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360B1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Google Patents

대전차 유도 미사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360B1
KR102279360B1 KR1020200111277A KR20200111277A KR102279360B1 KR 102279360 B1 KR102279360 B1 KR 102279360B1 KR 1020200111277 A KR1020200111277 A KR 1020200111277A KR 20200111277 A KR20200111277 A KR 20200111277A KR 102279360 B1 KR102279360 B1 KR 10227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le
target
tank
camera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 조나단
Original Assignee
화이트박스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트박스로보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이트박스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1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360B1/ko
Priority to PCT/KR2021/010601 priority patent/WO20220505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2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based on continuous observation of target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2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based on continuous observation of target position
    • F41G7/22Homing guidance systems
    • F41G7/2253Passive homing systems, i.e. comprising a receiver and do not requiring an active illumination of the targ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9/00Systems for controlling missiles or projecti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42B15/01Arrangements thereon for guidance or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48Infrared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차 유도 미사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자동으로 타겟(전차)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는 대전차 유도 미사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겟 전차를 파괴하기 위한 대전차 유도 미사일에 있어서, 미사일 컨테이너(missile container)와 상기 미사일 컨테이너에서 발사되며 후면에 적외선 발광부가 설치된 미사일; 상기 발사된 미사일의 적외선 발광부 신호를 촬영하는 방식으로 상기 미사일을 트래킹(tracking)하기 위한 제1카메라를 포함하는 미사일 트래킹부; 상기 타겟 전차의 움직임을 트래킹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타겟 전차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영상을 제공하며 팬(좌우회전)/틸트(상하회전) 기능이 포함된 반사체를 포함하는 타겟 트래킹부; 상기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를 수용하며 상기 제1카메라와 상기 반사체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조작자(operator)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싱을 팬/틸트하기 위한 구동수단; 발사된 미사일이 타겟 전차를 타격할 수 있도록 미사일 트래킹부, 타겟 트래킹부 및 상기 미사일의 궤적을 제어하며, 이때 제2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타겟 전차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타겟 전차가 상기 제2카메라의 렌즈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타겟 트래킹부의 반사체를 구동하고, 상기 반사체의 구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의 이동정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미사일의 이동궤적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 정보를 미사일에 전달하여 상기 미사일의 궤적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상기 미사일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수단; 상기 옵티컬 시스템, 제어부, 미사일 컨테이너와 미사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차 유도 미사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전차 유도 미사일{Anti-Tank Guided Missile}
본 발명은 대전차 유도 미사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자동으로 타겟(전차)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는 대전차 유도 미사일에 관한 것이다.
대전차 유도 미사일 시스템은 미사일의 궤적을 유도함으로써 이동하는 타겟인 전차(Tank)를 타격하는 시스템이다. 대전차 유도 미사일의 대략적인 형태는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옵티컬 시스템(1), 제어부(2), 미사일 컨테이너(3; 미사일 수용부), 미사일(4), 지지부(5; Tripod)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사진에서 미사일(4)은 별도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미사일의 형태를 보이기 위한 사진이고 실제로는 미사일 컨테이너(3)에 수용되어 있다가 제어부(2)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발사된다.
대전차 유도 미사일 관련 기술은 1세대부터 3세대로 진화하여 왔다. 1세대 대전차 유도 미사일은 매뉴얼(manual) 방식으로 조작을 하는 사람(operator)이 미사일과 타겟의 움직임을 동시에 추적해야 했다. 이 시스템을 제대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작을 하는 사람에 대한 훈련과 연습이 필요했고 조작자의 숙련도에 따라 명중율이 결정되었는데 실제 전투에서 명중율이 2%정도인 경우도 있었고, 25%이상의 명중율을 기록하는 경우는 없었다.
2세대 대전차 유도 미사일은 반자동(semi-automatic) 방식으로 조작자(operator)는 미사일이 타겟을 향해 날아가는 동안 모니터 화면 속의 타겟이 움직일 때 그 타겟이 모니터의 특정 포인트에 위치하도록 조작하고 이러한 조작 신호에 의해 미사일의 궤적을 조절하여 미사일이 타겟을 향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2세대 대전차 유도 미사일 시스템은 조작자가 타겟의 움직임만을 추적하면 되기 때문에 이상적인 환경에서 2세대 대전차 유도 미사일의 정확도는 90%까지 올라갔지만 실제 전투현장에서 미사일의 정확도는 이상적인 상황에 비해서 낮은데 이는 실제 전투 현장에서는 대전차 유도 미사일이 발사되는 경우 상대방이 미사일의 궤적을 추적하여 발사지점을 파악하고 발사지점으로 총격이나 포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자가 집중력을 잃거나 사망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3세대 대전차 유도 미사일은 조작자의 조작이 필요없는 시스템으로서 미사일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에 촬영된 타겟이 움직이는 경우 자동으로 이를 추적하여 미사일이 움직이는 타겟을 향하게 하는 방식으로 1세대나 2세대 대전차 유도 미사일에 비하여 정확도는 현저히 올라간다.
