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806Y1 - 봉걸레 - Google Patents

봉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806Y1
KR200243806Y1 KR2020010011573U KR20010011573U KR200243806Y1 KR 200243806 Y1 KR200243806 Y1 KR 200243806Y1 KR 2020010011573 U KR2020010011573 U KR 2020010011573U KR 20010011573 U KR20010011573 U KR 20010011573U KR 200243806 Y1 KR200243806 Y1 KR 200243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support
pressing member
shap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형근
Original Assignee
신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근 filed Critical 신형근
Priority to KR2020010011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806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용 걸레에 끼워 걸어서 걸레바닥면으로 균일하게 소제(掃除)하도록 하는 걸레견집(堅執)장치를 구비한 봉걸레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걸레견집장치의 U형상인 2개의 걸레지지대에는 누름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걸레를 더욱 평편하게 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하며, 걸레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Description

봉걸레 {Mop}
본 고안은 청소용 걸레에 끼워 걸어서 걸레바닥면으로 균일하게 소제(掃除)하도록 하는 걸레견집(堅執)장치를 구비한 봉걸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봉걸레(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7)에 연결된 걸레견집장치(1)에 끼워진 걸레(11)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걸레견집장치(1)는 고정부(5)에 고정된 U형상의 제 1걸레지지대(2)와, 고정부(5)에서 탈착가능하게 접혀지는 U형상의 제 2걸레지지대(3)를 갖춘다.
상기 고정부(5)의 상부면에는 다양한 방향으로 걸레(1)를 움직이게 하면서 봉(7)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6)를 구비한다.
상기 걸레견집장치(1)의 고정부(5)에는 제 1걸레지지대(2)가 고정되는 반면에, 다른 맞은편에 설치된 제 2걸레지지대(3)는 고정부(5)에서 탈착가능하도록 접혀지게 되어서 걸레(11)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봉걸레는 걸레바닥면이 상기 걸레지지대들과 접촉되는 부분에서만 마멸이 심하게 발생하여 걸레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며, 바닥 청소시에 걸레에 균일한 힘을 공급하지 못하는 한계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봉걸레로 바닥을 닦게 되면, 걸레와 걸레지지대가 접촉하는 방법에 힘이 더 가해지게 되어서, 이 접촉부분과 걸레바닥면의 다른 부분들에 비해 마멸이 더욱 커지게 되고, 상당히 빨리 닳게 되면서 찢겨지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봉걸레의 걸레견집장치에 누름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청소할 때에 봉에 가한 힘을 고정부와 U형상의 걸레지지대 및 상기 누름부재를 통하여 걸레에 골고루 전달시켜 걸레의 전체 바닥면을 사용함으로써, 걸레바닥면의 일부만 급속히 마멸되는 것을 방지하여 걸레의 전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봉걸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걸레가 부착된 종래의 봉걸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에서 걸레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의 걸레견집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의 걸레견집장치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번호에 대한 부호설명>
1 ----- 걸레견집장치, 2, 3 ----- 걸레지지대,
5 ----- 고정부, 6 ----- 연결부,
7 ----- 봉, 10 ----- 봉걸레,
11 ----- 걸레, 12, 13 ----- 누름부재.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에서 걸레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 봉걸레는 봉(7)과 고정부(5)를 연결하는 연결부(6)를 구비한다.
이 연결부(6)는 걸레를 지지하는 U형상의 제 1 및 제 2걸레지지대(2,3)를 고정하는 고정부(5)와 봉(7)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이 봉(7)을 좌우로 회전하는 이음매와 전후로 회전하는 이음매를 같이 구비하여 걸레에 방향성을 준다. 이들 이음매와 고정부(5) 및 봉(7)은 나사못과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조립함으로써 분리 및 결속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의 걸레견집장치(1)의 사시도로서, 고정부(5)에는 U형상인 제 1걸레지지대(2)와 탈착이 가능한 U형상의 제 2걸레지지대(3)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들 걸레지지대(2,3)는 걸레의 상부면의 양측에 있는 주머니에 삽입된다(도 1참조).
또한, 각각의 걸레지지대(2,3)에는 사각형상의 동일한 2개의누름부재(12,13)를 구비하는데, 누름부재(12)는 제 1걸레지지대(2)의 일부 직선부를 둥글게 감싸도록 양쪽 선단이 말려 있다.
상기 제 2걸레지지대(3)는 걸레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고정부(5)에서 탈착되어 젖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 제 2걸레지지대(3)에 장착된 누름부재(13)는 제 1걸레지지대(2)의 누름부재(12)와는 다르게 한쪽 선단은 걸레지지대(3)의 직선부를 둥글게 감싸서 고정되어 있는 한편, 다른쪽 선단은 제 2걸레지지대(3)의 직선부를 감싸되, 이 제 2걸레지지대(3)의 두께보다 넓게 벌어져 개방되어 있다.
좌우 양쪽의 걸레지지대들(2,3)상에 2개의 누름부재(12,13)를 장착함으로써, 걸레의 바닥면이 팽팽하게 펼쳐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팽팽하게 펼쳐짐과 더불어, 누름부재들(12,13)로 걸레바닥면을 밑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걸레의 전체 바닥면으로 골고루 소제할 수 있게 하여, 걸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의 걸레견집장치(1)의 U형상의 제 2지지대(3)가 고정부(5)와 제 1지지대(2)로 이루어진 평면에 직각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 2지지대(3)는 고정부(5)의 바닥면에 있는 연결고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악력(握力)으로 이 제 2지지대(3)는 양끝이 오무려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 2지지대(3)는 고정부(5)에서 탈착될 수 있으며, 걸레의 주머니에 삽입 또는 주머니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제 2지지대(3)상에 위치한 누름부재(13)의 한쪽 선단의 제 2걸레지지대(3)의 두께보다 넓게 벌어져 있기 때문에 약간의 탄성이 있는 제 2지지대(3)에 악력을 가하면 상기 개방된 선단에서 상기 제 2지지대(3)가 누름부재(13)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부(5)에서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걸레견집장치는 좌우로 각각의 지지대를 갖추고, 이 각각의 지지대에 누름부재를 구비하여서, 바닥과 걸레의 접촉면적을 보다 넓게 하여 바닥청소를 쉽게 할 수 있으며, 걸레의 일부분이 먼저 닳아 없어짐을 방지하여 걸레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손잡이 역할을 하는 봉(7)과, 연결부(6), 이 연결부(6)에 연결된 고정부(5), 이 고정부(5)에 부착된 U형상의 제 1 및 제 2지지대(2,3) 및, 걸레(11)를 구비한 봉걸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걸레지지대(2,3)에는 걸레를 팽팽하게 잡아 펼쳐지도록 하는 누름부재(12,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형상의 제 1걸레지지대(2)는 누름부재(12)를 구비하되, 이 누름부재(12)의 양쪽 선단은 제 1걸레지지대(2)의 양쪽 직선부를 둥글게 감싸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형상의 제 2걸레지지대(3)는 누름부재(13)를 구비하되, 이 누름부재(13)의 한쪽 선단은 제 2걸레지지대(3)의 한쪽 직선부에 고정되고 다른쪽 선단은 제 2걸레지지대(3)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보다 넓게 벌어져 상기 제 2지지대(3)의 탈착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
KR2020010011573U 2001-04-23 2001-04-23 봉걸레 KR200243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573U KR200243806Y1 (ko) 2001-04-23 2001-04-23 봉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573U KR200243806Y1 (ko) 2001-04-23 2001-04-23 봉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806Y1 true KR200243806Y1 (ko) 2001-10-12

