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846B1 - 로터리 엔진 - Google Patents

로터리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846B1
KR102278846B1 KR1020200037276A KR20200037276A KR102278846B1 KR 102278846 B1 KR102278846 B1 KR 102278846B1 KR 1020200037276 A KR1020200037276 A KR 1020200037276A KR 20200037276 A KR20200037276 A KR 20200037276A KR 102278846 B1 KR102278846 B1 KR 10227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ealing
cover housing
housing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훈
오휘성
장수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846B1/ko
Priority to PCT/KR2021/002599 priority patent/WO202119411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5/00Internal-combustion aspects of rotary pistons; Outer members for co-operation with rotary pistons
    • F02B55/08Outer members for co-operation with rotary pistons; Casings
    • F02B55/10Cooling thereof
    • F02B55/12Cooling thereof by air or othe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0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22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of internal-axis type with equidirectional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at the points of engagement, or with one of the co-operating members being stationary, the inn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 equivalents than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6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3/00Internal-combustion aspects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engines
    • F02B53/02Methods of op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3/00Internal-combustion aspects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engines
    • F02B2053/005Wankel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냉각부 또는 로터 냉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로터리 엔진의 주변 공기를 통해 로터와 하우징을 냉각하는 로터리 엔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터리 엔진{A rotary engine}
본 발명은 로터리 엔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리 엔진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로터리 엔진을 냉각시키는 구성을 포함하는 로터리 엔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엔진은 회전운동으로 동력을 생산하는 엔진을 지칭한다. 로터리엔진은 피스톤엔진에 비해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소형화가 쉽고, 연속적인 연소행정이 가능하여 적은 배기량으로 높은 출력을 내는 특징이 있다. 또한, 로터리 엔진의 회전력을 균일하여 피스톤엔진에 비해 진동 및 소음이 적고, 질소산화물을 적게 배출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근래의 로터리 엔진은 그 장점으로 인해 자동차, 항공기 등의 주요 엔진으로 적용될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조로 인해 히트 펌프 시스템의 압축기에도 적용되고 있다.
로터리 엔진은 동력을 생산하기 위해 내부면이 에피트로코이드 곡선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의 형상이 삼각기둥으로 이루어진 경우 로터와 하우징으로 3개의 연소실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연소실에는 흡입, 압축, 연소 및 팽창, 배기로 이루어진 4행정이 진행되며, 이에 따라 로터가 1회전 시 상기 4행정은 3회 진행된다.
특히, 로터리 엔진의 경우 연료 또는 공기 등을 연소실에 주입하는 흡기밸브와 연료 또는 공기를 연소실로부터 배출시키는 배기밸브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흡기 및 배기가 보다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고, 가스 교환의 효율이 좋다.
한편, 로터리 엔진의 경우 연료 또는 공기 등이 연소실에 주입되며 폭발 행정을 일으킴에 따라, 과도한 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로터리 엔진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으며, 로터리 엔진의 온도 상승은 로터리 엔진의 전체적인 효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로터리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오일을 순환시켜 냉각시키는 유냉(oil-cooling) 방식과, 공기를 순환시켜 대류 또는 전도를 통해 냉각시키는 공랭(air-cooling)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냉 방식은 상기 오일을 순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추가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단점이 있고, 상기 공랭 방식은 공기와 연료가 섞인 채 온도가 상승하여 체적효율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유냉 방식과 상기 공랭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미국 공개공보 2010/0313844A1(이하, 선행문헌으로 약칭함.)는 블로바이가스(blow-by gas)를 이용하여 로터의 냉각시키는 구성을 게시한다. 여기에서, 블로바이가스라 함은 로터리 엔진의 팽창행정 및 압축행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압력의 가스가 로터의 측면에 설치된 싸이드 씰을 통해 로터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의미한다.(상기 선행문헌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행문헌은 블로바이가스를 순환시켜 로터에 공급하되, 블로바이가스가 순환되는 경로에 오일펌프를 배치시켜 오일을 공급한다. 따라서, 오일은 블로바이가스와 함께 유동하여 로터리 엔진을 윤활함과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선행문헌에 의해서도 추가적인 구성이 필요하며,(예컨대, 상기 오일펌프), 특히 로터의 냉각에만 집중되어 로터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은 상기 블로바이가스(공기와 연료가 혼합된 혼합기)에 의해 냉각될 수 없다.
따라서, 로터의 냉각뿐만 아니라, 로터를 수용하며 연료가 연소되거나 폭발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냉각을 하되 추가적인 구성 없이 냉각함이 요구된다.
