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388B1 -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388B1
KR102277388B1 KR1020200137202A KR20200137202A KR102277388B1 KR 102277388 B1 KR102277388 B1 KR 102277388B1 KR 1020200137202 A KR1020200137202 A KR 1020200137202A KR 20200137202 A KR20200137202 A KR 20200137202A KR 102277388 B1 KR102277388 B1 KR 102277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
information
labor
account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완
Original Assignee
박성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완 filed Critical 박성완
Priority to KR102020013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7Benefits or employee welfare, e.g. insurance, holiday or retirement pack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자 근로 계약에 대한 투명한 관리가 가능하고, 프로세스에 대한 통합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동시에, 전자 계약 데이터를 기반으로 근로 현황에 대해서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노무 계약의 당사자로서의 근로자 및 사용자와, 사용자의 근로 계약관련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무사 계정으로 구분된 유저 계정들 중, 사용자 계정의 요청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계정별로 기 저장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를 로드하고,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로서, 근로자와의 근로 계약시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 가능한 제1 데이터를 로드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에 반영하여 근로자에 대한 전자 계약 서류를 생성하는 계약 서류 생성부; 계약 서류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 계약 서류를 근로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에 전송하고, 근로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전자 서명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 계약 서류에 포함된 계약 정보를 기반으로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계약 진행부; 및 계약 진행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에 포함된 계약 단계별 상황 정보를 계약 진행부로부터 수신하여 전자 계약 서류의 당사자로서의 사용자 계정, 근로자 계정 및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노무사 계정의 요청에 따라서 제공하는 계약 현황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INTEGRATED LABOR CONTRACT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근로자와 사용자 간의 근로 계약진행부터 노무 계약에 관련된 정보 확인까지 통합적으로 계약을 온라인 관리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전자 계약 시스템을 더욱 고도화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하여, 노무 계약에 적용함으로써 편리한 근로 계약관리가 가능하고, 근로 계약정보를 바탕으로 근로 상황에 대한 파악 및 재계약 등의 후속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로 계약은 근로자와 사용자 간의 근로 형태, 수당, 근로 기간 등 근로 조건을 명확하게 정하는 계약으로서, 근로자의 안정적인 근로 생활 보장과 함께 명확한 계약 사항의 확인을 위해서 필수적인 사항이다. 현재에는 표준 근로 계약서 등, 정부에서 정한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 계약서를 포함하여 이를 바탕으로 업체별로 다양한 근로 계약서가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 계약이 일반화되면서, 근로 계약 역시 전자 근로 계약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전자 근로 계약은, 근로 계약서를 온라인으로 관리하고, 근로자 및 사용자가 이에 대한 전자 서명 등의 행위를 통해 계약을 체결하며, 계약 내용을 온라인 상에 저장하여, 계약서의 분실 등의 우려가 없는 편리한 계약 형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고용노동부에서도 표준 전자근로계약서를 제시하여, 이에 대한 이용성이 크게 확장될 전망이다.