하지만 3세대 대전차 유도 미사일은 높은 제작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현재 사용되는 대전차 유도 미사일 시스템의 한가지 예에서 미사일은 80m/s의 속도로 출발하여 평균 208m/s, 최대 300m/s의 속도로 타겟을 향해 이동한다. 최대 사거리는 4km이며 최고속도 60km/h 움직이는 타겟을 타격할 수 있다. 사거리가 4km인 경우 타겟에 도달하는 시간은 19초 정도이다.
본 발명은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 비용으로 제작하면서도 3세대 대전차 유도 미사일처럼 자동으로 타겟을 추적할 수 있고 조작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대전차 유도 미사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타겟 전차를 파괴하기 위한 대전차 유도 미사일에 있어서,
미사일 컨테이너(missile container)와 상기 미사일 컨테이너에서 발사되며 후면에 적외선 발광부가 설치된 미사일;
상기 발사된 미사일의 적외선 발광부 신호를 촬영하는 방식으로 상기 미사일을 트래킹(tracking)하기 위한 제1카메라를 포함하는 미사일 트래킹부;
상기 타겟 전차의 움직임을 트래킹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타겟 전차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영상을 제공하며 팬(좌우회전)/틸트(상하회전) 기능이 포함된 반사체를 포함하는 타겟 트래킹부;
상기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를 수용하며 상기 제1카메라와 상기 반사체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조작자(operator)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싱을 팬/틸트하기 위한 구동수단;
발사된 미사일이 타겟 전차를 타격할 수 있도록 미사일 트래킹부, 타겟 트래킹부 및 상기 미사일의 궤적을 제어하며, 이때 제2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타겟 전차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타겟 전차가 상기 제2카메라의 렌즈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타겟 트래킹부의 반사체를 구동하고, 상기 반사체의 구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의 이동정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미사일의 이동궤적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 정보를 미사일에 전달하여 상기 미사일의 궤적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상기 미사일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수단;
상기 옵티컬 시스템, 제어부, 미사일 컨테이너와 미사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차 유도 미사일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타겟 전차가 이동하여 상기 모니터의 중심을 벗어나면 모니터 상에서 이동한 타겟 전차를 포착하여 상기 모니터의 중앙과 모니터 상의 이동한 타겟 전차 사이의 픽셀수를 확인함으로써 타겟 전차의 이동거리를 계산하고, 이 이동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체를 팬 또는 틸트하여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2카메라의 렌즈 중심에서 상기 타겟 전차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타겟 전차를 모니터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카메라는 열화상 카메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세대 미사일처럼 미사일에 카메라를 장착하지 않고 2세대 미사일 발사대에 몇 가지 간단한 구성을 더함으로써 낮은 생산 비용으로 제작하면서도 3세대 대전차 유도 미사일과 같이 자동으로 타겟을 추적할 수 있고, 모니터 상의 타겟 전차를 향한 발사 신호를 생성한 후에는 추가적인 조작이 필요없어서 조작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대전차 유도 미사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전차 유도 미사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대전차 유도 미사일의 제1카메라, 제2카메라 및 케이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내부에 수용되는 반사체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모니터에 타겟 전차가 표시된 하나의 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대전차 유도 미사일의 제1카메라, 제2카메라 및 케이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내부에 수용되는 반사체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모니터에 타겟 전차가 표시된 하나의 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전차 유도 미사일은 타겟 전차를 파괴하기 위하여 미사일을 발사하는 장치로서, 미사일 컨테이너, 미사일, 미사일 트래킹부, 타겟 트래킹부, 케이싱, 모니터, 구동수단, 제어부,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미사일 컨테이너는 상기 미사일이 발사되기 전에 수용되는 공간이다.