미국 공개공보 2010/0313844A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로터리 엔진을 냉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로터리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해 추가되는 구성이 없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로터리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해 로터의 궤적을 고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로터리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해 로터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하우징을 냉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로터 회전시 발생하는 로터 내부공간의 중첩공간을 이용하여 로터의 냉각을 위한 공기가 공급 및 배출될 수 있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하는 로터리 엔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커버하우징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입구를 가지고,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에는 공급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커버하우징을 냉각할 수 있는 방열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엔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커버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방열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엔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에 연료가 연소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로터하우징, 상기 로터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하우징, 상기 커버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료를 이동시키거나 압축하는 로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과 마주보는 밀폐프레임 및 상기 밀폐프레임에서 상기 수용공간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외관프레임을 포함하여 내부에 냉각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밀폐프레임은 상기 밀폐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밀폐홀을 포함하고 상기 외관프레임은 상기 외관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외관홀을 포함하여, 상기 냉각공간과 상기 커버하우징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로터리 엔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로터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커버하우징 및 상기 제1커버하우징과 이격되도록 상기 로터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커버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1밀폐프레임 및 상기 제1밀폐프레임에서 상기 수용공간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외관프레임을 포함하여 내부에 제1냉각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외관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제1외관바디, 상기 제1외관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밀폐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외관체결부 및 상기 제1외관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커버하우징의 외부와 상기 제1냉각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외관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밀폐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제1밀폐바디, 상기 제1밀폐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외관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밀폐돌출부, 상기 제1밀폐바디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밀폐돌출부와 상기 제1냉각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1밀폐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1냉각공간과 상기 제1커버하우징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밀폐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하우징은 상기 제1밀폐바디에서 상기 제1외관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1방열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핀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1방열핀 중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1방열핀 중 나머지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밀폐프레임 및 상기 제2밀폐프레임에서 상기 수용공간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외관프레임을 포함하여 내부에 제2냉각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밀폐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제2밀폐바디, 상기 제2밀폐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밀폐돌출부 및 상기 제2밀폐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밀폐홀을 포함하여, 상기 제2냉각공간과 상기 제2커버하우징을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외관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제2외관바디, 상기 제2외관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밀폐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외관체결부 및 상기 제2외관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외관홀;을 포함하여, 상기 제2냉각공간과 상기 제2커버하우징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커버하우징은 상기 제2외관바디에서 상기 제2밀폐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2방열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핀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2방열핀 중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2방열핀 중 나머지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로터바디, 상기 로터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밀폐돌출부 및 상기 제2밀폐돌출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돌출부 및 상기 로터돌출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냉각공간과 상기 제2냉각공간을 연통시키는 로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을 회전지지하는 축수부 및 상기 커버하우징을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축수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바디홀을 포함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로터리 엔진의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바디홀은 상기 제1커버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바디홀 및 상기 제2커버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바디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수부는 상기 제1커버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축수부 및 상기 제2커버하우징에 구비되는 제2축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홀은 상기 제1축수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홀은 상기 제2축수부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하우징에 로터의 내부만 냉각시킬 수 있는 공기 연통홀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엔진의 주변 공기를 이용하여 로터와 하우징을 동시에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하우징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수행되어 로터리 엔진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하우징 및 로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 없이 커버하우징과 로터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은 로터리 엔진이 도시된 도면,
도 2는 로터리 엔진의 행정이 도시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엔진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하우징이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하우징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경로가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하우징이 도시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하우징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경로가 도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하우징이 도시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궤적이 도시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냉각부에 의해 공기가 로터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로터리 엔진(10)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로터리 엔진(10)은 연료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연료와 공기를 이동시키는 로터(200), 로터(200)와 결합되어 로터(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양단이 개구되어 로터(200)가 회전할 수 있는 수용공간(S)을 제공하는 로터하우징(110), 로터하우징(110)의 양단에 결합되어 수용공간(S)을 밀폐시키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하우징은 로터하우징(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커버하우징(120), 상기 로터하우징(1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1커버하우징(120)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2커버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커버하우징(120)과 제2커버하우징(130)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될 수 있다.
로터하우징(110)은 연료 또는 공기가 수용공간(S)가 유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S)과 로터하우징(1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흡입구(111) 및 연료 또는 공기가 수용공간(S)에서 로터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수용공간(S)과 로터하우징(1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11)와 배출구(113)는 로터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로터하우징(110)은 수용공간(S)을 형성하며 흡입구(111)와 배출구(113)가 형성되는 로터하우징바디(115) 및 로터하우징바디(115)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커버하우징과 체결되는 로터하우징체결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로터하우징체결부(119)는 로터하우징바디(115)보다 외측에 구비될 수 있고, 회전축(300)과 더 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로터하우징체결부(119)는 로터하우징바디(115)에서 회전축(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회전축(3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여 커버하우징과 체결될 수 있다.
로터(200)는 수용공간(S)에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수용공간(S)을 구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터(200)는 수용공간(S)을 구획하며 수용공간(S)에서 편심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바디(210)를 포함한다.
