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467B1 -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467B1
KR102277467B1 KR1020190079098A KR20190079098A KR102277467B1 KR 102277467 B1 KR102277467 B1 KR 102277467B1 KR 1020190079098 A KR1020190079098 A KR 1020190079098A KR 20190079098 A KR20190079098 A KR 20190079098A KR 102277467 B1 KR102277467 B1 KR 102277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link
pin
bending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384A (ko
Inventor
조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론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론,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론
Priority to KR1020190079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4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산부와 골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진공청소기의 주름관연결구에 끼움 결합하는 가요성 주름관의 단부에 장착되어 주름관의 꺾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일정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탄력홀더와; 상기 주름관연결구에 장착되며 지지력을 출력하는 지지부와; 상기 다수의 탄력홀더와 연결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링크되어, 탄력홀더 상호간의 간격과, 탄력홀더와 지지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장링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는, 주름관 양단부의 과도한 꺾임을 억제함과 아울러 주름관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주름관연결구로 전가시킴으로써, 주름관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Vacuum cleaner corrugate tube damage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주름관을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하는 손상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름관 양단부의 국부적 꺾임을 억제하여 해당 부분에서의 손상을 막는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모터의 힘을 이용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빨아들여 본체 내부의 필터봉투에 담아 모으는 장치로서, 요새 우리나라 대부분의 가정에서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최근에는 물걸레가 장착된 것에서 부터 무선형에 이르기까지 사용 편리성을 고려한 여러 가지 제품이 보급되고 있다.
도 1에 일반적인 진공청소기(10)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10)는, 청소할 대상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헤드(12), 흡입헤드(12)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파이프(13), 연장파이프(13)의 단부에 고정되고 손잡이(15)를 갖는 주름관연결구(17), 주름관연결구(17)에 연결되는 주름관(16), 주름관(16)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주름관을 본체(18)에 고정시키는 다른 주름관연결구(14)를 갖는다.
주름관연결구(14,17)는, 주름관(16)의 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원통형 부재이다. 주름관(16)을 주름관연결구(14,17)에 접속시킴으로써 연장파이프(13)와 본체(18)가 연결되어, 흡입된 먼지를 본체 내부로 유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진공청소기(10)는, 주름관(16)의 양단부, 즉, A부분이 쉽게 갈라져 파손된다는 문제를 갖는다. 가령, 주름관의 일부분이 절개되며 절개된 부분이 원주방향으로 커지며 결국 절단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름관 절단의 문제는 실제 경험하는 것으로서 진공청소기의 AS대상이기도 하다.
상기한 주름관 파손의 원인은, 해당 부분(A부분)이 반복적으로 꺾이며 인장력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청소를 위해 손잡이(15)를 잡고 연장파이프(13)를 이리저리 움직이며 전진하거나 좌우로 움직일 때, A부분에 국부적인 굽힘과 인장력이 가해지는데 이러한 힘이 축적됨에 따라 피로가 쌓여 A부분이 찢어지는 것이다. 주름관이 찢어지면 진공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손상부위를 테이프로 감아 사용하기도 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3252호 (진공청소기의 주름관 접속구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주름관 양단부의 과도한 꺾임을 억제함과 아울러 주름관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주름관연결구로 전가시킴으로써, 주름관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는, 산부와 골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진공청소기의 주름관연결구에 끼움 결합하는 가요성 주름관의 단부에 장착되어 주름관의 꺾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일정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탄력홀더와; 상기 주름관연결구에 장착되며 지지력을 출력하는 지지부와; 상기 다수의 탄력홀더와 연결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링크되어, 탄력홀더 상호간의 간격과, 탄력홀더와 지지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장링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력홀더는; 탄성변형 가능한 부분 원호형 부재로서, 상기 주름관에 장착되는 동안 벌어졌다가 장착이 완료되는 순간 오므라져 골부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홀더본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홀더본체의 중앙부에는 관통형 센터홀이 형성되며, 홀더본체의 양단부에는, 주름관의 굽힘 시 이웃 탄력홀더에 닿아 더 이상의 굽힘을 제한하는 굽힘제한블록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홀더본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홀더본체로부터 연장되며 골부를 감싸 골부를 탄력적으로 죄는 탄성보강편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장링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각 홀더본체의 센터홀에 지지핀으로 연결되어, 홀더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상기 연장링크는, 일정길이의 직선형 막대의 형태를 취한다.
