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248B1 -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 - Google Patents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248B1
KR102279248B1 KR1020200021817A KR20200021817A KR102279248B1 KR 102279248 B1 KR102279248 B1 KR 102279248B1 KR 1020200021817 A KR1020200021817 A KR 1020200021817A KR 20200021817 A KR20200021817 A KR 20200021817A KR 102279248 B1 KR102279248 B1 KR 102279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leeve
sleeve body
fram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장락범
Original Assignee
김태형
장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장락범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20002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3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양생 및 지지하는 거푸집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일 측이 상기 거푸집폼에 고정되는 슬리브 바디; 및 상기 슬리브 바디의 타 측에 연결되어, 상기 중공을 차폐하는 슬리브 캡;을 포함하되, 상기 슬리브 바디가 상기 거푸집폼에 고정되어, 상기 콘크리트 양생이 종료된 후 상기 거푸집폼의 해체 시, 상기 거푸집폼에 고정된 상기 슬리브 바디도 함께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SLEEVE COMBINED WITH CONCRETE FORM}
본 발명은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를 비롯한 각종 건물의 벽체에는 급수 및 배수를 위한 수도 배관과, 가스배관, 냉난방 배관 등이 설치되도록 배관 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관 통로는 원통 형상으로 관통되는데, 벽체 내부에 배관 통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배관 통로를 보호하기 위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전 거푸집 내부에 슬리브가 설치된다.
이처럼 종래의 슬리브는 거푸집 내부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되어 양생된 상태에서 슬리브의 제거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구조의 복수의 층에 콘크리트를 타설 할 때마다 거푸집과 슬리브를 각각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증가하고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슬리브는 배관 통로의 길이 가변되는 경우 동일한 슬리브의 사용이 어려워, 다양한 사이즈의 슬리브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65214호(2013.02.01)
본 발명은 거푸집과 슬리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제거할 때 슬리브도 함께 제거되어, 슬리브 위치에 배관이 설치될 수 있는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또한, 거푸집에 슬리브가 고정되어, 거푸집과 슬리브가 함께 설치 및 제거되므로,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아파트와 같은 공동시설 공사의 경우 슬리브 위치가 세대별로 동일 하기 때문에, 각 층마다 슬리브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슬리브가 고정된 상태의 거푸집을 각 층의 콘크리트 타설시마다 재사용할 수 있는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또한,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슬리브 해체가 용이한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를 양생 및 지지하는 거푸집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일 측이 상기 거푸집폼에 고정되는 슬리브 바디; 및 상기 슬리브 바디의 타 측에 연결되어, 상기 중공을 차폐하는 슬리브 캡;을 포함하되, 상기 슬리브 바디가 상기 거푸집폼에 고정되어, 상기 콘크리트 양생이 종료된 후 상기 거푸집폼의 해체 시, 상기 거푸집폼에 고정된 상기 슬리브 바디도 함께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 바디는, 상기 거푸집폼에 고정된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바디의 외측면에는, 거푸집용 박리제가 도포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캡은, 상기 슬리브 바디 상단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바디 상단에 지지 고정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제1 프레임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슬리브 바디 상부의 중공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바디에 삽입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거푸집과 슬리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제거할 때 슬리브도 함께 제거되어, 슬리브 위치에 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거푸집에 슬리브가 고정되어, 거푸집과 슬리브가 함께 설치 및 제거되므로, 재사용 가능하다.
또한, 아파트와 같은 공동시설 공사의 경우 슬리브 위치가 세대별로 동일 하기 때문에, 각 층마다 슬리브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슬리브가 고정된 상태의 거푸집을 각 층의 콘크리트 타설시마다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슬리브 해체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에 내화충진제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바디를 거푸집폼에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폼과 슬리브 바디의 체결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1)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1)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1)는 거푸집폼(10), 슬리브 바디(20) 및 슬리브 캡(30)을 포함할 수 있다.
거푸집폼(10)은 콘크리트를 양생 및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정된 형태나 크기로 만들기 위하여 설치되는 틀일 수 있다. 일 예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을 지지하거나, 측면을 지지하는 테두리일 수 있다. 또한, 거푸집폼(10)은 철제, 알루미늄,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거푸집이 바닥면을 지지하고 있는 판 형상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알폼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슬리브 바디(20)는 내부에 중공(21)이 형성되며, 일 측이 거푸집폼(10)에 고정될 수 있다. 슬리브 바디(20)의 일 측은 거푸집폼(10)에 고정되되, 슬리브 바디(20)의 타 측에는 슬리브 캡(30)이 배치될 수 있다.