한편, 로터(200)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로터(200)의 형상이 변경됨에 따라,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로터하우징(110)의 내주면 형상도 변경되어야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로터(200)가 삼각기둥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용공간(S)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로터바디(210)는 로터바디(21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211), 로터바디(210)의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213) 및 제1측면(211)과 제2측면(213)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3측면(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면 내지 제3측면(211, 213, 215) 중 어느 하나는 다른 나머지 두 개의 측면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측면 내지 제3측면(211, 213, 215)은 각각 면을 형성하여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로터(200)는 연료와 공기가 연소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로터바디(210)에서 함몰 형성된 연소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소실(220)은 로터바디(210)의 외면에서 로터바디(210)의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소실(220)은 로터바디(210)의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연소실(220)은 제1측면(211)에 형성되는 제1연소실(221), 제2측면(213)에 형성되는 제2연소실(223) 및 제3측면(215)에 형성되는 제3연소실(2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후술하겠지만, 로터(200)는 수용공간(S)의 내부에서 편심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로터하우징(110)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회전한다. 따라서, 연소실(220)은 로터(200)가 로터하우징(110)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연료와 공기가 연소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로터(200)가 수용공간(S)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함에 따라, 상기 3개의 공간은 서로 기밀이 유지되어야 한다. 각각의 공간에는 서로 다른 행정들이 진행되기 때문에, 공간 간의 공기 또는 연료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로터리 엔진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로터(200)는 로터하우징(110)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수용공간(S)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200)는 로터(200)가 편심 회전함에 따라 로터하우징(110)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230)는 제1측면(211)과 제2측면(213)이 접해 형성되는 제1단부(231), 제2측면(213)과 제3측면(215)이 접해 형성되는 제2단부(233) 및 제3측면(215)과 제1측면(211)이 접해 형성되는 제3단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단부(230)는 제1측면 내지 제3측면(211, 213, 215)가 연결되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다만, 로터(200)가 단부(230)를 포함하고, 로터하우징(110)의 내주면이 로터(200)와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하더라도(예컨대, 에피트로코이드 곡선을 포함하도록), 로터(200)에 의해 수용공간(S)에서 구획된 공간들 간에 기밀이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로터(200) 또는 로터하우징(110)의 제작에 있어서 공차는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로터(200)에 의해 구획된 수용공간(S) 간에는 상당한 압력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터(200)는 단부(230)에서 로터하우징(110)의 내주면을 향해 결합되는 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씰부(240)는 제1단부(231)에 결합되어 로터하우징(110)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씰(241), 제2단부(233)에 결합되어 로터하우징(110)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씰(243) 및 제3단부(235)에 결합되어 로터하우징(110)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3씰(24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씰부(240)에는 씰부(240)에게 로터하우징(110)의 내주면을 향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로터(200)는 로터바디(210)의 내측에 위치하여 회전축(300)과 결합되는 로터축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축수부(250)는 회전축(3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속이 빈 원기둥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로터축수부(250)는 후술하는 편심부(310)와 결합될 수 있으므로, 편심부(3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로터축수부(250)는 로터바디(210)의 내측에 구비되되, 로터바디(210)와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로터축수부(250)는 로터바디(210)에서 연소실(220)이 형성된 방향으로 더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로터(200)는 로터축수부(250)와 로터바디(210) 사이를 연결하여 로터축수부(250)와 로터바디(210)를 지지하는 리브(26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260)는 로터축수부(25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로터바디(2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리브(260)는 로터(200)의 신뢰성 또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축(300)은 하우징(100)과 로터(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로터(200)와 결합되어 로터(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축(300)은 제1커버하우징(120), 수용공간(S) 및 제2커버하우징(13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00)은 로터축수부(250)와 결합되는 편심부(310), 편심부(310)에서 제2커버하우징(13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커버하우징(120)과 결합되는 제1연장부(320) 및 편심부(310)에서 제1커버하우징(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커버하우징(130)과 결합되는 제2연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편심부(310)는 제1연장부(320) 및 제2연장부(33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편심부(310)는 제1연장부(320) 및 제2연장부(330)를 연결하며 제1연장부(320) 및 제2연장부(330)와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중심부(311) 및 중심부(311)에서 중심부(31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편심을 유발하는 확장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200)는 편심부(310)에 결합되어 편심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커버하우징(120)은 제1연장부(320)가 관통되는 제1축수부(125)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커버하우징(130)은 제2연장부(330)과 관통되는 제2축수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로터리 엔진(10)은 하우징(100), 로터(200) 또는 회전축(300)과 결합되는 동력부(400) 및 회전축(300)의 회전모멘트를 상쇄시키는 밸런서(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400)는 편심부(310) 및 로터축수부(250)에 결합되어 로터축수부(250)의 내주면에서 회전축(300)을 회전지지하는 로터베어링(410), 제1연장부(320)와 제1축수부(125) 사이에서 제1연장부(320)를 회전지지하는 제1커버베어링(420) 및 제2연장부(330)와 제2축수부(135) 사이에서 제2연장부(330)을 회전지지하는 제2커버베어링(43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베어링(410)은 로터축수부(250)의 내주면보다 직경이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 로터축수부(25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로터베어링(410)의 외주면은 로터축수부(250)의 내주면과 결합될 수 있다.
더하여, 로터베어링(410)은 로터베어링(41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편심부기어(450)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로터베어링기어(411)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400)는 로터하우징(110)에 결합되어 연료를 연소시키는 점화플러그(440) 및 로터베어링기어(411)와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편심부기어(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점화플러그(440)는 로터하우징(110)에 결합되되 복수개로 구비되어 수용공간(S)에 스파크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점화플러그(440)는 로터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연료 또는 공기를 수용공간(S)과 연통시키는 흡입구(111) 및 배출구(113)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1)와 배출구(113)는 연료 또는 공기의 효율을 고려하여 인접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구(111)를 통해 수용공간(S)의 내부로 유동한 연료 또는 공기가 곧바로 폭발하지 않는 점을 고려할 때, 점화플러그(440)는 흡입구(111) 및 배출구(113)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심부기어(450)는 로터베어링기어(411)와 맞물리기만 하면 어떤 형태로 결합되도 상관 없으며, 일 예로 회전축(300)과 결합되어 로터베어링기어(411)와 맞물릴 수 있다.
편심부기어(450)와 로터베어링기어(411)가 맞물림에 따라 로터(200)가 회전하면서 형성하는 궤적이 정해질 수 있다.
밸런서(500)는 한 개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밸런서(50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밸런서(500)는 회전축(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밸런서(510) 및 회전축(3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밸런서(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밸런서(510)와 제2밸런서(520)는 각각 회전축(300)과 결합되는 제1밸런서바디(511), 제2밸런서바디(5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밸런서(510)는 제1밸런서바디(511)에서 편심부(310)가 유발하는 회전모멘트를 상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는(회전축의 직경방향으로) 제1밸런서연장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밸런서(520)는 제2밸런서바디(521)에서 편심부(310)가 유발하는 회전모멘트를 상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는(회전축의 직경방향으로) 제2밸런서연장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밸런서(500)가 보다 효율적으로 회전축(300)의 편심모멘트를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밸런서(500)는 편심부(310)와 이격될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제1밸런서(510)는 제1축수부(125)에서 편심부(310)와 멀어지는 방향에서 회전축(300)과 결합할 수 있고, 제2밸런서(520)는 제2축수부(135)에서 편심부(310)와 멀어지는 방향에서 회전축(300)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300)은 제1연장부(320)에서 편심부(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밸런서결합부(321) 및 제2연장부(330)에서 편심부(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밸런서결합부(3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밸런서결합부(321)는 제1연장부(32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제2밸런서결합부(331)는 제2연장부(33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밸런서결합부(321) 및 제2밸런서결합부(331)에 각각 형성되는 제1밸런서연장부(513) 및 제2밸런서연장부(523)가 충분한 질량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로터리 엔진(1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는 로터리 엔진(10)의 행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흡기홀에서 연료(f)가 흡입되는 흡기행정이 수행되며,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흡입행정에서 로터(200)가 회전하면 연료(f)는 로터(200)의 단부(230)를 따라 이동하며 로터하우징(110)에 밀착되어 압축되는 압축행정이 수행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행정에서 압축된 연료는 점화플러그(440)에서 발생하는 스파크(spark)로 인해 폭발하여 부피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는 폭발행정이 수행된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폭발행정의 반발력으로 인해 상기 로터(200)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연료(f)의 산화물을 배기홀로 배출시키는 배출행정이 수행된다. 이후, 로터(200)는 관성으로 인해 회전하면서 전술한 흡기행정을 다시 수행한다.
이 때, 로터(200)의 궤적은 로터베어링기어(411)와 편심부기어(450)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흡기행정, 압축행정, 폭발행정 및 배출행정은 순차적이며 연속으로 행해질 수 있다. 다만, 전술한 행정들은 로터(200)에 의해 구획되는 연소실(220) 중 어느 하나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고, 로터(200)에 의해 구획되는 연소실(220) 중 다른 하나에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연소실(220)에서 진행되는 행정과 다른 행정이 진행된다.
특히, 로터(200)에 의해 구획된 수용공간(S) 중 어느 하나에는 점화플러그(440)에 의한 폭발행정이 일어나는 동시에, 로터(200)에 의해 구획된 수용공간(S) 중 다른 하나에는 연료가 압축되는 압축행정이 일어난다.
