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722B1 -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 Google Patents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722B1
KR102277722B1 KR1020200002921A KR20200002921A KR102277722B1 KR 102277722 B1 KR102277722 B1 KR 102277722B1 KR 1020200002921 A KR1020200002921 A KR 1020200002921A KR 20200002921 A KR20200002921 A KR 20200002921A KR 102277722 B1 KR102277722 B1 KR 102277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flector
plate
teet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근
Original Assignee
자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fog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61B1/25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with means for preventing fog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치아를 비추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반사판에 생성된 김서림을 제거하는 케이스의 상호 결합 및 분리가 보다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전방 개구된 송풍구를 갖는 케이스와,
입속에 삽입되어 치아를 비추는 반사판과,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상기 반사판이 지지 결합되도록 하는 장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송풍구를 통해 상기 반사판으로 공기를 보내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기가 포함된 것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반사판의 후방에 연이어 형성되는 지지돌출부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반사판의 지지돌출부가 삽입되는 전방 개구된 삽입홀을 내부에 갖는 삽입부와,
상기 케이스의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반사판의 지지돌출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가 제공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인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는 케이스의 삽입홀에 삽입된 반사판을 고정 해제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 중에 반사판이 케이스에서 이탈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Reflection Plate Case for Teeth Photographing}
본 발명은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치아를 비추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반사판에 생성된 김서림을 제거하는 케이스의 상호 결합 및 분리가 보다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치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치아 사진을 촬영한다.
하지만 구강의 잘 보이지 않는 곳을 촬영하는 것은 쉽지 않고, 더욱이 무의식적으로 혀가 움직이기 때문에 구강을 촬영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반사판을 입 안에 삽입하여 구강의 잘 보이지 않는 곳까지 반사하여 촬영한다.
이러한 종래의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전방 개구된 송풍구(11)를 갖는 케이스(10)와,
입속에 삽입되어 치아를 비추는 반사판(20)과,
상기 케이스(10)의 송풍구(11)를 통해 상기 반사판(20)으로 공기를 보내도록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기(12)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 반사판(20)이 지지 결합되도록 하는 장착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수단(30)은,
상기 케이스(10)의 전방하부에 마련된 받침판(31)과,
상기 받침판(31)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밴드(32)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판(20)을 상기 받침판(31)과 지지밴드(32)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1)는,
상기 반사판(20)이 상기 받침판(31)과 지지밴드(32) 사이에 삽입되어 면접촉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반사판(20)이 상기 받침판(31)과 지지밴드(32) 사이에서 쉽게 미끄러지면서 이탈되어 분리되므로 상기 반사판(20)의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상기 반사판(20)이 바닥에 떨어지면서 깨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398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상호 결합 분리되는 반사판과 케이스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용 중에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전방 개구된 송풍구를 갖는 케이스와,
입속에 삽입되어 치아를 비추는 반사판과,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상기 반사판이 지지 결합되도록 하는 장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송풍구를 통해 상기 반사판으로 공기를 보내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기가 포함된 것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반사판의 후방에 연이어 형성되는 지지돌출부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반사판의 지지돌출부가 삽입되는 전방 개구된 삽입홀을 내부에 갖는 삽입부와,
상기 케이스의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반사판의 지지돌출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장치로 구성되는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는,
케이스의 삽입홀에 삽입된 반사판을 고정 해제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 중에 반사판이 케이스에서 이탈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의 주요부인 승강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의 주요부인 승강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100)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100)는,
내부에 전방 개구된 송풍구(111)를 갖는 케이스(110)와,
입속에 삽입되어 치아를 비추는 반사판(120)과,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에 상기 반사판(120)이 지지 결합되도록 하는 장착수단(130)과,
상기 케이스(110)의 송풍구(111)를 통해 상기 반사판(120)으로 공기를 보내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기(112)가 포함된 것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130)은
상기 반사판(120)의 후방에 연이어 형성되는 지지돌출부(121)와,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반사판(120)의 지지돌출부(121)가 삽입되는 전방 개구된 삽입홀(114)을 내부에 갖는 삽입부(113)와,
상기 케이스(110)의 삽입홀(114)에 삽입된 상기 반사판(120)의 지지돌출부(121)를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장치(1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120)의 지지돌출부(121)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걸림홈(122)과,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손으로 누르는 누름부(142)의 선단부에 상기 반사판(120)의 걸림홈(122)에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기(1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승강판(141)과,
상기 승강판(141)을 탄지하도록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44)과,
상기 승강판(141)의 누름부(14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된 노출홀(115)로 구성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승강판(141)의 걸림돌기(143)는,
선단부에 상기 반사판(120)의 지지돌출부(121)가 접촉되면서 진입되어 승강판(141)을 원활하게 상승시키도록 하는 경사면(143a)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지지돌출부(121)의 걸림홈(122)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143b)이 형성된다.