Family

ID=7306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573U KR200243806Y1 (ko) 2001-04-23 2001-04-23 봉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8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561A (en) Wringer mop with auxiliary cleaning elements
CA2367187A1 (en) Tank mounting of carpet extractor
JP2014212837A (ja) 床又は他の平坦な面を清掃するための洗浄用アセンブリ
WO1995018560A1 (en) Improved wringable flat-surface sponge mop
KR200243806Y1 (ko) 봉걸레
JP4286984B2 (ja) 手押し型ローラー刷毛クリーナー
US6865768B2 (en) Sponge mop assembly
KR101455037B1 (ko) 청소용 걸레 밀대
KR200461088Y1 (ko)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KR200399296Y1 (ko) 방충망용 청소용구
KR101749050B1 (ko) 물걸레 청소기
JP3273028B2 (ja) フォークリフトに取付けられるモップ
KR200213099Y1 (ko) 걸레 착탈수단을 갖는 밀대
CN215542962U (zh) 一种晾衣杆擦拭器
CN217547962U (zh) 滞水清理系统
KR20230001195U (ko) 복합 밀대 걸레
KR200165920Y1 (ko) 양면 걸레걸이 청소기구{.}
CN209884057U (zh) 一种便于拆装的多功能脱水拖把
CN215777850U (zh) 一种带有夹持功能的刮水拖把
CN215305605U (zh) 一种可翻转拖把
KR200352586Y1 (ko) 청소용 빗자루
JP2000210244A (ja) 敷物清掃具
JP2003250722A (ja) 真空掃除機の補助雑巾セ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KR200263713Y1 (ko) 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마대걸레
SE8800265D0 (sv) Anordning for golvtvet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