상기 미사일은 상기 미사일 컨테이너에 수요오디어 있다가 조작자의 발사 신호에 의해 발사되며, 후면(공격 방향의 반대쪽 면)에는 적외선 발광부가 설치되어 있다. 미사일이 비행할 때에는 초당 5-7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수신하는 타겟 전차의 이동에 맞추어 미사일의 이동궤적을 수정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미사일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대전차 유도 미사일에 사용되는 미사일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전술한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미사일 트래킹부는 발사된 미사일의 적외선 발광부 신호를 촬영하여 상기 미사일을 트래킹하는 구성으로서 제1카메라(10)을 포함하고 있다. 제1카메라(10)는 효과적으로 적외선 발광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적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의 빛에 민감한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겟 트레킹부는 상기 타겟 전차의 움직임을 트래킹하여 타겟 전차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미사일에 제공하여 미사일의 이동 궤적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카메라(20)와 반사체(30; 거울)를 포함한다.
상기 제2카메라(20)는 렌즈(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야간이나 안개 상황과 같이 시야가 확보되기 어려운 시간에도 타겟 전차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사체(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좌우회전)/틸트(상하회전) 기능이 포함된 거울로서 팬이나 틸트 같은 회전 기능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현된다. 팬(좌우회전) 기능은 반사체(30)를 지지하는 벽체(31)에 의해 구현되고 틸트(상하회전) 기능은 반사체(30)를 직접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도면에 있는θh는 좌우회전 각을, θh는 상하회전 각을 각각 의미한다.
상기 케이싱(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카메라(10), 제2카메라(20) 및 반사체(30)를 수용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1카메라(10)와 반사체(30)를 통하여 제2카메라(20)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제1카메라(10)의 렌즈와 반사체(30)에 각각 대응되는 구멍(41,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는 상기 제2카메라(20)의 촬영 영상을 조작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이다. 모니터의 중심과 제2카메라(20)의 중심은 일치하도록 사전에 조정되며, 제어부에 의해 계속해서 일치하도록 제어된다. 도 4는 모니터에 타겟 전차(T)가 표시된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케이싱(40)을 팬/틸트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조작자가 다이얼을 회전시킴으로써 케이싱(40)의 구동이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구동수단 역시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대전차 유도 미사일에 사용되는 구동수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전술한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발사된 미사일이 타겟 전차를 타격할 수 있도록 미사일 트래킹부, 타겟 트래킹부 및 통신수단을 제어하고 최종적으로는 상기 미사일의 궤적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발사된 미사일의 궤적을 조절하여 미사일이 타겟 전차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타겟 전차의 이동 궤적을 트래킹하여 미사일에 전달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타겟 전차를 트래킹하기 위해 제2카메라(20)로 이동하는 타겟 전차를 촬영하는데, 타겟 전차가 미사일 발사 시점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2카메라(20)가 이동하는 타겟 전차를 트래킹하면서 촬영함하여 타겟 전차의 이동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조작자가 타겟 전차를 요격하기 위하여 미사일을 발사하는 시점에는 타겟 전차가 제2카메라(20)의 렌즈 중심(조작자는 모니터를 보면서 타겟 전차를 조준하게 되므로 제2카메라(20)의 중심과 모니터의 중심은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하 제2카메라의 중심과 모니터 중심은 혼용하도록 한다)에 위치한 상태인데 타겟 전차가 이동하여 모니터의 중심에서 벗어나면 모니터 상의 타겟 전차의 중심과 모니터의 중심 사이의 픽셀수를 계산하고,
타겟 전차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고 이 거리를 토대로 반사체(30)를 회전시킴으로써 타겟 전차가 모니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다. 모니터 상에서 물체를 인식(detection)하는 알고리듬(algorithm)은 공개된 것이 많으므로 사용에 적절한 알고리듬을 채용하여 모니터에서 타겟 전차를 인식하고 모니터 상에서 타겟 전차가 움직이는 정도(픽셀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타겟 전차가 이동하면 반사체(30)가 회전함으로써 제2카메라는 계속해서 타겟 전차를 촬영하게 되며 제2카메라의 중심에 타겟 전차가 포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겟을 트래킹한다.
반사체(30)를 회전시키는 정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우선 대전차 유도 미사일의 최대 유효 사거리는 4km이며, 60km/h로 움직이는 전차까지 타격이 가능하다. 미사일의 평균 속도(300m/s)를 고려하면 미사일이 4km를 비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9초이다.
4km밖에 있는 타겟 전차가 60km/h의 속도로 타겟라인(미사일이 발사될 때 대전차 유도 미사일과 타겟 전차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반사체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대해 계산해보기로 한다.
타겟 전차가 19초 동안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316m이고, 이는 타겟라인에 대하여 4,5°이다. 19초 동안 4.5°를 회전시킨다고 가정할 때 반사체를 회전(틸트)시키는 각속도는 0.24°/s이다.
