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297B1 -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297B1
KR102279297B1 KR1020190157580A KR20190157580A KR102279297B1 KR 102279297 B1 KR102279297 B1 KR 102279297B1 KR 1020190157580 A KR1020190157580 A KR 1020190157580A KR 20190157580 A KR20190157580 A KR 20190157580A KR 102279297 B1 KR102279297 B1 KR 102279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unit
joint
concrete pump
pump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8238A (ko
Inventor
김철호
정안목
안종욱
정대남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5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2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 E04G21/045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with boom vibration damper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36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mobile support, e.g. tru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8Counterweights, i.e. additional weights counterbalancing inertia forces induc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masses in the system, e.g. of pistons attached to an engine crankshaft; Attaching or mount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에 구비되는 복수의 관절부 중 임의의 관절부에 구비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동흡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에 장착되는 제1고정유닛, 상기 제1고정유닛과 이격되도록 상기 관절부에 장착되는 제2고정유닛, 일측이 상기 제1고정유닛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관절부와 비접촉된 상태로 구비되는 탄성유닛 및 상기 탄성유닛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소정 질량을 가지는 질량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Dynamic Absorber for Boom of Concrete Pumping Truck}
본 발명은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 특히 끝단부 붐의 관절부에 구비되어 진동주파수를 대응되도록 설정함에 따라 붐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펌프 트럭은 건설, 토목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고지대에 압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설기계이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펌프 트럭은 일반적으로 펌프의 힘을 이용하여 트럭믹서에 의해 수송된 콘크리트를 목표 지점까지 압송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펌프 트럭의 붐(Boom)은 콘크리트 압송을 위한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전개/절첩되는 복수의 관절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펌프 트럭은 주행 시 관절부를 절첩하여 길이를 최소화하며, 시공 현장에서는 고정된 상태로 관절부를 전개하여 길이를 증가시켜 압송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특성에 의해 관절부를 길게 전개한 상태에서는 콘크리트 압송 과정에서 심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붐의 끝단부로 갈수록 진동이 심해지므로,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콘크리트를 압송하기가 어려워지며, 진동으로 인해 근처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324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콘크리트 펌프 트럭을 이용한 콘크리트 압송 과정에서 붐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에 구비되는 복수의 관절부 중 임의의 관절부에 구비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동흡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에 장착되는 제1고정유닛, 상기 제1고정유닛과 이격되도록 상기 관절부에 장착되는 제2고정유닛, 일측이 상기 제1고정유닛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관절부와 비접촉된 상태로 구비되는 탄성유닛 및 상기 탄성유닛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소정 질량을 가지는 질량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에 구비되는 복수의 관절부 중 끝단부의 관절부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질량체는 상기 탄성유닛 상에서 위치 가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질량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유닛에 억지끼움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제1고정유닛과 상기 제2고정유닛 사이에서 연속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질량체와 상기 제1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질량체와 상기 제2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유닛 및 상기 제2고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관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유닛 및 상기 제2고정유닛은, 상기 관절부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관절부의 나머지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관절부의 제1측면을 감싸는 