따라서, 수용공간(S)의 온도는 상승될 수 밖에 없고 지나친 온도의 상승은 로터리 엔진(10)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로터리 엔진(10)을 냉각시키기 위해, 별도의 구성 없이 로터리 엔진(10)을 냉각시키면서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을 게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터리 엔진(10)에서 냉각이 가장 필요한 구성은 로터(200)이나, 로터(200)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의 경우에도 냉각이 필요하다.
특히, 하우징(100)의 냉각이 수행되는 경우, 로터(200) 및 수용공간(S)을 냉각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우징(100)의 냉각을 수행하는 하우징 냉각부(600) 및 로터(200)의 냉각을 수행하는 로터 냉각부(7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로터리 엔진(10)의 냉각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냉각부(600) 및 로터 냉각부(700)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 냉각부(600) 및 로터 냉각부(700)는 로터리 엔진(10)의 주변에 위치한 공기를 이용하여 각각 하우징(100) 및 로터(2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 냉각부(600)는 로터하우징(110) 및 커버하우징(120, 130)에 형성되어 하우징(100)을 냉각시키는 공기의 유로(이하, 하우징 냉각유로로 약칭함.)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로터 냉각부(700)는 커버하우징(120, 130)에 형성되어 로터(200)를 냉각시키는 공기의 유로(이하, 로터 냉각유로로 약칭함.)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냉각유로와 로터 냉각유로는 별개의 유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 냉각유로와 로터 냉각유로는 별개의 유로로 형성되어 서로 간섭 없이 로터리 엔진(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 냉각부(600) 및 로터 냉각부(700)를 제외하고는 도 1에서 설명한 구성을 동일하게 포함하는 로터리 엔진(10)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커버하우징(120)에 구비되어 제1커버하우징(120)을 냉각시키는 하우징 냉각부(600)를 설명한다.
도 4 에서 왼쪽 도면은 제1커버하우징(120)의 전면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4에서 오른쪽 도면은 제1커버하우징(120)의 배면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커버하우징(120)은 내부에 제1냉각공간(C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공간(C1)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프레임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냉각공간(C1)은 제1커버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고, 수용공간(S)과 분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커버하우징(120)은 수용공간(S)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제1밀폐프레임(123) 및 제1밀폐프레임(120)에서 수용공간(S)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외관프레임(1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외관프레임(121)과 제1밀폐프레임(123)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외관프레임(121)과 제1밀폐프레임(123)이 결합되어 내부에 제1냉각공간(C1)을 형성하기 위해, 제1외관프레임(121)과 제1밀폐프레임(123)은 각각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는 바디 및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외관프레임(121)은 회전축(300)이 관통하는 제1외관바디(1211) 및 제1외관바디(121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제1밀폐프레임(123) 또는 로터하우징(110) 또는 제2커버하우징(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외관체결부(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외관체결부(1213)는 제1외관바디(121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되, 회전축(30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외관체결부(1213)는 제1외관바디(1211)의 외주면에서 회전축(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외관체결부(1213)는 제1외관바디(1211)가 형성하는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두께란 회전축(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외관체결부(1213)와 제1외관바디(1211)가 결합되면, 제1커버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제1냉각공간(C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밀폐프레임(123)은 회전축(300)이 관통하는 제1밀폐바디(1231) 및 제1밀폐바디(123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제1외관프레임(121) 또는 로터하우징(110) 또는 제2커버하우징(13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제1밀폐체결부(1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밀폐체결부(1233)는 제1외관체결부(1213)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제1외관체결부(1213)와 결합될 수 있다.
제1밀폐체결부(1233)의 두께는 제1밀폐바디(123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두께란, 회전축(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커버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냉각공간(C1)은 충분한 부피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냉각부(600)는 제1냉각공간(C1)과 제1커버하우징(120)의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해, 제1커버하우징(120)을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하우징(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홀이 회전축(300)의 길이 방향으로 제1커버하우징(120)을 관통하는 경우, 하우징 냉각부(600)는 제1외관프레임(12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외관홀(610)과 제1밀폐프레임(123)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밀폐홀(6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커버하우징(120)의 외부에서 제1커버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1냉각공간(C1)을 유동하는 공기가 보다 많이 제1커버하우징(120)을 냉각시키기 위해, 제1외관홀(610)과 제1밀폐홀(620)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바람직하게 제1외관홀(610)과 제1밀폐홀(62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지 않고, 회전축(300)의 직경 방향 또는 회전축(300)의 회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외관홀(610) 및 제1밀폐홀(620) 중 어느 하나가 제1커버하우징(120)의 외측에 구비되는 경우, 제1외관홀(610) 및 제1밀폐홀(620) 중 다른 하나는 제1커버하우징(1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커버하우징(120)의 외측은 제1커버하우징(120)의 내측보다 회전축(300)과 떨어진 거리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외관홀(610)이 제1외관바디(1211)에 형성되는 경우, 제1밀폐홀(620)은 제1밀폐바디(1231)의 외주면에서 회전축(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밀폐홀(620)은 제1밀폐바디(1231)의 외주면에서 회전축(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밀폐돌출부(1235)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밀폐프레임(123)은 제1밀폐바디(1231)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밀폐돌출부(1235)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밀폐홀(620)은 제1밀폐돌출부(1235)를 회전축(3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외관체결부(1213)와 제1밀폐체결부(1233)가 형성하는 두께는 각각 제1외관바디(1211)와 제1밀폐바디(123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제1냉각공간(C1)을 유동하는 공기는 제1밀폐홀(620)과 연통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 냉각부(600)는 제1밀폐체결부(1233) 또는 제1밀폐바디(1231)의 외주면을 회전축(300)의 직경방향 또는 회전축(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냉각공간(C1)과 제1밀폐홀(620)을 연통시키는 제1가이드부(6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621)는 제1밀폐돌출부(1235)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밀폐체결부(1233)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냉각공간(C1)에 위치한 공기는 제1가이드부(621)를 통해 제1밀폐홀(620)로 안내될 수 있고, 제1커버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는 제1밀폐홀(620)로 유입되고 제1가이드부(621)를 통해 제1냉각공간(C1)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외관홀(610)과 제1밀폐홀(620)은 제1커버하우징(120)의 내부(제1냉각공간)과 제1커버하우징(120)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외관홀(610)과 제2밀폐홀(620)은 복수 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외관홀(610)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제1외관홀 중 어느 하나는 회전축(300) 또는 제1축수부(125)에서 일측으로 이격되어 구비(611, 613)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외관홀 중 다른 하나는 회전축(300) 또는 제1축수부(125)의 타측으로 이격(615, 617)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제1외관홀 중 다른 하나는 회전축(300) 또는 제1축수부(125)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외관홀 중 어느 하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밀폐돌출부(1235)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제1밀폐돌출부 중 어느 하나(1235a)는 회전축(300) 또는 제1축수부(125)에서 일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밀폐돌출부 중 다른 하나(1235b)는 회전축(300) 또는 제1축수부(125)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밀폐돌출부 중 어느 하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밀폐홈 중 어느 하나(620a)는 상기 제1밀폐돌출부(1235a)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1밀폐홈 중 다른 하나(620b)는 상기 제1밀폐돌출부(1235b)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커버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도(conduction) 또는 대류(convection)에 의해 제1커버하우징(12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냉각부(600)는,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외관프레임(121) 및 제1밀폐프레임(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제1냉각공간(C1)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1방열핀(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열핀(630)이 제1외관프레임(121)에 구비되는 경우, 제1방열핀(630)은 제1외관프레임(121)의 내면에서 제1밀폐프레임(123)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연장될 수 있다.