그러나, 전자근로계약서는 계약 내용에 대해서 근로자 또는 사용자가 이를 계약 진행 후 위조할 가능성이 높고, 온라인 데이터로 관리됨에 따라서 내용에 대한 정확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서 전자 근로 계약의 형태에 있어서, 부정한 편집 가능성에 대한 안정성 확보와 함께, 내용에 대한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선행기술들에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64663호 등과 같이, 전자 계약서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관리 기술을 통해서 보안성을 높이거나, 한국 등록특허 제10-2035832호 등에서는,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기술로서, 수당 계산 및 계약 체결 프로세스를 도입하여 편리한 전자 근로 계약 및 이에 대한 보안성 향상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계약서 작성 단계에서 편집이 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근로자 또는 사용자 중 어느 한 주체에게 불리한 계약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안정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근로 계약에 대해서만 온라인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재계약, 근태관리, 근로 현황 파악 등이 통합적으로 가능한 기술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자 근로 계약에 대한 투명한 관리가 가능하고, 프로세스에 대한 통합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전자 계약을 명확하게 관리하여 근로 계약 및 현황 관리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자 계약 데이터를 기반으로 근로 현황에 대해서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근태 관리, 노무 관리 및 재계약 프로세스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통합적인 플랫폼을 통해서 일원화된 노무 관리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노무 계약의 당사자로서의 근로자 및 사용자와, 사용자의 근로 계약관련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무사 계정으로 구분된 유저 계정들 중, 사용자 계정의 요청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계정별로 기 저장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를 로드하고,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로서, 근로자와의 근로 계약시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 가능한 제1 데이터를 로드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에 반영하여 근로자에 대한 전자 계약 서류를 생성하는 계약 서류 생성부; 상기 계약 서류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 계약 서류를 근로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에 전송하고, 근로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전자 서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계약 서류에 포함된 계약 정보를 기반으로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계약 진행부; 및 상기 계약 진행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에 포함된 계약 단계별 상황 정보를 상기 계약 진행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전자 계약 서류의 당사자로서의 사용자 계정, 근로자 계정 및 상기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노무사 계정의 요청에 따라서 제공하는 계약 현황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약 서류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적어도 근로자의 개인 식별 정보, 근로 계약 형태 정보, 근로자의 직급 정보, 근로 기간 정보 및 근로 수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계약 요청 수신부; 및 사용자 계정에 연동되어 저장된 상기 기본 전자 계약 서류를 로드하고, 로드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의 데이터 입력 영역에 상기 제1 데이터를 입력하여 근로자에 대한 전자 계약 서류를 생성하는 계약서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약서 가공부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업체에 따라서 미리 기본 계약 내용이 저장되고, 상기 제1 데이터가 데이터별로 각 데이터 입력 영역에 입력될 수 있도록 데이터 입력 영역이 마련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에 대응되는 계약서 탬플릿을 로드하는 계약서 탬플릿 로드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각 데이터 타입 별로 구분하고, 로드된 계약서 탬플릿의 각 데이터 입력 영역 중 구분된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데이터 입력 영역에 상기 제1 데이터를 각각 적용하는 계약 정보 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약서 탬플릿의 상기 기본 계약 내용은, 상기 사용자 계정과 노무 컨설팅 계약이 체결되는 것으로 인증되어 매칭된 노무사 계정으로부터의 편집 입력 시에만 편집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약 현황 모니터링부는, 적어도 사용자 요청에 의한 계약 제안 중, 근로자 서명 완료, 유효 계약 상태 및 계약 만료 상태 중 어느 한 상황으로 계약 단계별 상황 정보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데이터별로 근로자에 대한 전자 계약 서류, 상황 정보 및 전자 계약 서류에 매칭된 근로자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가 완료되어 사용자 계졍에 속한 근로자로 구분되는 근로자 계정에 대해서, 상기 전자 계약 서류에 따라서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계정, 근로자 계정 및 노무사 계졍의 요청에 따라서 제공하며,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에 사용자 계정, 근로자 계정 및 노무사 계정의 입력에 따라서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사원 정보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결근 현황 정보, 상여금 정보 및 근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가 완료되어 사용자 계정에 속한 근로자로 구분되는 근로자 계정에 대해서, 상기 전자 계약 서류에 따른 제1 데이터를 조회 가능한 계약 상태 조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약 상태 조회부는, 조회된 전자 계약 서류에 대해서, 계약 만료 기한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임계 기간 이내인 전자 계약 서류에 대한 정보 및 재계약 여부를 문의하는 재계약 요청 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전송하고, 상기 계약 서류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재계약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제1 데이터의 일부를 수정하는 계약 수정 정보 및 재계약 수락 정보를 수신 시, 재계약 수락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 계약 서류에 상기 계약 수정 정보에 포함된 제1 데이터를 반영하여 