제1측면커버부, 상기 관절부의 상면 일부를 감싸는 제1상면커버부, 상기 관절부의 하면 일부를 감싸는 제1하면커버부, 상기 제1상면커버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체결부 및 상기 제1하면커버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관절부의 제2측면을 감싸는 제2측면커버부, 상기 관절부의 상면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제2상면커버부, 상기 관절부의 하면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제2하면커버부, 상기 제2상면커버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상부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상부체결부 및 상기 제2하면커버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하부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하부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제1상부체결부와 상기 제2상부체결부의 사이 또는 상기 제1하부체결부와 상기 제2하부체결부의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관절부에 구비되어 진동주파수를 대응되도록 설정함에 따라, 콘크리트 압송 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고정유닛과 제2고정유닛 간의 이격거리, 질량체의 위치, 질량체의 무게 및 탄성유닛의 탄성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시킴에 따라 진동주파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 상황에 적합하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붐의 진동을 저감시킴에 따라 붐의 요동으로 인한 근처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가 관절부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에 있어서, 제1고정유닛, 제2고정유닛 및 질량체의 위치 가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에 있어서, 제1고정유닛이 관절부 둘레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준비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주파수비에 따른 주파수 응답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100)가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절첩단위(10)에 포함되는 관절부(12)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10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100)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복수의 절첩단위(10, A~C...)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절첩단위(10)는 각각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절부(12) 및 압송호스(14)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100)는 관절부(12)에 장착된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100)는 제1고정유닛(110)과, 제2고정유닛(120)과, 탄성유닛(130)과, 질량체(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유닛(110)은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에 구비되는 복수의 관절부(12) 중 끝단부에 위치되는 관절부(12)에 장착되며, 상기 제2고정유닛(120)은 상기 제1고정유닛(110)과 이격되도록 상기 관절부(12)에 장착된다. 이는 끝단부에 위치되는 관절부(12)가 진동이 가장 심하게 발생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고정유닛(110) 및 상기 제2고정유닛(120)은 선택된 임의의 관절부(12), 특히 끝단부의 관절부(12)에 장착되되, 서로의 이격 거리는 해당 관절부(12)의 진동주파수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130)은 일측이 상기 제1고정유닛(11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유닛(120)에 연결되되, 상기 관절부(12)와 비접촉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탄성유닛(1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탄성플레이트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질량체(140)는 상기 탄성유닛(13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질량체(140)의 형태, 크기 및 무게 등은 이하 설명할 관절부(12)의 진동주파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100)는 장착되는 구조물, 즉 관절부(12)의 진동주파수에 동흡진장치(100)의 진동주파수를 대응되도록 맞추어 공진 시 관절부(12) 대신 상기 관절부(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을 하여 관절부(12)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진이 아닌 상황에서도, 가진주파수에 동흡진장치(100)의 진동주파수를 맞춘다면 마찬가지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제1고정유닛(110)과 제2고정유닛(120) 간의 이격거리, 질량체(140)의 위치, 질량체(140)의 무게 및 탄성유닛(130)의 탄성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가변시킴에 따라 진동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 상황에 용이하게 각 조건들을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고정유닛(110) 및 상기 제2고정유닛(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관절부(1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고정유닛(110) 및 상기 제2고정유닛(120)이 모두 상기 관절부(12)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어느 하나만이 슬라이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질량체(140)는 상기 탄성유닛(130) 상에서 위치 가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유닛(130) 상기 