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257B1 - 치아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257B1
KR102279257B1 KR1020190110567A KR20190110567A KR102279257B1 KR 102279257 B1 KR102279257 B1 KR 102279257B1 KR 1020190110567 A KR1020190110567 A KR 1020190110567A KR 20190110567 A KR20190110567 A KR 20190110567A KR 102279257 B1 KR102279257 B1 KR 102279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tube body
orthodontic
rai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557A (ko
Inventor
노민기
Original Assignee
노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5144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21799B1/ko
Application filed by 노민기 filed Critical 노민기
Priority to KR102019011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25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5Locking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는 치아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와 연결되며 치아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홀(hole)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튜브(tube); 및 튜브에 결합하여 이동하며, 튜브 몸체의 홀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와이어를 수용하는 확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장치{ORTHODONTIC APPARATUS}
본 발명은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 교정치료는 치열의 점진적 이동을 통해 부정교합 등의 부정치열을 개선하는 치열교정시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치열교정시술의 경우, 브라켓(bracket)이나 튜브(tube) 등의 교정장치를 치아에 부착한 뒤 부정치열을 바로잡기 위한 교정용 와이어를 각 치아에 부착된 교정장치에 삽입하여 치료를 진행한다.
교정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치아의 이동이 발생하여 부정치열이 점진적으로 개선되는데, 이와 함께 치아를 따라 삽입된 교정용 와이어도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교정용 와이어가 최후방 교정장치로부터 밀려나오거나 교정장치 내에서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지 못하고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교정용 와이어의 날카로운 끝부분이 노출되므로, 이로 인해 구내의 연조직이 찢어지거나 손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1141호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치료 동안에 교정용 와이어로부터 구내의 연조직을 보호할 수 있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교정용 와이어의 이동량에 따라 적절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내 연조직과의 접촉에 따른 자극을 줄일 수 있는 외형으로 구성된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치료 진행 과정에서 교정용 와이어의 절단이나 교체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는, 치아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며 치아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홀(hole)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튜브(tube) 및 상기 튜브에 결합하여 이동하며, 상기 튜브 몸체의 홀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확장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튜브 몸체 일부에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치아 교정장치는 상기 확장부의 이동을 유도하는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은 상기 확장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레일 홈을 구비하며, 상기 치아 교정장치는 상기 레일 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 홈에 맞물리는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은 상기 확장부의 이동을 조정하는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튜브 몸체에 위치하며, 상기 블록 및 상기 클립은, 상기 확장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확장부에 위치하며, 상기 블록 및 상기 클립은, 상기 튜브 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는, 상기 튜브 몸체에 구비된 제1 결합부와 상기 확장부에 구비된 제2 결합부가 결합하여, 상기 결합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확장부가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각각 요부(凹部)와 철부(凸部)을 구비하여 상기 튜브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결합부에 상기 확장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가 각각 암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튜브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 및 상기 확장부의 후방 모서리의 적어도 하나는 둥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튜브 몸체에 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에 상기 튜브에 형성된 홀과 상응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에 형성된 홀은 상기 튜브 베이스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튜브 몸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튜브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상기 튜브 몸체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교정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교정용 와이어의 이동으로 인해 구내의 연조직이 손상되고 이에 따라 염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치료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불편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정 진행 상태나 치료 목적 등에 따라 교정용 와이어의 이동량을 반영하여 적절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맞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내 연조직과의 접촉에 따른 자극을 줄일 수 있는 외형으로 구성됨으로써, 교정장치로 인한 연조직 손상을 막을 수 있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료 진행 과정에서 교정용 와이어의 절단이나 교체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와이어에 대한 핸들링과 치과용 공구의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어서 치료 과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아 교정장치가 치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적용 가능한 확장부가 튜브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면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적용 가능한 확장부가 튜브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치아 교정장치가 치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아 교정 치료 시 치아 배열을 바로잡아 주기 위해 치열을 따라 설치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10, 이하 와이어라 함)와 치아에 부착되어 와이어(10)를 지지하는 치아 교정장치(20)가 필요하다. 이때, 치아 교정장치(20)는 예컨대 튜브(tube), 브라켓(bracket) 등 교정 치료 목적에 맞는 구조물일 수 있다. 각각 해당 치아에 맞는 치아 교정장치(20)가 치아에 설치되고, 설치된 치아 교정장치(20)에 와이어(10)가 삽입되어 치아 교정 치료가 진행된다.