수정된 전자 계약 서류를 재계약 수락 정보에 대응되는 근로자 계정에 대한 새로운 전자 계약 서류로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무사 계정에 의해서만 기본 계약 내용이 편집 가능하고,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는 근로자 정보 및 기타 특수한 계약에 대한 입력이 가능한 계약서 탬플릿을 통해 계약을 진행하기 때문에, 전자 근로 계약에 대한 투명한 관리가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근로 계약에 대해서도 편리하게 근로 계약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기본 계약 내용에 대해서는 노무사 계정으로만 편집 가능하도록 하여, 전자 계약에 대한 안정성 및 투명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근로 계약 내용을 기반으로 계약 중인 근로자에 대한 근태 관리 및 노무 관리 등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재계약 프로세스도 기존의 전자 계약을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어, 통합적인 플랫폼을 통해서 일원화된 노무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서류 생성부의 구체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서 가공부의 구체적인 구성도.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서류 생성부의 구체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서 가공부의 구체적인 구성도,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10,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함)은, 계약 서류 생성부(11), 계약 진행부(12) 및 계약 현황 모니터링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능 및 이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원 정보 관리부(미도시) 및 계약 상태 조회부(미도시)가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사원 정보 관리부 및 계약 상태 조회부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독립적인 구성으로 포함되거나, 상술한 계약 현황 모니터링부(13)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후술하는 도 9의 세부 구성을 갖는 컴퓨팅 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가 서버군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각 구성은 상술한 컴퓨팅 장치를 구성하는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서 구분되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 또는 하드웨어적인 프로세스 각각을 지칭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유저 단말(20)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등의 휴대 단말(21)과, 일반 개인용 컴퓨터 등의 PC(22)를 포함하는 단말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1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 전송되는 정보의 출력 및 입력 데이터의 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근로자 계정, 사용자 계정 및 노무사 계정 등에 특정 정보를 전송함은, 해당 계정이 시스템(10)에 대한 접속을 위해 이용하는 단말(20)에 특정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20)에서 그 데이터 그대로 또는 해당 데이터가 가공되어 단말(20)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각 계정으로부터 특정 정보 또는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수신함은, 해당 계정이 이용하는 단말(20)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그대로 또는 입력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단말(20)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시스템(10)의 각 구성에 전달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유저 단말(20)과 시스템(10)의 데이터 송수신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접속은, 유저 단말(20)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의 실행에 의하여 가능하거나, 웹(Web) 기반의 연결을 통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웹 접속 또는 앱 실행에 의하여, 유저 단말(20)의 출력 수단 및 입력 수단을 통해 데이터의 확인 및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실행됨으로써 후술하는 각 기능의 수행 및 그 수행 결과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계약 서류 생성부(11)는, 먼저 노무 계약의 당사자로서의 근로자 및 사용자와, 사용자의 근로 계약관련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무사 계정으로 구분된 유저 계정들 중, 사용자 계정의 요청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계정별로 기 저장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를 로드하고,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로서, 근로자와의 근로 계약시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 가능한 제1 데이터를 로드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에 반영하여 근로자에 대한 전자 계약 서류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근로자는 사용자에게 고용되어 일정 금액의 수당을 수령하고 근로를 수행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는 근로자를 고용하는 법인 또는 법인의 관리자 등의 주체를 의미한다. 노무사는 국가공인 노무사 자격 시험을 합격하여 노무사로서 업무를 수행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들이 상술한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을 위하여 계정을 생성 시, 상술한 근로자, 사용자 및 노무사 계정 중 어느 한 계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저 계정은 근로자 계정, 사용자 계정 및 노무사 계정 중 어느 한 계정이 된다. 유저 계정의 상술한 바와 같이 구분되는 타입에 따라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서비스의 이용 시의 인터페이스 및 이용 가능한 서비스가 달라질 수 있다.
계약 서류 생성부(11)는 사용자 계정의 요청으로서, 신규 근로자를 자신이 운영하는 업체의 근로자로 등록하고, 근로자와 근로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한다. 이때 수신되는 요청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로서, 근로자와의 노무 계약(근로 계약) 시 입력 가능한 제1 데이터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계약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계약 서류 생성부(11)는 사용자 계정별로 기 저장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를 로드하고, 계약 요청 신호와 함께 입력된 제1 데이터를 로드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에 반영하여 근로자 각각에 대한 전자 계약 서류를 생성하게 된다.