상기 노출홀(115)에 연장하여 상기 승강판(141)의 걸림돌기(143)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요홈(115a)이 상기 삽입홀(114)과 연통되어 상기 삽입홀(114)에 삽입된 반사판(120)의 걸림홈(122)에 상기 걸림돌기(143)가 걸릴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누름부(142)와 걸림돌기(143)는 승강판(141)의 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판(141)의 상면에는 상기 스프링(144)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42a)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44)을 끼울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144)의 반대편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112) 하면에 맞닿아 지지된다.
상기 누름부(142)를 누르면 상기 스프링(144)이 압축되어 상기 승강판(141)이 상승하고,
상기 누름부(142)에서 손을 떼면 상기 스프링(14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승강판(141)이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삽입홀(114)과 송풍구(111) 사이에는,
상기 반사판(120)으로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조명램프(117)를 갖는 조명부(116)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명부(116)는 상기 삽입홀(114)에 삽입된 반사판(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조사된 빛이 상기 반사판(120)에 반사되어 구강을 더 잘 비출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빛을 골고루 조사하기 위해 다수의 조명램프(11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인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100)의 주요부인 승강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120)의 걸림홈(122)은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141)의 걸림돌기(143)는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상기 반사판(120)의 걸림홈(122)이 승강판(141)의 걸림돌기(143)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반사판(120)의 지지돌출부(121)가 상기 케이스(110)의 삽입부(113) 내에서 일정각도 좌우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입김으로 인해 상기 반사판(120)의 특정부분에서 김서림이 지속되는 경우,
상기 반사판(120)을 좌우 회동하여 반사판(120)의 각도가 변경되면 상기 송풍기(112)에서 보내는 공기가 닿는 부분이 달라지므로 상기 반사판(120)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기(112)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송풍기전원버튼(118a), 송풍기(112)의 풍속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바람세기조절버튼(118c), 상기 조명부(116)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조명부전원버튼(118b)으로 구성된 제어부(118)가 구비되어 송풍기(112) 의 전원 및 풍속, 조명부(116)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상기 송풍기(112)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함과 동시에 외부공기를 상기 송풍기(112)로 안내하는 환풍구(112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112) 및 조명부(116)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5)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부(번호없음)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후단에는 상기 배터리(145)를 충전할 수 있는 전원입력잭(146)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100)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120)의 지지돌출부(121)가 상기 케이스(110)의 삽입홀(114)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반사판(120)의 지지돌출부(121) 단부가 상기 승강판(141)의 걸림돌기(143)의 경사면(143a)을 밀면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판(141)이 승강한 상태에 이르게 되고,
이후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돌출부(121)의 걸림홈(122) 부위에서 승강했던 상기 승강판(141)이 스프링(144)에 의해 하강하며,
상기 걸림돌기(143)의 걸림턱(143b)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반사판(120)이 고정되어 치과에서 구강을 촬영할 때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141)의 누름부(142)를 누르면,
상기 승강판(141)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승강판(141)의 걸림돌기(143)가 상기 지지돌출부(121)의 걸림홈(122)에서 해제되어,
상기 케이스(110)에서 상기 반사판(120)이 분리되는 것으로 상기 반사판(120)과 케이스(110)의 상호 결합 및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전원버튼(118a)을 누르면 송풍기(112)가 상기 환풍구(112a)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구(111)로 배출시켜 상기 반사판(120)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116)가 상기 송풍구(111)와 삽입홀(114)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삽입홀(114)에 삽입된 반사판(120)으로 직접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구강을 환하게 비출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110 : 케이스 111 : 송풍구
112 : 송풍기 112a : 환풍구
113 : 삽입부 114 : 삽입홀
115 : 노출홀 115a : 삽입요홈
116 : 조명부 117 : 조명램프
118 : 제어부 118a : 송풍기전원버튼
118b : 조명부전원버튼 118c : 바람세기조절버튼
120 : 반사판 121 : 지지돌출부
122 : 걸림홈 130 : 장착수단
140 : 잠금장치 141 : 승강판
142 : 누름부 142a : 안착홈
