond to the targets in the order above in the data.

이처럼 위협평가장치(120)가 표적들의 도달시간과 진입각을 분석하여 표적들의 위협을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함정(1000)이 위협도가 높은 순으로 표적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함정(1000)이 표적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함정(1000)의 생존력이 향상될 수 있다.As such, the threat assessment device 120 may quantitatively calculate the threat of the targets by analyzing the arrival time and the entry angle of the targets. Accordingly, the ship 1000 may respond to the targets in the order of the highest threat. Accordingly, since the ship 1000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 targets, the survivability of the ship 1000 can be improv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협평가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협평가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reat assess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threat assess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협평가방법은, 함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표적들의 위협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협평가방법은, 표적들을 감지하는 과정(S110), 감지된 표적들 각각과 함정 사이의 거리정보, 표적들 각각의 속도정보, 및 표적들 각각의 방향정보를 측정하는 과정(S120), 거리정보와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표적들 각각이 함정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을 예측하고, 표적들 각각의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표적들 각각의 진입각을 산출하는 과정(S130), 및 도달시간과 진입각에 따라 표적들 각각의 위협도를 수치화하여 평가하는 과정(S140)을 포함한다. The threat assess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capable of evaluating the threat level of targets based on the location of a ship. Referring to FIG. 3, the threat assessment method includes a process of detecting targets (S110), a process of measur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each of the detected targets and a ship, speed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rgets,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rgets ( S120), the process of predicting the arrival time required for each of the targets to reach the ship by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and calculating the approach angle of each of the targets u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rgets (S130), and It includes the process of quantifying and evaluating the threat level of each target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and the approach angle (S140).

이때, 표적은 대공 표적, 수상 표적, 및 수중 표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대공 표적은 공중에서 나타나는 표적으로 적 전투기나 미사일 등일 수 있고, 수상 표적은 적 군함일 수 있다. 위협평가방법은 도 1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함정(1000)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arget may be at least one of an anti-aircraft target, a water target, and an underwater target. The anti-air target is a target that appears in the air, and may be an enemy fighter or missile, and the surface target may be an enemy warship. The threat assessment method may be performed in the ship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표적들을 감지한다(S110). 즉, 함정(1000)에 구비되는 위치측정부(121)를 이용하여, 함정(1000) 주변에 표적들이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Targets are detected (S110). That is, by using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21 provided in the ship 1000,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re are targets around the ship (1000).

그 다음, 감지된 표적들 각각과 함정 사이의 거리정보, 표적들 각각의 속도정보, 및 표적들 각각의 방향정보를 측정한다(S120). 즉, 위치측정부(121)에 표적들이 감지되면, 위치측정부(121)로 표적들의 거리, 속도, 및 이동방향과 같은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Next,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each of the detected targets and the ship, speed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rgets,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rgets are measured (S120). That is, when targets are detected by the location measurement unit 121 ,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distance, speed,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targets may be collected by the location measurement unit 121 .

예를 들어, 위치측정부(121)는 레이더일 수 있고, 외부로 송신한 신호 중 표적들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정보, 속도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표적의 방향정보는 위치측정부(121)가 현재 측정한 표적의 위치와, 이전에 측정한 표적의 위치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21 may be a radar, and may measure distance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by receiving signals reflected from targets among externally transmitted signals.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may be calculated from the position of the target currently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21 and the position of the target measured previously.

그 다음, 거리정보와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표적들 각각이 함정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을 예측하고, 표적들 각각의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표적들 각각의 진입각을 산출한다(S130). 즉, 위치측정부(121)가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표적들의 도달시간과 진입각을 산출할 수 있다.Next, the arrival time required for each of the targets to reach the ship is predicted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and the approach angle of each of the targets is calculated u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rgets ( S130 ). That is, the arrival time and the approach angle of the targets may be calculated using the result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21 .