슬리브 바디(20)는 거푸집폼(10)에 고정된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 바디(20)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슬리브 바디(20)는 강관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리브 바디(20)는 두께가 1.8mm인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리브 바디(20)의 외측면에는 거푸집용 박리제가 도포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거푸집용 박리제는 슬리브 바디(20)가 콘크리트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슬리브 바디(20)의 외측면에 도포될 수 있다.
슬리브 바디(20)는 거푸집폼(10)에 고정될 수 있다. 슬리브 바디(20)와 거푸집폼(10)이 접촉되는 부분이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슬리브 바디(20)와 거푸집폼(10)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체결 및 고정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슬리브 캡(30)은 슬리브 바디(20)의 타 측에 연결되어, 슬리브 바디(20)의 중공(21)을 차폐할 수 있다. 슬리브 캡(30)은 슬리브 바디(2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캡(30)은 제1 프레임(31), 제2 프레임(32) 및 파지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1)은 슬리브 바디(20) 상단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슬리브 바디(20) 상단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2)은 제1 프레임(31)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프레임(31)보다 작은 직경이며, 슬리브 바디(20) 상부의 중공(2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프레임(32)은 슬리브 바디(20)에 삽입될 수 있다.
파지부(33)는 제1 프레임(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33)를 파지하여 슬리브 캡(30)을 슬리브 바디(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1)를 이용한 작업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거푸집폼(10)에 슬리브 바디(20)가 고정된 상태에서, 거푸집폼(10)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 및 양생하기 위한 틀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을 이루는 거푸집폼(10)에 슬리브 바디(20)가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거푸집폼(10)에 슬리브 바디(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슬리브 바디(20)가 상측을 향하도록 거푸집폼(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슬리브 바디(20)의 외측면에는 거푸집용 박리제가 도포된 상태이다.
슬리브 바디(20)의 상부에 슬리브 캡(30)이 삽입될 수 있다. 슬리브 바디(20) 상부에 슬리브 캡(30)이 삽입되어, 슬리브 바디(20)의 중공(21)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슬리브 바디(2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슬리브 캡(30)에 의해 슬리브 바디(20) 내부의 중공(21)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슬리브 캡(30)을 슬리브 바디(20)에서 이탈시킨다. 이후, 거푸집폼(10)을 외측으로 떼어낸다. 이때, 거푸집폼(10)이 외측으로 분리되면서 거푸집폼(10)과 고정된 슬리브 바디(20)도 함께 외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슬리브 바디(20)가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에서 빠져나올 때, 슬리브 바디(20)의 외측면에 도포된 거푸집용 박리제에 의해 슬리브 바디(20)와 콘크리트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 바디(2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슬리브 바디(20)가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에서 빠져나올 때, 슬리브 바디(20)의 직경이 작은 부분(상측)이 점차 슬리브 바디(20)의 직경이 큰 부분에 의해 양생된 콘크리트 측(하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슬리브 바디(20)를 분리하기 용이하다.
이처럼, 일체형의 거푸집폼(10)과 슬리브 바디(20)는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에서 분리되더라도 처음 상태 그대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아파트와 같은 공동 시설 공사에서, 각 층마다 동일한 거푸집폼(10)과 슬리브 바디(20)를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 감소 및 인건비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 시설 공사에서, 각 층마다 거푸집폼(10)을 설치하고, 각 거푸집폼(10)에 슬리브를 별도로 설치해야 했다. 이에, 작업자가 매 층마다 거푸집폼(10)에 슬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작업 시간과 인건비가 상승할 수밖에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1)에 내화충진재(4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1)는 내화충진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트리트 양생 시 콘크리트에 고정되도록, 내화충진재(40)를 슬리브 바디(20)의 외측 둘레에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리브 바디(20)의 일 측에서, 슬리브 바디(2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내화충진재(40)가 밀착 배치될 수 있다.