해당 기능의 구체적인 수행을 위해서 계약 서류 생성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약 요청 수신부(111)와 계약서 가공부(112)를 세부 구성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계약 요청 수신부(111)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적어도 근로자의 개인 식별 정보, 근로 계약 형태 정보, 근로자의 직급 정보, 근로 기간 정보 및 근로 수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근로 계약체결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와 함께 상술한 제1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제1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근로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개인 정보와 근로 계약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와 근로자 간의 협의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는 근로 계약상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근로자의 개인 식별 정보는, 계약을 위한 정보로서, 신분증 사본, 근로자 이름, 거주지, 주민등록등본 사본, 인감증명서 사본, 영문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 근로 계약의 형태에 따라서 근로자의 개인 신분을 보증하기 위해서 필요시되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이때 개인 식별 정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근로 계약에 활용되는 정보가 선택적으로 추출되어 사용되고, 나머지는 개인 식별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4)에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근로 계약 형태 정보는, 4대 보험이 가입되는 정규직인지, 비정규직인지 등에 대한 정보와 함께, 근로자가 주 5일 근무인지, 주말 근무인지, 주말 근무의 경우 오전 근무 또는 종일 근무인지, 종일 근무인지, 2 또는 3교대 근무인지, 택일 근무인지 여부, 연차, 출퇴근 시간, 근로 부서, 생산직, 기술직, 행정직 등 근로의 타입 등 근로 계약 시 근로 조건 등에 대해서 협의하여 저장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근로자의 직급 정보는 사용자의 업체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는 근로자의 직급으로서, 사원, 주임, 선임, 대리, 과장 등 다양한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근로 기간 정보는 계약 기간에 대한 정보로서, 1년 단위 계약 갱신인지 여부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근로 수당 정보는, 상여금 포함 여부, 식대 포함 여부, 수당 포함 여부, 연봉/월봉/일당 등의 지급 형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체적인 금액 정보를 함께 포함하는 정보로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수당에 대한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화면(200)은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구현에 의하여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제1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들을 포함한다. 도 4의 화면(200)을 참조하면, 계약 내용 중 제1 데이터들로서, 근로자(P1)의 개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입력'메뉴, 사용자(S1)을 식별할 수 있는 화면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로서, 직급, 근로 형태, 근로 기간(계약 단위 기간), 후당의 형태 및 구체적인 금액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데이터로서 선택 가능한 데이터는, 노무사 계정에 의하여 미리 입력되어 기본 계약 내용으로서 함께 관리될 수 있으며, 해당 내용은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 편집 불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계약서 가공부(112)는, 사용자 계정에 연동되어 저장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를 로드하고, 로드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의 데이터 입력 영역에 상기 제1 데이터를 입력하여 근로자에 대한 전자 계약 서류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기본 전자 계약 서류는, 고용노동법 및 근로계약기준 등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서류 및 노무사 계정에 의하여 승인됨으로써 관리되는 전자 서류를 의미한다. 이때, 기본 전자 계약 서류는, 사용자 계정에 따라서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10)에서 관리되는 업체에 따라서 다양한 근로 조건이 미리 세팅될 수 있으며, 기본 전자 계약 서류는 근로자에 따른 제1 데이터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세팅 가능한 근로 조건 이외에, 사용자 계정별로 일괄적으로 공통 세팅 가능한 근로 조건에 대한 모든 정보가 포함된 탬플릿 형태의 전자 서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이외에 공통 근로 조건이라 함은, 사용자가 운영 또는 관리하는 업체, 즉 근로자가 근무하는 업체의 주소, 이름,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등록번호, 법인 등기부 등본, 법인 인감증명서 등 보안화되어 관리되거나 그렇지 않고도 관리될 수 잇는 모든 정보, 해당 업체에서 세팅 가능한 제1 데이터들의 상세한 정보, 고용노동법 및 근로계약기준에 따른 표준 근로 규칙 등에 따라서 자동으로 세팅되거나 일괄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규정 등이 공통 근로 조건 및 기본 전자 계약 서류에 포함되는 내용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기본 전자 계약 서류는, 사용자 계정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세팅될 수 있음을 상술한 바 있다. 이때 해당 세팅은, 사용자 계정이 아닌,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노무사 계정에서만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계약서 가공부(112)는 상술한 기능 수행을 위해서 세부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약서 탬플릿 로드부(1121) 및 계약 정보 적용부(1122)로 구성될 수 있다.