표적의 도달시간을 예측하기 위해, 위치측정부(121)가 측정한 표적과 함정 본체(200) 사이의 거리정보, 및 표적의 속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전달받은 거리정보, 및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표적이 함정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측정부(121)가 표적을 감지했을 때, 표적이 함정(1000)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표적들의 도달시간들을 동시에 예측할 수 있다.In order to predict the arrival time of the target,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target and the ship body 200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21 and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target may be transmitted. Using the received distance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arrival time required for the target to reach the ship. 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121 detects the target,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time it takes for the target to reach the ship 1000 . In this case, arrival times of different targets may be simultaneously predicted.

표적의 진입각을 산출하기 위해, 표적과 상기 함정 사이의 직선거리를 나타내는 조준선, 및 표적의 침로를 나타내는 침로선 사이의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적과 함정 사이의 직선거리를 나타내는 조준선을 가상으로 그리고, 표적의 방향정보를 통해 표적의 침로(또는, 표적이 나아갈 방향)를 나타내는 침로선(또는, 이동방향선)을 가상으로 그린 후, 조준선과 침로선 사이의 각도인 진입각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또한, 서로 다른 표적들의 진입각들을 동시에 산출할 수 있다.In order to calculate the approach angle of the target, the angle between the line of sight indicating the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target and the ship and the course line indicating the course of the target may be calculated. For example, a line of sight representing a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a target and a ship is virtually drawn, and a course line (or line of movement) representing the course of the target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rget will go) is virtually drawn through the target direction information. After drawing, the magnitude of the angle of entry, which is the angle between the line of sight and the line of course, can be calculated.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simultaneously calculate the angles of entry of different targets.

그 다음, 도달시간과 진입각에 따라 표적들 각각의 위협도를 수치화하여 평가한다(S140). 따라서, 수치화된 위협도를 통해 표적들의 위협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n, the threat level of each target is quantifi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and the approach angle (S14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s through the numerical threat level.

도달시간에 따른 표적들의 위협도를 수치화하기 위해, 도달시간에 따른 위협도를 나타내는 제1 위협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협지수는 999에서 도달시간을 뺀 값일 수 있다. 도달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으면 제1 위협지수의 값이 상대적으로 크고, 도달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면 제1 위협지수의 값이 상대적으로 작다. 도달시간이 짧은 표적일수록, 함정(1000)에 더 빠르게 도달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제1 위협지수로 나타나는 위협도가 높게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전투상황을 제1 위협지수에 반영하기 위해, 제1 위협지수를 산출할 때 교전 상수나 운용자 판단에 의해 적용되는 운용자 가중치를 반영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quantify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s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a first threat index indicating the threat level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may be calculated. For example, the first threat index may be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arrival time from 999. When the arrival time is relatively short, the value of the first threat index is relatively large, and when the arrival time is relatively long, the value of the first threat index is relatively small. Since it means that the shorter the arrival time of the target, the faster it arrives at the ship 1000 , so the threat level indicated by the first threat index may be determined to be high. In this case, in order to reflect the battle situation in the first threat index, when calculating the first threat index, the engagement constant or operator weight applied by operator judgment may be reflected.

진입각에 따른 표적들의 위협도를 수치화하기 위해, 진입각에 따른 위협도를 나타내는 제2 위협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협지수는 999에서 도달시간은 뺀 후, 100에서 진입각을 뺀 백분율 값을 곱한 값일 수 있다. 진입각이 작은 표적일수록, 이동방향이 함정(1000)을 향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제2 위협지수로 나타나는 위협도가 높게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전투상황을 제2 위협지수에 반영하기 위해, 제2 위협지수를 산출할 때 교전 상수나 운용자 판단에 의해 적용되는 운용자 가중치를 반영할 수도 있다.In order to quantify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s according to the angle of entry, a second threat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threat according to the angle of entry may be calculated. For example, the second threat index may be a value multiplied by a percentag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entry angle from 100 after the arrival time is subtracted from 999. The smaller the target angle of entry, the higher the level of threat indicated by the second threat index can be determined because it means that the moving direction is toward the ship 1000 . In this case, in order to reflect the battle situation in the second threat index, when calculating the second threat index, the engagement constant or operator weight applied by operator judgment may be reflected.