치아 교정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치아 배열이 점차 달라져 치아가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10)도 함께 이동한다. 특히 정상적인 교정치료를 위해서는 배열이 고르지 않은 치아가 재배치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후방이동이 전제되어야 한다. 와이어(10)의 후방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가장 후방에 설치된 치아 교정장치(21)의 후단으로 와이어(10)가 밀려나오게 된다. 이때 밀려나온 와이어(10)의 끝 부분에 의해서 구내의 연조직이 찢기거나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치아 교정 치료 동안에 와이어가 치아 교정장치의 후방으로 밀려나오더라도 구내의 연조직을 자극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교정 치료에도 방해가 되지 않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치아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제1 실시예; 100)는 튜브(110) 및 튜브(110)와 결합하는 확장부(120)를 포함한다.
튜브(110)는 치아에 부착되는 튜브 베이스(111)와 와이어(W)가 삽입되는 튜브 몸체(112)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 베이스(111)는 치아와 맞닿아 부착되는 부분으로, 예를 들어 치과용 접착제에 의해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어 튜브 몸체(112)를 치아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튜브 몸체(112)는 튜브 베이스(111)와 연결되며, 일 실시예로 튜브 몸체(112)의 하부면과 튜브 베이스(111)에서 치아에 부착되는 면의 반대 표면이 결합하여 튜브(110)를 형성할 수 있다.
튜브 몸체(112)에는 와이어(W)가 삽입되며 튜브 몸체(112)는 삽입된 와이어(W)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로, 튜브 몸체(112)는 튜브 몸체(112)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와이어(W)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홀(hole, 113)이 형성되며, 홀(113)의 양단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튜브 몸체(112)의 전단과 후단에는 홀(113)에 의해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튜브 몸체(112)가 확장부(120)와 결합하여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하고, 이와 반대 방향, 즉 확장부(120)와 결합하지 않는 튜브 몸체(112)의 방향을 전방이라고 한다. 튜브 몸체(112)의 측면들 중 확장부(120)와 결합하여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면을 튜브 몸체(112)의 후단(또는 후면)이라고 하고, 이와 마주보는 반대면, 즉 확장부(120)와 결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면을 튜브 몸체(112)의 전단(또는 전면)이라고 한다. 도 3의 튜브 몸체(112)에서는 홀(113)이 도시되어 있는 측면이 전단일 수 있고, 도 4의 튜브 몸체(112)에서는 홀(113)이 도시되어 있는 측면이 후단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 베이스(111)와 결합하는 튜브 몸체(112)의 면을 하부면 또는 하면, 확장부(120)와 결합하는 튜브 몸체(112)의 면을 상부면 또는 상면으로 일컬을 수 있다.
튜브 몸체(112)는 사각형이나 원형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홀(113) 역시 사각형이나 원형 등 여러 가지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 몸체(112)는 환자의 치아 형태나 치료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내의 연조직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튜브(110)의 부분은 연조직의 자극을 줄일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브 베이스(111)와 튜브 몸체(112)의 모서리 부분은 둥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튜브 몸체(112)의 모서리 중에서 구강과 인접하는 부분, 특히 후단 모서리 부분이 둥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확장부(120)는 튜브(110)와 결합하여 튜브 몸체(112)의 홀(113)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와이어(W)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확장부(120)는 튜브 몸체(1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튜브 몸체(112)의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튜브 몸체(112)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100)는 튜브 몸체(112)의 길이에 확장부(120)의 길이만큼 확장되므로, 튜브 몸체(112)의 후단으로 와이어(W)가 밀려나오는 경우라도 확장부(120)가 와이어(W)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로부터 노출된 와이어(W)를 둘러싸는 실드(shield)와 같은 보호 수단으로의 역할을 하여 와이어(W)에 의한 구내의 연조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확장부(120)에는 와이어(W)가 수용되는 공동(void, 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료 목적이나 교정 치료의 진행 상태 등에 따라 와이어(W)의 후방 이동량을 고려하여 확장부(120)의 후단(또는 후면, 튜브 몸체(112)의 후단에 상응하는 면을 일컬음)에 홀(122)이 형성되어 와이어(W)가 확장부(120)를 관통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확장부(120)의 공동(121)에 수용된 와이어(W)가 확장부(120)의 홀(122)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므로, 치료 진행 중에 예상보다 많은 와이어(W)가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치료에 방해를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확장부(120)에 홀(122)을 형성하였을 경우, 후방으로 노출된 와이어(W)를 절단할 때에 후방으로 이동한 확장부(120)를 다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노출된 와이어를 튜브 몸체의 후단에 맞게 자를 때 용이할 수 있다.