계약서 탬플릿 로드부(1121)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업체에 따라서 미리 기본 계약 내용이 저장되고, 제1 데이터가 데이터별로 각 데이터 입력 영역에 입력될 수 있도록 데이터 입력 영역이 마련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에 대응되는 계약서 탬플릿을 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업체, 즉 근로자를 고용하는 주체에 따라서 기본 전자 계약 서류가 미리 세팅되어 저장되는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근로조건이 상술한 기본 계약 내용으로서 저장되는 것이다. 기본 계약 내용 사이사이 또는 그와 인접된 영역으로서, 전자 계약 서류가 시각적으로 구현될 때 해당 영역은 제1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영역이 마련된다. 이때 데이터 입력 영역은 제1 데이터의 종류, 즉 상술한 근로자의 개인 식별 정보, 근로 계약 형태 정보, 근로자의 직급 정보, 근로 기간 정보 및 근로 수당 정보에 따라서 미리 기본 전자 계약 서류마다 세팅될 것이다.
계약서 탬플릿은 상술한 기본 전자 계약 서류에 대응되는 데이터로서, 시각적으로 구현 시 기본 전자 계약 서류로 구현되는 전자 파일을 의미한다. 즉 탬플릿에 제1 데이터를 적용 시, 각 탬플릿에는 제1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 및 기본 계약 내용이 적용되는 영역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술한 제1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세팅되는 헤더 파일 또는 태그 정보 등에 따라서 데이터 입력 영역마다 제1 데이터가 그 영역에 반영되도록 구현될 것이다.
한편 계약 정보 적용부(1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를 각 데이터 타입 별로 구분하고, 로드된 계약서 탬플릿의 각 데이터 입력 영역 중 구분된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데이터 입력 영역에 제1 데이터를 각각 적용하여 계약서를 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와 근로자 간의 협의에 따라서 적용될 수 있는 모든 내용 이외에 상술한 기본 계약 내용, 즉 제1 데이터를 제외한 모든 데이터는 사용자 계정 또는 근로자 계정에 의하여 편집 불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근로기준법 및 고용노동법에 위반되는 계약 내용이 반영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근로 계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나 근로자의 실수로 계약 내용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외의 계약 내용은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 계약 시의 안정성 및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사용자 계정 또는 근로자 계정 등에 의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계약서 탬플릿에 제1 데이터가 적용된 후, 프린트 요청 등에 의하여 유저 단말(20) 등에 출력 가능한 계약서 형태의 전자 계약 서류의 화면(300)의 예이다.