또한, 상기 연장링크는; 각 홀더본체의 센터홀에 지지핀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단위링크부재와, 상기 단위링크부재를 연결시키는 연결핀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는; 상기 주름관연결구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에 일체를 이루며, 상기 연장링크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링크결합부와, 상기 링크결합부에 끼워진 연장링크의 단부를 링크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시키는 링크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링크핀을 회전축으로 삼아 좌우로 회전하는 연장링크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핑면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는, 주름관 양단부의 과도한 꺾임을 억제함과 아울러 주름관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주름관연결구로 전가시킴으로써, 주름관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손상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4b, 4c는 도 2에 도시한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가 주름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손상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7b, 7c는 도 5에 도시한 손상 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탄력홀더의 변형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사용되는 주름관을 보호하는 것이다. 주름관은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호스로서, 그 양단부(도 2의 A부분) 가 반복적 인장과 과도한 꺾임에 쉽게 갈라지게 되는데, 이러한 갈라짐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의 기본 구조는, 산부와 골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진공청소기의 주름관연결구에 끼움 결합하는 가요성 주름관의 단부에 장착되어 주름관의 꺾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일정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탄력홀더와; 상기 주름관연결구에 장착되며 지지력을 출력하는 지지부와; 상기 다수의 탄력홀더와 연결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링크되어, 탄력홀더 상호간의 간격과, 탄력홀더와 지지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장링크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30)가 주름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손상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꺾임 손상 방지장치(30)는, 세 개의 탄력홀더(40), 고정바디(60), 연장링크(5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손상 방지장치(30)는, 주름관연결구(14,17)와 주름관(16)이 결합되어 있는 부분을 부분적으로 감싼 상태로, 주름관(16) 단부의 과도한 꺾임을 방지함과 아울러 주름관(16)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주름관연결구(14,17)에 전가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주름관(16)은, 그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연장된 산부(16a) 및 골부(16b)를 가지며, 주름관연결구(14,17)에 대해 나사식으로 결합한다. 또한 주름관연결구(14,17)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여 일정 외경을 갖는다.
먼저, 탄력홀더(40)는, 골부(16b)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부분 원호형 홀더본체(41)와, 홀더본체(41)의 단부에 고정되는 굽힘제한블록(42)을 갖는다.
홀더본체(41)는 대략 C 자의 형태로 구부러진 형상을 취하고, 골부(16b)를 부분적으로 감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홀더본체(41)를 골부(16b)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홀더본체(41)는 탄성 변형 가능하며, 원호방향 연장길이가, 골부(16b)의 원주길이의 절반보다 길다.
홀더본체(41)는, 주름관(16)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오므라진 상태로 대기하며, (주름관(16)에 탄력홀더(40)를 조립하기 위해) 골부를 그 내부로 받아들이는 동안 벌어진 후, 장착이 완료된 순간 탄성 복원되며 다시 오므라져 장착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홀더본체(41)는 탄성복원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작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도 있다.
각 홀더본체(41)의 중앙부에는 센터홀(41a)이 마련되어 있다. 센터홀(41a)은 후술할 지지핀(45)이 끼워지는 관통구멍이다.
상기 굽힘제한블록(42)은 홀더본체(41)의 양단부에 고정된 부속으로서, 주름관의 굽힘 시, 도 4b와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 탄력홀더의 굽힘제한블록에 닿아, 주름관이 더 이상 굽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굽힘제한블록(42)은 골부(16b)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굽힘제한블록(42)의 사이즈가 클수록 주름관(16)의 굽힘이 더욱 억제된다. 여하튼 상기 굽힘제한블록(42)의 작용에 의해 A부분에서의 국부적인 과도한 꺾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고정바디(60)는 탄력홀더(40) 및 연장링크(50)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부분 원통형 본체부(61)와 링크결합부(67)와 링크핀(65)을 구비한다.