제1방열핀(630)이 제1밀폐프레임(123)에 구비되는 경우, 제1방열핀(630)은 제1밀폐프레임(123)의 내면에서 제1외관프레임(121)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방열핀(63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방열핀(63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1방열핀(630) 중 일부는 제1냉각공간(C1)으로 돌출되어 제1방향으로 연장(631)될 수 있고, 제1방열핀(630) 중 나머지는 제1냉각공간(C1)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633)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의 냉각유로(P1)를 설명하면, 공기는 제1외관프레임(121), 제1냉각공간(C1) 및 제1밀폐프레임(123)을 순차적으로 거쳐 제1커버하우징(12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다르게 공기는 제1밀폐프레임(123), 제1냉각공간(C1) 및 제1외관프레임(121)을 순차적으로 거쳐 제1커버하우징(12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는 기류를 형성시키는 구성(예컨대, 팬)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외관홀(610)과 제1밀폐홀(620)이 회전축(300)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축(300)의 직경 방향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1커버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냉각공간(C1)에서 절곡되어 유동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외관홀(610)과 제1밀폐홀(620)의 위치에 따라 제1커버하우징(120)의 외부에서 제1커버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다시 제1커버하우징(120)의 외부로 유동하는 동안 형성하는 유로는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2커버하우징(130)을 냉각시키는 하우징 냉각부(600)를 설명한다.
도 6은 제2밀폐프레임(131) 및 제2외관프레임(133)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7은 제2커버하우징(130)을 냉각시키는 공기의 유로가 도시된 도면이다.
제2커버하우징(130)은 내부에 제2냉각공간(C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커버하우징(130)은 수용공간(S)과 마주보게 위치하는 제2밀폐프레임(131) 및 제2밀폐프레임(131)에서 수용공간(S)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외관프레임(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밀폐프레임(131)은 회전축(300)이 관통하는 제2밀폐바디(1311) 및 제2밀폐바디(131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제2밀폐프레임(131) 또는 로터하우징(110) 또는 제1커버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제2밀폐체결부(1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밀폐체결부(1313)는 제2밀폐프레임(131)의 외주면에서 회전축(300)의 직경방향 또는 회전축(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밀폐체결부(1313)와 제2밀폐바디(1311)는 서로 다른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밀폐체결부(1313)의 두께는 제2밀폐바디(131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두께는 회전축(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커퍼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제2밀폐체결부(1313)에서 회전축(300) 또는 제2축수부(135)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간인 제2냉각공간(C2)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제2외관프레임(133)은 회전축(300)이 관통하는 제2외관바디(1331) 및 제2외관바디(133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밀폐프레임(131) 또는 로터하우징(110) 또는 제1커버하우징(12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제2외관체결부(13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외관체결부(1333)는 제2밀폐체결부(1313)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제2밀폐체결부(1313)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냉각공간(C2)의 부피를 보다 확장시키기 위해, 제2외관바디(1331)의 두께와 제2외관체결부(1333)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외관바디(1331)의 두께는 제2외관체결부(1333)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외관체결부(1333)와 제2밀폐체결부(1313)가 결합되는 경우, 제2커버하우징(13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냉각공간(C2)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하우징 냉각부(600)는 제2커버하우징(130)의 내부에 위치한 제2냉각공간(C2)과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우징 냉각부(600)는 제2밀폐프레임(1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밀폐홀(640) 및 제2외관프레임(133)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외관홀(65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는 제2냉각공간(C2)으로 유동할 수 있고, 제2냉각공간(C2)에 위치한 공기는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다만, 제2냉각공간(C2)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2밀폐홀(640)과 제2외관홀(650)은 회전축(300)의 반경 방향 또는 회전축(300)의 회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2밀폐홀(640)과 제2외관홀(650) 중 어느 하나는 제2커버하우징(13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밀폐홀(640)과 제2외관홀(650) 중 나머지 하나는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커버하우징(130)의 내측은 회전축(300)이나 제2축수부(135)에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측보다 회전축(300)이나 제2축수부(135)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밀폐홀(640)이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2외관홀(650)이 제2커버하우징(13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밀폐홀(640)은 제2외관홀(650)보다 회전축(300) 또는 제2축수부(135)에 먼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2밀폐홀(640)은 제2외관홀(650)에서 회전축(300)의 직경 방향 또는 회전축(300)의 회전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밀폐프레임(131)은 제2밀폐프레임(131)의 외주면에서 회전축(300) 또는 제2축수부(13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밀폐돌출부(1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밀폐홀(640)은 제2밀폐돌출부(1315)를 회전축(3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제2커버하우징(130)와 제2냉각공간(C2)을 연통시킬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밀폐체결부(1313)는 제2밀폐바디(1311)보다 두꺼운 두께를 형성하므로, 제2밀폐홀(640)을 통해 유동한 공기가 제2냉각공간(C2)과 연통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 냉각부(600)는 제2밀폐체결부(1313) 또는 제2밀폐바디(1311)의 외주면을 회전축(300)의 반경 방향 또는 회전축(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하여 제2밀폐홀(640)과 제2냉각공간(C2)을 연통시키는 제2가이드부(6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640)는 제2밀폐돌출부(1315)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회전축(300)의 반경 방향 또는 회전축(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는 제2밀폐홀(640)을 통해 제2냉각공간(C2)으로 유동할 수 있고, 제2냉각공간(C2)에 위치한 공기는 제2밀폐홀(640)을 통해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제2외관홀(650)은 제2밀폐홀(640)보다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2외관홀(650)이 회전축(300) 또는 제2축수부(135)와 이격된 거리는 제2밀폐홀(640)이 회전축(300) 또는 제2축수부(135)와 