물론, 치료 목적이나 교정 치료의 진행 상태 등에 따라 와이어(W)의 후방 이동량이 많지 않거나 치료에 방해가 되지 않는 경우, 확장부(120)의 후단에는 홀(122)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와이어(W)가 확장부(120)의 공동(121)에만 수용되어 확장부(120)의 외부로 밀려나오지 않게 된다.
확장부(120)는 튜브(110)와 결합하여 튜브(110)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부(120)는 튜브 몸체(112)와 결합하여 슬라이딩 방식, 즉 튜브 몸체(1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확장부(120)는 튜브 몸체(112)와 결합하여 피봇(pivot) 방식, 즉 튜브 몸체(112)의 일부에 결합하여 결합된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튜브 몸체(11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는 피봇 방식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아 교정장치(100)는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에 결합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130) 및 블록(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130)은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블록(140)은 레일(130)과 체결되어 확장부(120)가 레일(13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블록(140)에는 레일(130)과의 결합을 통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베어링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140)의 상부에는 블록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조 홀(144)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 홀(144)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교정치료를 수행하는 자가 블록(14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조 홀(144)은 블록(140)의 상부가 아니라 확장부(120)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레일(130) 및 블록(140)이 각각 튜브 몸체(112)와 확장부(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실시예에 따라 레일(130)은 튜브 몸체(112)의 상면에 구비되고 블록(140)은 확장부(1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레일(130)은 튜브 몸체(112)의 상면 및 하면 이외의 두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레일(130)이 형성된 위치에 따라 확장부(120)에 형성되는 블록(140)도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30) 및 블록(140)이 확장부(120) 및 튜브 몸체(112)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튜브 몸체(112)가 튜브 베이스(111)를 통해 치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130)이 확장부(120)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확장부(120)가 블록(140)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레일(130)은 튜브 몸체(112)의 상부면(튜브 베이스(111)와 접하는 면의 반대측면을 말함)에 구비되어, 확장부(120)가 레일(130)을 따라 튜브 몸체(1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즉 튜브 몸체(112)의 전방 이동 또는 후방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블록(140)은 확장부(12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레일(130)과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확장부(120)의 상부면의 일측은 레일(130)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 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부(123)에 블록(14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120)의 상부면에 구비된 블록(140)이 튜브 몸체(112)의 상부면에 구비된 레일(130)과 체결됨으로써, 블록(140)이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여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치아 교정장치(100)는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에 결합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치아 교정장치에 포함되는 레일, 블록 및 연결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 구성요소들만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확장부(120)와 결합하는 방향의 레일(130)의 일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수도 있다. 즉, 레일(130)은 확장부(120)의 이동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폐쇄된 Closed-loop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레일(130)은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레일 홈(131)을 구비할 수 있다. 레일 홈(131)은 레일(130)의 일부(예를 들어,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예를 들어, 도 5의 A, B, C)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홈(131)은 스토퍼(stopper)에 상응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레일 홈(131)은 확장부(120)의 확장 및 축소의 두 가지 동작에 따라 위치가 상이해진 확장부(12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확장부(120)의 일부(예를 들면, 상부면), 구체적으로 연결부(123)에는 클립(150)이 구비될 수 있다. 클립(150)은 레일 홈(13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레일 홈(131)에 끼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클립(150)은 확장부(120)의 상부면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123)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23)의 일단부가 레일 홈(131)에 대응하는 형상의 곡면부로 이루어져 클립(150)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클립(150)은 연결부(123)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클립(150)이 레일(13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레일 홈(A, B, 또는 C) 위치에 도달하면, 레일 홈(13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클립(150)의 곡면 부분(A')이 레일 홈(A, B, 또는 C)과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150)이 레일 홈(A, B, 또는 C)에 고정됨으로써, 확장부(120)도 레일(130)을 따라 튜브 몸체(1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레일 홈(A, B, 또는 C)이 형성된 위치에서 이동이 제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확장부(120)는 레일(130)에 형성된 레일 홈(131)의 간격만큼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레일(130)에는 1mm 단위로 레일 홈(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확장부(120)의 이동량이 1mm 단위로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클립(150)은 레일 