본체부(61)는 탄성 변형 가능하며 측부로 개방된 연결구끼움공간(60a)을 갖는다. 연결구끼움공간(60a)은 주름관연결구(14,17)를 수용하는 홈이다. 본체부(61)는, 연결구끼움공간(60a) 내에 주름관연결구(14,17)를 압입하는 동안 벌어지고, 압입이 완료된 순간 탄성 복원되며 오므라진다. 고정바디(60)와 주름관연결구(14,17)의 고정은 본체부(6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62는 마찰시트이다. 마찰시트(62)는 주름관연결구(14,17)에 대한 본체부(61)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마찰시트(62)로서 고무판이나 실리콘시트를 적용할 수 있다.
링크결합부(67)는 고정바디(60)의 외측면에 일체를 이루며, 도면상 상부로 개방된 수용공간(65a)을 제공한다. 수용공간(65a)은 연장링크(50)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홈으로서 핀구멍(64)을 갖는다. 핀구멍(64)에는 링크핀(65)이 끼워진다. 수용공간(65a)에 연장링크(50)의 일단부를 끼운 후, 링크핀(65)을 이용해 연장링크(50)를 수용공간(65a)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용공간(65a)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벌어진 대략 삼각형의 형태를 취하며, 링크핀(65)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스토핑면(65b)을 갖는다. 스토핑면(65b)은, 연장링크(50)가 링크핀(65)을 회전축으로 삼아 화살표 a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좌우로 회전할 때, 연장링크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연장링크(50)는 스토핑면(65b)의 사이에서만 각운동 가능한 것이다. 스토핑면(65b)의 사이각은 30도 내지 50도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링크(5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 막대의 형태를 취하며 세 개의 핀구멍(51)과 하나의 관통구멍(52)을 갖는다. 핀구멍(51)은 지지핀(45)과 결합한다. 각 핀구멍(51)을 개별 홀더본체(41)의 센터홀(41a)에 맞춘 후, 센터홀(41a)과 핀구멍(51)에 지지핀(45)을 끼움으로서, 연장링크(50)에 대한 탄력홀더(40)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각 탄력홀더(40)는 지지핀(45)에 지지된 상태로, 지지핀(45)을 회전축으로 삼아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연장링크(5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52)에는 링크핀(65)이 끼워진다. 연장링크(50)의 하단부를 수용공간(65a)에 끼운 상태로 관통구멍(52)을 핀구멍(64)에 맞춘 후, 링크핀(65)을 삽입하면 고정바디(60)에 대한 연장링크(5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연장링크(50)는, 각 탄력홀더(40) 상호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탄력홀더(40)와 고정바디(60)의 간격도 유지한다. 또한, 주름관(16)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고정바디(60)를 통해 주름관연결구(14,17)로 바로 전달된다. 즉, 주름관(16)에 가해지는 화살표 z방향의 인장력은, 탄력홀더(40)와 연장링크(50)를 통해 우회하여 고정바디(60)로 전달되며 고정바디를 거쳐 주름관연결구(14,17)로 가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연장링크(50)의 작용에 의해, 주름관(16)의, 탄력홀더(40)에 커버되어 있는 영역의 인장응력은 작게 유지된다.