해당 내용을 참조하면 기본 계약 내용의 출력 영역(A1) 및 제1 데이터 반영 영역(A2)이 구분되고 함께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2 영역에는 사용자 계정과 근로자 계정의 협의 하에 결정된 제1 데이터가 출력되며, A1 영역에는 일괄적으로 사용자 계정에 대해서 관리되는 계약 내용이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약서 탬플릿, 즉 기본 전자 계약 서류에 포함되는 데이터들의 기본 계약 내용은,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노무사 계정, 즉 사용자 계정과 노무 컨설팅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인증되어 매칭된 노무사 계정으로부터의 편집 입력 시에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계약서 탬플릿은 노무사 계정의 승인 입력이 완료된 것에 대해서만 사용자 계정이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선택 가능한 제1 데이터의 세부 내용 및 제1 데이터의 레인지 역시 노무사 계정의 승인 입력이 유효하게 완료된 상태에서만 선택 및 설정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계약 진행부(12)는 계약 서류 생성부(11)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 계약 서류를 근로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에 전송하고, 근로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전자 서명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 계약 서류에 포함된 계약 정보를 기반으로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계약 현황 모니터링부(13)는, 계약 진행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에 포함된 계약 단계별 상황 정보를 계약 진행부(12)로부터 수신하여 전자 계약 서류의 당사자로서의 사용자 계정, 근로자 계정 및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노무사 계정의 요청에 따라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계약 진행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성이 완료된 전자 계약 서류를 사용자 계정 및 해당 전자 계약 서류에 대한 근로자 계정 간에 공유하여 전자 서명 등 인증 프로세스를 통해 승인하여, 전자 계약 서류에 기재된 근로 조건에 따라서 근로자와의 근로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는 모든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이때 상술한 계약 현황 모니터링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현재 근로자와의 계약 체결 프로세스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계약 현황 모니터링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사용자 요청에 의한 계약 제안 중, 근로자 서명 완료, 유효 계약 상태 및 계약 만료 상태 중 어느 한 상황으로 계약 단계별 상황 정보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데이터별로 근로자에 대한 전자 계약 서류, 상황 정보 및 전자 계약 서류에 매칭된 근로자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다른 실시예로 설명하면, 사용자 계정에는 현재 계약을 제안하여 근로자 계정으로부터의 서명 또는 승인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 계약이 체결되거나 거절된 상태인지 여부 등을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다. 도 5의 화면(210)을 참조하면, 근로자의 이름 및 직급 등의 정보와 함께 현재 상술한 상태들 중 어떤 프로세스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계약 현황 모니터링부(13)에 의하면 현재 계약 프로세스가 근로자 또는 사용자별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일괄적으로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근로 계약을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예를 들어. 현재 요청 중에 있거나 서명이 완료되어 계약 체결을 완료하면 되는 상태가 각 상태별로 다르게 설정된 임계 기간을 초과 시, 해당 프로세스를 완료해야 하는 주체인 근로자 계정 또는 사용자 계정에게 알림을 전송하여, 해당 프로세스를 신속하게 완료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사원 정보 관리부는,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가 완료되어 사용자 계졍에 속한 근로자로 구분되는 근로자 계정에 대해서, 전자 계약 서류에 따라서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계정, 근로자 계정 및 노무사 계졍의 요청에 따라서 제공하며,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에 사용자 계정, 근로자 계정 및 노무사 계정의 입력에 따라서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원 정보 관리부는 상술한 바를 참고하면, 근로자와 사용자 간의 모든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조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근로 계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근태 정보로서, 결근, 연차, 수당, 상여금, 월급 등의 상세한 현황 정보 이외에, 기본적인 근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된다.
이를 위해서, 사업체의 근태 정보 관리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베이스(14)를 기준으로 관리될 수 있다. 즉, 유저 단말(20), 근태 정보 관리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14)에 연결되어,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14) 내에서 관리되며, 유저 단말(20)의 요청에 따라서 해당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유저 단말(20)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 수행에 대한 예가 도 7 및 8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의 화면(220)은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업체(S1)에 속한 근로자들의 기본적인 근로 현황 및 계약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화면으로서, 근로자 메뉴(221) 및 근로 정보 메뉴(222), 재계약 메뉴(223)가 포함된다. 근로자 메뉴(221)를 통해서 근로자의 기본적인 인적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근로 정보 메뉴(222)를 선택 시, 도 8의 화면(230)이 출력될 수 있다.