질량체(14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질량체(140)로부터 상기 제1고정유닛(110), 그리고 상기 질량체(140)로부터 상기 제2고정유닛(120) 사이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흡진장치(100) 전체의 진동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질량체(140)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유닛(130)에 억지끼움 형태로 고정된 형태를 가지나, 상기 질량체의 형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유닛(130)은 상기 제1고정유닛(110)과 상기 제2고정유닛(120) 사이에서 연속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질량체(14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별도의 부재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탄성유닛(130)은, 상기 질량체(140)와 상기 제1고정유닛(110)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130a)와, 상기 질량체(140)와 상기 제2고정유닛(120)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13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100)에 있어서, 제1고정유닛(110)이 관절부(12) 둘레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제1고정유닛(110)만을 대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도면에서 설명되는 제1고정유닛(110)의 구성 및 형태는 상기 제2고정유닛(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유닛(110)은, 상기 관절부(12)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110a)와, 상기 관절부(120)의 나머지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12)와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110b)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유닛(110)은 상기 관절부(12)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된 형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10a, 110b)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절부(12)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110a) 및 상기 제2고정부재(110b)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110a)의 경우, 상기 관절부(12)의 제1측면을 감싸는 제1측면커버부(111a)와, 상기 관절부(12)의 상면 일부를 감싸는 제1상면커버부(112a)와, 상기 관절부(12)의 하면 일부를 감싸는 제1하면커버부(113a)와, 상기 제1상면커버부(112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체결부(114a)와, 상기 제1하면커버부(113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체결부(115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재(110b)는 이와 선대칭되는 형태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관절부(12)의 제2측면을 감싸는 제2측면커버부(111b)와, 상기 관절부(12)의 상면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제2상면커버부(112b)와, 상기 관절부(12)의 하면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제2하면커버부(113b)와, 상기 제2상면커버부(112b)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상부체결부(114a)와 체결되는 제2상부체결부(114b)와, 상기 제2하면커버부(113b)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하부체결부(115a)와 체결되는 제2하부체결부(115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110a) 및 상기 제2고정부재(110b)는, 상기 제1상부체결부(114a)와 제2상부체결부(114b), 그리고 상기 제1하부체결부(115a)와 제2하부체결부(115b)가 각각 제1체결부재(C1) 및 제2체결부재(C2)에 의해 체결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C1) 및 상기 제2체결부재(C2)는 각각 볼트 및 너트의 형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1체결부재(C1) 및 상기 제2체결부재(C2)는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이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유닛(130)은 상기 제1상부체결부(114a)와 상기 제2상부체결부(114b)의 사이 또는 상기 제1하부체결부(115a)와 상기 제2하부체결부(115b)의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탄성유닛(130)의 고정 방식 역시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준비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주파수비에 따른 주파수 응답 그래프이다.
이상 설명한 본원발명은 소정의 구조물에 대하여 탄성체와 질량체으로 구성된 계를 부착하여 구조물의 진폭을 줄이는 장치이다.
도 5에는, 2 자유도계의 구성이 예시된다.
도 5의 예시에서는 제1질량체(질량=m1), 제1탄성부재(탄성력=k1), 제1감쇠기(감쇠값=C1)로 구성된 계에 동흡진장치의 제2질량체(질량=m2), 제2탄성부재(탄성력=k2), 제2감쇠기(감쇠값=C2)가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며, 또한 일정한 주파수 ω의 가진력이 제1질량체(질량=m1)에 가해지고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경우 콘크리트 펌프 트럭의 붐 구조 특성 상 감쇠가 상당히 작으므로 C1과 C2의 값은 0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2 자유도계에서 가진주파수 ω에 대해 제1질량체의 응답이 0이 되기 위해서는 동흡진장치의 제2질량체의 질량(m2)과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k2)이 다음과 같은 식을 만족해야 한다.
Figure 112019123821371-pat00001
동흡진장치가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면 이때 주파수 ω에 대해 제1질량체의 응답이 0이 되고, 제1질량체가 진동을 대신하게 되는 현상을 보인다.