물론 타겟 전차의 이동속도가 앞서 설정한 속도인 60km/h에 비해 느리게 이동하면 이에 맞추어 반사체를 회전시키는 각속도를 줄여야 한다. 반대로 타겟 전차가 가까이에 있고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 반사체(30)를 회전시키는 각속도를 올려야 하는데, 예를 들어 타겟 전차와의 거리가 500m이면 1,90°/s의 속도로 반사체를 회전시켜야 한다.
반사체(30)는 제2카메라(20)에 비하여 훨씬 가벼우므로 반사체(30)를 회전시키는 것은 제2카메라(20) 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동력을 소모한다. 또한, 반사체(30)를 회전시키는 것은 제2카메라(20)를 회전시키는 것에 비하여 작고 가벼운 크기의 모터로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로 인해 적은 생산비용, 장비의 경량화 등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사체를 회전시켜 어떤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회전각도에 따라 화각(촬영할 수 있는 각도)가 줄어들거나 상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 4.5도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 정도의 회전으로는 화각이 줄어들거나 상의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2카메라(20)를 회전시키지 않고 반사체(3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타겟 전차의 촬영이 가능하다.
제2카메라(20)를 이용하여 타겟 전차를 계속 촬영하면서 타겟 전차의 움직임을 트래킹하고 이에 의해 계산된 타겟 전차의 이동경로는 통신수단에 의해 미사일에 전달되며, 이 이동경로 정보에 의해 미사일의 궤적을 조절하여 미사일이 타겟 전차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상기 미사일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미사일과 제어부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와이어는 미사일의 사거리를 커버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길이로 제작되어 제공되며 와이어가 통신선의 역할을 한다. 물론 무선 통신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미사일 컨테이너, 미사일, 제1카메라를 포함하는 미사일 트래킹부, 모니터, 구동수단, 통신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2세대 대전차 유도 미사일에 적용되는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도면이나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대전차 유도 미사일을 사용하여 타겟 전차를 타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우선 조작자(Operator)는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타겟 전차(T)가 모니터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케이싱(40)을 적절히 회전시킨 후 미사일을 발사한다. 미사일이 발사되면 대전차 유도 미사일 장치의 위치가 추적되며 반격하는 발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조작자는 바로 피신을 하도록 한다.
만약 타겟 전차가 이동하여 모니터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제어부에 의해 타겟 전차의 움직임을 확인하면서(타겟 전차의 움직임을 확인하는 메커니즘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니터의 중심과 모니터 상에 있는 타겟 전차 사이의 픽셀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반사체(30)가 팬/또는 틸트되면서 제2카메라(20)의 중심에 타겟 전차를 위치시키면서 제2카메라(20)는 계속해서 타겟 전차를 촬영하게 된다.
제어부는 타겟 전차의 움직임 정보를 반사체(30)를 팬/틸트하는데 사용할 뿐만 아니라 미사일에 통신수단(와이어)에 의해 전달함으로써 미사일의 비행 궤적을 수정하여 타겟 전차를 미사일이 타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그 실시예에 의한 타겟 전차의 타격과정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대전차 유도 미사일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 : 제1카메라 20 : 제2카메라
30 : 반사체 40 : 케이싱

Claims (3)

  1. 타겟 전차를 파괴하기 위한 대전차 유도 미사일에 있어서,
    미사일 컨테이너(missile container)와 상기 미사일 컨테이너에서 발사되며 후면에 적외선 발광부가 설치된 미사일;
    상기 발사된 미사일의 적외선 발광부 신호를 촬영하는 방식으로 상기 미사일을 트래킹(tracking)하기 위한 제1카메라를 포함하는 미사일 트래킹부;
    상기 타겟 전차의 움직임을 트래킹하여 미사일에 타겟 전차의 움직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타겟 전차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와 상기 제2카메라에 영상을 제공하며 팬(좌우회전)/틸트(상하회전) 기능이 포함된 반사체를 포함하는 타겟 트래킹부;
    상기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 및 상기 반사체를 수용하며 상기 제1카메라와 상기 반사체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조작자(operator)에게 제공하는 모니터;
    상기 케이싱을 팬/틸트하기 위한 구동수단;
    발사된 미사일이 타겟 전차를 타격할 수 있도록 미사일 트래킹부, 타겟 트래킹부 및 상기 미사일의 궤적을 제어하며, 이때 제2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타겟 전차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타겟 전차가 상기 제2카메라의 렌즈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타겟 트래킹부의 반사체를 구동하고, 상기 반사체의 구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의 이동정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미사일의 이동궤적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 정보를 미사일에 전달하여 상기 미사일의 궤적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상기 미사일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수단;
    옵티컬 시스템, 제어부, 미사일 컨테이너와 미사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차 유도 미사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타겟 전차가 이동하여 상기 모니터의 중심을 벗어나면 모니터 상에서 이동한 타겟 전차를 포착하여 상기 모니터의 중앙과 모니터 상의 이동한 타겟 전차 사이의 픽셀수를 확인함으로써 타겟 전차의 이동거리를 계산하고, 이 이동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체를 팬 또는 틸트하여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2카메라의 렌즈 중심에서 상기 타겟 전차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타겟 전차를 모니터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차 유도 미사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메라는 열화상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차 유도 미사일.