143 : 걸림돌기 143a : 경사면
143b : 걸림턱 144 : 스프링
145 : 배터리 146 : 전원입력잭

Claims (5)

  1. 내부에 전방 개구된 송풍구(111)를 갖는 케이스(110)와,
    입속에 삽입되어 치아를 비추는 반사판(120)과,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에 상기 반사판(120)이 지지 결합되도록 하는 장착수단(130)과,
    상기 케이스(110)의 송풍구(111)를 통해 상기 반사판(120)으로 공기를 보내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기(112)가 포함된 것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130)은
    상기 반사판(120)의 후방에 연이어 형성되는 지지돌출부(121)와,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반사판(120)의 지지돌출부(121)가 삽입되는 전방 개구된 삽입홀(114)을 내부에 갖는 삽입부(113)와,
    상기 케이스(110)의 삽입홀(114)에 삽입된 상기 반사판(120)의 지지돌출부(121)를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장치(140)로 구성되되,
    상기 잠금장치(140)는,
    상기 반사판(120)의 지지돌출부(121)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걸림홈(122)과,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손으로 누르는 누름부(142)의 선단부에 상기 반사판(120)의 걸림홈(122)에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기(1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승강판(141)과,
    상기 승강판(141)을 탄지하도록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44)과,
    상기 승강판(141)의 누름부(14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된 노출홀(115)로 구성되며,
    상기 반사판(120)의 걸림홈(122)은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141)의 걸림돌기(143)는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상기 반사판(120)의 걸림홈(122)이 승강판(141)의 걸림돌기(143)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반사판(120)의 지지돌출부(121)가 상기 케이스(110)의 삽입부(113) 내에서 일정각도 좌우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삽입홀(114)과 송풍구(111) 사이에는,
    상기 반사판(120)으로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조명램프(117)를 갖는 조명부(116)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사진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141)의 걸림돌기(143)는,
    선단부에 상기 반사판(120)의 지지돌출부(121)가 접촉되면서 진입되어 승강판을 원활하게 상승시키도록 하는 경사면(143a)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지지돌출부(121)의 걸림홈(122)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143b)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KR1020200002921A 2020-01-09 2020-01-09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KR102277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921A KR102277722B1 (ko) 2020-01-09 2020-01-09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921A KR102277722B1 (ko) 2020-01-09 2020-01-09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722B1 true KR102277722B1 (ko) 2021-07-15

Family

ID=7688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921A KR102277722B1 (ko) 2020-01-09 2020-01-09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7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818B1 (ko) 2006-08-28 2006-11-02 이윤진 치아사진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KR102044873B1 (ko) * 2019-01-17 2019-11-14 안준환 미러용 이중 공기 분사 시스템을 구비한 치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818B1 (ko) 2006-08-28 2006-11-02 이윤진 치아사진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KR102044873B1 (ko) * 2019-01-17 2019-11-14 안준환 미러용 이중 공기 분사 시스템을 구비한 치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875B2 (en) Photographic light diffuser
US7946719B2 (en) Photographic light diffuser
US8201955B2 (en) Portable photographic diffuser
US6722774B2 (en) Double lamp utility light
KR102277722B1 (ko) 치아 사진 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US3737646A (en) Removable peripheral light assembly for bathroom mirror
US5420764A (en) Socket/tab supported light fixture
KR20200107513A (ko) 다운라이트형 led 조명장치
JP6803546B2 (ja) 照明器具
KR102370687B1 (ko) 다용도 led 랜턴
CN109027726A (zh) 夜灯
US2800896A (en) Apparatus for illuminating the cavity of the mouth
KR100639818B1 (ko) 치아사진촬영용 반사판 지지케이스
CN106704913B (zh) 一种直照式和柔光式可转动变换的拍摄用led照明灯
JP2005158461A (ja) 照明器具
JPH05314803A (ja) 間接照明器具
CN218883711U (zh) 多功能露营灯
JP3235202U (ja) ファン付照明器
CN215335870U (zh) 一种照明装置
CN209103081U (zh) 一种内置投影仪的灯具
CN214125741U (zh) 装有可发光扫码支架的扫码器
JP4530718B2 (ja) 撮影用照明装置
CN208058442U (zh) 一种均匀出光的led灯管
JP4464164B2 (ja) 撮影用照明装置
JP3924978B2 (ja) 非常灯用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