이격된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외관홀(650)은 제2외관바디(1331)를 회전축(3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외관프레임(133)은 제2외관바디(1331)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밀폐돌출부(1315)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제2외관돌출부(133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냉각부(600)는 제2외관바디(1331)의 외주면 또는 제2외관체결부(1333)를 회전축(300)의 반경 방향 또는 회전축(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외관돌출부(1335)와 제2냉각공간(C2)을 연통시키는 제3가이드부(651)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3가이드부(651)는 제2외관돌출부(1335)가 돌출된 위치에서 제2외관바디(1331)의 외주면 또는 제2외관체결부(133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3가이드부(651)는 제2가이드부(641)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냉각부(600)는 제2밀폐프레임(131) 또는 제2외관프레임(133)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2냉각공간(C2)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2방열핀(6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열핀(660)은 제2밀폐프레임(131) 또는 제2외관프레임(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어 제2냉각공간(C2)과 제2커버하우징(130)이 접촉되는 부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기가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와 제2커버하우징(130)의 내부(제2냉각공간)을 유동하면서, 전도 또는 대류에 의해 제2커버하우징(130)을 냉각시킬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제2방열핀(660)은 전도 또는 대류에 의한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방열핀(66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방열핀(66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보다 넓은 면적에서 제2커버하우징(130)과 제2냉각공간(C2) 간의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방열핀(66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2방열핀(660)은 제2냉각공간(C2)을 향해 돌출되어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방열핀(661) 및 제2냉각공간(C2)을 향해 돌출되어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방열핀(6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와 제2냉각공간(C2)을 유동하는 공기는 보다 효율적으로 제2커버하우징(130)을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밀폐홀(640)과 제2외관홀(650)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밀폐홀(64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2밀폐홀(640) 중 어느 하나(640a)는 회전축(300) 또는 제2축수부(135)에서 일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제2밀폐홀 중 다른 하나(640b)는 회전축(300) 또는 제2축수부(135)에서 상기 제2밀폐홀(640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외관홀(650)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2외관홀(650) 중 어느 하나(650a)는 회전축(300) 또는 제2축수부(135)에서 일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제2외관홀(650) 중 다른 하나(650b)는 회전축(300) 또는 제2축수부(135)에서 상기 제2외관홀(650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는 보다 많은 유량으로 제2냉각공간(C2)으로 유동 가능하며, 제2냉각공간(C2)에 위치한 공기는 보다 많은 유량으로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커버하우징(130)을 유동하는 공기의 냉각 유로(P2)가 도시된다.
공기는 제2밀폐프레임(131)에 구비된 제2밀폐홀(640)을 통해 제2냉각공간(C2)으로 유동하고, 제2냉각공간(C2)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냉각공간(C2)에서 절곡되어 유동 한 후, 제2외관프레임(133)에 구비된 제2외관홀(650)을 통해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밀폐홀(640)과 제2외관홀(650)이 각각 제2커버하우징(130)의 내측과 외측에 위치함에 따라, 공기는 제2냉각공간(C2)에서 절곡되어 유동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공기의 냉각 유로(P2)는 제2밀페프레임(131), 제2냉각공간(C2) 및 제2외관프레임(133)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모습이 도시되나 이는 공기의 기류를 형성하는 구성(예컨대, 팬)에 의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는 제1커버하우징(120)의 내부와 외부를 유동하여 제1커버하우징(12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는 제2커버하우징(130)의 내부와 외부를 유동하여 제2커버하우징(13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다만, 제1커버하우징(120)과 제2커버하우징(130)을 유동하는 공기의 기류를 형성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구성(예컨대, 팬)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은 제1커버하우징(120)에도 인접하게 구비되어야 하며, 제2커버하우징(130)에도 인접하게 구비되어야 한다.
특히, 제1커버하우징(120)과 제2커버하우징(130) 사이에는 로터하우징(110)이 위치함을 고려할 때, 제1커버하우징(120)에서 형성되는 기류와 제2커버하우징(130)에서 형성되는 기류의 방향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해, 바람직하게 제1냉각공간(C1)과 제2냉각공간(C2)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도 8은 로터하우징(110)을 통해 제1냉각공간(C1)과 제2냉각공간(C2)을 연통시키는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 냉각부(600)는 제1냉각공간(C1)과 제2냉각공간(C2)을 연통시키도록 로터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로터홀(6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터하우징(110)은 로터하우징(11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1커버하우징(120)과 제2커버하우징(130)과 접촉되는 로터하우징돌출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하우징돌출부(117)는 로터하우징체결부(119)와 다르게 별도의 체결부재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로터홀(670)은 로터하우징돌출부(117)를 회전축(3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로터하우징돌출부(117)는 제1밀폐돌출부(1235) 및 제2밀폐돌출부(1315)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홀(670)은 제1밀폐홈(620) 및 제2밀폐홈(640)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로터홀(670)은 제1밀폐홈(620) 및 제2밀폐홈(640)과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로터홀(670)은 제1냉각공간(C1)과 제2냉각공간(C2)을 연통시킬 수 있다.
기류를 형성하는 구성(예컨대, 팬)이 제1커버하우징(120)에서 제2커버하우징(130)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키는 경우, 공기는 제1커버하우징(120)을 거치면서 제1냉각공간(C1)을 유동한 후, 로터하우징(110)으로 유동(P1)할 수 있다. 로터하우징(110)에 형성된 로터홀(670)을 유동한 공기는 제2커버하우징(130)을 거치면서 제2냉각공간(C2)을 유동(P2)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는 제1커버하우징(120), 로터하우징(110) 및 제2커버하우징(130)을 순차적으로 냉각시켜 하우징(100)을 냉각시킬 수 있다. 공기의 냉각유로(P)는 로터(200)에 의해 연료 등이 연소되는 수용공간(S)와 분리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하우징 냉각부(6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냉각유로(P)는 수용공간(S)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내용은 하우징 냉각부(600)에 관한 것으로, 로터(200)를 직접적으로 냉각시키기 보다는 로터(200)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하우징(100)을 냉각시키는 것에 중점을 뒀다.