KR1020200111277A 2020-09-01 2020-09-01 대전차 유도 미사일 KR10227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277A KR102279360B1 (ko) 2020-09-01 2020-09-01 대전차 유도 미사일
PCT/KR2021/010601 WO2022050588A1 (ko) 2020-09-01 2021-08-10 대전차 유도 미사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277A KR102279360B1 (ko) 2020-09-01 2020-09-01 대전차 유도 미사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360B1 true KR102279360B1 (ko) 2021-07-20

Family

ID=7712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277A KR102279360B1 (ko) 2020-09-01 2020-09-01 대전차 유도 미사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9360B1 (ko)
WO (1) WO20220505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588A1 (ko) * 2020-09-01 2022-03-10 화이트박스 로보틱스 주식회사 대전차 유도 미사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166A (ko) * 1995-07-28 1997-02-21 임장순 가스보일러용 3way valve 내장형 펌프 하우징
JP2000508053A (ja) * 1997-09-30 2000-06-27 レイセオン・カンパニー 誘導発射体により使用されるインパルスレーダ誘導装置および方法
KR20150053014A (ko) * 2013-11-07 2015-05-15 정영규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한 미사일 네비게이션 시스템, 그리고 물체 탐지 및 추적 방법
KR102005100B1 (ko) * 2018-12-14 2019-10-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소형 지상 레이저 표적 지시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360B1 (ko) * 2020-09-01 2021-07-20 화이트박스로보틱스 주식회사 대전차 유도 미사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166A (ko) * 1995-07-28 1997-02-21 임장순 가스보일러용 3way valve 내장형 펌프 하우징
JP2000508053A (ja) * 1997-09-30 2000-06-27 レイセオン・カンパニー 誘導発射体により使用されるインパルスレーダ誘導装置および方法
KR20150053014A (ko) * 2013-11-07 2015-05-15 정영규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한 미사일 네비게이션 시스템, 그리고 물체 탐지 및 추적 방법
KR102005100B1 (ko) * 2018-12-14 2019-10-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소형 지상 레이저 표적 지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588A1 (ko) * 2020-09-01 2022-03-10 화이트박스 로보틱스 주식회사 대전차 유도 미사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588A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9347B1 (en) Dual elevation weapon station and method of use
US4787291A (en) Gun fire control system
US9488442B2 (en) Anti-sniper targeting and detection system
US5123327A (en) Automatic turret tracking apparatus for a light air defense system
KR100963681B1 (ko) 원격 화기 사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US201502763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ES2753184T3 (es) Dispositivo de puntería para arma de fuego, arma de fuego y procedimiento para alinear un arma de fuego
KR102279360B1 (ko) 대전차 유도 미사일
KR101236719B1 (ko) 화포의 야간 운용 시스템에 적용된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4961619B2 (ja) 管制装置
AU2015238173B2 (en) Armed optoelectronic turret
RU2697939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ации целеуказания при прицеливании на вертолетном комплексе
CN106716050A (zh) 用于车辆和活动目标的导弹制导系统
CN110345809A (zh) 外接跟踪式激光收发机
RU162717U1 (ru) Корабельный малокалиберный высокоточный зенитный артиллерийский комплекс
KR101726681B1 (ko) 화기 거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경계 로봇
CN114043500B (zh) 一种带观瞄抓捕系统的滚动机器人及其观瞄抓捕方法
RU21653U1 (ru) Система целеуказания для группы переносных зенитных ракетных комплексов
JP7290733B2 (ja) 標的表示装置
WO20231706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gaging targets under all weather conditions using head mounted device
RU25077U1 (ru) Мобильный ракетный комплекс противовоздушной обороны
RU173642U1 (ru) Самоходная огневая установка
KR20230105162A (ko) 무인전투차량 및 이의 표적 검출 방법
JPH07174495A (ja) 照準合わせ方法及び装置
GB2530612A (en) Aiming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a gunner of a weap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