또한, 제1 위협지수와 제2 위협지수를 합산하여 최종 위협지수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위협지수와 상기 제2 위협지수를 합산하기 위해, 하기의 식(4)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al threat index may be determined by adding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In order to add up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the following equation (4) may be used.

식(4): (999 - (T × C) + W1) + ((999 - (T × C) + W2) × (100 - 진입각)%)Equation (4): (999 - (T × C) + W1) + ((999 - (T × C) + W2) × (100 - angle of entry)%)

여기서, T는 도달시간이고, C는 교전 상수이고, W1과 W2는 운용자의 판단에 의해 적용되는 운용자 가중치이다. 운용자는 제1 위협지수인 W1과 제2 위협지수의 가중치인 W2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협지수와 제2 위협지수를 합하여 최종 위협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최종 위협지수는 제1 위협지수와 제2 위협지수가 합쳐진 0 내지 2000의 지수로 표시된다.Here, T is the arrival time, C is the engagement constant, and W1 and W2 are operator weights applied by the operator's judgment. The operator can set W1, which is the first threat index, and W2, which is the weight of the second threat index, differently. Therefore, the final threat index can be calculated by adding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Accordingly, the final threat index is expressed as an index of 0 to 2000 in which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are combined.

그 다음, 감지된 표적들을 최종 위협지수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다. 작성된 데이터는 표적들에 대한 사격계획을 수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에서 위에 있는 순서대로 표적들에 대응하도록 발사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Then, the detected targets can be sorted and dataized in the order of highest final threat index. The created data can be used to establish a firing plan for the target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auncher 110 to correspond to the targets in the order above in the data.

이처럼 표적들의 도달시간과 진입각을 분석하여 표적들의 위협을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함정(1000)이 위협도가 높은 순으로 표적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함정(1000)이 표적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함정(1000)의 생존력이 향상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calculate the threat of the targets by analyzing the arrival time and angle of entry of the targets. Accordingly, the ship 1000 may respond to the targets in the order of the highest threat. Accordingly, since the ship 1000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 targets, the survivability of the ship 1000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such,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ombinations between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함정전투체계 110: 발사장치
120: 위협평가장치 121: 위치측정부
122: 시간예측부 123: 산출부
124: 위협평가부 130: 사격계획수립장치
200: 함정 본체 1000: 함정
100: warship combat system 110: launch device
120: threat assessment device 121: location measurement unit
122: time prediction unit 123: calculation unit
124: threat assessment unit 130: fire planning device
200: trap body 1000: trap

Claims (13)