이하에서는 로터(200)를 냉각시키기 위한 로터 냉각부(700)를 설명한다.
로터(200)는 로터하우징(110)의 내주면에서 편심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로터(200)가 로터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에서 운동하는 경로는 매 회전별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예컨대, 편심부기어와 로터베어링기어에 의해)
도 9는 로터(200)가 일 회전함에 따라 운동하는 궤적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로터(200)는 수용공간(S) 내에서 회전하되, 로터하우징의 내주면(110a)과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로터(200)의 외면이 일 회전에 따라 형성하는 궤적(T)은 로터(2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중첩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중첩부(R)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 냉각부(700)가 로터(200)를 냉각시키기 위해 형성하는 공기의 유로는 로터(200)의 외면과 로터하우징의 내주면(110a) 사이의 공간을 지나도록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해, 로터 냉각부(70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는 로터(200)의 내부를 유동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로터하우징의 내주면(110a)과 로터(200)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전술한 4행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터 냉각부(7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유로는 상기 중첩부(R) 내를 유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7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여 로터 냉각부(7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로터 냉각부(7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유로(P3)가 도시된 도면이다.
로터 냉각부(700)는 제1커버하우징(120)을 회전축(3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바디홀(710) 및 제2커버하우징(130)을 회전축(3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바디홀(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홀(710)은 제1외관바디(1211) 및 제1밀폐바디(123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제1커버하우징(120)의 외부와 수용공간(S)을 연통시킬 수 있다.
제1바디홀(710)은 복수 개로 구비 될 수 있다. 제1바디홀(71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1바디홀(710) 중 어느 하나(711)는 제1축수부(125)에서 회전축(30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바디홀(710) 중 다른 하나(713)는 제1축수부(125)에서 상기 제1바디홀(7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로터 냉각부(700)는 로터 냉각부(7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유로(P3)가 하우징 냉각부(6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유로(P1, P2)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제1바디홀(7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게 구비되는 제1바디홀프레임(7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홀프레임(730)은 제1외관프레임(121) 및 제1밀폐프레임(123)에서 제1냉각공간(C1)을 향해 돌출되어 제1냉각공간(C1)과 분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바디홀프레임(730)은 제1바디홀(7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게 구비되어 제1외관프레임(121)과 제1밀폐프레임(123)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1냉각공간(C1)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와 제1바디홀(710)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는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커버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는 수용공간(S)과 연통될 수 있다.
제2바디홀(720)은 제2밀폐바디(1311) 및 제2외관바디(13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와 수용공간(S)을 연통시킬 수 있다.
제2바디홀(72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바디홀(7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2바디홀(720) 중 어느 하나(721)는 제2축수부(135)와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2바디홀(720) 중 다른 하나(723)는 제2축수부(135)에서 상기 제2바디홀(7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로터 냉각부(700)는 로터 냉각부(7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유로(P3)가 하우징 냉각부(6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유로(P1, P2)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2바디홀(7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게 구비되는 제2바디홀프레임(7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홀프레임(740)은 제2밀폐프레임(131) 및 제2외관프레임(133)을 연결하도록 제2밀폐프레임(131)에서 제2외관프레임(133)으로 연장되거나, 제2외관프레임(133)에서 제2밀폐프레임(13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바디홀프레임(740)은 제2냉각공간(C2)과 제2바디홀(720)이 연통되지 않도록 제2밀폐프레임(131)과 제2외관프레임(133) 사이에서 소정의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두께란 회전축(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로써, 제2냉각공간(C2)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와 제2바디홀(720)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는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는 수용공간(S)과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제1바디홀(710) 및 제2바디홀(720)은 도 9에서 전술한 중첩부(R)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해, 제1바디홀(710) 및 제2바디홀(720)은 로터리 엔진(1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를 중첩부(R)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제1커버하우징(120)과 제2커버하우징(1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하우징(120), 로터하우징(110) 및 제2커버하우징(130)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도록 기류가 형성되는 경우, 제1커버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는 제1바디홀(710)을 거쳐 수용공간(S)으로 안내될 수 있다. 수용공간(S)에서 로터(200)를 냉각한 공기는 제2바디홀(720)을 거쳐 제2커버하우징(1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로터 냉각부(700)는 하우징 냉각부(6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냉각유로(P1, P2)와 간섭되지 않는 공기의 유로(P3)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리 엔진(10)은 하우징 냉각부(600)와 로터 냉각부(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냉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엔진(10)은 하우징 냉각부(600) 및 로터 냉각부(700)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로터리 엔진(10)의 주변 공기를 이용하여 로터(200) 및 하우징(100)을 냉각할 수 있으므로, 냉각수 또는 오일 등을 순환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로터리 엔진 : 10 하우징 : 100
로터 하우징 : 110 내주면 :110a
제1커버하우징 : 120 제2커버하우징 : 130
로터 : 200 로터 바디 : 210
연소실 : 220 단부 : 230
씰부 : 240 로터축수부 : 250
리브 : 260 회전축 : 310
편심부 : 310 제1연장부 : 320
제1밸런서결합부 : 321 제2연장부 : 330
제2밸런서결합부 : 331 동력부 : 400
로터베어링 : 410 제1커버베어링 : 420
제2커버베어링 : 430 점화플러그 : 440
편심부기어 : 450 밸런서 : 500
제1밸런서 : 510 제2밸런서 : 520
하우징 냉각부 : 600 제1외관홀 : 610
제1밀폐홀 : 620 제1방열핀 : 630
제2밀폐홀 : 640 제2외관홀 : 650
제2방열핀 : 660 로터 냉각부 : 700
제1바디홀 : 710 제2바디홀 : 720
제1바디홀프레임 : 730 제2바디홀프레임 : 740
제1냉각공간 : C1 제2냉각공간 : C2
연료 : f 냉각유로 : P1
냉각유로 : P2 냉각유로 : P3
중첩부 : R 수용공간 : S
로터의 궤적 : T

Claims (17)

  1. 내부에 연료가 연소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로터하우징;
    상기 로터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1냉각공간을 형성하는 제1커버하우징 및 상기 로터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2냉각공간을 형성하는 제2커버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하우징;
    상기 제1커버하우징, 상기 제2커버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료를 이동시키거나 압축하는 로터; 및
    상기 제1커버하우징의 외부, 상기 제1냉각공간, 상기 제2냉각공간 및 상기 제2커버하우징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의 냉각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의 냉각유로는 상기 수용공간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1밀폐프레임; 및