또한, 도 4a, 4b, 4c는 도 2에 도시한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주름관(16)이 직선으로 유지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 때 연장링크(50)는 양측 스토핑면(65b)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주름관(16)이 직선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진공청소기(10)를 사용함에 따라 주름관(16)이 우측으로 당겨지면, 연장링크(50)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고, 각 홀더본체(41)는 지지핀(45)을 중심으로 화살표 e 회전한다. 홀더본체(41)는 우측 굽힘제한블록(42)이 상호 닿을 때 까지만 회전한다. 굽힘제한블록(42)의 작용에 의해 주름관(16)이 과도히 꺾이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주름관(16)이 도면상 좌측으로 당겨지면, 각 홀더본체(41)는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한다. 홀더본체(41)의 회전에 따라 좌측 굽힘제한블록(42)이 거의 맞닿게 되고, 더 이상의 굽힘은 일어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가 주름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손상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a, 7b, 7c는 도 5에 도시한 손상 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다른 구조의 연장링크(70)가 적용된다. 상기 연장링크(70)는, 세 개의 단위링크부재(71)와, 연결핀(71b)으로 이루어진다. 연결핀(71b)은 단위링크부재(71)를 연결시키는 부속이다. 단위링크부재(71)의 개수는 적용되는 탄력홀더(40)의 개수와 같다.
각 단위링크부재(71)에는 핀구멍(71a)이 형성된다. 핀구멍(71a)을 센터홀(41a)에 맞춘 후, 지지핀(45)을 끼우면, 하나의 탄력홀더(40)에 하나의 단위링크부재(71)가 결합하게 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단위링크부재(71)는 연결핀(71b)으로 이미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세 개의 탄력홀더(40)는 하나의 다관절형 연장링크(70)에 연결되어 상호간의 간격이 유지된다.
상기 세 개의 단위링크부재(71) 중 도면상 하단부에 위치한 단위링크부재(71)에는 링크핀(65)이 끼워지는 관통구멍(71c)이 위치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링크부재(71)를 수용공간(65a)에 삽입한 상태로, 관통구멍(71c)을 핀구멍(64)에 맞추고 링크핀(65)을 끼움으로써 연장링크(70)와 고정바디(60)의 연결이 완료된다.
제2실시예의 경우, 연장링크(70)가 다관절의 구조를 가지므로, 도 7b 또는 7c와 같이, 주름관(16)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당겨질 때, 각 단위링크부재(71)가 꺾이며 보다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해진다. 단위링크부재(71)가 꺾이더라도, 각 홀더본체(41)의 단부에는 여전히 굽힘제한블록(42)이 작용하므로, 주름관의 과도한 꺾어짐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8은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탄력홀더(40)의 변형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본체(41)의 양단부에 탄성보강편(43)이 고정되어 있다. 탄성보강편(43)은 홀더본체(41) 보다 얇은 탄력시트로서, 홀더본체(4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골부(16b)를 감싸 골부를 화살표 k방향으로 탄력 가압한다. 탄성보강편(43)의 작용에 의해 주름관(16)에 대한 탄력홀더(40)의 유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진공청소기 12:흡입헤드 13:연장파이프
14:주름관연결구 15:손잡이 16:주름관
16a:산부 16b:골부 17:주름관연결구
18:본체 30:꺾임손상방지장치 40:탄력홀더
41:홀더본체 41a:센터홀 42:굽힘제한블록
43:탄성보강편 45:지지핀 50:연장링크
51:핀구멍 52:관통구멍 60:고정바디
60a:연결구끼움공간 61:본체부 62:마찰시트
64:핀구멍 65:링크핀 65a:수용공간
65b:스토핑면 67:링크결합부 70:연장링크
71:단위링크부재 71a:핀구멍 71b:연결핀
71c:관통구멍

Claims (9)

  1. 산부와 골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진공청소기의 주름관연결구에 끼움 결합하는 가요성 주름관의 단부에 장착되어 주름관의 꺾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일정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탄력홀더와;
    상기 주름관연결구에 장착되며 지지력을 출력하는 지지부와;
    상기 다수의 탄력홀더와 지지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와 링크핀에 의하여 링크되어, 탄력홀더 상호간의 간격과, 탄력홀더와 지지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장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링크는, 복수의 직선형 막대 형상을 취하는 단위링크부재들과, 상기 단위링크부재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링크부재들은 적어도 세개로서, 일측단부에 상기 링크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과 중앙부에 지지핀이 삽입되는 핀구멍과 타측단부에 연결핀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진 단위링크부재와,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각각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고 중앙부에 지지핀이 삽입되는 핀구멍을 가지는 단위링크부재와, 일측에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고 타측단부에 상기 지지핀이 삽입되는 핀구멍을 가진 단위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단위링크부재는 결합시에 상기 탄력홀더와 접하는 면이 돌출되지 않고 편평하도록 단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홀더는;