도 8의 화면(230)은 근로 현황으로서, 각 근로자 계정의 직급, 근로 부서, 연봉 등의 수당, 근로 형태, 연차 현황, 상세 근태 정보(231), 계약 기간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한편, 계약 상태 조회부는, 근로 정보들 중, 계약 정보에 대한 조회 및 갱신이 가능한 기능으로서,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가 완료되어 사용자 계정에 속한 근로자로 구분되는 근로자 계정에 대해서, 상기 전자 계약 서류에 따른 제1 데이터를 조회 가능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즉, 제1 데이터를 조회하여 유저 단말(20)에 제공하고, 제1 데이터에 대한 갱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근로자 계정별로 제1 데이터에 대한 갱신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회된 전자 계약 서류에 대해서, 계약 만료 기한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임계 기간 이내인 전자 계약 서류에 대한 정보 및 재계약 여부를 문의하는 재계약 요청 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7의 재계약 메뉴(223)에서 확인할 수 있듯, 계약기간의 만료가 임박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알림 표시 및 이에 더하여 재계약 요청 정보를 직접 사용자 계정에 전송하여, 사용자 계정이 이를 확인하여 늦지 않게 재계약 여부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이에 따라서 재계약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약 서류 생성부(11)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재계약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제1 데이터의 일부를 수정하는 계약 수정 정보 및 재계약 수락 정보를 수신 시, 재계약 수락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 계약 서류에 계약 수정 정보에 포함된 제1 데이터를 반영하여 수정된 전자 계약 서류를 재계약 수락 정보에 대응되는 근로자 계정에 대한 새로운 전자 계약 서류로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재계약 의사를 사용자 계정이 표시 시, 이에 대응하는 계약 수정 정보 및 재계약 수락 정보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상술한 계약 서류 생성부(11)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전자 계약 서류를 생성하여 근로자 계정에 전송하는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9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노무 계약의 당사자로서의 근로자 및 사용자와, 사용자의 근로 계약관련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무사 계정으로 구분된 유저 계정들 중, 사용자 계정의 요청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계정별로 기 저장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를 로드하고,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로서, 근로자와의 근로 계약시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 가능한 제1 데이터를 로드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에 반영하여 근로자에 대한 전자 계약 서류를 생성하는 계약 서류 생성부;
    상기 계약 서류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 계약 서류를 근로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에 전송하고, 근로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전자 서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계약 서류에 포함된 계약 정보를 기반으로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계약 진행부; 및
    상기 계약 진행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에 포함된 계약 단계별 상황 정보를 상기 계약 진행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전자 계약 서류의 당사자로서의 사용자 계정, 근로자 계정 및 상기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노무사 계정의 요청에 따라서 제공하는 계약 현황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 전자 계약 서류는,
    상기 근로자 계정과 상기 사용자 계정 간에 법적 분쟁이 발생하기 이전에, 상기 기본 전자 계약 서류에 포함되는 데이터들에 기반한 기본 계약 내용이 상기 사용자 계정과 노무 컨설팅 계약이 체결되어 매칭된 노무사 계정에 의해서만 수정 가능하되,
    상기 계약 서류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적어도 근로자의 개인 식별 정보, 근로 계약 형태 정보, 근로자의 직급 정보, 근로 기간 정보 및 근로 수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계약 요청 수신부; 및
    사용자 계정에 연동되어 저장된 상기 기본 전자 계약 서류를 로드하고, 로드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의 데이터 입력 영역에 상기 제1 데이터를 입력하여 근로자에 대한 전자 계약 서류를 생성하는 계약서 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약서 가공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업체에 따라서 상기 기본 계약 내용이 기 저장되고, 상기 제1 데이터가 데이터별로 각 데이터 입력 영역에 입력될 수 있도록 데이터 입력 영역이 마련된 기본 전자 계약 서류에 대응되는 계약서 탬플릿을 로드하는 계약서 탬플릿 로드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각 데이터 타입 별로 구분하고, 로드된 계약서 탬플릿의 각 데이터 입력 영역 중 구분된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데이터 입력 영역에 상기 제1 데이터를 각각 적용하는 계약 정보 적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약 현황 모니터링부는,
    적어도 사용자 요청에 의한 계약 제안 중, 근로자 서명 완료, 유효 계약 상태 및 계약 만료 상태 중 어느 한 상황으로 계약 단계별 상황 정보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데이터별로 근로자에 대한 전자 계약 서류, 상황 정보 및 전자 계약 서류에 매칭된 근로자의 정보를 조회 가능하되,