홈(131)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할 경우, 확장부(120)는 튜브 몸체(112)의 일부를 감싸도록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120)의 공동(121)이 튜브 몸체(112)의 일부를 덮어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공동(121)은 튜브 몸체(112)의 외부 형상과 유사한 형태의 공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확장부(120)의 공동(121)에 수용되어 있던 와이어(W)가 상대적으로 확장부(120)의 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확장부(120)에 홀(122)이 형성된 경우에는 튜브 몸체(112)에 형성된 홀(113)과 동일하게 와이어(W)가 확장부(120)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할 경우에 와이어(W)가 확장부(120) 외부로 노출되어 교정 치료를 위해 와이어(W)를 절단하기에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확장부(120)는 튜브 몸체(1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사각형, 원형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확장부(120)는 환자의 치아 형태나 치료 목적에 따라서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내의 연조직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확장부(120)의 부분은 연조직의 자극을 줄일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확장부(120)의 모서리 부분은 둥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확장부(120)는 튜브(110)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확장부(120)는 튜브(110)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확장부(120) 내에서도 공동(121)을 형성하는 부분과 연결부(123)를 형성하는 부분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브(110) 및 확장부(120)는 치아 상태, 치료 목적, 교정 치료의 진행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튜브(110)는 약 4mm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확장부(120)는 와이어(W)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이동량을 고려하여 후방 연조직을 자극하지 않는 범위 이내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부(120)는 튜브(110)와 결합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튜브 몸체(112)의 길이에서 약 2mm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와 겹치는 부분을 고려하여 약 2.5mm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확장부(120)는 튜브(110)에 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확장부(120)에 구비된 블록(140)이 튜브 몸체(112)에 구비된 레일(130)에 체결되면,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에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확장부(120)에 구비된 블록(140)이 튜브 몸체(112)에 구비된 레일(130)에서 분리되면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140) 또는/및 레일(130)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블록(140) 또는/및 레일(1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블록(140)이 레일(130)로부터 분리되거나 레일(130)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100)는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112)에 탈착 가능한 구조이므로, 치아 교정 시 진행 상태에 따라 필요한 시기에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확장부(120)를 적용(장착, 제거, 확장부(120)가 연장되는 길이를 조정, 제거 후 재장착 등)하여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확장부(120)와 튜브 몸체(112)가 결합하여 하나의 튜브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장부(120)의 공동(121)에 의해 포개어지는 튜브 몸체(112)의 일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튜브 몸체(112)는 본래 형상의 2/3 정도, 그리고 확장부(120)도 2/3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서 결합되어 하나의 튜브 몸체 형상을 이루고, 확장부(120)와 튜브 몸체(112)가 레일로 결합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두 구성요소들이 이루는 길이가 상이해지고 결과적으로는 튜브 몸체(112)와 확장부(120)가 모두 형성된 상술한 실시예와 외관상 동일할 수 있다. 다만, 튜브 몸체(112)의 일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확장부(120)가 튜브 몸체의 일부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에 따라 확장부(120)는 튜브 몸체(112)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별도의 확장부를 구비하지 않고 튜브 몸체를 전방과 후방으로 나누어 나누어진 후방의 튜브가 확장부(120)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노출되는 후방 튜브의 1/2 부분이 확장부의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에 전방의 튜브의 절반을 수용할 수 있도록 두 일방의 튜브들이 겹쳐져 연결되는 부분이 조금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100)는 교정용 탄성부재, 예를 들면 교정용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을 걸기 위한 후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는 튜브 몸체(11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교정용 탄성부재를 연결하여 걸 수 있는 형상으로 예컨대 구부러진 형상이나 직선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치아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제2 실시예; 100A)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치아 교정장치(제1 실시예; 100)와 유사하게 튜브 몸체(110A)와 확장부(120A)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 교정장치(100A)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치아 교정장치(제1 실시예; 100)의 레일(130) 및 블록(140)과 상이한 레일(130A) 및 블록(14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도록 하고,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치아 교정장치(100)와 상이한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치아 교정장치(100A)는 확장부(120A)가 튜브 몸체(112)에 결합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130A) 및 블록(140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일(130A)은 확장부(120A)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고, 블록(140A)은 튜브 몸체(112)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130A)은 확장부(120A)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확장부(120A)의 상부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레일(130A)로 구성되어 확장부(120A)의 상부면의 일 영역과 연결될 수도 있다. 