    탄성변형 가능한 부분 원호형 부재로서, 상기 주름관에 장착되는 동안 벌어졌다가 장착이 완료되는 순간 오므라져 골부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홀더본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의 중앙부에는 관통형 센터홀이 형성되며,
    홀더본체의 양단부에는, 주름관의 굽힘 시 이웃 탄력홀더에 닿아 더 이상의 굽힘을 제한하는 굽힘제한블록이 고정된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홀더본체로부터 연장되며 골부를 감싸 골부를 탄력적으로 죄는 탄성보강편이 더 구비된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링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각 홀더본체의 센터홀에 지지핀으로 연결되어, 홀더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주름관연결구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에 일체를 이루며, 상기 연장링크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링크결합부와,
    상기 링크결합부에 끼워진 연장링크의 단부를 링크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시키는 링크핀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링크핀을 회전축으로 삼아 좌우로 회전하는 연장링크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핑면이 형성된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KR1020190079098A 2019-07-02 2019-07-02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KR10227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98A KR102277467B1 (ko) 2019-07-02 2019-07-02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98A KR102277467B1 (ko) 2019-07-02 2019-07-02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384A KR20210003384A (ko) 2021-01-12
KR102277467B1 true KR102277467B1 (ko) 2021-08-02

Family

ID=7412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098A KR102277467B1 (ko) 2019-07-02 2019-07-02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4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71Y1 (ko) * 2006-01-03 2006-03-27 김태인 진공청소기의 플렉시블 호스 보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71091D1 (de) * 1985-02-04 1990-06-13 Witzenmann Metallschlauchfab Biegbares wellrohr mit zueinander parallelen, ringfoermigen wellen und axialabstuetzung.
KR200153252Y1 (ko) 1997-05-27 1999-08-02 전주범 진공청소기의 주름관 접속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71Y1 (ko) * 2006-01-03 2006-03-27 김태인 진공청소기의 플렉시블 호스 보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384A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755B2 (en) Cleaning device of optical connector
RU2311867C2 (ru) Удлинительная трубка с шарнирным соединением,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пылесоса
RU2470573C2 (ru) Узел рукоятки и пылесос, содержащий этот узел
US8555451B2 (en) Cleaning device of optical connector
US7260869B2 (en) Accessory assembly for vacuum cleaners
FR2525457A1 (fr) Raccord de flexible pour appareil menager d'entretien des sols
RU2002102732A (ru) Удлинительная труба для пылесоса
KR102277467B1 (ko) 진공청소기 주름관 꺾임 손상 방지장치
CN101835415B (zh) 挤压式拖把
US4897894A (en) Vacuum cleaner nozzle
CN111202468B (zh) 吸尘器导管以及包括其的扫帚式吸尘器
CN108742316B (zh) 用于吸尘器的吸管和具有其的吸尘器
CN217471865U (zh) 清洁组件及清洁基部
US11425988B2 (en) Pipe cleaning brush
KR100667857B1 (ko) 진공청소기 파워코드 정리장치
CN217130651U (zh) 吸污器伸缩管套
CN217610856U (zh) 快接接头和洗地机
CN215542962U (zh) 一种晾衣杆擦拭器
CN217744233U (zh) 尘推装置及清洁机器人
KR20020019224A (ko) 회전 손잡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US11814018B2 (en) Connecting apparatus for wiper, wiper blade assembly, and wiper device
JP6632875B2 (ja) 電気掃除機
JP2004136108A (ja) 電気掃除機
KR200153000Y1 (ko) 진공청소기의 주름관 접속장치
KR200243806Y1 (ko) 봉걸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