    상기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 계정에 속한 근로자로 구분되는 근로자 계정에 대해서, 상기 전자 계약 서류에 따라서 결근 현황 정보, 상여금 정보 및 근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계정, 근로자 계정 및 노무사 계정의 요청에 따라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계정 및 상기 근로자 계정 간에 법적 분쟁이 발생하기 이전에 상기 노무사 계정의 입력에 따라서 근로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여 저장하는 사원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근로 계약 체결 프로세스가 완료되어 사용자 계정에 속한 근로자로 구분되는 근로자 계정에 대해서, 상기 전자 계약 서류에 따른 제1 데이터를 조회 하며, 조회된 전자 계약 서류에 대해서, 계약 만료 기한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임계 기간 이내인 전자 계약 서류에 대한 정보 및 재계약 여부를 문의하는 재계약 요청 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전송하는 계약 상태 조회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약 서류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재계약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제1 데이터의 일부를 수정하는 계약 수정 정보 및 재계약 수락 정보를 수신 시,재계약 수락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 계약 서류에 상기 계약 수정 정보에 포함된 제1 데이터를 반영하여 수정된 전자 계약 서류를 재계약 수락 정보에 대응되는 근로자 계정에 대한 새로운 전자 계약 서류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근로 계약 및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137202A 2020-10-22 2020-10-22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 KR102277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02A KR102277388B1 (ko) 2020-10-22 2020-10-22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02A KR102277388B1 (ko) 2020-10-22 2020-10-22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388B1 true KR102277388B1 (ko) 2021-07-13

Family

ID=7685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202A KR102277388B1 (ko) 2020-10-22 2020-10-22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3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601A (ja) * 2002-03-08 2003-09-19 Ricoh Co Ltd コンサルティング契約締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40051914A (ko) * 2002-12-13 2004-06-19 권대순 전자계약 서비스 방법
KR102035832B1 (ko) * 2019-02-11 2019-10-23 주식회사 워커스빌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06514A (ko) * 2019-11-27 2020-01-20 김정훈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00394A (ko) * 2019-02-18 2020-08-26 황은기 법률 분쟁 해결에 기반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601A (ja) * 2002-03-08 2003-09-19 Ricoh Co Ltd コンサルティング契約締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40051914A (ko) * 2002-12-13 2004-06-19 권대순 전자계약 서비스 방법
KR102035832B1 (ko) * 2019-02-11 2019-10-23 주식회사 워커스빌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100394A (ko) * 2019-02-18 2020-08-26 황은기 법률 분쟁 해결에 기반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6514A (ko) * 2019-11-27 2020-01-20 김정훈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06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onstruction projects
US9769208B2 (en) Inferring security policies from semantic attributes
US106738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security controls between computer networks
JP4842248B2 (ja) 複数のビジネスアプリケーション全体における手続き欠陥の検出
EP3067817A1 (en) Dynamic data masking for mainframe application
KR102086704B1 (ko) 무인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3518196B (zh) 管理秘密信息的信息处理设备和方法
JPH11175402A (ja) カード型記憶媒体及びカード型記憶媒体のアクセス制御方法並びにカード型記憶媒体用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1868727A (zh) 数据匿名化
CN112567408A (zh) 用于访问控制的分布式账本平台
CN114144803A (zh) 在区块链网络之间转移代币
US11354762B2 (en) Digital passport systems and methods
US20230169608A1 (en) Run-Time Generation of Professional Employer Organization Reports
US20170054684A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2530982B1 (ko) 키오스크를 활용한 근로 계약 체결 및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77388B1 (ko) 통합 근로 계약및 관리 시스템
JP6871296B2 (ja) 仲介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Barati et al. Design and verification of privacy patterns for business process models
Sion et al. An overview of runtime data protection enforcement approaches
JP671665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hittington Wiley CPAexcel Exam Review 2015 Study Guide (January): Business Environment and Concepts
KR102235775B1 (ko) 개인정보처리 대행 및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Bunnell et al. Integration of the COBIT 5 Framework into the SDLC for Development of a User Access Attestation System
KR102550125B1 (ko)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nft를 대량으로 발송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114964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boarding and managing applications ove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