블록(140A)에 레일(130A)이 체결됨에 따라 블록(140A)을 기준으로 레일(130A)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120A)도 블록(140A)과 레일(130A)의 체결에 의해 튜브 몸체(112)와 결합하여 레일(130A)을 따라 튜브 몸체(1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치아 교정장치(100A)는 확장부(120A)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확장부(120A)의 일 영역에 보조 홀(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홀(124)은 확장부(120A)의 상부면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확장부(120A)를 튜브 몸체(1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끝이 뾰족한 기구를 보조 홀(124)에 삽입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확장부(120A)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치아 교정장치(100A)는 확장부(120A)가 튜브 몸체(112)에 결합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치아 교정장치(100A)에 포함된 확장부가 튜브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레일(130A)은 확장부(120A)를 튜브 몸체(1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레일 홈(131A)을 구비할 수 있다. 레일 홈(131A)은 레일(130A)의 일측(예를 들어,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홈(예를 들어, 도 9의 A, B, C)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150A)은 레일 홈(131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레일 홈(131A)에 끼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클립(150A)은 튜브 몸체(112)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클립(150A)의 일단부가 레일 홈(131A)에 대응하는 형상의 곡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레일 홈(A, B, 또는 C)이 형성된 부분에 클립(150A)의 곡면 부분(A')이 위치하게 되면, 레일 홈(A, B, 또는 C)에 클립(150A)의 곡면 부분(A')이 맞물려 끼워질 수 있다. 즉, 레일 홈(A, B, 또는 C)에 클립(150A)이 고정됨으로써, 확장부(120)도 튜브 몸체(1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레일 홈(A, B, 또는 C)이 형성된 위치에서 이동이 제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확장부(120A)는 레일(130A)에 형성된 레일 홈(131A)의 간격만큼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레일(130A)은 1mm 단위로 형성된 레일 홈(13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1mm 단위로 확장부(120)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레일(130A)에 움푹 파인 형태의 레일 홈(131A)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고 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일 홈(131A)과 곡면 부분(A')이 맞물려 확장부(120)와 튜브 몸체(112) 사이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100, 100A)는 튜브 몸체(112)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확장부(120A)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교정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와이어(W)가 튜브 몸체(112)의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확장부(120A)가 와이어(W)를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확장부(120A)에 의해 와이어(W)가 구내의 연조직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교정 치료에 따른 연조직의 손상과 그에 따른 염증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100, 100A)는 확장부(120, 120A)가 튜브 몸체(1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교정 치료 중에 후방으로 밀려나온 와이어(W)를 자르거나 와이어(W)를 교체하는 등과 같은 치료 시에는 확장부(120, 120A)를 전방으로 이동한 후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확장부(120, 120A)의 전방 이동에 따라 치료 시 필요한 구내의 후방 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서 치료용 장치들의 접근이 용이해져 치료 진행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 또한 치료 후에는 다시 확장부(120, 120A)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와이어(W)가 구내의 연조직을 자극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100, 100A)는 확장부(120, 120A)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교정 진행 상태나 치료 목적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확장부(120, 120A)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120, 120A)로 인한 환자의 불편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치아 교정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치아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제3 실시예; 100B)는 확장부(120B)가 튜브 몸체(112)와 결합하여 피봇 방식, 즉 튜브 몸체(11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아 교정장치(100B)는 튜브 몸체(112)에 제1 결합부(114)를 구비하고 확장부(120B)에 제2 결합부(125)를 구비하여, 확장부(120B)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14)는 튜브 몸체(112)의 일측, 및 일측과 마주보는 타측에 형성되어, 확장부(120B)가 회전하는 중심축(회전축)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25)는 확장부(120)의 일측, 일측과 마주보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튜브 몸체(112)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제1 결합부(114)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튜브 몸체(11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제1 결합부(114)는 동일 축선상에 구비된다. 또한, 확장부(120B)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제2 결합부(125) 역시 동일 축선상에 구비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결합부(114) 및 제2 결합부(125)는 각각 오목한 형상의 요부(凹部) 및 볼록한 형상의 철부(凸部), 또는 그 반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114)는 튜브 몸체(112)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간 오목한 형상의 요부일 수 있고, 제2 결합부(125)는 확장부(120)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볼록한 형상의 철부일 수 있다. 