거푸집폼(10)에 슬리브 바디(20)가 고정된 후, 슬리브 바디(20)의 일 측의 외측면에 내화충진재(40)가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푸집용 박리제는 내화충진재(40)에는 도포되지 않고, 슬리브 바디(20)에서 내화충진재(40)가 밀착되지 않은 면적에만 도포될 수 있다. 이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내화충진재(40)는 콘크리트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바디(20)를 거푸집폼(10)에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1)는 고정 브라켓(50) 및 체결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거푸집폼(10)과 슬리브 바디(20)는 체결부재(60)에 의해서만 고정될 수 있다. 거푸집폼(10)과 슬리브 바디(20)가 접촉되는 부분을 체결부재(60)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60)는 ㄱ자 꺽쇠 및 나사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거푸집폼(10)과 슬리브 바디(20)가 체결부재(6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50)이 추가로 더 설치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0)은 슬리브 바디(20) 내부의 중공(21)에 배치되어, 슬리브 바디(20) 및 거푸집폼(10)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0)은 수직부(51), 제1 수평부(52) 및 제2 수평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51)는 거푸집폼(10)과 수직을 이루며 슬리브 바디(20)의 중공(21)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수직부(51)의 바닥면은 거푸집폼(10)과 수직을 이루며 접촉되어 체결부재(60)에 의해 거푸집폼(10)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수직부(51)는 슬리브 바디(20)의 테이퍼진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이퍼 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평부(52)는 거푸집폼(10)과 수평을 이루며 수직부(51)와 수직을 이루도록 수직부(5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평부(52)의 단부는 슬리브 바디(20)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퍼 진 형상의 슬리브 바디(20)의 내측면 경사에 대응되게 제1 수평부(52)의 단부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 바디(20)의 내측면에 제1 수평부(52)의 단부가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슬리브 바디(20)의 내측면과 제1 수평부(52)의 단부는 체결부재(60)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제2 수평부(53)는 거푸집폼(10)과 수평을 이루며 수직부(51)와 수직을 이루도록 수직부(51)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평부(53)는 제1 수평부(52)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평부(53)의 단부는 슬리브 바디(20)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퍼 진 형상의 슬리브 바디(20)의 내측면 경사에 대응되게 제2 수평부(53)의 단부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 바디(20)의 내측면에 제2 수평부(53)의 단부가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슬리브 바디(20)의 내측면과 제2 수평부(53)의 단부는 체결부재(60)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0)이 슬리브 바디(20)의 중공(21)에 배치되는 경우, 수직부(51)의 단부와 거푸집폼(10)이 고정되고, 제1 수평부(52)와 제2 수평부(53)의 단부가 슬리브 바디(20)의 내측면과 고정되어, 거푸집폼(10)과 슬리브 바디(20)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거푸집폼(10)에 슬리브 바디(20)가 설치되는 경우, 내부가 비어있는 슬리브 바디(20)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50)이 슬리브 바디(20)의 중공(21)에 배치되어 슬리브 바디(20)의 내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캡(3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재(7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1)는 콘크리트 타설 시, 슬리브 캡(30)의 높이만큼 콘크리트가 타설 될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31)의 높이만큼 콘크리트가 타설 될 수 있는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서로 고정된 거푸집폼(10)과 슬리브 바디(20)에 슬리브 캡(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슬리브 바디(20)와 슬리브 캡(30)에 거푸집용 박리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후, 슬리브 캡(30)의 제1 프레임(31) 높이 이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제2 프레임(32)에는 복수의 홀(321)이 더 형성되고, 홀(321)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조절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321)은 제2 프레임(32) 내에서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70)는 수직부(71), 수평부(72) 및 힌지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71)는 제1 프레임(31)과 제2 프레임(32)의 직경 차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제2 프레임(32)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71)에 의해 슬리브 캡(30)이 슬리브 바디(20)로 삽입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직부(71)는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직부(71)는 실린더와 같은 두 개로 구분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두개의 구성이 서로 삽입 또는 돌출됨으로써 수직부(71)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하로 이격된 홀(321)의 위치에 따라 수직부(71)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수평부(72)는 수직부(71)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홀(321)로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다.
힌지부(73)는 수직부(71)의 단부와 제1 프레임(31)의 하단에 체결되어, 수직부(71)가 제1 프레임(31)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힌지부(73)를 통해 수직부(71)를 제1 프레임(31) 하단부에 체결하고, 수직부(71)의 길이를 조절한 뒤, 안착부(72)를 홀(321)에 삽입할 수 있다.