삭제delete 함정에 구비되는 위협평가장치로서,
표적과 상기 함정 사이의 거리정보, 상기 표적의 속도정보, 및 상기 표적의 방향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측정부;
상기 거리정보와 상기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이 함정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시간예측부;
상기 표적의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의 진입각을 산출할 수 있는 산출부; 및
상기 도달시간과 상기 진입각에 따라 상기 표적의 위협도를 수치화할 수 있는 위협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협평가부는,
상기 도달시간에 따른 위협도를 나타내는 제1 위협지수를 연산할 수 있는 제1 연산기,
상기 진입각에 따른 위협도를 나타내는 제2 위협지수를 연산할 수 있는 제2 연산기, 및
상기 제1 위협지수와 상기 제2 위협지수를 합산하여 최종 위협지수를 판단할 수 있는 합산기를 포함하는 위협평가장치.
As a threat assessment device provided on a ship,
a position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target and the ship, speed information of the target,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a time predictor capable of predicting an arrival time required for the target to reach the ship by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a calculator capable of calculating an approach angle of the target by u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and
A threat assessment unit capable of quantifying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and the angle of entry;
The threat assessment unit,
a first calculator capable of calculating a first threat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threat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a second calculator capable of calculating a second threat index representing the degree of threat according to the angle of entry; and
and a totalizer capable of determining a final threat index by summing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간예측부는 하기의 식(1)을 이용하여 상기 도달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위협평가장치.
식(1): T = D / V
(여기서, T는 도달시간, D는 상기 표적과 상기 함정 사이의 거리값, V는 상기 표적의 속도값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time prediction unit is a threat assessment device capable of predicting the arrival tim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Equation (1): T = D / V
(Where T is the arrival time, D is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target and the ship, and V is the speed value of the target)
삭제dele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산기는 하기의 식(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협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위협평가장치.
식(2): 제1 위협지수 = 999 - (T × C) + W
(여기서, T는 도달시간, C는 교전 상수, W는 가중치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alculator is a threat assessment device capable of calculating the first threat index by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2).
Equation (2): 1st threat index = 999 - (T × C) + W
(where T is the arrival time, C is the engagement constant, and W is the weigh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산기는 하기의 식(3)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위협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위협평가장치.
식(3): 제2 위협지수는 = (999 - (T × C) + W) × (100 - 진입각)%
(여기서, T는 도달시간, C는 교전 상수, W는 가중치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calculator is a threat assessment device capable of calculating the second threat index by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3).
Equation (3): The second threat index is = (999 - (T × C) + W) × (100 - angle of entry)%
(where T is the arrival time, C is the engagement constant, and W is the weight)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표적과 상기 함정 사이의 직선거리를 나타내는 조준선, 및 상기 표적의 침로를 나타내는 침로선 사이의 각도를 상기 진입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위협평가장치.
7.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 3, 5, and 6,
The calculation unit,
A threat assessment device capable of calculating an angle between a line of sight indicating a straight-lin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and the ship and a course line indicating the course of the target as the angle of entry.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정부는,
복수개의 표적의 위치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레이더를 포함하는 위협평가장치.
7.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 3, 5, and 6,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 threat assessment device including a radar capable of tracking the location of a plurality of targets at the same time.
함정에 구비되는 함정전투체계로서,
표적으로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는 발사장치;
표적들의 위협도를 수치화하여 평가할 수 있는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위협평가장치; 및
상기 위협평가장치의 평가결과에 따라 표적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표적부터 발사체를 발사하도록 상기 발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사격계획수립장치;를 포함하는 함정전투체계.
As a ship combat system provided on a ship,
a launcher capable of firing a projectile at a target;
The threat assessment device of any one of claims 2, 3, 5, and 6 that can numerically evaluate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s; and
and a firing plan establishment device capable of setting priorities of target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threat assessment devi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unch device to fire a projectile from a target having a higher priority.
표적들을 감지하는 과정;
감지된 표적들 각각과 함정 사이의 거리정보, 상기 표적들 각각의 속도정보, 및 상기 표적들 각각의 방향정보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거리정보와 상기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들 각각이 함정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도달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표적들 각각의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적들 각각의 진입각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도달시간과 상기 진입각에 따라 상기 표적들 각각의 위협도를 수치화하여 평가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표적들의 위협도를 수치화하는 과정은,
상기 도달시간에 따른 위협도를 나타내는 제1 위협지수를 연산하는 과정,
상기 진입각에 따른 위협도를 나타내는 제2 위협지수를 연산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위협지수와 상기 제2 위협지수를 합산하여 최종 위협지수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위협평가방법.
the process of detecting targets;
measur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each of the detected targets and the ship, speed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rgets,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rgets;
predicting an arrival time required for each of the targets to reach the ship by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n approach angle of each of the targets by u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targets; and
The process of quantifying and evaluating the threat level of each of the targets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and the approach angle;
The process of quantifying the threat level of the targets is
The process of calculating a first threat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threat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The process of calculating a second threat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threat according to the angle of entry; and
and determining a final threat index by adding up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표적들의 진입각을 산출하는 과정은,
표적과 상기 함정 사이의 직선거리를 나타내는 조준선, 및 표적의 침로를 나타내는 침로선 사이의 각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위협평가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angle of entry of the targets is
A threat assess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an angle between a line of sight indicating a straight-line distance between a target and the ship, and a course line indicating the course of the target.
삭제delet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위협지수와 상기 제2 위협지수를 합산하는 과정은,
하기의 식(4)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위협지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위협평가방법.
식(4): (999 - (T × C) + W) + ((999 - (T × C) + W) × (100 - 진입각)%)
(여기서, T는 도달시간, C는 교전 상수, W는 가중치임)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 of adding up the first threat index and the second threat index is:
A threat assessment method comprising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final threat index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4).
Equation (4): (999 - (T × C) + W) + ((999 - (T × C) + W) × (100 - angle of entry)%)
(where T is the arrival time, C is the engagement constant, and W is the weight)
KR1020210028004A 2021-03-03 2021-03-03 Threat assessment apparatus using approach angle,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threat assessment method using approach angle KR1022795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004A KR102279590B1 (en) 2021-03-03 2021-03-03 Threat assessment apparatus using approach angle,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threat assessment method using approach ang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004A KR102279590B1 (en) 2021-03-03 2021-03-03 Threat assessment apparatus using approach angle,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threat assessment method using approach ang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590B1 true KR102279590B1 (en) 2021-07-20