따라서, 튜브 몸체(112)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요부 각각에 확장부(120)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볼록한 형상의 철부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튜브 몸체(112)와 확장부(120)가 결합, 예를 들어 암수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제1 결합부(114) 및 제2 결합부(125)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요부와 볼록한 형상의 철부는 서로 반대로 구성되거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제1 결합부(114)가 각각 요부와 철부로 구성되고, 그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125)가 각각 철부와 요부로 구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 몸체(112)의 제1 결합부(114)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 결합부(12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확장부(120B)가 튜브 몸체(112)의 둘레를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확장부(120B)는 튜브 몸체(112)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확장부(120B)의 회전 이동 반경을 조정하기 위하여 제1 결합부(114) 또는 제2 결합부(125)에 이동 제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확장부(12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 몸체(112)의 둘레를 따라 회전 이동하므로, 회전 이동 시 확장부(120B)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확장부(120B)는 튜브 몸체(1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하되, 확장부(120B)의 제2 결합부(125)가 형성되는 부분은 튜브 몸체(112)와 결합하여 겹쳐지는 영역이므로 확장부(120B)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의 날개부(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120B)는 회전 이동 시에 튜브 몸체(112)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날개부(126)는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확장부(120B)와 튜브 몸체(112) 사이에 와이어(W)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부(126)를 구비함으로 인해 확장부(120B)에는 상술한 확장부(120, 120A)와 같은 공동이 확보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100B)는 튜브 몸체(112)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어 결합된 확장부(1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교정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와이어(W)가 튜브 몸체(112)의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확장부(120B)가 와이어(W)를 둘러싸는 보호막(실드, shield)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확장부(120B)에 의해 와이어(W)가 구내의 연조직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교정 치료에 따른 연조직의 손상과 염증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100B)는 확장부(120B)가 튜브 몸체(112)의 둘레를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므로, 교정 치료 중에 후방으로 밀려나온 와이어(W)를 자르거나 와이어(W)를 교체하는 등과 같은 치료 시에는 확장부(120B)를 튜브 몸체(112)의 상부면쪽으로 회전 이동하여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확장부(120B)의 회전 이동에 따라 튜브 몸체(11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확장부(120B)의 날개부(126)가 튜브 몸체(112)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확장부(120B)는 튜브 몸체(112)에 겹쳐져 위치하게 되므로, 치료 시 필요한 구내의 후방 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서 치료용 장치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치료 진행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 또한 치료 후에는 다시 확장부(120B)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으로써 와이어(W)가 구내의 연조직을 자극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확장부(120B)에는 와이어(W)가 관통하도록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치료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와이어(W)가 후방으로 상당히 이동하여 홀(122)을 관통할 정도로 외부로 노출되었을 경우에 확장부(120B)의 회전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홀(122)이 일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확장부(120B)가 튜브 몸체(112)의 상부면으로 회전하는 경우, 튜브 베이스(111)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홀(122)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홀(122) 바깥으로 노출된 와이어(W)가 있는 경우에도 확장부(120B)를 회전 이동 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14')는 튜브 몸체(112)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114')는 요부 또는 철부의 형태로 튜브 몸체에 일정한 길이 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120B)는 제1 결합부(114')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운동을 하는 한편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부(114')를 따라 튜브 몸체(1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치아 교정장치(100B)는 확장부(120B)의 전방 또는 후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으로 확장부(120B)가 튜브 몸체에서 회전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결합부(114')에도 확장부(120B)의 제2 결합부(125)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홈은 제1 결합부(114')의 가장 전단, 그리고 가장 후단에 제2 결합부(125)가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114')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확장부(120B)의 이동 및 고정을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제3 실시예; 100B)는 상술한 확장부(120B)의 회전 이동을 위한 구성 부분을 제외하고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치아 교정장치(제1 실시예; 100)의 구성 부분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아 교정장치(제1 실시예; 100)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100, 100A, 100B)는 튜브 몸체(112)에 확장부(120, 120A, 120B)가 결합하는 방식으로서 튜브 몸체(112)와 확장부(120, 120A, 120B) 각각이 개별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가능하다. 일례로, 튜브 몸체를 2개의 부분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튜브 몸체가 다른 튜브 몸체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튜브 몸체(112)와 확장부(120, 120A, 120B)가 결합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방법에 있어서도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100A, 100B : 치아 교정장치 110, 110A, 110B : 튜브
111 : 튜브 베이스 112 : 튜브 몸체
113 : 튜브 몸체의 홀 114 : 제1 결합부