제1질량체의 응답을 확인하기 위해 동흡진장치 부착 전 시스템의 진동주파수
Figure 112019123821371-pat00002
에 대해 새로운 계수
Figure 112019123821371-pat00003
를 정의한 다음 동흡진장치를 부착 후 β에 따른 제1질량체의 주파수 응답을 그려보면 도 6과 같이 나타난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동흡진장치 부착 후 ω에서 응답이 0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절첩단위
12: 관절부
14: 압송호스
100: 동흡진장치
110: 제1고정유닛
120: 제2고정유닛
130: 탄성유닛
140: 질량체

Claims (10)

  1.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에 구비되는 복수의 관절부 중 임의의 관절부에 구비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동흡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에 장착되는 제1고정유닛;
    상기 제1고정유닛과 이격되도록 상기 관절부에 장착되는 제2고정유닛;
    일측이 상기 제1고정유닛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관절부와 비접촉된 상태로 구비되는 탄성유닛; 및
    상기 탄성유닛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소정 질량을 가지는 질량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유닛 및 상기 제2고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관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에 구비되는 복수의 관절부 중 끝단부의 관절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는 상기 탄성유닛 상에서 위치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유닛에 억지끼움 형태로 고정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제1고정유닛과 상기 제2고정유닛 사이에서 연속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질량체와 상기 제1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질량체와 상기 제2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유닛 및 상기 제2고정유닛은,
    상기 관절부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관절부의 나머지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관절부의 제1측면을 감싸는 제1측면커버부;
    상기 관절부의 상면 일부를 감싸는 제1상면커버부;
    상기 관절부의 하면 일부를 감싸는 제1하면커버부;
    상기 제1상면커버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체결부; 및
    상기 제1하면커버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관절부의 제2측면을 감싸는 제2측면커버부;
    상기 관절부의 상면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제2상면커버부;
    상기 관절부의 하면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제2하면커버부;
    상기 제2상면커버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상부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상부체결부; 및
    상기 제2하면커버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하부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하부체결부;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제1상부체결부와 상기 제2상부체결부의 사이 또는 상기 제1하부체결부와 상기 제2하부체결부의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KR1020190157580A 2019-11-29 2019-11-29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KR102279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80A KR102279297B1 (ko) 2019-11-29 2019-11-29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80A KR102279297B1 (ko) 2019-11-29 2019-11-29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238A KR20210068238A (ko) 2021-06-09
KR102279297B1 true KR102279297B1 (ko) 2021-07-22

Family

ID=7641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580A KR102279297B1 (ko) 2019-11-29 2019-11-29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2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4099A (ja) * 2011-08-22 2013-03-04 Kobe Steel Ltd 油圧配管の振動防止装置及び振動防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8330B2 (ja) * 1994-01-31 1999-08-23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流体輸送用ブーム装置
JPH10246290A (ja) * 1997-03-03 1998-09-14 Mitsubishi Heavy Ind Ltd 振動吸収装置
KR20000013244U (ko) 1998-12-24 2000-07-15 추호석 콘크리트 펌프트럭의 붐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4099A (ja) * 2011-08-22 2013-03-04 Kobe Steel Ltd 油圧配管の振動防止装置及び振動防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238A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8044275A1 (en) Active dual reaction mass absorber for vibration control
WO1998044275A9 (en) Active dual reaction mass absorber for vibration control
CN107210688B (zh) 发电装置
US20060037822A1 (en) Device, a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ferring vibrational energy
WO2016086283A1 (en) Yielding link, particularly for eccentrically braced frames
KR102279297B1 (ko) 콘크리트 펌프 트럭용 붐의 동흡진장치
US10422442B2 (en) Method for suppression of resonant vibrations in subsea pipelines
CN103939521B (zh) 一种包含隔振器与非线性能量阱的被动混合减振装置及设计方法
EP3040496A1 (en) Structure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CN106451135A (zh) 电气设备用隔震装置
US6834753B2 (e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RU2277978C1 (ru) Вибросито резонансное
US2907811A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aerial cables
CN104005329A (zh) 一种振源恒压补偿系统及方法
CN204932652U (zh) 高空管道作业安全带悬挂装置
DE2905718C2 (de) Vibratorangetriebene Schüttgutförder- oder behandlungsrinne größerer Ausdehnung
RU2669981C1 (ru) Виброизолирующая подвеска трубопровода
JP2000240008A (ja) 動吸振器を備えた橋梁
CN208310251U (zh) 一种建筑施工悬挑式移动落料平台
KR101803742B1 (ko) 타원의 구속조건과 가변 길이형 외팔보 시스템을 이용한 동흡진기
JPH07157240A (ja) 油圧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2162973A (ja) 制振装置及び建物
US20070067929A1 (en) Bridge with minimized excited bridge vibrations
WO2023017013A1 (en) Load transfer interface, system for selectively applying a mechanical load to an object, method for designing a load transfer interface and method for driving an object into the ground
ムハマドシャジブ ウラ Dynamic behavior of steel pipe sheet pile found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