이처럼, 길이조절부재(70)가 제2 프레임(32)에 체결되어, 슬리브 캡(30)이 슬리브 바디(20)에 삽입되는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높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폼(10)과 슬리브 바디(20)의 체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리브 바디(20)는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측면과, 거푸집폼(10)과 접촉 및 고정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7에 따른 슬리브 바디(20)는 측면과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거푸집폼(10)과 슬리브 바디(20)의 바닥면은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설계변경이나 현장상황 변경에 따라 체결부재(80)에 의해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푸집폼(10)과 접촉되는 바닥면은 거푸집폼(10)과 체결부재(8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80)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부재(80)가 거푸집폼(10)과 슬리브 바디(20)의 바닥면을 관통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 10: 거푸집폼
20: 슬리브 바디 21: 중공
30: 슬리브 캡 31: 제1 프레임
32: 제2 프레임 321: 홀
33: 파지부 40: 내화충진재
50: 고정 브라켓 51: 수직바
52: 제1 수평바 53: 제2 수평바
60: 체결부재 70: 길이조절부재
71: 수직부 72: 수평부
73: 힌지부 80: 체결부재
2: 콘크리트

Claims (4)

  1. 콘크리트를 양생 및 지지하는 거푸집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일 측이 상기 거푸집폼에 고정되는 슬리브 바디;
    상기 슬리브 바디의 타 측에 연결되어, 상기 중공을 차폐하되, 상기 슬리브 바디 상단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바디의 상단에 지지 고정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홀이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슬리브 캡; 및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직경 차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 바디가 상기 거푸집폼에 고정되어, 상기 콘크리트 양생이 종료된 후 상기 거푸집폼의 해체 시, 상기 거푸집폼에 고정된 상기 슬리브 바디도 함께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바디는,
    상기 거푸집폼에 고정된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바디의 외측면에는,
    거푸집용 박리제가 도포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
  4. 삭제
KR1020200021817A 2020-02-21 2020-02-21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 KR102279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817A KR102279248B1 (ko) 2020-02-21 2020-02-21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817A KR102279248B1 (ko) 2020-02-21 2020-02-21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248B1 true KR102279248B1 (ko) 2021-07-19

Family

ID=7712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817A KR102279248B1 (ko) 2020-02-21 2020-02-21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2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4548B2 (en) * 2019-04-12 2022-07-12 DPR Construction Sleeve for concrete slab penet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483U (ko) * 1985-07-18 1987-02-03
JPH09264066A (ja) * 1996-03-29 1997-10-07 Akusetsuto:Kk スラブ用の台付スリーブ及びスラブ用スリーブの蓋
JP2005307468A (ja) * 2004-04-19 2005-11-04 Giken:Kk 貫通孔形成用スリーブ管装置及び貫通孔形成用スリーブ管除去方法
KR200465214Y1 (ko) 2010-12-10 2013-02-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cv 슬리브 분해용 장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483U (ko) * 1985-07-18 1987-02-03
JPH09264066A (ja) * 1996-03-29 1997-10-07 Akusetsuto:Kk スラブ用の台付スリーブ及びスラブ用スリーブの蓋
JP2005307468A (ja) * 2004-04-19 2005-11-04 Giken:Kk 貫通孔形成用スリーブ管装置及び貫通孔形成用スリーブ管除去方法
KR200465214Y1 (ko) 2010-12-10 2013-02-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cv 슬리브 분해용 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4548B2 (en) * 2019-04-12 2022-07-12 DPR Construction Sleeve for concrete slab penet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248B1 (ko) 거푸집 일체형 슬리브
KR101642689B1 (ko) 진동 원형관 성형용 몰드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101703533B1 (ko) 고층 건물의 피난구조물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0926750B1 (ko) 보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KR101559988B1 (ko)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832183B1 (ko)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CN214614647U (zh) 一种楼层孔洞封堵装置
KR200459142Y1 (ko) 높낮이 조절기능을 가진 배관 슬리브
KR20210001050U (ko)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KR101804280B1 (ko) 고층 건물의 피난구조물
KR101844868B1 (ko) 거치돌기가 구비된 슬라브 판넬 지지장치
US7013927B2 (en) Sleeve for toilet flanges and drains
KR101642484B1 (ko) 멀티 코너 타이 브라켓
KR101053994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물
KR20090122670A (ko) 브라켓을 이용한 천정틀 시설재
KR101955352B1 (ko) 건축용 지지수단 고정을 위한 매립형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수단 설치방법
KR102612763B1 (ko) 벽체 관통형 덕트 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JP3199417U (ja) 床スリーブ
JP2002322811A (ja) 底板付スリーブ固定具
US7073768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a frame
KR20090001291A (ko) 바닥면으로 유로폼의 낙하를 방지하는 드롭 다운 지지장치
KR200378220Y1 (ko) 소화전 박스의 고정장치
US20080060279A1 (en) Hub Drain Plate for Concrete Fini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