120, 120A, 120B : 확장부 121 : 확장부의 공동
122 : 확장부의 후단 홀 123 : 연결부
124 : 보조 홀 125 : 제2 결합부
126 : 날개부 130, 130A : 레일
131, 131A : 레일 홈 140, 140A : 블록
150, 150A : 클립

Claims (16)

  1. 치아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며 치아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홀(hole)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튜브(tube); 및
    상기 튜브에 결합하여 상기 튜브 몸체의 후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튜브 몸체의 홀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튜브 몸체에 탈착되며,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튜브 몸체 일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이동을 유도하는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확장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레일 홈을 구비하며,
    상기 치아 교정장치는 상기 레일 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 홈에 맞물리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은 상기 확장부의 이동을 조정하는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튜브 몸체에 위치하며,
    상기 블록 및 상기 클립은, 상기 확장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확장부에 위치하며,
    상기 블록 및 상기 클립은, 상기 튜브 몸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에 구비된 제1 결합부와 상기 확장부에 구비된 제2 결합부가 결합하여, 상기 결합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확장부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각각 요부(凹部)와 철부(凸部)을 구비하여,
    상기 튜브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결합부에 상기 확장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가 각각 암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튜브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및 상기 확장부의 후방 모서리의 적어도 하나는 둥근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에 상기 튜브에 형성된 홀과 상응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에 형성된 홀은 상기 튜브 베이스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튜브 몸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튜브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상기 튜브 몸체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KR1020190110567A 2017-11-14 2019-09-06 치아 교정장치 KR102279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67A KR102279257B1 (ko) 2017-11-14 2019-09-06 치아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441A KR102021799B1 (ko) 2017-11-14 2017-11-14 치아 교정장치
KR1020190110567A KR102279257B1 (ko) 2017-11-14 2019-09-06 치아 교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441A Division KR102021799B1 (ko) 2017-11-14 2017-11-14 치아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557A KR20190105557A (ko) 2019-09-17
KR102279257B1 true KR102279257B1 (ko) 2021-07-16

Family

ID=6807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567A KR102279257B1 (ko) 2017-11-14 2019-09-06 치아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2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9719A1 (en) * 2003-07-22 2005-01-27 Hanson G. Herbert Orthodontic devices for use with arch wires
KR101729995B1 (ko) * 2016-06-10 2017-05-11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093B1 (ko) * 2009-02-24 2011-03-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교정용 브라켓
KR101695355B1 (ko) 2015-03-16 2017-01-11 권순용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와이어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장치
KR101804990B1 (ko) * 2016-01-04 2017-12-06 권순용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치아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9719A1 (en) * 2003-07-22 2005-01-27 Hanson G. Herbert Orthodontic devices for use with arch wires
KR101729995B1 (ko) * 2016-06-10 2017-05-11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557A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4539T3 (es) Bracket ortodóncico autoligante
US9901422B2 (en) Dental wire support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US3772787A (en) Orthodontic bracket
JP2015531303A5 (ko)
KR101737947B1 (ko)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JP7164220B2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KR101703708B1 (ko) 치아 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방법
US11596500B2 (en) Tooth moving device
US20130269712A1 (en) Adjustable bite plane appliance
KR102076634B1 (ko) 악궁 확장 장치
US20170196661A1 (en) Apparatus for achieving molar distalization
WO2014008831A1 (zh) 一种工作翼上自带弹性圈锁扣的自锁托槽
TW201927256A (zh) 牙齒矯正裝置
KR101901678B1 (ko)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481801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KR102279257B1 (ko) 치아 교정장치
KR102021799B1 (ko) 치아 교정장치
BR102014013775B1 (pt) Sistema de bráquete autoligável com clipe passívo ou interativo
CN218220341U (zh) 牙齿矫治装置
KR101592109B1 (ko)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
KR20170081579A (ko)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20160141693A (ko)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와이어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장치
BR202012002849Y1 (pt) Bráquete autoligável interativo
ES2841803T3 (es) Bracket ortodóncico auto-ligante con muelle coplanario
KR101698126B1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