Family

ID=7712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004A KR102279590B1 (en) 2021-03-03 2021-03-03 Threat assessment apparatus using approach angle,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threat assessment method using approach ang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59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819B1 (en) * 2021-09-27 2022-08-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ir threats determining apparatus and combined engagement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258A (en) * 2005-06-24 2006-12-2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Method for evaluating threat of surface tracks
KR20070101582A (en) * 2006-04-11 2007-10-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ir defence firing control system
KR102012466B1 (en) 2019-06-03 2019-10-21 한화시스템(주)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at evaluation based on zone defen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258A (en) * 2005-06-24 2006-12-2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Method for evaluating threat of surface tracks
KR20070101582A (en) * 2006-04-11 2007-10-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ir defence firing control system
KR102012466B1 (en) 2019-06-03 2019-10-21 한화시스템(주)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at evaluation based on zone defen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819B1 (en) * 2021-09-27 2022-08-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ir threats determining apparatus and combined engagement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4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at evaluation based on zone defense
KR102279590B1 (en) Threat assessment apparatus using approach angle, warship combat system having the same, and threat assessment method using approach angle
KR102510468B1 (en) Warship defense system and warship defense method
RU2374596C1 (en) Spaced radiolocating system for detection, escort and illumination of targets
US6977593B2 (en) Method for assuring safety during firing exercises with live ammunition
KR20160019909A (en) Method of fire control for gun-based anti-aircraft defence
KR1023039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target of close in weapon system
KR102279591B1 (en) Target impact measuring apparatus and target impact measuring method
US201300500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assessing a potential target
CN112417653A (en) Method for establishing ship-air missile interception model
KR1024921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Threat for Proximity High-speed Targets
KR102432819B1 (en) Air threats determining apparatus and combined engagement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RU2571530C1 (en) Increasing self-propelled craft weapons fire efficiency
KR101403506B1 (en) Integrated warfare system for Torpedo Acoustic Counter Measure of a target and Method thereof
KR102325953B1 (en) Method for hitting rate, apparatus for hitting rate and surface vehicle
KR10248964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realtime Hit Probabilities to Antiair Target based on Shot Groups Proability Model
KR20130029255A (en) Armament system interworking with imag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30018197A (en) System for estimating and attacking threat based on regional protection
JP2011190945A (en) Shooting control device
Chen et al. Simulation-based effectiveness analysis of acoustic countermeasure for ship formation
KR102510469B1 (en) Warship defense system and warship defense method
KR102480563B1 (en) Calculation and display method of the impact point of anti-air firing of naval gun, and method therefor
KR102578568B1 (en) Threat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for anti-air target in surface fleet combat system
CN111090828B (en) Missile launching zone defining method and system under ship-to-air missile cooperative mode
KR1024921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kill ratio of CI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