    상기 제1밀폐프레임에서 상기 수용공간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외관프레임;을 포함하여 내부에 상기 제1냉각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관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제1외관바디;
    상기 제1외관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밀폐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외관체결부; 및
    상기 제1외관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커버하우징의 외부와 상기 제1냉각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외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폐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제1밀폐바디;
    상기 제1밀폐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외관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밀폐돌출부;
    상기 제1밀폐바디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밀폐돌출부와 상기 제1냉각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1밀폐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1냉각공간과 상기 제1커버하우징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밀폐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하우징은 상기 제1밀폐바디에서 상기 제1외관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1방열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핀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1방열핀 중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1방열핀 중 나머지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밀폐프레임; 및
    상기 제2밀폐프레임에서 상기 수용공간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외관프레임;을 포함하여 내부에 상기 제2냉각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폐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제2밀폐바디;
    상기 제2밀폐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밀폐돌출부; 및
    상기 제2밀폐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밀폐홀;을 포함하여, 상기 제2냉각공간과 상기 제2커버하우징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관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제2외관바디;
    상기 제2외관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밀폐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외관체결부; 및
    상기 제2외관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외관홀;을 포함하여, 상기 제2냉각공간과 상기 제2커버하우징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하우징은 상기 제2외관바디에서 상기 제2밀폐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2방열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열핀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2방열핀 중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2방열핀 중 나머지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로터바디;
    상기 로터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밀폐돌출부 및 상기 제2밀폐돌출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돌출부; 및
    상기 로터돌출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냉각공간과 상기 제2냉각공간을 연통시키는 로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을 회전지지하는 축수부; 및
    상기 커버하우징을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축수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바디홀;을 포함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로터리 엔진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홀은,
    상기 제1커버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바디홀; 및
    상기 제2커버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바디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수부는,
    상기 제1커버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축수부; 및
    상기 제2커버하우징에 구비되는 제2축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홀은 상기 제1축수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홀은 상기 제2축수부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KR1020200037276A 2020-03-27 2020-03-27 로터리 엔진 KR10227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276A KR102278846B1 (ko) 2020-03-27 2020-03-27 로터리 엔진
PCT/KR2021/002599 WO2021194113A1 (ko) 2020-03-27 2021-03-03 로터리 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276A KR102278846B1 (ko) 2020-03-27 2020-03-27 로터리 엔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846B1 true KR102278846B1 (ko) 2021-07-19

Family

ID=7712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276A KR102278846B1 (ko) 2020-03-27 2020-03-27 로터리 엔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8846B1 (ko)
WO (1) WO202119411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792B1 (ko) 2022-05-13 2023-03-17 김병우 사인 로터리 기관
KR102563972B1 (ko) 2023-03-14 2023-08-03 김병우 고효율 사인 로터리 기관
CN117469023A (zh) * 2023-12-28 2024-01-30 陕西众科源泰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带涂层的三角转子活塞及转子发动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9714A (en) * 1976-01-16 1977-07-27 Outboard Marine Corp Rotary engine cooled by suction air
JP2003524722A (ja) * 1998-12-17 2003-08-19 モラ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給気冷却および潤滑が強化されたロータリ・エンジン
US20100313844A1 (en) 2008-02-13 2010-12-16 Garside David W Rotary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50108852A (ko) * 2013-01-25 2015-09-30 리퀴드피스톤 인크. 공랭식 로터리 엔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3554B2 (en) * 2013-02-20 2016-01-26 Ceramic Rotary Engines, Inc. Rotary engine comprising a ceramic material
US10072566B2 (en) * 2015-12-18 2018-09-11 Pratt & Whitney Canada Corp. Rotary engine casing with seal engaging plate having mating surface defining a fluid cav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9714A (en) * 1976-01-16 1977-07-27 Outboard Marine Corp Rotary engine cooled by suction air
JP2003524722A (ja) * 1998-12-17 2003-08-19 モラ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給気冷却および潤滑が強化されたロータリ・エンジン
US20100313844A1 (en) 2008-02-13 2010-12-16 Garside David W Rotary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50108852A (ko) * 2013-01-25 2015-09-30 리퀴드피스톤 인크. 공랭식 로터리 엔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792B1 (ko) 2022-05-13 2023-03-17 김병우 사인 로터리 기관
KR102563972B1 (ko) 2023-03-14 2023-08-03 김병우 고효율 사인 로터리 기관
CN117469023A (zh) * 2023-12-28 2024-01-30 陕西众科源泰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带涂层的三角转子活塞及转子发动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4113A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846B1 (ko) 로터리 엔진
RU2662031C2 (ru) Роторный двигатель с воздушным охлаждением
KR890000571B1 (ko) 로우타리 엔진
US8033264B2 (en) Rotary engine
US8132399B2 (en) Reflective pulse rotary engine
US20140352654A1 (en) Rotary Wing Engine
KR102329615B1 (ko) 로터리 엔진
KR102356782B1 (ko) 로터리 엔진
KR20100074106A (ko) 회전 내연 엔진
KR102422433B1 (ko) 로터리 엔진용 로터
US11459891B2 (en) Rotary engine
KR102300044B1 (ko) 로터리 엔진
KR102278847B1 (ko) 로터리 엔진
US11371550B2 (en) Rotary engine
US10954848B2 (en) Rotary engine
KR20220100438A (ko) 로터리 엔진
KR102491336B1 (ko) 로터리 엔진
US20040255898A1 (en) Tri-vane rotary engine
RU2613012C1 (ru) Роторно-поршневой двигатель
KR20220103447A (ko) 로터리 엔진
KR20190000689A (ko) 씰링 구조를 개선한 로터리 엔진
JPS624534B2 (ko)
JP6618936B2 (ja) ベーン型内燃機関の冷却構造
KR101972907B1 (ko) 흡배기포트 구조를 개선한 로터리 엔진
KR20180112604A (ko) 로터리 엔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